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용수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수로는 물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공 수로를 의미하며,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어 왔다. 초기에는 관개 농업, 생활 용수 공급, 치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유럽과 중동, 아메리카 대륙 등 지역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술로 발전해왔다. 고대 이집트, 로마, 페르시아 등에서도 정교한 수로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현대에는 대도시 식수 공급, 관개 시스템, 홍수 조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대한민국에서도 삼국시대부터 수로 기술이 발달했으며, 4대강 정비 사업을 통해 수로를 정비하고 관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수로 - 도랑
    도랑은 지표수 유출로 토양이 침식되어 생긴 좁고 얕은 수로로, 토양 보전 조치가 없다면 더 큰 침식 지형으로 발전하여 환경적,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한 관리 노력이 요구된다.
  • 용수로 - 노리아
    노리아는 물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낮은 곳의 물을 높은 곳으로 끌어올리는 장치로, 고대 이집트에서 처음 사용된 후 이슬람 황금시대를 거쳐 관개 및 수도 공급에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재생 에너지와 결합하여 지속 가능한 농업 기술로 응용되고 있다.
  • 고대의 발명품 - 비극
    비극은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극 형식으로, 시대와 문화를 거쳐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셰익스피어 시대의 가정 비극을 거쳐 현대에는 사회적, 개인적 고통을 탐구하고, 아리스토텔레스, 헤겔 등의 이론으로 연구되며, 일상적인 실패나 재난을 묘사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 고대의 발명품 - 시계
    시계는 천체의 움직임이나 물의 흐름을 이용한 초기 형태에서 기계식, 추시계, 쿼츠 시계, 원자 시계 등으로 발전하며 정확도가 향상되어 일상생활과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기구이다.
용수로
용수로
개요
종류지하 용수로
지상 용수로
목적농업 용수 공급
특징지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건설됨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기술이 적용됨
역사
기원고대 문명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로마 등)
로마 시대로마 제국 전역에 건설된 대규모 용수로 (수도교)
현대콘크리트, 강철 등 현대적인 재료 사용
댐, 저수지 등과 연계하여 효율적인 물 관리 시스템 구축
설계 및 시공
고려 사항지형 조건
수량 및 수질
유지 보수
주요 구조물취수 시설
도수 시설
분수 시설
배수 시설
유지 관리
중요성용수로 기능 유지
수질 관리
안전 관리
주요 활동정기 점검 및 보수
퇴적물 제거
누수 방지
시설물 보강
환경적 영향
긍정적 영향농업 생산성 향상
지역 사회 발전
부정적 영향수자원 고갈
생태계 파괴
수질 오염
기술 발전
재료고대: 돌, 점토
현대: 콘크리트, 강철, 플라스틱
시공 방법고대: 수작업
현대: 기계화 시공
관리 시스템원격 감시 시스템
자동 제어 시스템
다양한 용수로
지하 용수로지하 터널 또는 파이프를 통해 물을 운반하는 방식
지상 용수로지상에 건설된 수로를 통해 물을 운반하는 방식
수로콘크리트 수로
토사 수로
터널암반 터널, 굴착 터널
파이프라인강관 파이프라인, 콘크리트 파이프라인
관련 기술
수문학물의 순환과 분포, 물의 물리적·화학적 성질 등을 연구하는 학문
수리학물의 운동과 힘을 다루는 학문
토목 공학구조물 건설 및 유지 관리에 관한 공학 분야
세계의 용수로
로마의 수도교고대 로마 시대에 건설된 대규모 용수로 시스템
스페인의 세고비아 수도교스페인 세고비아에 위치한 로마 시대의 수도교
페루의 잉카 용수로잉카 제국 시대에 건설된 고도의 용수로 시스템
중국의 관개 시설중국의 고대 관개 시설

2. 어원

'수로'는 라틴어 'aquala'(''물'')와 'ductusla'(''이끌다'' 또는 ''인도하다'')에서 유래된 'aqueduct'를 번역한 것이다.[1]

