맨위로가기

오러슈티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러슈티에는 루마니아의 도시로, 13세기에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피해를 입었으며, 이후 마을 지위를 획득하고 작센인들의 정착과 종교 개혁의 영향을 받았다.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 헝가리 혁명, 유대인 공동체의 성장과 반유대주의,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에 편입되는 등 복잡한 역사를 거쳤다. 현재는 루마니아의 중요한 도시 중 하나로, 역사적 유적과 현대적인 시설이 공존하며 문화의 집(과거 시나고게)과 요새화된 교회가 유명하다. 에르뇌 코흐, 엘리자베스 로보즈 아인슈타인, 니콜라에 소보슬레이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도시 - 부쿠레슈티
    부쿠레슈티는 루마니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덤보비차 강 연안에 위치하며, 왈라키아 공국, 루마니아 공국을 거쳐 루마니아 왕국의 수도가 되었고, '기쁨의 도시'라는 뜻과 함께 '동방의 파리'라는 별칭을 가졌으나, 2차 세계 대전과 차우셰스쿠 정권 시기를 거쳐 현대화와 역사 지구 복원 사업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 루마니아의 도시 - 시비우
    시비우는 루마니아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독일인 이민자들이 건설하여 중세 시대 상업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트란실바니아 공국의 수도를 거쳐 유럽 문화 수도로 지정되면서 관광 도시로 발전했다.
오러슈티에
기본 정보
공식 명칭오러슈티에
다른 이름브로스
독일어 이름Broos
헝가리어 이름Szászváros
라틴어 이름Saxopolis
오러슈티에 문장
문장
루터교 교회 탑에서 바라본 오러슈티에의 모습
루터교 교회 탑에서 바라본 모습
후네도아라 주에서 오러슈티에의 위치
후네도아라 주에서 위치
지리
좌표북위 45° 51', 동경 23° 12'
해발 고도220m
면적38.62km²
행정
국가루마니아
후네도아라 주
시장오비디우-라우렌치우 벌란
시장 소속 정당PSD
임기2020–2024
인구 통계
인구자동
기타 정보
우편 번호335700
지역 번호(+40) 02 54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오러슈티에 지역은 7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초기 정착이 이루어졌으며, 10세기에는 흙과 나무로 만든 첫 요새가 건설되었다. 11세기에서 12세기에는 로툰다와 같은 초기 기독교 건축물이 세워졌다.

중세 시대에는 작센인 정착민들이 유입되고 도시로서의 기반을 다지기 시작했으나, 1241년 몽골의 유럽 침공으로 큰 피해를 보았다. 이후 재건되어 프란치스코회 수도원이 설립되고 헝가리 왕국으로부터 도시 지위를 부여받는 등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15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침략이 반복되었으며, 특히 1479년 빵밭 전투는 오스만 군대에 맞서 승리한 중요한 전투로 기록된다. 이 시기 도시는 여러 길드가 활동하며 경제적으로 성장했고, 작센인과 헝가리인 간의 행정적 합의도 이루어졌다.

근세에 들어 오러슈티에는 종교 개혁의 영향을 받아 루터교가 확산되었고, 1582년에는 성경의 최초 루마니아어 번역본 중 하나인 오러슈티에 구약 성경(Palia de la Orăștiero)이 인쇄되는 등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17세기에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신성 로마 제국 군대의 주둔, 기근흑사병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8세기에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통치 하에 놓이면서 오스트리아 출신 식민지 주민들이 정착했으며, 호레아, 클로스카, 크리산의 반란과 같은 농민 봉기도 발생했다.

