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만령 그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만령 그리스는 1453년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한 후 그리스 본토와 에게 해의 대부분을 오스만 제국이 지배한 시기를 의미한다. 오스만 제국은 그리스를 6개의 산자크로 나누어 통치했으며, 그리스인들은 세금 납부와 데브시르메(강제 징집) 등의 제약을 받았다. 이러한 지배 속에서 그리스 지식인들의 서유럽 이주와 산악 지역으로의 이주가 나타났고, 18세기에는 그리스 민족주의가 대두되었다. 그리스인들은 오스만 제국에 대한 저항을 지속적으로 이어갔고,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을 통해 1832년 독립 국가를 건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만령 그리스 - 사모스 공국
    사모스 공국은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사모스 섬에 설치되어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 자치를 누리다가,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을 거쳐 1913년 그리스에 공식적으로 통합되었다.
  • 오스만령 그리스 - 쿠츄크 카이나르지 조약
    쿠츄크 카이나르지 조약은 1774년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 간에 체결되어 러시아가 흑해 출구 확보, 함대 건조 권한, 해협 통항 권한을 얻고 오스만 제국은 크림 칸국 지배권 포기 및 러시아의 제국 내 정교회 신도 보호권 인정을 통해 러시아의 동유럽 및 지중해 진출 기반을 마련하고 내정 간섭의 계기가 되었다.
  • 그리스의 역사 - 그리스 왕국
    그리스 왕국은 1832년부터 1924년, 그리고 1935년부터 1973년까지 존속했던 입헌 군주국으로, 바이에른 왕가와 글뤽스부르크 왕가의 통치를 거치며 영토 확장과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군주제 폐지와 군사 정권 수립 등 격동의 시기를 겪었다.
  • 그리스의 역사 - 8월 4일 체제
    8월 4일 체제는 1936년 이오아니스 메탁사스가 그리스에서 계엄령을 선포하고 헌법을 정지시켜 수립한 권위주의 정권으로, 정치적 혼란과 공산주의 확대를 배경으로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사회를 통제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붕괴되었다.
오스만령 그리스
개요
1750년대 오스만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에 있는 카리아티드 현관, 미네르바 폴리아스 신전 서쪽 끝, 판드로시움의 모습
1750년대 오스만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에 있는 카리아티드 현관, 미네르바 폴리아스 신전 서쪽 끝, 판드로시움의 모습
위치그리스
시작1371년
종료1912년
이전프랑크/라틴 그리스
비잔티움 그리스
포함오스만 확장 (트라키아, 테살로니카, 콘스탄티노폴리스, 모레아, 레스보스)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크레타 전쟁, 모레아 전쟁, 제2차 모레아 전쟁)
오를로프 반란
제프타인술라르 공화국
그리스 독립 전쟁
에피루스 반란
크레타 반란 (1866–1869)
그리스-터키 전쟁
제1차 발칸 전쟁
이후근대 그리스
군주오스만 제국 술탄
명칭
그리스어(투르코크라티아)
영어Turkocracy (투르코크라시)
역사적 배경
주요 사건오스만 유럽 전쟁 등 다양한 전쟁과 반란, 공화국 수립, 독립 전쟁 등이 있었음.
사회
클레프테스15세기 오스만 제국을 피해 산으로 도망친 그리스인들의 후손으로, 19세기까지 산적 활동을 함.

2. 오스만 제국의 그리스 지배

1453년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시킨 후, 모레아 전제공국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마지막 비잔틴 제국의 잔존 세력이었다. 그러나 1460년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면서 그리스 본토 정복이 완료되었다.[7]

15세기 말까지 그리스 본토와 에게 해 대부분의 섬들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지만, 키프로스크레타베네치아 공화국의 영토로 남아 각각 1571년과 1670년에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었다.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지역 중 유일하게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지 않은 곳은 이오니아 제도로, 1797년까지 베네치아의 영토로 남았다. 코르푸섬은 1537년, 1571년, 1716년 세 차례의 주요 공방전에서 오스만 제국을 물리쳤다.