3. 역사

네덜란드 킨데르데이크의 풍차


압력 도수로에 의한 용수로


수로(waterway영어)는 고대 문명에서부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고대에는 하천의 홍수를 이용한 관개 농업이 주를 이루었지만, 기원전 30세기경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는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에서 물을 끌어와 관개 농업을 했다고 추정된다. 이 용수로는 생활 용수 공급과 치수를 위한 방수로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유럽중동 평야에서는 지형 특성상 자연적으로 물을 끌어들이기 어렵거나 물이 고이기 쉬운 지역이 있었다. 예를 들어 시리아 하마 주변을 흐르는 오론테스강은 수량이 많지만 강바닥이 낮아 수차 등을 이용해 물을 끌어올렸다. 반면 네덜란드 킨데르데이크처럼 하천보다 토지가 낮아 물이 고이기 쉬운 지역에서는 용수로 겸 배수로를 설치하여 물을 관리했다.

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 등지에서는 플랜테이션에서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방법, 압력 도수로(관),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살수 방법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대 근동, 나일강 유역, 인도 아대륙의 그리스에서도 수로가 고안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인과 인더스 문명은 정교한 관개 시스템을 구축했다. 아즈텍과 잉카도 독자적으로 그러한 시스템을 구축했다. 기원전 7세기 초, 아시리아인들은 수도 니네베로 물을 운반하기 위해 80km 길이의 석회암 수로를 건설했다.[2]

3. 1. 고대 수로

고대에는 하천의 홍수를 이용한 관개 농업이 주를 이루었지만, 기원전 30세기경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는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에서 물을 끌어와 관개 농업을 했다고 추정된다. 이 용수로는 생활 용수 공급과 치수를 위한 방수로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유럽중동 평야에서는 지형 특성상 자연적으로 물을 끌어들이기 어렵거나 물이 고이기 쉬운 지역이 있었다. 예를 들어 시리아 하마 주변을 흐르는 오론테스강은 수량이 많고 흐름이 빠르지만 강바닥이 낮아 물을 끌어오기 어려웠다. 따라서 수차 등의 동력을 이용해 용수로까지 물을 퍼 올린 후 농업 및 생활 용수로 사용했다. 반면 세계유산에 등재된 네덜란드 킨데르데이크 마을의 풍차군처럼 하천보다 토지가 낮아 물이 고이기 쉬운 지역에서는 용수로 겸 배수로를 설치하여 물을 관리했다. 물이 부족할 때는 강에서 용수로로 물을 공급하고, 물이 넘칠 때는 풍차로 퍼올려 배수하는 방식으로 습지를 목초지와 화훼 재배 등에 이용했다.

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 등지에서는 플랜테이션에서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방법, 압력 도수로(관),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살수 방법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대 근동, 나일강 유역, 인도 아대륙의 그리스에서도 수로가 고안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인과 인더스 문명과 같은 민족들은 정교한 관개 시스템을 구축했다. 아즈텍과 잉카도 독자적으로 그러한 시스템을 구축했다. 기원전 7세기 초, 아시리아인들은 수도 니네베로 물을 운반하기 위해 80km 길이의 석회암 수로를 건설했는데, 이 수로에는 300m 폭의 계곡을 가로지르는 높이 10m 구간도 포함되어 있었다.[2]

3. 1. 1. 크레타

미노아 문명은 기원전 2000년경에 여러 개의 수도교를 포함한 매우 진보된 관개 시스템을 개발했다.[3]

3. 1. 2. 데칸

인도 아대륙은 가장 초기의 수로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 증거는 현재의 카르나타카 주 함피에서 찾아볼 수 있다. 퉁가바드라 강 근처의 거대한 수로는 관개 용수를 공급했으며, 한때 약 24.14km에 달하는 길이였다.[4] 이 수로들은 왕실 목욕탕에 물을 공급했다.

