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통형 궁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통형 궁륭은 반원통 모양으로 된 천장 구조로,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페르시아와 로마 시대에 건축 기술로 발전했다. 이 기술은 벽돌이나 돌로 건물을 지을 때 지붕을 덮는 데 사용되었으며, 초기에는 배수관이나 하수도와 같은 지하 구조물에 주로 사용되었다. 로마네스크 건축과 르네상스 시대에 부활하여 대규모 건축물에 사용되었지만, 고딕 건축에서는 다른 궁륭 형식에 밀려났다. 원통형 궁륭은 측면으로의 힘 때문에 튼튼한 벽이나 지지대가 필요하며, 채광이 어렵다는 기술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현대에는 건축 외에도 수술 기법, 채광창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예와 궁륭 -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은 평양 통일거리에 위치했던 대형 아치형 구조물로, 한반도 지도를 형상화한 구체를 받드는 여성 조각상을 통해 조국통일 3대 원칙 등을 상징했으나, 2024년 1월 김정은의 지시로 철거되었다. - 홍예와 궁륭 - 아치
아치는 개구부 상부를 가로지르며 하중을 지지하는 곡선 형태의 건축 구조물로, 수직 하중을 압축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며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된다.
원통형 궁륭 | |
---|---|
개요 | |
![]() | |
유형 | 건축 구조 |
정의 | 단일 곡선의 압출로 형성된 아치형 구조 |
용도 | 지붕, 통로, 넓은 공간 덮개 |
재료 | 돌, 벽돌, 콘크리트, 목재 등 |
구조 및 역학 | |
하중 전달 | 아치 축을 따라 측면으로 |
지지 필요 | 벽 또는 기둥 |
추력 | 외부로 작용 |
해결책 | 두꺼운 벽, 버트레스, 타이 로드 |
역사 및 분포 | |
기원 | 고대 근동 |
로마 시대 | 널리 사용됨 (예: 바실리카, 목욕탕) |
중세 시대 | 로마네스크 건축, 고딕 건축 |
르네상스 시대 | 장식적 요소로 사용 |
현대 | 기능적, 미적 목적 |
변형 | |
교차 궁륭 (Cross Vault) | 두 개의 원통형 궁륭 교차 |
늑골 궁륭 (Rib Vault) | 늑골로 강화된 궁륭 |
맹인 궁륭 (Blind Vault) | 벽에 붙어있는 장식용 궁륭 |
건축학적 고려 사항 | |
장점 | 단순한 디자인, 효율적인 공간 커버 |
단점 | 측면 추력, 제한된 조명 |
최적의 디자인 | 적절한 지지, 재료 선택, 하중 분산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아치, 돔, 볼트 |
참고 문헌 | 건축 역사, 구조 공학 서적 |
외부 링크 | 볼트 (건축) - 영어 위키백과 |
2. 이론 및 초기 역사
원통형 궁륭은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하라판 문명 등 초기 문명에서부터 알려져 사용되었으나, 보편적인 건축 방식은 아니었다. 주로 지하 구조물이나 작은 공간에 제한적으로 적용되었다.[1][2][3][4][5][6][7] 이 기술은 목재가 부족한 지역에서 벽돌이나 석재로 지붕을 덮기 위한 필요성에서 발전했을 가능성이 높다.
본격적으로 원통형 궁륭을 건축에 적극 활용하기 시작한 것은 페르시아와 고대 로마 시대부터이다. 이들은 비계를 사용하여 이전보다 훨씬 넓은 공간을 덮는 원통형 궁륭을 건설했으며, 이는 대규모 건축 프로젝트에 중요한 기술이 되었다. 그러나 로마 건축가들은 점차 맞물린 궁륭을 선호하게 되었는데, 이는 더 얇은 벽으로 더 넓고 밝은 내부 공간을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로마 제국 멸망 후 몇 세기 동안은 대규모 건축이 줄어들면서 궁륭 건설도 드물어졌다. 하지만 초기 로마네스크 건축 시대에 이르러 대성당 건축이 활발해지면서 돌로 만든 원통형 궁륭이 다시 등장했다. 이 시기의 궁륭은 구조적으로 무거운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두껍고 육중한 벽이 필요했고, 이로 인해 내부는 다소 어두워지는 경향이 있었다. 11세기와 12세기에 지어진 클뤼니 수도원의 교회가 대표적인 예이다.