베네치아의 Stato da Màr에 속했던 다른 지역으로는 1540년까지 나프플리오와 몬엠바시아, 1579년까지 낙소스파로스 섬을 중심으로 한 아르키펠라고 공작령, 1617년까지 시프노스, 1715년까지 티노스가 있었다.

예니체리와 성 요한 기사단의 로도스 공방전 (1522)

2. 1. 오스만 제국의 통치 방식

오스만 제국은 밀레트 제도를 통해 그리스 정교회 공동체의 자치를 인정하고, 종교적, 문화적 정체성 유지를 허용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제국 내 모든 정교회 신자들의 지도자로 인정받았으며,[13] 교회는 행정, 사법,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치권을 행사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은 서방의 위협에 대항하여 오스만 제국에 충성을 유지했으며, 정교회는 그리스 유산 보존에 기여하여 그리스 정교 신앙은 그리스 민족의 표식이 되었다.[13]

하지만 그리스인들은 지즈야 등 차별적인 세금을 납부해야 했고,[20] 데브시르메 제도를 통해 자녀들을 징집당하는 등 불평등한 대우를 받았다.[11] 대부분의 그리스인들은 술탄의 군대에 복무할 필요가 없었지만, 이슬람으로 개종한 어린 소년들은 오스만 군대에서 복무했다.[21]

오스만 제국은 그리스인에게 무슬림이 될 것을 강요하지 않았지만, 많은 사람이 사회 경제적 어려움을 피하거나[14] 그리스 성직자의 부패 혐의 때문에 피상적으로 개종했다.[15] 그리스계 무슬림은 마케도니아의 발라데스, 에피루스, 크레타(크레타 무슬림 참조)에 주로 거주했다.[16]

일부 그리스인들은 새로운 순교자가 되거나 숨은 그리스도교도가 되었다.[16] 요안니스 체레페스 코메노스나 미사크 팔레올로고스 파샤처럼 비잔틴 귀족 출신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경우도 있었다.[16]

오스만 술탄 통치하에서 기독교 신민에 대한 처우는 다양했다. 초기에는 기독교인을 비교적 자유롭게 대우했으나,[17] 셀림 1세 (1512-1520) 통치 시기에는 기독교인에 대한 폭력적인 박해가 발생했다.[18]

그리스인들은 토지세와 무역에 대한 무거운 세금을 납부해야 했으며,[19] 지즈야를 납부해야 했다.[20]

16세기 이후 오스만 제국 통치 시대의 그리스인들의 삶에서 영감을 받은 많은 그리스 민요(디모티카)가 제작되었다.[25]

2. 1. 1. 사회 경제적 변화

오스만 제국의 지배는 그리스 사회에 여러 변화를 가져왔다. 오스만 제국은 법적으로 지배층인 아스케리(Askeri)와 비지배층인 레야(Rayah)로 구분되었는데, 그리스인들은 주로 레야에 속했다.[83] 레야는 주로 농민과 '벨라야'라고 불리는 도시 거주민으로 구성되었으며, 농민들은 생산의 중심이었고 오스만 제국 초기에 티마르 제도의 통치를 받았다.[87] 그리스계 농민들은 무기 소지가 금지되었고 징병 대상이 아니었지만,[86] 영구 소작권(타프)을 부여받고 그 지대를 조세로 납부했다.[87]

16세기 이후 티마르 제도가 붕괴되고 징세 청부 제도인 일티잠(Iltizam)으로 변화하면서,[87] 18세기에 이르러 계약 기간이 장기화되고 세습화되면서 넓은 지역을 담당한 자들이 대지주화되었다. 이들을 코자 파샤라고 불렀으며,[88] 이들은 치프틀리크(Chiftlik)라고 불리는 농장 경영을 통해 재력을 축적하고 사병 조직인 '카피'를 거느리기도 했다.[89]

또한, '어린이 징발'로 불리는 데브쉬르메 제도를 통해 10세에서 15세 사이의 남자아이들이 예니체리(신병)로 징발되었는데, 이는 오스만 제국의 병력 유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예니체리는 농민 출신 자제들이 오스만 제국에서 출세할 수 있는 길이기도 했으며, 가혹한 세금에도 불구하고 큰 원한을 사지는 않았다.[91]

