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 제국의 군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만 제국의 군주는 술탄, 파디샤, 칼리프 등의 칭호를 사용하며, 오스만 제국은 1299년 오스만 1세부터 1922년 메흐메트 6세까지 36명의 술탄이 통치했다. 오스만 제국은 초기 소규모 공국에서 시작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을 통해 비잔티움 제국을 멸망시키고, 쉴레이만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17세기 후반부터 쇠퇴하기 시작했다. 1922년 제국 멸망 이후, 오스만 왕조의 후손들이 제위 요구자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만 제국의 군주 - 메흐메트 2세
메흐메트 2세는 1432년에 태어나 1451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되어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을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1481년에 사망했다. - 오스만 제국의 군주 - 무라트 1세
무라트 1세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서 발칸 반도 정복, 영토 확장, 예니체리 군단 창설 등 제국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나, 코소보 전투 직후 암살당했다. - 군주 목록 - 잉글랜드 국왕
잉글랜드 국왕은 잉글랜드 왕국을 통치했던 군주를 의미하며, 웨섹스 왕조의 에그버트 이후 잉글랜드 전역에 군주권이 행사되었고, 1707년 연합법으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대체되었다. - 군주 목록 - 바르셀로나 백작
바르셀로나 백작은 카탈루냐 지역을 다스린 역사적 작위로, 프랑크 왕국에서 시작하여 세습 작위로 독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아라곤과의 결혼을 통해 아라곤 연합왕국 형성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스페인 국왕이 계승하는 작위이다.
| 오스만 제국의 군주 | |
|---|---|
| 기본 정보 | |
![]() | |
| 통치 스타일 | 폐하 |
| 거주지 | 이스탄불의 궁전: 에스키 사라이 톱카프 (1460년대–1853년) 돌마바흐체 (1853년–1889년; 1909년–1922년) 이을디즈 (1889년–1909년) |
| 임명 방식 | 세습 |
| 시작 | 기원전 1299년경 |
| 종료 | 1922년 11월 1일 |
| 마지막 군주 | 메흐메트 6세 (1918년–1922년) |
| 최초의 군주 | 오스만 1세 (기원전 1299년–1323/4년) |
![]() | |
2. 오스만 제국의 군주 칭호
오스만 제국의 군주는 일반적으로 '''술탄'''(이슬람 세계에서 세속 최고 권력자의 칭호)으로 불렸다. 이는 오스만 제국의 군주들이 이슬람적인 권위를 갖춘 군주호로서 사용한 것이다. 공식 문서에서는 술탄 외에 '''파디샤'''(대왕 혹은 황제를 뜻하며, "제왕"으로도 번역됨)라는 칭호를 사용하여 군주를 나타냈다. 다만, 비문이나 명문에서는 파디샤가 군주를 지칭하는 용도로는 자주 사용되지 않았다.[41]
무라드 2세 때부터는 이슬람 세계의 지도자적 칭호인 칼리프를 자칭하기도 했다. 16세기 이후 아랍 지역 지배가 확고해지면서 칼리프 칭호가 비문이나 명문에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원래 쿠라이시족(무함마드의 출신 부족)만이 칼리프가 될 수 있다는 관례가 있었고, 투르크인[43] 오스만 가문은 이에 해당되지 않았으나,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을 역임한 문인 뤼트피 파샤와 이슬람 원로 에뷰스수우드 등이 옹호하여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칼리프를 겸하는 '''술탄-칼리프제'''가 시행되었다.[44]
오르한 시대부터 술탄 칭호가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데, 그가 건축한 모스크에 술탄 칭호가 새겨져 있었다.[45] 무라드 1세 시대에는 튀르크계 유목 민족의 군주호인 한이 사용되기도 했으며, 이 역시 그가 세운 모스크 비문에 나타나 있다.[46]
이 외에도 메흐메트 2세 때부터 사용된 칸에서 유래한 하칸,[47]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후계자를 의미하는 줄카르나인(쌍각왕),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 후 사용된 카이세리-룸(로마의 카이사르),[48] 셀림 1세가 맘루크 왕조를 멸망시키고 아라비아 지역을 정복한 후 사용한 메카와 메디나 양 성도의 수호자[49] 등의 칭호도 존재한다.