13세기 이후 고딕 건축 양식이 발전하면서, 더 가볍고 높이 솟은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맞물린 궁륭이 주류가 되었고, 원통형 궁륭은 대규모 성당 건축에서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 들어 고대 미술과 건축에 대한 관심이 부활하면서 원통형 궁륭은 다시 주목받았다. 이 시기에는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설계한 만토바의 산 안드레아 성당,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산 조르조 마조레 성당, 그리고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당과 같이 웅장한 규모의 건축물에 원통형 궁륭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성 베드로 대성당의 본당은 너비 27m에 달하는 거대한 원통형 궁륭으로 덮여 있다.[8]
2. 1.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원통형 궁륭은 고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를 포함한 초기 문명에서 알려지고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명 내에서는 매우 인기가 있거나 흔한 건축 방법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알려진 가장 초기의 궁륭의 예는 기원전 4000년경으로 추정되는 수메르 지구라트 아래의 니푸르에 있는 터널 궁륭으로, 점토 모르타르와 혼합된 구운 벽돌로 지어졌다. 이집트에서 가장 초기의 터널 궁륭은 선사 시대 이집트 시대인 기원전 3500년경의 레콰그나와 덴데라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통로 위에 세 개의 고리로 지어진 햇볕에 말린 벽돌로 지어졌으며, 경간은 단 2m에 불과한 묘지로 내려갔다.[1] 이러한 초기의 예에서 원통형 궁륭은 주로 배수관 및 하수도와 같은 지하 구조물에 사용되었지만, 람세움의 거대한 후기 이집트 장례 궁전-사원의 여러 건물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궁륭을 이루었다.[2]2. 2. 고대 그리스와 로마

모르가티나 유적(엔나 주)에서 발견된 최근의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3세기에 헬레니즘 시칠리아에서 지상 원통형 궁륭이 알려지고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며, 이 기술이 고대 그리스인들에게도 알려져 있었음을 시사한다.
고대 로마인들은 원통형 궁륭에 대한 지식을 에트루리아인과 근동 지역에서 물려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페르시아인과 로마인은 이 건축 방법을 대규모 프로젝트에 광범위하게 사용한 최초의 사람들이었으며,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더 넓은 경간의 궁륭 건설을 위해 비계를 사용한 최초의 사례로 여겨진다. 그러나 로마 건축가들은 점차 맞물린 궁륭 사용을 선호하기 시작했다. 맞물린 궁륭은 세우는 것이 더 복잡했지만, 지지 역할을 할 무겁고 두꺼운 벽이 필요하지 않았고, 더 넓은 개구부와 내부의 더 많은 빛을 확보할 수 있어 ''테르메''와 같은 더 넓은 건물을 가능하게 했다.
로마 제국 멸망 후 몇 세기 동안 궁륭을 필요로 할 정도로 큰 건물은 거의 지어지지 않았다.
2. 3. 인도
초기 하라판 시대의 매장실에서 궁륭형 지붕이 라키가르히에서 발견되었다.[3] S.R 라오는 로탈에 위치한 한 집의 작은 방에서 궁륭형 지붕을 확인했다고 보고했다.[4] 또한, 원통형 궁륭은 기원전 1900년에서 기원전 1300년경의 후기 하라판 묘지 H 문화에서도 사용된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는 금속 작업용 용광로의 지붕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 발견은 1940년 바츠가 하라파 유적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5][6][7]3. 로마 시대의 발전과 쇠퇴
고대 로마인들은 원통형 궁륭에 대한 지식을 에트루리아인과 근동 지역에서 물려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페르시아인과 로마인은 이 건축 방법을 대규모 프로젝트에 광범위하게 사용한 최초의 사람들이었으며,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넓은 경간의 궁륭 건설을 위해 비계를 사용한 최초의 사례일 수 있다.