한편,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불만을 품은 농민이나 유목민들은 산에 숨어 불법 활동을 하기도 했는데, 그리스에서 활동한 이들을 클레프테스(Klephtes)라고 불렀다.[93] 이들은 종종 오스만 정부에 회유되어 귀순하기도 했으며, 합법적인 알마트리(Almatori)와는 달리 비합법적인 존재였다.[94]

일부 그리스인들은 파나리오테스(Phanariotes, 파나리오트)라 불리는 특권층을 형성하여 오스만 제국의 고위 관직에 진출하기도 했다. 파나리오테스들은 콘스탄티노플의 페네르 지구에 거주하며 다양한 언어 구사 능력을 바탕으로 통역관 등으로 활동했다.[95] 이들은 어전 회의 수석 통역관(디바니 휴마윤 파슈 데르주마누) 직책을 독점하고, 오스만 함대 대도독의 통역관 직함도 얻는 등[95] 오스만 제국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기 이전부터 서유럽으로 이주하여 디아스포라를 구축했던 그리스인들은, 오스만 제국 지배 하에서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상업 활동을 목적으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 체결 이후 그리스인들은 도나우강 이북의 합스부르크 제국 영토,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으로 이주하여 트리에스테, , 부다페스트, 라이프치히, 파리, 마르세유 등지에 콜로니를 구축했다.[100] 이러한 콜로니는 서구 사회와 그리스인들 간의 접촉 거점이 되었다.[101]

비잔틴 제국 말기에 쇠퇴했던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 지배 하에 도시 부흥이 진행되었다. 오스만 정부는 모스크, 이슬람 학교 등 무슬림 사회에 필수적인 시설을 정비하고, 공중 목욕탕(하맘), 수도 시설, 대상 숙소(게르반 사라이) 등을 건설했다. 또한 짐미 제도를 바탕으로 비무슬림 주민들을 위한 교회, 수도원도 허용되었다.[102] 도시의 수공업자들은 에스나프(Esnaf)라고 불리는 동업자 단체에 소속되었으며,[102] 여기에는 무슬림뿐만 아니라 비무슬림도 속해 있었다.[102]

  • -
    16세기의 그리스 사람들

테살로니키의 베데스탄(시장). 바예지드 2세의 건축으로 추정된다.


트레스카베츠 수도원을 방문 중인 에스나프의 스냅 사진


쉴레이만 1세가 건설한 수도교(카발라)


아르타에 남아있는 오스만 제국 시대의 다리

3. 그리스 민족주의의 대두

18세기 오스만 제국의 영토는 술탄에게서 직접 받은 봉토가 아닌, 상속 가능한 영지(치프릭)로 변화하였다. 이로 인해 새로운 지주 계급이 등장하면서 자유로웠던 그리스 농민들은 농노로 전락했고, 평야 지대의 빈곤과 인구 감소를 초래했다.

반면, 오스만 제국 내에서 교육받고 특권을 누리는 그리스인들의 지위는 17세기와 18세기에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콘스탄티노플의 페네르(Fener) 지구에 거주하는 부유한 그리스인 계급인 파나리오테스는 상인이나 외교관으로서 서유럽을 여행하며 자유주의민족주의 사상을 접했고, 이는 그리스 민족주의 운동의 시작에 큰 영향을 주었다. 많은 그리스 상인과 여행객들은 프랑스 혁명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19세기 초 오스만 통치하의 그리스 도시와 마을에서 새로운 디아포티스모스(Greek Enlightenment) 시대가 시작되었다.