19세기에는 루터교 교회와 회당이 건설되고 은행이 설립되는 등 근대적인 도시의 모습을 갖추어 나갔다. 1848년 헝가리 혁명 당시에는 혁명군과 오스트리아군 간의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으며, 이후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지역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했다. 20세기 초에는 전기 가로등이 도입되었고 인구가 증가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파시즘 정권 하에서 유대인과 로마니족 주민들이 박해받고 추방되는 비극을 겪었다.[3][4] 전후 사회주의 시기를 거쳐 현대 루마니아의 도시로 이어지고 있으며, 인구는 1992년 정점을 기록한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 1. 초기 역사 (7~12세기)

7세기에서 9세기 사이, 현재 구 시가지가 위치한 오래된 늪지대 부근에 초기 인간 정착지가 형성되었다. 이곳의 유적은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흙과 나무 울타리를 이용한 첫 번째 요새가 건설되었다.

11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는 최초의 기독교 종교 건물인 오러슈티에 로툰다가 세워졌다. 이 둥근 예배당은 약 1000년의 역사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며, 11세기경 이 지역을 지배했던 귀족 가문이 주로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인근 지오아지에도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로툰다가 존재한다.

1105년, 제1차 십자군의 영향으로 왈롱 출신 관료 백작인 로뉴의 안셀름 폰 브라즈(Anselm von Braz)가 이곳에 정착했다는 주장이 있다. 역사가 카를 쿠르트 클라인(Karl Kurt Klein)은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안셀름 폰 브라즈가 그의 아들 및 후손들과 함께 오늘날의 오러슈티에 지역으로 이주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1200년경, 트란실바니아 연대기에 따르면 도시 성벽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이후 불리한 조건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2. 2. 중세 시대 (13~15세기)

1200년 트란실바니아 연대기에 따르면, 이때 도시 성벽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이후 불리한 조건으로 중단되었다. 1206년 헝가리 왕국의 헝가리의 앤드루 2세는 오러슈티에 인근 마을인 로모스를 작센인 식민지 주민을 포함하는 트란실바니아 최초 세 마을 중 하나로 언급하였다. 1224년 앤드루 2세는 작센인 식민지 주민의 특권을 확인하며, 마을 주변 숲에 거주하던 루마니아인(블라치)과 페체네그인(비스세니)의 존재가 언급되었다. 이 정착지는 헝가리 왕족으로부터 여러 특권을 부여받았으며, 지역 장인과 부유한 상인 12명으로 구성된 왕실 판사(iudex regiumlat)의 통치를 받았다. 1239년은 오러슈티에 프란체스코회 교회의 수도원이 창립된 해로 추정된다.

1241년, 오러슈티에는 몽골의 유럽 침공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뷰리가 이끄는 몽골의 투멘은 시비우 방향에서 오르트 데필레를 통해 트란실바니아로 진입하여 4월 11일 미에르쿠레아 시비울루이, 세베슈, 오러슈티에 요새를 차례로 파괴하였다. 몽골군은 4월 25일 체나드에 도착했으며, 오러슈티에는 4월 11일과 25일 사이에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 프란체스코 수도사 아풀리아의 로게리우스는 알바 율리아의 참상을 생생하게 묘사하며 당시의 파괴를 기록하였다. 이후 헝가리의 벨러 4세 왕은 이 지역에 새로운 작센인 식민지 주민과 정착민을 정착시켰다.