2. 1. 술탄의 다양한 이름
술탄은 파디샤(پادشاه|pâdişâhota, Padichah프랑스어)라고도 불렸다. 오스만 제국에서는 술탄을 직접 부를 때를 제외하고는 "술탄" 대신 "파디샤"라는 단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했다.[4] 일부 유럽 언어에서는 튀르크인의 통치자라는 의미로 '대(大) 투르크'([5], the ''Grand Turk'')라고 불렀으며, 특히 16세기에는 "위대한 군주"(''일 그란 시뇨레'', ''르 그랑 생되르'')라고 불렀다.소수 민족이 사용한 언어에서의 술탄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4]
| 언어 | 술탄의 명칭 |
|---|---|
| 아랍어 | 일부 문서에서 "파디샤"는 "말리크"("왕")로 대체되었다.[4] |
| 불가리아어 | 초기에는 "차르"라고 불렀으나, 1876년 오스만 헌법 번역에서는 "술탄"(Sultan)과 "파디샤"(Padišax)를 직접 번역하여 사용했다.[4] |
| 그리스어 | 초기에는 비잔틴 제국 스타일의 이름인 "바실레우스"를 사용했으나, 1876년 오스만 헌법 번역에서는 "술탄"(Σουλτάνος Soultanos)과 "파디샤"(ΠΑΔΙΣΑΧ padisach)를 직접 음역하여 사용했다.[4] |
| 유대-스페인어 | 특히 오래된 문서에서는 엘 레이("왕")가 사용되었고, 일부 라디노 문서에서는 술탄(히브리어 문자: שולטן 및 סולטן)을 사용했다.[4] |
오스만 제국은 대부분의 기간 동안 절대 군주제를 유지했다. 15세기 후반부터 술탄은 국가의 최고 통치자로서 정치, 군사, 사법, 종교 등 모든 분야에서 막강한 권한을 행사했다.[6] 그는 이론적으로는 신과 신의 율법에만 책임을 졌으며, "지상에서 신의 그림자" () 및 "지구의 칼리프" ()와 같은 이슬람 칭호에 그의 천상의 권한이 반영되었다.[6] 모든 관직은 그의 권한으로 채워졌고, 모든 법률은 ''페르만'' ()이라는 칙령으로 발효되었다. 그는 최고 군사 사령관이었으며 모든 토지에 대한 공식적인 권한을 가졌다.[11]
(베이)
3. 오스만 제국의 통치 체제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 이후 메흐메트 2세는 스스로를 로마 제국의 후계자로 여겨 카이사르 () 룸과 황제 칭호를 사용하기도 했다.[6][7][8] 새로 즉위한 술탄은 오스만의 검으로 허리를 졸라매는 의식을 치렀는데, 이는 유럽 군주의 대관식에 해당한다.[9]
이론적으로는 절대 권력이었지만, 실제 술탄의 권력은 제한적이었다. 정치적 결정은 왕조, 관료, 군사 기관, 종교 지도자들의 의견을 고려해야 했다.[11] 16세기 말부터 제국 하렘의 여성들, 특히 발리데 술탄 (술탄의 어머니)은 여인들의 술탄국 시기에 중요한 비공식 정치적 역할을 했다.[13]
압둘 하미드 2세 통치 기간 동안 입헌 군주제가 설립되었으나, 1878년 의회와 헌법이 폐지되고 전제정으로 복귀했다. 이후 1908년 입헌주의를 재설치하고 압뒬하미트 2세는 폐위되었다.[14]
4. 역대 군주
1258년 ~ 1326년 1299년 1월 17일 1326년 7월 29일 에르투룰의 아들 제2대 
오르한 가지
(베이)1281년 ~ 1362년 1326년 7월 29일 1362년 오스만 1세의 아들 제3대 
무라트 1세 1326년 ~ 1389년 1362년
(베이 제위)1389년 6월 28일 오르한 가지의 아들 1383년
(술탄 재위)제4대 
바예지드 1세 1354년 ~ 1403년 1389년 6월 28일 1402년 7월 20일 무라트 1세의 아들 오스만 재위 공백기 1402년 1413년 제5대 
메흐메트 1세 1389년 ~ 1421년 1413년 7월 10일 1421년 5월 26일 바예지드 1세의 아들 제6대 
무라트 2세 1404년 ~ 1451년 1421년 5월 26일 1444년 8월
(퇴위)메흐메트 1세의 아들 1446년 9월 1451년 2월 3일 제7대 
메흐메트 2세 정복자 1432년 ~ 1481년 1444년 8월 1446년 9월 무라트 2세의 아들 1451년 2월 3일 1481년 5월 3일 제8대 바예지드 2세 1447년 ~ 1512년 1481년 5월 20일 1512년 4월 25일