리가스 페라이오스, 그리스 독립 전쟁의 선구자


그리스 민족주의는 러시아 제국예카테리나 2세(Catherine II of Russia)에 의해 고취되기도 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오스만 제국 내 정교회 신자들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그리스인들의 반란을 선동하려 했다. 그러나 1768년 러시아-오스만 전쟁 동안 그리스인들은 반란을 일으키지 않아 러시아를 실망시켰다. 쿠추크 카이나르지 조약(1774) 이후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의 내정에 간섭하기 시작했고, 이는 프랑스 혁명으로 촉발된 새로운 사상과 결합하여 그리스인들을 외부 세계와 다시 연결하고, 적극적인 민족주의 운동을 이끌었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 1797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eon Bonaparte)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베네치아를 점령하고 이오니아 제도를 획득하면서 베네치아의 이오니아 제도 통치 400년 역사가 끝났다. 이 섬들은 칠섬 공화국이라는 프랑스 종속국으로 승격되어 자치를 누렸는데, 이는 1461년 트레비존드 함락 이후 그리스인들이 스스로를 통치한 첫 번째 사례였다.

레오나르도스 필라라스(c. 1595 – 1673)


이 섬에서 공직을 맡았던 사람 중에는 훗날 독립 그리스의 초대 국가 원수가 된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가 있었다. 1815년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면서, 그리스는 수 세기 동안의 고립에서 벗어났다. 영국과 프랑스의 작가와 예술가들이 그리스를 방문하기 시작했고, 부유한 유럽인들은 그리스 고대 유물을 수집했다. 이러한 "친(親)헬레니즘(Philhellenism)"은 그리스 독립에 대한 지지를 모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1. 오스만 제국에 대한 저항

그리스 반도 각지의 그리스인들은 오스만 제국이 전쟁을 벌일 때를 틈타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대항하여 봉기했다. 이러한 봉기는 규모와 영향력이 다양했다.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463-1479) 동안, 마니오트 클라다스 형제인 크로코델로스와 에피파니는 베네치아를 위해 남부 펠로폰네소스에서 터키에 대항하여 스트라티오티 부대를 이끌었다.[32]

1571년 레판토 해전에서 신성 동맹의 승리 전후, 에피루스, 포키스 (''갈락세이디 연대기''에 기록됨) 및 펠로폰네소스 등에서 일련의 갈등이 발생했다. 테살리아 (1600)와 에피루스 (1611)에서 대주교 철학자 디오니시우스가 이끈 것과 같은 지역적 수준의 단기적인 반란도 있었다.[34]

크레타 전쟁 (1645-1669) 동안, 마니오트는 프란체스코 모로시니와 베네치아를 펠로폰네소스에서 도왔다.[35] 그리스 불규칙군은 모레아 전쟁을 통해 이오니아 해와 펠로폰네소스에서 베네치아의 작전을 도왔다.[36]

이 기간 동안의 주요 봉기는 러시아-투르크 전쟁 (1768-1774) 동안 발생한 오를로프 반란 (그리스어: Ορλωφικά)이었다.[37] 1778년, 람브로스 카초니스가 조립한 70척의 그리스 함대는 에게 해에서 터키 함대를 괴롭히고 카스텔로리조 섬을 점령했으며, 1790년까지 해전에서 터키 함대와 교전했다.[38][39]

16세기 이후 그리스어를 모국어로 하는 정교도들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어떤 문제가 생기면 봉기를 일으켰다. 이러한 봉기는 독립 전쟁이 발생하기 전까지 대부분 진압되었지만,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봉기가 일어났다는 것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가 "오스만의 평화"가 아니었음을 보여준다.[108]

4. 그리스 독립 전쟁 (1821년~1832년)

1814년 오데사에서 "우호 협회" 또는 "친구 협회"라는 뜻의 비밀 그리스 민족주의 조직 필리키 에테리아가 결성되었다.[40] 이들은 영국미국의 부유한 그리스 망명 공동체의 지원을 받았고, 서유럽의 동조자들과 러시아의 은밀한 지원도 얻어 반란을 계획했다.[40] 1821년 3월 25일 (현재 그리스 독립 기념일), 정교회 주교 파트라스의 게르마노스는 전국적인 봉기를 선포했다.[40][41] 오스만 제국은 1821년 콘스탄티노플 학살과 스미르나에서 이와 유사한 포그롬(집단 학살)을 조직하여 보복했다.[42]