1309년 오러슈티에의 인구는 약 1,600명이었다. 프란체스코 수도회가 도시에 설립되었고, 현재 프란체스코 수도원 부지에 교회를 지었다. 1324년 헝가리카로이 1세 왕은 이 정착지에 마을 지위를 부여한다고 발표하였다. 1334년, 사제 요하네스(Johannes Sacerdoslat)는 굴뚝 수를 세는 방식으로 인구 조사를 실시하여 344채의 집, 공중 목욕탕 등을 확인하였다. 이는 투르다시 마을에 작센인이 존재한다는 최초의 기록이며, 오러슈티에 지역 작센인 소유의 공립 학교 2곳도 언급되었다. 1344년에는 오러슈티에 가톨릭 교회의 수호성인 성 니콜라스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 있었다. 1349년 시비우에서 발행된 문서에서 오러슈티에 좌석(de sede Waraslat)이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14세기 후반에도 작센인의 정착과 행정 체계 구축이 이어졌다. 1364년 작센인이 오러슈티에 근처 카스타우 마을에 식민지로 정착했으며, 1367년에는 오러슈티에 좌석에 왕실 판사가 존재했다는 가장 오래된 증거가 발견되었다. 1372년 오러슈티에의 백작 스테파누스(Ștefan de Orăștiero)는 트란실바니아의 7개 작센 좌석 대표로 임명되었다. 1374년 연대기는 오러슈티에의 미하이 백작(de Warasiolat)과 이 지역의 통치자 미하이 블라스 데 오러슈티에(Michael Blas von Broosde)를 언급하고 있다. 1376년에는 19개의 길드(fraternitaslat)가 도시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기록되었다.

15세기에 들어서면서 오스만 제국의 침략이 잦아졌다. 1420년 9월 24일, 터키군은 트란실바니아 남동부를 침략하여 차라 하체굴루이 근처에서 트란실바니아 보이보드 미클로스 차키가 지휘하는 군대를 격파하였다. 이틀 후 터키군은 오러슈티에와 그 주변 지역을 약탈하고 불태운 후 퇴각하면서 수천 명의 포로를 노예로 데려갔다. 1425년 오러슈티에의 작센인은 터키의 공급업체가 되었고, 도시는 독일어 이름인 '브로스'(Brosde) 또는 '브로스'(Broosde)로 불렸다. 1433년 바티칸의 등록부에는 트란실바니아, 바나트, 왈라키아에서 온 순례자 중 오러슈티에 출신 페트루(블라시우스의 아들)가 기록되었다. 그는 이전 동방 정교회 신자였으나 로마의 성 베드로 가톨릭 교회에서 요한 지기스문드 왕 임석 하에 세례를 받았으며, 왕의 병사로서 오스만 제국보헤미아에 대항한 여러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는 기록도 있다. 1436년에는 헝가리인이 도시 중심부에 거주한다는 것이 언급되었다.

1438년, 무라트 2세 술탄이 이끄는 터키군과 블라드 드라쿨라 휘하의 왈라키아군이 트란실바니아로 진입하여 오러슈티에와 로모스 마을을 약탈하고 파괴했다. 이때 프란체스코 수도원이 불탔으나 이후 프란체스코 수도회에 의해 재건되었다. 1442년 또 다른 터키의 트란실바니아 침공으로 상팀브루에서 전투가 벌어졌으며(3월 18일), 이는 터키의 승리로 끝났고 도시는 다시 약탈되고 불탔다. 1449년 연대기는 일곱 개의 좌석 회의에 참석한 오러슈티에의 바르톨로뮤 백작을 언급하고 있다.

1479년 10월 9일, 알리 코드샤와 스켄데르(일부 자료에 따르면 알리 베이 미할로그루와 스칸데르)가 이끄는 터키군이 칼닉 근처에서 트란실바니아로 진입했다. 오스만군은 약 2만 명의 군인과 바사라브 셀 타나르-체펠루슈 휘하의 1,000~2,000명의 왈라키아 보병으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0월 13일 코드샤 베이는 오러슈티에와 시보트 사이의 장소인 빵밭에 야영지를 설치했다. 팔 키니지, 이슈트반 바토리, 부크 브란코비치, 바사라브 라이오타 셀 바트란이 이끄는 헝가리군은 약 12,000~15,000명에 달하였다. 빵밭 전투는 오러슈티에와 시보트 사이에서 벌어졌고, 헝가리군은 오스만군에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터키군과 왈라키아 동맹군 수천 명이 사망하였고, 살아남은 소수의 터키군은 산으로 도망쳤으나 대부분 지역 주민에게 살해당했다. 이 승리를 기념하여 바토리 이슈트반 5세는 아우렐 블라이쿠 마을 근처에 예배당을 세웠으며, 터키가 도시를 약탈했을 때 성 내부의 교회가 손상되었으나, 나중에 헝가리인에 의해 재건되어 소유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이 도시가 작센 요새였음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개혁 헝가리인의 재산이 되었고, 작센인은 교회 옆의 방만 받게 되었다. 이 방은 1823년 작센인에 의해 새로운 교회가 세워질 때까지 예배 장소로 사용되었다.

