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구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구족은 튀르크어와 몽골어를 사용하는 중국의 소수 민족으로, 간쑤성에 거주하며 유목 생활을 해왔다. 위구르 제국 멸망 후 감숙 지방으로 이주한 위구르인들의 후예로, 간저우 위구르 왕국을 건국했으나 서하에 멸망했다. 몽골 제국과 원나라 시대에는 몽골의 지배를 받았고,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는 명나라에 귀순하여 기미 위소를 설치했으나, 에센 칸의 침공으로 혼란을 겪었다. 1696년 청나라에 편입되었으며, 현재는 서부 유구르어와 동부 유구르어를 사용하고, 티베트 불교와 샤머니즘을 혼합한 종교를 믿는다. 간쑤성에는 쑤난 유구르족 자치현이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구족 - 서부 유구르어
서부 유구르어는 중국 간쑤성 서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위구르어와 유사하지만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며 고대 튀르크어 어휘를 보존하고 몽골어, 티베트어, 중국어 등의 영향을 받아 차용어와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 - 중국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중국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위구족 | |
---|---|
기본 정보 | |
![]() | |
총 인구 | 약 18,000명 (추정) |
주요 거주 지역 | 쑤난 위구족 자치현, 간쑤 성, 중국 |
사용 언어 | 서부 위구르어 동부 위구르어 |
종교 | 티베트 불교 텡그리 신앙 (샤머니즘) |
관련 민족 | 고대 위구르족 살라르족 기타 튀르크족 및 몽골족 |
다른 이름 | 황색 위구르족 |
언어 정보 | |
사용 언어 | 서부 위구르어, 동부 위구르어, 티베트어, 중국어 |
민족적 기원 및 관련성 | |
계통 | 몽골족 |
관련 민족 | 튀르크족, 몽골족 |
2. 역사
유구르족의 역사는 크게 두 갈래로 나뉜다.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서부 유구르족과 몽골어를 사용하는 동부 유구르족이다.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서부 유구르어를 사용하는 유구르족은 회흘 붕괴 후, 몽골 고원에서 남하하여 간쑤성 지방으로 이주한 회흘인의 후예로 추정된다. 이들은 '사리크 위구르'(Sariγ Uyγurmn, "황색 위구르")라고 불렸으며, 한족은 "황두회흘"(『송사』)이나 "살리외오얼"(『명사』)로, 몽골인은 "실라 위구르(Sira Uyiγurmn, 『몽골원류』)" 혹은 "실라이구르(Sirayiγurmn, 『알탄 칸 전』)"라고 기록했다.[13]
몽골어족에 속하는 동부 유구르어를 사용하는 유구르족은 13세기에 중국 북부를 침략하던 몽골족의 후예라고 추정된다.[16]
2. 1. 간저우 위구르 왕국
위구르 제국 붕괴 후, 일부 위구르인들은 몽골 고원에서 남하하여 간쑤성 지방으로 이주하였다. 이들은 하서회랑 중부의 장예 시를 수도로 삼아 간저우 위구르 왕국(870-1036년)을 건국하였다.[5] 송나라 사서에는 감숙 왕국의 인구가 30만 명에 달했으며, 주민들은 마니교나 불교를 믿고 나라 안에 사원이 가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3]그러나 1028년부터 1036년까지 탕구트족의 서하와 격렬한 전쟁을 벌였고, 결국 서하에 강제 편입되었다.[6] 당시 카슈가르의 대학자 마흐무드 카슈가리는 이 전쟁으로 위구르의 피가 강처럼 흘렀다고 묘사했다.[13]
2. 2. 몽골 제국과 원나라 시기
몽골 제국이 흥기하자 수부타이에 의해 사리크 위구르(서부 유구르)의 테긴 투멘이 정복되어 몽골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4] 원나라 시대에는 차가타이 계열의 바이다칸이 이 지역으로 이주해 왔고, 그의 후손들이 안정왕이라고 칭하며 사리크 위구르 지방을 통치했다.[14]2. 3.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
명나라 시대에도 안정왕가는 계속해서 사리크 위구르 지방을 지배했으며, 명나라는 이 지역에 안정위, 아단위, 곡선위, 한동위 등 4개의 기미 위소를 설치했다.[14] 그러나 토목의 변 이후 혼란기에 모굴리스탄 칸국과 북원의 침입을 받았다.[15] 16세기에는 투메트부의 알탄 칸이 사리크 위구르를 토벌했다는 기록이 있다.[15] 몽골어족에 속하는 동부 유구르어를 사용하는 유구르족은 13세기에 중국 북부를 침략했던 몽골인의 한 집단의 후예이거나, 16세기-17세기의 몽골인의 침공으로 몽골화된 집단으로 추측된다.[16] 유구르족은 최종적으로 1696년, 강희제의 치세에 청나라에 편입되었다.2. 4. 근대 연구
1893년, 위구르족을 연구한 최초의 서양 과학자인 러시아 탐험가 그리고리 포타닌은 위구르어 단어 소규모 어휘집을 출판했으며, 행정 및 지리적 상황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8]3. 언어
위구족은 크게 두 가지 언어를 사용한다. 약 4,600명은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서부 유구르어를 사용하고, 약 2,800명은 몽골어족에 속하는 동부 유구르어를 사용한다. 소수의 위구르족은 티베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9][10] 이 외의 위구르족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잃고 중국어를 사용한다. 동서 유구르어는 자체적인 문자가 없기 때문에 문서 기록용으로는 한자가 사용된다.