마케도니아, 크레테, 키프로스를 포함한 그리스 전역에서 동시 봉기가 계획되었다. 그리스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비효율성과 테펠렌의 알리 파샤와의 싸움 덕분에 초기에 펠로폰네소스와 다른 지역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초기 그리스 행동 중 일부는 무장하지 않은 오스만 정착촌을 대상으로 했으며, 펠로폰네소스에 거주하는 터키인과 알바니아 무슬림 주민의 약 40%가 즉사하고 나머지는 그 지역을 떠나거나 추방되었다.[43]

오스만 제국은 키오스 등지에서 그리스인들을 학살하는 잔혹 행위로 보복했다. 그러나 이는 영국과 프랑스에서 그리스인에 대한 동정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리스인들은 자신들이 통제하는 지역에 강력한 정부를 수립하지 못하고 내분을 겪었다. 1825년, 술탄은 이집트의 이브라힘 파샤에게 강력한 함대와 군대를 보내 혁명을 진압하게 했고, 이브라힘 파샤는 펠로폰네소스 통치를 약속받았지만, 결국 1827년 나바리노 해전에서 패배했다.

1824년 메솔롱기에서 시인이자 친(親)그리스파였던 바이런 경의 죽음과 이브라힘 파샤 군대의 잔학 행위는 열강의 개입을 불러왔다. 1827년 10월, 영국, 프랑스, 러시아 함대는 나바리노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 함대를 격파했는데, 이는 독립 전쟁의 결정적인 순간이었다.

1828년 10월, 프랑스는 이브라힘의 군대로부터 펠로폰네소스를 탈출시키기 위해 군대를 상륙시켰고, 러시아는 4월부터 오스만 제국과 전쟁을 벌였다. 그리스인들은 재조직하여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고, 페트라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을 격파했다.

1830년 런던 회의는 완전한 독립 그리스 국가를 제안했다. 1832년 런던 회의에서 최종 국경이 확정되었는데, 북부 국경은 아르타에서 볼로스까지였고, 에우보이아와 키클라데스 제도가 포함되었다. 그리스인들은 제한된 국경에 실망했지만, 1832년 5월 11일 조약에 따라 마침내 주권 국가로 인정받았다.