15세기 말에는 행정 및 민족 구성과 관련된 기록들이 나타난다. 1486년 오러슈티에 좌석과 후냐드 카운티 사이의 불화로 인해 시비우 작센 대학교는 헝가리 왕 마차시 1세에게 두 지역 간의 경계를 조정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1488년 작센 좌석의 인구 조사에서 오러슈티에(oppidi Broszlat)에는 작센인 158명, 가난한 주민 2명, 양치기 4명, 제분업자 1명, 버려진 가구 10채가 기록되었으며, 1491년에는 작센인과 헝가리인이 왕실 판사의 기능을 번갈아 가며 수행하며, 두 민족 각각 동등한 수로 상원에 대표될 수 있도록 합의하였다. 1500년 성 니콜라스의 날에 열리는 연례 박람회가 역사상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2. 3. 근세 시대 (16~18세기)

1500년 성 니콜라스의 날을 기념하는 연례 박람회가 처음으로 열렸다.

1504년 저명한 인문주의자 니콜라우스 올라후스의 아버지인 스테판 올라후스가 왕에 의해 오러슈티에의 판사로 임명되었다.

1509년 문헌상 집시의 존재가 오러슈티에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시비우 시의 기록에는 오러슈티에 시장에서 폭력 혐의로 구금된 집시를 호송하기 위해 파견된 관리들에 대한 지불 내역이 남아있다. 같은 해, 보이보드 자폴랴 야노슈는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바나트 지역 주민들을 오러슈티에와 투르다시로 이주시켰다.

1514년 도자 죄르지가 이끈 농민 봉기 당시, 자폴랴의 군대가 이 지역을 통과하며 도시의 방비가 전쟁에 대비하기에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1520년 4월 25일, 헝가리 왕 루이 2세는 시비우 시장에게 오러슈티에 귀족 마티아 올라(데 자즈와라스)를 도시의 왕실 판사로 임명하도록 지시했다. 당시 이 직책은 마티아의 연로한 아버지 스테판이 맡고 있었다. 국왕은 세금 수입과 기타 관례적인 혜택도 함께 부여했다.

1529년 오러슈티에는 새로운 왕 자폴랴 야노슈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1533년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루터교가 확산되면서 프란체스코 수도회가 도시에서 추방되었다.

1536년 6월 4일, 스트리곤 대주교 니콜라우스 올라후스의 형제인 마태 올라가 사망했다.

1544년 오러슈티에 요새는 세바스티안 뮌스터의 연대기에서 "... 세베스 아래, 오러슈티에 마을 근처에도 강력한 요새가 하나 더 있다..."고 언급되었다.

1550년 작소폴리스(Saxopolis)라는 이름이 처음으로 문헌에 등장했다. 에서 인쇄된 "Chorographia Transilvaniae"에서 게오르그 라이허스토퍼는 오러슈티에를 '작센인들이 브로스(Bros)라고 부르는 도시'로 묘사하며, 무레슈강변에 위치한 비옥한 토지와 주민들의 생활 방식 등을 기록했다.

1560년 오러슈티에 요새는 조반안드레아 그로모의 연대기에도 언급되었다. 이 시기 헝가리인 공동체는 개신교로 개종했으며, 루마니아인 가톨릭 교회는 칼뱅주의 교회가 되었다.

1582년 오러슈티에 구약 성경(Palia de la Orăștiero)이 인쇄되었다. 이는 성경의 최초 루마니아어 번역본 중 하나로, 데바 성의 경비대장 게즈티 페렌츠(Geszti Ferenc)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다.