함피에 있는 중세 데칸의 수로

3. 1. 3. 오만

오만에서는 철기 시대부터 살루트, 바트 및 기타 지역에서 팔라즈 또는 카나트라고 불리는 지하 수로 시스템이 건설되었으며, 이는 완만한 경사의 수평 터널로 연결된 일련의 우물과 같은 수직 샤프트였다.[2]

팔라즈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 다우디(داووديةar): 지하 수로
  • 가일리(الغيليةar): 물을 모으기 위한 댐이 필요함
  • 아이니(العينيةar): 수원지가 샘물임


이러한 시스템은 건조한 환경에서 대규모 농업이 번성할 수 있도록 했다.[2]

3. 1. 4. 페르시아

고대 페르시아에서 널리 사용된 지하 수로인 카나트의 도식


페르시아에서는 약 3,000년 전부터[5] 카나트라고 불리는 지하 수로 시스템이 건설되었는데, 이는 완만하게 경사진 터널로 연결된 일련의 우물과 같은 수직 샤프트였다. 이 기술은 다음과 같다.

  • 펌프 없이 지하수를 끌어올려 지상으로 물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지하수를 활용한다. 물은 중력에 의존하여 배수되는데, 목적지는 일반적으로 고지대 대수층인 수원지보다 낮다.
  • 뜨겁고 건조한 기후에서 물이 누수 및 증발로 인해 수원지의 많은 부분을 잃지 않고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3. 1. 5. 요르단 페트라

나바테아인 엔지니어들은 페트라 전역에서 모든 자연 샘물과 겨울철 폭우를 활용하여 물을 필요한 곳으로 보냈다. 이들은 수로와 배관 시스템을 건설하여 물이 산을 가로지르고, 협곡을 통과하여 페트라 시민들의 사원, 집, 정원으로 흘러가도록 했다. 시크를 걷다 보면 도시 중심부로 물을 보냈던 수로의 잔해와 강력한 홍수를 막았던 튼튼한 유지 댐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2]

나바테아인페트라 수로, 요르단

3. 1. 6. 그리스

사모스 섬에서는 폴리크라테스 통치 기간(기원전 538–522년)에 유팔리노스 터널이 건설되었다.[2] 이 터널은 지하 수로로, 약 1천 년 동안 피타고레이온에 깨끗한 물을 공급했다.

3. 2. 로마의 수로

로마 제국은 독일에서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제국 전역에 수도교를 건설했으며, 특히 로마시에는 총 415km가 넘는 수도교가 있었다. 수도교는 제국 전역의 대도시에 공중 목욕탕과 식수를 공급했으며, 1,000년 이상 능가하지 못하는 엔지니어링 표준을 세웠다. 여러 개의 아치로 된 돌다리는 로마 수도교의 특징이었으며, 따라서 "수도교"라는 용어는 종종 물을 운반하는 다리를 특별히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로마의 갈리아에 있는 퐁 뒤 가르의 여러 아치. 하단은 강을 가로지르는 도로를 지탱하고, 상단은 으로 물을 운반하는 수도관을 지탱한다.

3. 3. 남아메리카

페루 나스카의 지하 수도교


페루 나스카 마을 근처에는 푸키오라고 불리는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고대 수도교 시스템이 건설되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푸키오는 나스카 문화에서 널리 사용된 건축 재료인 정교하게 배치된 돌로 만들어졌다. 건설 시기는 여전히 논쟁 중이지만, 일부 증거에 따르면 이 지역의 가뭄에 대응하여 서기 540~552년경으로 추정된다.[6]