1828년부터 그리스 총독이었던 카포디스트리아스는 1831년 10월 마브로미할리스 가문에 의해 암살되었다. 열강, 특히 러시아는 그리스가 군주국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바이에른의 왕자 오토가 초대 국왕으로 선택되었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Greek Literature https://books.google[...]
[2]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3] 간행물 Ottoman "Multiculturalism"? The Example of the Confessional System in Lebanon http://www.freidok.u[...] Orient-Institut der Deutschen Morgenlandischen Gesellschaft
[4] 서적 The Greek Struggle for Independence, 1821-1833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PDF http://press.princet[...] 2022-03
[6] 문서 Clogg, 2002
[7] 백과사전 Greece During the Byzantine Period: The Peloponnese advances https://www.britanni[...] Online Encyclopaedia Britannica 2012-04-28
[8] 서적 History of Byzantine State and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9] 문서 Vacalopoulos, p. 45
[10] 서적 Modern Greece: A Short History https://archive.org/[...] Faber & Faber Pub
[11] 문서 Modern Greece: A Short History
[12] 서적 The Nature of the Early Ottoman State SUNY Press 2003
[13] 서적 Douglas Dakin https://books.google[...]
[14] 웹사이트 Crypto-Christians of the Trabzon Region of Pontos http://pontosworld.c[...]
[15] 문서 The preaching of Islam: a history of the propagation of the Muslim faith
[16] 문서 The preaching of Islam: a history of the propagation of the Muslim faith
[17] 문서 The preaching of Islam: a history of the propagation of the Muslim faith
[18] 문서 Paroulakis, p. 11
[19] 문서 Douglas Dakin,the Greek struggle for independence
[20] 문서 Daily life in the medieval Islamic world Greenwood Publishing Group
[21] 서적 Athens: A History, From Ancient Ideal To Modern City https://archive.org/[...] Basic Books
[22] 서적 Women and slavery in the late Ottoman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서적 Οι Μακεδόνες κατά την Επανάστασιν του 1821 Society of Macedonian Studies
[24] 문서 Shaw, p. 114
[25] 서적 Mittheilungen aus der Geschichte und Dichtung der Neu-Griechen. Zweiter Band https://archive.org/[...] Jacob Hölscher
[26] 서적 Folk Poetry of Modern Gree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5-20
[27] 서적 The Greek anthology in France and in the Latin writers of the Netherlands to the year 1800 Volume 28 Cornell University Press
[28]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Greek literatur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9] 서적 The Age of Revolution: Europe 1789-1848
[30] 서적 Notes and observations on the Ionian Islands and Malta https://archive.org/[...] Smith, Elder
[31] 서적 The Missionary magazine American Baptist Missionary Union
[32] 서적 Chronique de Morée
[33] 서적 Ιστορία του Νέου Ελληνισμού
[34] 서적 Geschichte des osmanischen Reiches https://archive.org/[...]
[35] 서적 Venice, Austria, and the Turks in the Seventeenth Century DIANE Publishing
[36] 서적 The History of Greece under Othoman and Venetian Domination William Blackwood and Sons
[37] 웹사이트 Dictionary of Wars https://www.scribd.c[...] 2013-11-09
[38] 서적 The history of Greece under Othman and Venetian Domination
[39] 서적 The Greek Struggle for Independence, 1821–1833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0] 웹사이트 Greek Independence Day. https://www.britanni[...] www.britannica.com 2009-09-09
[41]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Christianity Oxford University Press
[42] 간행물 Smyrna in 1821: A Russian View https://digitalcommo[...]
[43] 문서
[44] 문서 桜井(2005)、p.219
[45] 문서 桜井(2005)、p.220
[46] 문서 桜井(2005)、p.221
[47] 문서 桜井(2005)、p.222
[48] 문서 桜井(2005)、pp.226-7
[49] 문서 桜井(2005)、p.206
[50] 문서 桜井(2005)、p.223
[51] 문서 桜井(2005)、p.225
[52] 문서 スボロノス(1988)、p.18
[53] 문서 桜井(2005)、pp.225-6
[54] 문서 桜井(2005)、p.227
[55] 문서 桜井(2005)、pp.206-7
[56] 문서 桜井(2005)、p.207
[57] 문서 桜井(2005)、p.228
[58] 문서 桜井(2005)、pp.228-9
[59] 문서 柴(2001)、p.36
[60] 문서 桜井(2005)、p.208
[61] 문서 桜井(2005)、pp.229-30
[62] 문서 桜井(2005)、pp.231-32
[63] 문서 桜井(2005)、p.233
[64] 문서 桜井(2005)、pp.233-4
[65] 문서 桜井(2005)、p.234
[66] 문서 スボロノス(1988)、p.19
[67] 문서 桜井(2005)、p.235
[68] 문서 桜井(2005)、pp.234-5
[69] 문서 スボロノス(1988)、p.142
[70] 문서 スボロノス(1988)、p.20
[71] 서적 スボロノス(近代ギリシア史)
[72]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73]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74]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75]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76]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77]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78]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79]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80]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81]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82]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83]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84]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85]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86] 서적 ウッドハウス(近代ギリシャ史) 1997
[87]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88]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89]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90] 서적 ウッドハウス(近代ギリシャ史) 1997
[91] 서적 ウッドハウス(近代ギリシャ史) 1997
[92]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93]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94]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95]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96]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97]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98]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99]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100]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101]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102]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103]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104]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105]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2005
[106] 서적 桜井(2005)、p.267 "#桜井(ギリシア史)"
[107] 서적 桜井(2005)、p.268 "#桜井(ギリシア史)"
[108] 서적 桜井(2005)、pp.267-8 "#桜井(ギリシア史)"
[109] 서적 桜井(2005)、p.269 "#桜井(ギリシア史)"
[110] 서적 桜井(2005)、pp.269-70 "#桜井(ギリシア史)"
[111] 서적 桜井(2005)、p.270 "#桜井(ギリシア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