1599년 왈라키아의 용감한 미하일 공작은 도시에 1,000 길더의 차관을 요청했다.

1602년 신성 로마 제국의 조르지오 바스타 장군이 400명의 병사를 도시에 주둔시켰다. 병사들의 약탈과 폭력으로 주민들은 도망치거나 교회 성채 안으로 피신했다. 같은 해 말, 가브리엘 베틀렌 장군이 이끄는 군대가 도시를 포위했고, 성채 접근을 거부당한 제국군 병사 11명을 제외하고 모두 살해되었다. 8월, 바스타는 트란실바니아를 다시 점령하고 오러슈티에 시장과 다른 저명한 시민 두 명을 교수형에 처했다.

1604년 바스타 군인 1,500명이 도시에 추가로 주둔했다. 극심한 기근으로 인해 인육을 먹는 참상까지 벌어졌다.

1605년 도시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

1661년 케메니 야노스를 추격하던 오스만 제국 군대가 오러슈티에와 세베스에 불을 질렀다.

1663년 트란실바니아 공작 아파피 미하이 1세에 의해 개혁 대학(Reformed College)이 설립되었다.

1697년 도시 최초의 약국인 'Graffius'가 문을 열었다.

1733년 세금 등록부에 따르면 당시 주민은 2,800명(568가구)이었으며, 민족 구성은 루마니아인 240가구, 헝가리인 170가구, 작센인 100가구, 집시 50가구, 그리스인 8가구였다.

1738년 흑사병이 창궐하여 156명이 사망했다.

1749년 로마 가톨릭 교회가 현재의 모습으로 건설되었다(탑은 1880년에 추가됨).

1752년1756년 오스트리아 제국상부 오스트리아 출신 식민지 주민 144명이 도시에 정착했다. 이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통치 하에 이루어진 이주 정책의 일환이었다.

1757년1758년 같은 지역 출신의 식민지 주민 222명이 추가로 도착했다.

1784년 호레아, 클로스카, 크리산의 반란이 발생하여 이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다.

2. 4. 현대 (19세기 이후)

1820년부터 1823년 사이에 루터교 교회가 건설되었고, 1841년에는 탑이 추가되었다. 1828년에는 큰 화재가 발생하여 127채의 집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1848년 헝가리 혁명 당시, 오러슈티에에서는 요세프 벰 장군이 이끄는 혁명군과 오스트리아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1853년 트란실바니아 지역 행정 구역 개편으로 오러슈티에를 중심으로 하는 카운티가 설치되었다. 당시 카운티 면적은 348.9km2였으며, 인구는 214,165명이었다. 민족 구성은 루마니아인이 192,995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헝가리인 7,809명, 독일인 1,063명 등이었다. 종교적으로는 동방 정교회 신자가 160,603명으로 가장 많았고, 동방 가톨릭교회 38,550명, 루터교 8,565명, 로마 가톨릭교 4,283명, 칼뱅교 2,141명 순이었다.

1857년 인구 조사에서는 총 5,029명의 주민이 집계되었으며, 종교별로는 동방 정교회(1,850명), 로마 가톨릭교(1,136명), 루터교(884명), 칼뱅교(688명), 동방 가톨릭교(486명), 유대교(24명), 유니테리언(19명), 아르메니아 교회(5명) 순으로 나타났다. 1867년에는 유대교 회당이 건설되었고, 1869년에는 도시 최초의 은행인 "Brooser Vorschuss-verein"이 설립되었다.

188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오러슈티에는 1,086채의 집과 5,451명의 주민이 있었다. 민족별로는 루마니아인 2,312명, 독일인 1,427명, 헝가리인 1,227명 등이었으며, 종교별로는 동방 정교회(2,030명), 로마 가톨릭교(1,002명), 루터교(964명), 칼뱅교(769명), 동방 가톨릭교(523명), 유대교(163명) 순이었다.