(퇴위)메흐메트 2세의 아들 제9대 
셀림 1세 냉혈한 1465년 ~ 1520년 1512년 4월 25일 1520년 9월 22일 바예지드 2세의 아들 1517년
(칼리파 겸임 재위)제10대 
쉴레이만 1세 대제 1494년 ~ 1566년 1520년 9월 22일 1566년 9월 6일 셀림 1세의 아들 제11대 
셀림 2세 1524년 ~ 1574년 1566년 9월 6일 1574년 12월 12일 쉴레이만 1세의 아들 제12대 
무라트 3세 1546년 ~ 1595년 1574년 12월 12일 1595년 1월 15일 셀림 2세의 아들 제13대 
메흐메트 3세 1566년 ~ 1603년 1595년 1월 15일 1603년 12월 22일 무라트 3세의 아들 제14대 
아흐메트 1세 1590년 ~ 1617년 1603년 12월 22일 1617년 11월 22일 메흐메트 3세의 아들 제15대 
무스타파 1세 1592년 ~ 1639년 1617년 11월 22일 1618년 2월 26일
(퇴위)메흐메트 3세의 아들 1622년 5월 20일 1623년 9월 10일
(퇴위)제16대 
오스만 2세 1604년 ~ 1622년 1618년 2월 26일 1622년 5월 20일 아흐메트 1세의 아들 제17대 
무라트 4세 1612년 ~ 1640년 1623년 9월 10일 1640년 2월 9일 아흐메트 1세의 아들 제18대 
이브라힘 1세 1615년 ~ 1648년 1640년 2월 9일 1648년 8월 8일
(퇴위)아흐메트 1세의 아들 제19대 
메흐메트 4세 1642년 ~ 1693년 1648년 8월 8일 1687년 11월 8일
(퇴위)이브라힘 1세의 아들 제20대 
쉴레이만 2세 1642년 ~ 1691년 1687년 11월 8일 1691년 6월 23일 이브라힘 1세의 아들 제21대 
아흐메트 2세 1643년 ~ 1695년 1691년 6월 23일 1695년 2월 6일 이브라힘 1세의 아들 제22대 
무스타파 2세 1664년 ~ 1703년 1695년 2월 6일 1703년 8월 22일
(퇴위)메흐메트 4세의 아들 제23대 
아흐메트 3세 1673년 ~ 1736년 1703년 8월 22일 1730년 10월 1일
(퇴위)메흐메트 4세의 아들 제24대 
마흐무트 1세 1696년 ~ 1754년 1730년 10월 2일 1754년 12월 13일 무스타파 2세의 아들 제25대 
오스만 3세 1699년 ~ 1757년 1754년 12월 14일 1757년 10월 30일 무스타파 2세의 아들 제26대 
무스타파 3세 1717년 ~ 1774년 1757년 10월 30일 1774년 1월 21일 아흐메트 3세의 아들 제27대 
압뒬하미트 1세 1725년 ~ 1789년 1774년 1월 21일 1789년 4월 7일 아흐메트 3세의 아들 제28대 
셀림 3세 1761년 ~ 1808년 1789년 4월 7일 1807년 5월 29일
(퇴위)무스타파 3세의 아들 제29대 
무스타파 4세 1779년 ~ 1808년 1807년 5월 29일 1808년 7월 28일
(퇴위)압뒬하미트 1세의 아들 제30대 
마흐무트 2세 1785년 ~ 1839년 1808년 7월 28일 1839년 7월 1일 압뒬하미트 1세의 아들 제31대 
압뒬메지트 1세 1823년 ~ 1861년 1839년 7월 1일 1861년 6월 25일 마흐무트 2세의 아들 제32대 
압뒬라지즈 1830년 ~ 1876년 1861년 6월 25일 1876년 5월 30일
(퇴위)마흐무트 2세의 아들 제33대 
무라트 5세 1840년 ~ 1904년 1876년 5월 30일 1876년 8월 31일
(퇴위)압뒬메지트 1세의 아들 제34대 
압뒬하미트 2세 1842년 ~ 1918년 1876년 8월 31일 1909년 4월 27일
(퇴위)압뒬메지트 1세의 아들 제35대 
메흐메트 5세 1844년 ~ 1918년 1909년 4월 27일 1918년 7월 3일 압뒬메지트 1세의 아들 제36대 
메흐메트 6세 1861년 ~ 1926년 1918년 7월 3일 1922년 11월 1일
(퇴위)압뒬메지트 1세의 아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