그러나 로마 건축가들은 점차 맞물린 궁륭 사용을 선호하기 시작했다. 맞물린 궁륭은 세우는 것이 더 복잡했지만, 궁륭을 지지하기 위한 무겁고 두꺼운 벽이 필요하지 않았다. 이는 더 넓은 개구부와 내부로 더 많은 빛을 들일 수 있는 건물을 가능하게 했는데, 로마의 공중목욕탕인 ''테르메''가 대표적인 예다.
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몇 세기 동안은 궁륭 구조를 필요로 할 만큼 큰 건물이 거의 지어지지 않으면서 원통형 궁륭의 사용도 자연스럽게 줄어들었다. 이후 로마네스크 시대에 다시 등장하기도 했으나, 고딕 시대에는 맞물린 궁륭에 자리를 내주는 등 로마 시대만큼 널리 쓰이지는 않았다.
3. 1. 로마네스크 건축
로마 제국 멸망 후 몇 세기 동안 궁륭을 필요로 할 정도로 큰 건물은 거의 지어지지 않았다. 초기 로마네스크 건축 시대에 최초의 대성당에서 돌 원통형 궁륭이 부활했다. 궁륭을 지지하기 위해 두껍고 무거운 벽이 필요했기 때문에 내부가 상당히 어두웠다. 거대한 원통형 궁륭으로 덮인 가장 크고 유명한 교회 중 하나는 11세기와 12세기에 지어진 클뤼니 수도원 교회였다.3. 2. 고딕 건축
13세기와 14세기에 새로운 고딕 건축 양식이 발전하면서 원통형 궁륭은 고딕 건축 양식의 대규모 대성당 건설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대신, 돌 리브로 강화된 맞물린 궁륭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더욱 다양하고 화려하며 복잡한 형태의 중세 궁륭이 개발되었다. 이는 무거운 원통형 궁륭을 지탱하기 위해 두껍고 창문이 적어 내부가 어두웠던 초기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과 대비되는 발전이었다.4.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의 부활
르네상스 건축과 바로크 건축 양식이 등장하면서 고대 미술과 건축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동안 주류에서 벗어났던 원통형 궁륭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이전보다 훨씬 웅장한 규모로 건축물에 적용되었다. 특히 이 시기에는 유명 성당 건축 등에서 원통형 궁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많았는데, 대표적으로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는 너비가 27m에 달하는 거대한 원통형 궁륭이 본당을 덮으며 그 웅장함을 보여준다.[8]
4. 1. 대표적인 건축물
원통형 궁륭은 여러 고대 문명에서 사용되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되었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니푸르의 터널 궁륭: 수메르 문명의 지구라트 아래에서 발견된 기원전 4000년경의 궁륭으로, 알려진 가장 오래된 예시 중 하나이다. 구운 벽돌과 점토 모르타르로 만들어졌다.
- 레콰그나와 덴데라의 묘지: 선사 시대 이집트(기원전 3500년경)의 햇볕에 말린 벽돌로 지어진 초기 터널 궁륭이다. 경간이 2m 정도 되는 작은 통로 위에 세워졌다.[1]
- 람세움: 고대 이집트 후기의 거대한 장례 궁전-사원으로, 일부 건물의 지붕에 원통형 궁륭이 사용되었다.[2]
- 모르가티나 유적: 헬레니즘 시대 시칠리아(기원전 3세기)의 유적으로, 지상 구조물에 원통형 궁륭이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고대 그리스인들도 이 기술을 알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하라판 문명 건축물: 라키가르히의 매장실, 로탈의 집, 하라파의 금속 작업 용광로 등에서 궁륭형 지붕이나 원통형 궁륭이 사용된 흔적이 발견되었다.[3][4][5][6][7]
- 고대 로마 건축물: 로마인들은 에트루리아인과 근동으로부터 기술을 이어받아 대규모 프로젝트에 원통형 궁륭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비계를 사용하여 이전보다 넓은 경간의 궁륭을 건설했지만, 점차 맞물린 궁륭을 선호하게 되었다.