20세기에 들어서 1900년에는 전기 가로등이 도입되었고, 1910년에는 인구가 6,937명으로 증가했으며, 이 중 루마니아인이 3,276명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인 1940년부터 1944년 사이에는 파시즘 정권 하에서 도시의 유대인과 로마니족 주민들이 박해를 받고 추방당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있었다.[3][4]

전후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여 1992년에는 24,174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감소 추세를 보였다.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17,255명의 주민이 집계되었으며, 민족 구성은 루마니아인 92.01%, 로마니족 5.59%, 헝가리인 1.75%, 독일인 0.41%였다. 202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는 16,825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5]

아래는 19세기 이후 오러슈티에의 인구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오러슈티에 인구 변화 (19세기 이후)
연도인구
18544,207
18575,029
18775,661
18805,451
19006,238
19106,937
19307,377
19419,751
19488,819
195610,488
196011,726
196612,822
197314,994
199224,174
200221,213
201117,255
202116,825 [5]


3. 인구

오러슈티에의 인구는 오랜 역사 속에서 다양한 민족의 유입과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변동을 거듭해왔다. 초기에는 작센인 식민지 주민의 정착과 함께 헝가리인, 루마니아인 등 여러 민족이 함께 거주하며 도시의 기반을 형성했다.

몽골 침공(1241년)과 오스만 제국의 빈번한 침략(15세기~17세기)은 도시 파괴와 인구 감소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이었으나, 이후 새로운 정착민 유입과 재건을 통해 회복되는 과정을 겪었다. 특히 1479년 빵밭 전투에서의 승리는 오스만 제국의 위협을 일시적으로 막아내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8세기 중반에는 오스트리아 상부에서 온 식민지 주민들이 도시에 정착하면서 인구 구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19세기와 20세기를 거치며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여 20세기 후반에 정점을 이루었으나[5], 이후 사회 변화와 함께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민족과 종교 집단이 공존하며 변화해 온 역사는 오러슈티에 인구 구성의 중요한 특징이다.

3. 1. 인구 통계

오러슈티에의 인구는 역사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세기 후반 이후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오러슈티에 연도별 인구 변화'''[5]
연도인구(명)
13091,600
17332,800
17863,190
18544,207
18575,029
18775,661
18805,451
19006,238
19106,937
19307,377
19419,751
19488,819
195610,488
196011,726
196612,822
197314,994
199224,174
200221,213
201117,255
202116,825



'''1334년'''에는 사제 존(Johannes Sacerdos)이 굴뚝 수를 세는 방식으로 인구 조사를 실시하여 344채의 집을 확인했다.

'''1509년''' 문헌에는 로마니족의 존재가 처음으로 언급된다.

'''1733년''' 세금 등록부에 따르면, 총 568가구 2,800명의 주민이 기록되었으며, 민족 구성은 루마니아인 240가구, 헝가리인 170가구, 작센인 100가구, 로마니족 50가구, 그리스인 8가구였다.

'''1853년''' 트란실바니아가 10개 카운티로 재편될 당시, 오러슈티에를 중심으로 한 카운티의 전체 인구는 214,165명이었다. 이 카운티의 민족 구성은 루마니아인 192,995명, 헝가리인 7,809명, 독일인 1,063명 등이었고, 종교별로는 동방 정교회 160,603명, 동방 가톨릭교회 38,550명, 루터교 8,565명, 로마 가톨릭 4,283명, 칼뱅교 2,141명 등이었다. 이는 오러슈티에 시 자체만의 통계는 아니다.

'''1857년''' 인구 조사에서는 오러슈티에 시의 주민 5,029명이 집계되었다. 종교별 구성은 동방 정교회 1,850명, 로마 가톨릭 1,136명, 루터교 884명, 칼뱅교 688명, 동방 가톨릭 486명, 유대교 24명, 유니테리언 19명, 아르메니아 교회 5명이었다.