코스타리카 구아야보 국립 기념물은 이 나라에서 가장 큰 고고학 유적지를 포함하는 공원으로, 수도교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노출된 것과 덮인 것을 포함하는 복잡한 네트워크의 수도교는 여전히 잘 작동하고 있다.[7] 이 수도교는 둥근 강돌로 건설되었으며, 이 돌은 대부분 화산암으로 만들어졌다.[8] 수도교 시스템을 건설한 문명은 고고학자들에게 미스터리로 남아 있으며, 구아야보의 수도교가 아즈텍, 마야, 잉카 사이의 고대 문화 교차점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4. 북아메리카

아즈텍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은 두 개의 용수로를 통해 물을 공급받았다. 이 중 하나인 차풀테펙 용수로는 1420년경에 건설되었으며, 스페인에 의해 거의 300년 후에 재건되었다.[2] 원래는 현재 사라진 텍스코코 호수 위를 지나가는 경로의 일부를 따랐지만, 오늘날에는 멕시코 시티에 단편만 남아 있다.

3. 5. 스리랑카

요다 엘라, 아누라다푸라, 스리랑카


고대 스리랑카에서는 정교한 수로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가장 좋은 예는 요다 엘라(자야 강가)로, 서기 5세기에 건설된 87km 길이의 수로로 두 개의 인공 저수지 사이의 과도한 물을 운반하였다. 이 수로는 킬로미터당 10~20cm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었다.[9] 그러나 두 저수지 사이의 정확한 고도와 수로의 정확한 기울기를 매우 정밀하게 계산하는 고대 공학 방법은 13세기에 문명이 몰락하면서 사라졌다.[9]

4. 현대 수로

현대식 용수로는 많은 국가의 물 공급 기반 시설의 핵심 부분이다.

미국의 용수로는 세계 최대 규모 중 일부이다. 캐츠킬 용수로는 뉴욕 시에 190km 거리에 걸쳐 물을 공급하지만, 미국의 서부 지역의 용수로에 비하면 규모가 작다. 특히 389km에 달하는 콜로라도 강 용수로는 로스앤젤레스 지역에 동쪽으로 약 400km 떨어진 콜로라도 강에서 물을 공급하며, 새크라멘토-샌 호아킨 강 삼각주에서 페리스 호수까지 이어지는 1129km 캘리포니아 용수로가 있다. 중앙 애리조나 프로젝트는 미국에서 건설된 가장 크고 비용이 많이 드는 용수로이다. 이 용수로는 애리조나 주 파커 근처의 수원지에서 피닉스와 투손의 대도시 지역까지 540km에 걸쳐 뻗어 있다.

뉴질랜드의 용수로인 "오아마루 자치구 수로"는 19세기 말에 쿠로의 와이타키 강에서 해안 도시 오아마루까지 약 50km 거리에 물(및 수력)을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스페인에서는 타구스-세구라 물 공급 시스템 용수로가 1979년에 개통되어 북쪽에서 남쪽으로 물을 수송한다.[10]

중국에서는 남수북조 프로젝트가 세 개의 별도 시스템을 통해 양쯔강 유역을 베이징과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프로젝트는 중국 대운하의 일부를 재사용할 것이다.

5. 설계

용수로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는 경사도이다. 경사도가 높으면 작은 수로로도 많은 양의 물을 운반할 수 있지만, 수로 구조물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12] 로마 시대의 수로는 대략 1:4800 정도의 경사도를 가졌다.[12]

북아프리카중앙아시아에서는 카나트와 같이 지하 터널을 통해 물을 운반하는 경우도 있었다. 카나트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우물을 파서 연결하는 방식이다. 시리아에서 발견된 카나트 피라온은 길이가 100km가 넘는 긴 수로였다.[13]

현대에는 파이프라인을 사용하여 물을 공급하는 경우가 많다. 파이프라인은 언덕을 넘거나, 증발, 결빙, 오염, 환경 문제 등으로 인해 개방된 수로가 적합하지 않을 때 장거리 물 수송에 유리하다. 또한 수처리(Water treatment)된 물을 운반하는 데에도 사용된다.[4]