- 클뤼니 수도원 교회: 11세기와 12세기에 지어진 로마네스크 건축의 대표적인 예로, 거대한 원통형 궁륭으로 본당을 덮었다.
- 만토바의 산 안드레아 성당: 르네상스 건축가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 설계한 성당으로, 원통형 궁륭이 다시 사용된 예이다.
- 산 조르조 마조레 성당: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설계한 베네치아의 성당으로, 르네상스 시대 원통형 궁륭의 또 다른 예이다.
- 성 베드로 대성당: 로마에 위치한 바로크 건축의 걸작으로, 너비 27m에 달하는 거대한 원통형 궁륭이 본당을 덮고 있다.[8]
5. 공학적 문제점
원통형 궁륭은 몇 가지 공학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구조적으로는 아치 하부에서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수평력이 발생하여[9] 측면 지지나 버트레스가 없으면 붕괴 위험이 있다. 또한,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창문을 크게 내기 어려워 채광 확보에 어려움이 따른다.[10] 현대에 와서는 구조 기술자들이 유한 요소 분석 등을 통해 응력 부하를 계산하고 있지만, 그 복잡성으로 인해 구조 공학 컴퓨터 모델의 성능을 시험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기도 한다.[11] 다른 궁륭 방식인 교차 궁륭과 비교했을 때 구조적으로 더 약한 설계로 평가받는다.[12]
5. 1. 구조적 취약점
원통형 궁륭 설계는 압력 벡터가 정점(Crown)에서는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는 동시에, 아치 하부에서는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수평력을 발생시킨다.[9] 이 때문에 측면이 매우 무거운 건축 요소나 상당한 토공 측면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거나 버트레스(buttress)로 지지되지 않으면 붕괴될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의 머컬스 성에서는 원통형 궁륭으로 된 방에 인접한 벽의 두께가 4.6m에 달하는데, 이는 곡선 설계가 만들어내는 힘을 견디기 위한 것이다.원통형 궁륭 구조는 적절한 조명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10] 구조적으로 석조 원통형 궁륭에 창문 구멍을 내는 것은 피해야 하는데, 이러한 개구부는 아치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마네스크 시대의 중세 건축가들은 원하는 만큼의 빛을 얻기 위해 작은 창문을 내거나, 큰 버트레스를 사용하거나, 내부 벽을 교차하여 버티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했다. 많은 수도원에서는 개방된 안뜰이 있는 회랑을 만들어, 넓은 창을 통해 자연 채광이 가능한 높은 원통형 궁륭 구조를 구현하기도 했다.
1996년 이후 구조 기술자들은 뉴턴 역학을 적용하여 고대 석조 원통형 궁륭의 수치적 응력 부하를 계산해 왔다.[11] 이러한 분석에는 주로 아치 구조 자체의 무게로 인한 중력 유도 응력을 계산하기 위해 유한 요소 알고리즘이 사용되었다. 실제로 원통형 궁륭의 분석은 복잡한 멤브레인과 비신장성 굽힘 응력 상태 때문에 구조 공학 컴퓨터 모델의 성능을 시험하는 기준 문제로 여겨지기도 한다.
다른 궁륭 기술과 비교했을 때, 원통형 궁륭은 더 복잡한 구조인 교차 궁륭에 비해 본질적으로 약한 설계이다. 원통형 궁륭 구조는 긴 벽에 의존하여 안정성이 떨어지는 수평 응력을 만들어내는 반면, 교차 궁륭 설계는 응력을 정점(apex)으로 거의 수직에 가깝게 전달할 수 있다.[12]
5. 2. 채광 문제
원통형 궁륭 구조는 적절한 조명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널리 알려져 있다.[10] 이는 구조적인 문제와 직결되는데, 석조 원통형 궁륭에 창문을 내면 아치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구부는 구조적 무결성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이 때문에 로마네스크 시대의 중세 건축가들은 채광을 위해 작은 창문을 내거나, 큰 버트레스를 사용하거나, 내부 벽에 교차 버팀대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했다. 수도원에서는 회랑 구조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개방된 안뜰을 통해 원통형 궁륭 구조물 내부로 넓은 범위의 자연광을 들여올 수 있었다.