'''1880년''' 인구 조사 결과, 1,086채의 집과 5,451명의 주민이 거주했으며, 민족 및 종교 구성은 다음과 같다.

'''1880년 오러슈티에 민족 및 종교 구성'''
구분내용인원 (명)
민족루마니아인2,312
독일인 (작센인)1,427
헝가리인1,227
슬로바키아인16
세르비아인8
기타 국적176
외국인 및 모국어 불명 (로마니족 포함 추정)285
종교동방 정교회2,030
로마 가톨릭1,002
루터교964
칼뱅교769
동방 가톨릭523
유대교163



'''1910년'''에는 인구가 6,937명이었으며, 그중 루마니아인이 3,276명이었다.

'''1940년'''부터 '''1944년''' 사이에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유대인과 로마니족에 대한 박해와 추방이 있었다.[3][4] 이는 도시의 인구 구성에 영향을 미쳤다.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17,255명의 주민이 집계되었다. 민족 구성은 루마니아인 92.01%, 로마니족 5.59%, 헝가리인 1.75%, 독일인(작센인) 0.41% 순이었다.

'''2021년''' 인구 조사 결과, 도시 인구는 16,825명으로 집계되었다.[5]

4. 문화 및 여가

오러슈티에에는 중세 시대에 지어진 요새화된 교회와 과거 시나고게였던 건물을 개조한 문화의 집 등 역사적인 건축물들이 있다.

4. 1. 요새화된 교회

오러슈티에의 요새화된 교회


오러슈티에에는 중세 시대의 요새화된 교회가 있다. 이 교회는 1400년경 기존의 로마네스크 양식 바실리카 위에 고딕 양식으로 지어졌다. 1820년과 1823년 사이에 새로운 루터교 교회가 이전 교회의 북쪽에 세워졌으며, 두 교회 모두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6]

4. 2. 문화의 집 (과거 시나고게)

오러슈티에에는 역사적인 시나고게가 있다. 현재 이 도시에는 활동적인 유대인 인구가 더 이상 없기 때문에, 시에서 이 건물을 개조하여 문화의 집으로 사용하고 있다.[7]

5. 출신 인물


  • 미하이 야콥
  • 에르뇌 코흐
  • 엘리자베스 로보즈 아인슈타인
  • 니콜라에 소보슬레이

5. 1. 영화 감독 및 시나리오 작가


  • 미하이 야콥(Mihai Iacob, 1933–2009)은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다.

5. 2. 그래픽 아티스트


  • 에르뇌 코흐(Ernő Koch, 1898–1970), 그래픽 아티스트

5. 3. 생화학자 및 신경과학자


  • 엘리자베스 로보즈 아인슈타인 (Elizabeth Roboz Einsteineng, 1904–1995): 생화학자이자 신경과학자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며느리이다.

5. 4. 축구 골키퍼 및 감독


  • 니콜라에 소보슬레이 Nicolae Szoboszlayro (1925–2019): 축구 골키퍼 및 감독

6. 이미지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Results of the 2020 local elections https://prezenta.roa[...] Central Electoral Bureau 2021-06-08
[2] 웹사이트 Broos https://www.siebenbu[...] 2023-01-28
[3] 웹사이트 The Black Book of the Sufferings of the Jews of Romania, 1940-1944 http://survivors-rom[...] 2021-06-30
[4] 웹사이트 Holocaust Survivors and Victims Database -- Search for Lists https://www.ushmm.or[...] 2021-06-30
[5] 웹사이트 Populația rezidentă după grupa de vârstă, pe județe și municipii, orașe, comune, la 1 decembrie 2021 https://www.recensam[...] INSSE 2023-05-31
[6] 서적 The Church-fortresses of the Transylvanan Saxons MonuMenta
[7] 웹사이트 Historic Synagogues https://historicsyna[...] 2021-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