3. 1. 서부 유구르어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고대 위구르어의 많은 특징을 보존하고 있다.[9][10]3. 2. 동부 유구르어
몽골어족에 속한다. 위구족 중 약 2,800명이 사용한다.[9][10] 서부 유구르어와 동부 유구르어는 모두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문서 기록용으로는 주로 한자나 티베트 문자가 사용되었다. 17세기 말까지 일부 위구르족 공동체에서 고대 위구르 문자가 사용되었다.[11]3. 3. 문자
서부 유구르어와 동부 유구르어 모두 고유 문자는 없으며, 역사적으로 한자나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여 기록했다.[11] 17세기 말까지 일부 유구르족 공동체에서 고대 위구르 문자가 사용되기도 했다.[11] 현대에는 대부분 한자를 사용한다.4. 문화
위구르족은 전통적으로 축산업에 종사한다.
4. 1. 종교
위구르족의 종교는 티베트 불교 겔룩파와 샤머니즘이 혼합된 형태이다.5. 자치 지방
간쑤성에 쑤난 유구르족 자치현이 설치되어 있다.
6. 명칭
유구르족의 공식 명칭은 "유구족(裕固族)"이며, 이는 그들의 자칭에서 유래했다. 튀르크어 계열에서는 'Yogïr' 또는 'Sarïg Yogïr', 몽골어 계열에서는 'Yogor' 또는 'Šera Yogor'라고 자칭하며, Sarïg 및 Šera는 모두 "노란색"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는 사리 위구르(撒里畏兀児), 시라 요후르(西喇堯乎児) 등으로도 불렸다. 또한 황번(黄番), 서번(西番)이라고도 불렸는데, 번(蕃)은 만(蛮)과 마찬가지로 미개한 이민족을 의미하는 것 외에, 토번에 기초하여 티베트 계 민족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13]
참조
[1]
서적
Oasis Identities: Uyghur Nationalism Along China's Silk Roa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0-10-31
[3]
서적
Oasis identities: Uyghur nationalism along China's Silk Roa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10-31
[4]
뉴스
Modern Life Presents Nomads of China's Steppe With a 'Tragic Choice'
https://www.nytimes.[...]
2016-09-28
[5]
서적
Central Asia, 130 Years of Russian Dominance: A Historical Overview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6]
서적
Xinjiang: China's Muslim Far Northwes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7]
서적
The Great Dispossession
https://books.google[...]
[8]
서적
The Horse That Leaps Through Clouds: A Tale of Espionage, the Silk Road and the Rise of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Catapult
2011-04-10
[9]
서적
Studies on Turkish and Turkic Languages: Proceedings of the Ni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urkish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Harrassowitz
[10]
서적
The Turk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0-10-31
[11]
서적
Dislocating China: reflections on Muslims, minorities and other subaltern subjects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10-10-31
[12]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0-10-31
[13]
문서
佐口1972,191-193頁
[14]
문서
杉山2004,305頁
[15]
문서
吉田1998,270頁
[16]
문서
佐口1972,200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