로스앤젤레스 수도

5. 1. 개수로

가장 단순한 수로는 흙을 파서 만든 작은 도랑이다. 현대식 수로에서는 애리조나 중앙 수로 사업에서처럼 약 7.32m 폭의 채널이 사용될 수 있다.[11] 개수로 설계의 주요 요소는 경사도인데, 경사도가 높으면 작은 채널로도 더 큰 채널과 같은 양의 물을 운반할 수 있지만, 수로 구조를 손상시킬 수 있다.[12] 전형적인 로마 수로는 약 1:4800의 경사도를 가졌다.[12]

5. 1. 1. 인공 수로

건설된 기능적 '''용수로'''는 돌, 벽돌, 콘크리트 또는 기타 안감 재료로 만들어진 작은 운하나 수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강, 샘, 저수지, 카나트, 또는 가정용 소비나 농업용 관개를 위한 수로에서 물을 물 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독일 프라이부르크 구시가지의 여러 거리에 인접해 있는 인공 용수로, 현지에서는 ''Bächle''로 알려져 있다.


아부다비 토후국 알 아인 오아시스에 있는 ''Falaj'' 수송 시스템의 일부인 인공 용수로.


용수로는 고대 및 역사 시대의 중동지중해성 기후 문화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다른 기후와 대륙에서도 사용되었다. 흡수 손실을 줄이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안감을 씌운다는 점에서 '물 도랑'과 구별된다. 오늘날 아부다비 토후국의 알 아인 오아시스에 있는 ''Falaj'' 관개 시스템은 카나트 물 시스템의 일부로 용수로를 사용한다. 때때로 스페인어에서는 ''Acequias''라고 불린다.

용수로는 조경 디자인에서도 미적 목적으로 사용된다. 용수로는 정원의 포장 도로에 삽입된 좁은 물길, 선형 물 특징, 종종 타일로 덮여 있으며 분수 디자인의 일부로 사용된다.

역사적 기원은 고대 페르시아 정원으로 처음 번역된 낙원 정원의 종교적 이미지에서 비롯되었다. 용수로는 나중에 무어 건축 (스페인) 정원, 예를 들어 그라나다알람브라에서, 그리고 다른 이슬람 정원, 문화 및 국가에서 예외적으로 개발되었다. 20세기 초의 예로는 스페인 세비야의 마리아 루이사 공원 정원과 캘리포니아주 몬테시토의 카사 델 헤레로 정원이 있다.

5. 2. 터널

수로는 때때로 지하 터널을 통해 지나가며, 이는 북아프리카중앙아시아카나트와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카나트는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우물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시리아에서 발견된 역사적인 예시 중 하나인 카나트 피라온은 길이가 100km가 넘는다.[13]

5. 3. 파이프

현대식 수도는 파이프라인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파이프라인은 언덕을 넘어가거나, 증발, 결빙, 오염 또는 환경 영향과 같은 고려 사항으로 인해 개방된 수로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 장거리로 물을 수송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수처리(Water treatment)된 물을 운반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4]

6. 용도

용수로는 농업 관개, 대도시 식수 공급, 수자원 부족 지역 지원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1]

고대에는 주로 하천의 홍수를 이용한 관개 농업이 이루어졌지만, 기원전 30세기 무렵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는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에서 물을 끌어와 관개 농업을 했으며, 이를 위한 용수로가 건설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용수로는 생활 용수 공급과 치수를 위한 방수로도 겸했을 것으로 생각된다.[1]