5. 3. 응력 계산
원통형 궁륭 설계는 압력 벡터가 정점(Crown)에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는 동시에 아치 하부에서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수평력을 발생시킨다.[9] 이 때문에 측면이 매우 무거운 건축 요소나 상당한 토공 측면에 고정되거나 버트레스(buttress)로 지지되지 않으면 붕괴될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스코틀랜드의 머컬스 성에서는 원통형 궁륭 챔버에 인접한 벽 두께가 4.6m에 달하는데, 이는 곡선 설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원통형 궁륭 구조는 적절한 조명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10] 구조적으로 석조 원통형 궁륭에 창 구멍을 내는 것은 아치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마네스크 중세 건축가들은 작은 창문을 내거나, 큰 버트레스를 사용하거나, 내부 벽 교차 버팀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필요한 조명을 얻었다. 많은 수도원에서는 개방된 안뜰이 있는 회랑을 활용했는데, 이는 높은 원통형 궁륭 구조에서도 넓은 조명을 확보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해결책이었다.
1996년 이후 구조 기술자들은 뉴턴 역학을 적용하여 고대 석조 원통형 궁륭의 수치 응력 부하를 계산하기 시작했다.[11] 이러한 분석에는 주로 아치형 시스템의 자체 무게로 인한 중력 유도 응력을 계산하기 위해 유한 요소 알고리즘이 사용되었다. 실제로 원통형 궁륭의 분석은 복잡한 멤브레인과 비연신 굽힘 응력 상태 때문에 구조 공학 컴퓨터 모델의 성능을 시험하는 기준(벤치마크 테스트)이 되었다.
다른 궁륭 기술과 비교했을 때, 원통형 궁륭은 더 복잡한 교차 궁륭에 비해 구조적으로 약한 편이다. 원통형 궁륭 구조는 긴 벽에 의존하여 수평 응력을 지탱해야 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는 반면, 교차 궁륭 설계는 응력을 정점(apex)으로 거의 수직에 가깝게 전달할 수 있다.[12]
6. 다양한 건축 사례
(내용 없음)
6. 1. 고대 건축물


원통형 궁륭이 사용된 건축물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건축물 | 위치 |
---|---|
아르다시르 궁전 | 이란, 파르스주 |
칼레 도크타르 | 이란, 피루자바드 |
사르베스탄 궁전 | 이란, 사르베스탄 |
비샤푸르 (특히 아나히타 신전) | 이란, 카제룬 |
베버스톤 성 (서쪽 건물 남쪽 탑 아래 지하실) | 잉글랜드 |
코르토나의 대성당 | 이탈리아 토스카나 |
던노터 성 (휘그스 볼트) | 스코틀랜드 |
하드리아누스 빌라 (기원후 2세기 초 유적) | 이탈리아 티볼리 |
갈라 플라치디아 영묘 (서기 500년경) | 이탈리아 라벤나 |
머찰스 성 (지하 묘소와 긴 홀) | 스코틀랜드 |
마이어스 성 (지하실) | 스코틀랜드 |
레알 모나스테리오 데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루에다 (12세기 수도원의 회랑) | 스페인 |
스크로베니 예배당 (1303년) | 이탈리아 파도바, 베네토 |
바티칸 동굴 | 바티칸 시국 |
6. 2. 현대 건축물

원통형 궁륭 디자인은 빅토리아 시대 및 현대 건축에서 다음과 같은 현대적인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건물명 | 위치 | 시기 / 특징 |
---|---|---|
시스티나 성당 | 바티칸 시국 | - |
왕립 곡물 창고 | 모로코 메크네스 | 17세기 |
윌리엄슨 터널 | 영국 리버풀 | 19세기 초 |
벨파스트 시청 연회실 |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도네갈 광장 | 1896–1906년 원통형 궁륭 천장[13] |
헌팅턴 은행 빌딩 |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 1924년 디자인 |
킴벨 미술관 | 미국 텍사스주 포트워스 | 너비 약 53.04m |
포레스트 힐 체이스 쇼핑 센터 | 호주 멜버른 |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 |
인디애나 대학교 신규 도서관 | 미국 인디애나주 | -[14] |
프리몬트 스트리트 익스피리언스 | 미국 라스베이거스 | - |
7. 비건축적 활용