유럽중동의 평야에서는 지형 때문에 자연적으로 물을 끌어 관개하기 어렵거나 물이 고이기 쉬운 지역이 있다. 예를 들어 시리아 하마 주변을 흐르는 오론테스강은 수량이 많고 흐름이 빠르지만 강바닥이 낮아 물을 끌어오기 어려워, 수차 등의 동력을 이용해 용수로까지 물을 퍼 올린 후 농업·생활 용수를 끌어왔다.[1] 반대로 세계유산에 등재된 네덜란드 킨데르데이크 마을의 풍차군처럼 하천보다 토지가 낮아 물이 고이기 쉬운 지역에 용수로 겸 배수로를 설치하여 물이 부족할 때는 강에서 용수로로 물을 공급하고, 물이 넘칠 때는 풍차로 퍼올려 배수하는 방식으로 습지를 목초지나 화훼 재배 등에 이용하는 지역도 있다.[1]

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 등에 최근에 많이 만들어지는 플랜테이션에서는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한 방법과 압력 도수로(관) 및 스프링클러를 이용해 살수시키는 방법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1] 과거 농업 사회에서는 작물 관개를 위해 용수로를 건설했다. 아르키메데스는 농경지 관개에 사용하기 위해 물을 끌어올리는 수나사를 발명했다.[1]

로마의 일부 용수로는 오늘날에도 로마에 물을 공급하고 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세 개의 대형 용수로가 수백 마일에 걸쳐 로스앤젤레스 지역에 물을 공급한다. 두 개는 오웬스 강 지역에서, 세 번째는 콜로라도 강에서 물을 끌어온다.[1]

현대 토목 공학 프로젝트에서는 홍수 조절, 관개 시스템, 대규모 수자원 공급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용수로가 파이프라인보다 선호되는 솔루션인 경우, 개수로 흐름에 대한 상세한 연구 및 분석이 일반적으로 필요하다.[1]

과거에는 용수로의 수로가 흙이나 다른 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러한 비포장 용수로를 통해 상당량의 물이 손실된다. 물이 점점 부족해짐에 따라 이러한 수로는 콘크리트, 고분자 또는 불투수성 토양으로 포장되고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공사 중에 용수로를 폐쇄할 수 없기 때문에 오래된 용수로 옆에 새로운 용수로가 건설되기도 한다.[1]

7. 대한민국의 수로

대한민국은 전통적으로 벼농사 중심의 농업 국가였기 때문에, 수로와 관련된 기술과 문화가 발달해 왔다. 삼국시대에는 벽골제와 같은 대규모 저수지가 축조되어 농업용수 확보에 기여했다. 조선 시대에는 세종대왕의 명으로 측우기수표가 제작되어 강수량과 하천 수위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로를 관리했다. 현대에는 4대강 정비 사업 등을 통해 수로를 정비하고 관리하며, 물 부족 문제 해결과 홍수 예방에 기여하고 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주요 정책 중 하나로 추진되었으며, 환경 개선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참조

[1] encyclopedia Britannica
[2] 간행물 Sennacherib's Aqueduct at Jerwan https://isac.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 웹사이트 Advanced water management and pioneer hydraulic technology in Minoan Crete (Bronze Age) https://novoscriptor[...] 2022-01-30
[4] 서적 A Forgotten Empire (Vijayanagar): A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5] 간행물 THE COLLECTING OF GROUNDWATER BY THE QANATS: A MILLENNIUM TECHNIQUE DECAYING 2014-12-01
[6] 간행물 Zurich Puquios revised http://www-unix.oi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7] 서적 The New Key to Costa Rica https://books.google[...] Ulysses Press 2009
[8] 학술 논문 Volcanoes in the pre-Columbian life, legend, and archaeology of Costa Rica (Central America) 2008-10-01
[9] 웹사이트 Sri Lanka Tourism - the Official Website of Sri Lanka Tourisms http://www.srilanka.[...]
[10] 뉴스 El río que nos une http://elpais.com/el[...] 2016-02-08
[11] 웹사이트 http://www.usbr.gov/[...]
[12] 문서 Ancient Water Technologies Springer 2010
[13] 뉴스 Rome's Tremendous Tunnel: The Ancient World's Longest Underground Aqueduct http://www.spiegel.d[...] 2009-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