원통형 궁륭은 고전적인 대형 건축 설계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개념과 형태가 응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채광창 디자인, 어린이 장난감, 버스 정류장과 같은 미세 구조물 디자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15] 비록 이러한 현대적 활용이 고대나 고전 시대 건축물의 웅장함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원통형 궁륭이라는 건축 개념이 오늘날에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7. 1. 의료 분야
골절 수술 분야에서는 ''원통형 궁륭'' 모양을 본뜬 절개 기술이 사용된다. 이는 잘 정립된 최첨단 수술 기법 중 하나이며, 정형외과 외과 의사들이 직접 ''원통형 궁륭''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5] 볼파르트(Wohlfahrt)의 연구에서는 사람의 경골에 이 수술 기법을 적용한 91건의 사례 결과를 기록하기도 했다.7. 2. 기타 분야
고전적인 대형 건축 설계 외에도 원통형 궁륭의 개념과 형태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수술, 채광창 디자인, 어린이 장난감, 버스 정류장과 같은 미세 구조물 디자인 등이 있다. 비록 이러한 응용 분야들이 고대나 고전 시대 건축물의 웅장함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현대에도 원통형 궁륭이라는 건축 개념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특히 골절 수술 분야에서는 '원통형 궁륭' 모양의 절개 기술이 사용된다. 이는 잘 정립된 최첨단 수술 절차이며, 정형외과 외과 의사들은 이 기술에 실제로 '원통형 궁륭'이라는 이름을 붙였다.[15] Wohlfahrt의 연구는 사람의 경골에 이 수술 절차를 적용한 91건의 사례 결과를 기록하고 있다.
참조
[1]
EB1911
[2]
서적
Egypt, From Prehistory to the Romans
Taschen
2001
[3]
서적
The Ancient Indus Valley: New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08
[4]
서적
Lothal and the Indus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Asia Publishing House
1973
[5]
간행물
METALS AND METALLURGY IN THE HARAPPAN CIVILIZATION
https://insa.nic.in/[...]
2018-02-27
[6]
서적
Summaries of Five Seasons of Research at Harappa (District Sahiwal, Punjab, Pakistan) 1986-1990
Prehistory Press
[7]
서적
Metal Technologies of the Indus Valley Tradition in Pakistan and Western India
https://www.harappa.[...]
[8]
웹사이트
St. Peter's - the Nave
http://www.stpetersb[...]
2006-11-19
[9]
웹사이트
Mount Holyoke college, The Art of Cathedrals: Stresses in barrel vaulted design
http://www.mtholyoke[...]
Mtholyoke.edu
2014-05-01
[10]
서적
Traditional Domestic Architecture of the Arab Region
American University of Shadah
2003
[11]
서적
Mesh Free Methods: Moving Beyond the [[Finite element analysis|Finite Element]] Method
CRC Press
2003
[12]
서적
The Gothic Enterprise: A Guide to Understanding the Medieval Cathedral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13]
웹사이트
Victorian architecture
http://victorianweb.[...]
Victorianweb.org
2014-05-01
[14]
웹사이트
Indiana University new library description
http://scs.indiana.e[...]
[15]
논문
High tibial barrel-vault osteotomy. A clinical study and statistical analysis of 91 long-term results
199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