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 유구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부 유구르어는 위구르어와 유사성을 보이지만, 고어와 북동 튀르크어의 특징을 공유하며 상호 이해가 불가능한 언어이다. 주로 간쑤성 쑨난 유구르족 자치현 서부에 분포하며, 유기음, 모음 조화 붕괴, 자음 변화 등의 음운적 특징을 보인다. 어휘는 고대 튀르크어에서 많은 단어를 보존하고 있으며, 몽골어, 티베트어,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차용어를 포함한다. 문법적으로는 명사와 동사에서 인칭 표지가 사라지고, 티베트어의 영향으로 증거성의 개념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현대 위구르어와는 달리 시베리아 튀르크어군에 속하며, 고대 위구르어와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크어족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튀르크어족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서부 유구르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서부 유구르어 |
다른 이름 | 황색 위구르어 |
자생어 이름 | yoɣïr lar |
사용 국가 | 중국 |
사용 지역 | 간쑤성 |
민족 | 유구르족 |
사용자 수 | 4,600명 (2007년) |
언어 분류 | |
어족 | 알타이어족 |
어파 | 튀르크어족 |
어군 | 공통 튀르크어파 |
조상 언어 | 고대 튀르크어 |
문자 | |
문자 체계 | 고대 위구르 문자 (19세기까지), 라틴 문자 (현재) |
언어 코드 | |
ISO 639-3 | ybe |
Glottolog | west2402 |
Glottolog 이름 | 서부 유구르어 |
지도 정보 | |
![]() |
2. 분류
서부 유구르어는 위구르어와 유사점 외에도 여러 가지 특징, 주로 고어를 북동 튀르크어와 공유하지만, 특정 언어와 특별히 가깝지는 않다. 서부 유구르어와 동부 유구르어는 모두 상호 이해도 측면에서 위구르어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3]
서부 유구르어 화자들은 주로 간쑤성 쑨난 유구르족 자치현의 서부에 거주한다.
유기음 발생은 서부 유구르어의 특별한 특징이다. 이는 투바어와 토파어의 인두음화 또는 낮은 모음, 사하어와 투르크멘어의 단모음에 해당한다. oʰtɯs|서른yug, jɑʰʂ|좋은yug, iʰt|고기yug 등이 그 예이다.
서부 유구르어는 현대 위구르어와 시베리아어에서 발견되지 않는 고어를 포함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옛 위구르어와 일치하는 선행적 수사법과 옛 위구르어에서 유래했지만 위구르어의 연결 어미를 대체하는 서술사 ''dro'' 등이 있다.[4]
3. 지리적 분포
4. 음운
모음 조화는 전형적인 튀르크어 특징이지만, 서부 유구르어에서는 대부분 붕괴되었다. a-접미사(후설 모음 ''a'' : 전설 모음 ''i'')에서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마지막 폐쇄 모음을 포함하는 어간의 경우 예측할 수 없이 선택된다(pɯl'''ɣi'''|알고 있는yug vs. ɯst'''qɑ'''|미는yug). 성대음화는 파열음과 파찰음에서 변별적 특징으로, 중국어처럼 기음화로 대체되었다.
4. 1. 자음
서부 유구르어는 28개의 고유 자음과 차용어에서만 발견되는 2개의 자음(괄호 안에 표시)을 가지고 있다.
colspan="2" | | ||||||||
---|---|---|---|---|---|---|---|---|
비음 | m | n | ŋ | |||||
파열음 | 무기음 | p | t | k | q | |||
유기음 | pʰ | tʰ | kʰ | qʰ | ||||
파찰음 | 무기음 | t͡s | ʈ͡ʂ | t͡ɕ | ||||
유기음 | (tsʰ중국어) | ʈ͡ʂʰ | t͡ɕʰ | |||||
마찰음 | 무성음 | (f영어) | s | ʂ | ɕ | x | h | |
유성음 | z | ʐ | ɣ | |||||
전동음 | r | |||||||
접근음 | l | j | w |
4. 2. 모음
서부 유구르어는 많은 튀르크어족 언어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8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i, y, ɯ, u, e, ø, o, ɑ/tr이다.유기음의 발생은 서부 유구르어의 특별한 특징이다. 이는 투바어와 토파어에서 소위 인두음화 또는 낮은 모음에 해당하며, 사하어와 투르크멘어에서 단모음에 해당한다. 이러한 현상의 예로는 /oʰtɯs/|서른yug, /jɑʰʂ/|좋은yug, 그리고 /iʰt/|고기yug가 있다.
모음 조화 체계는 전형적인 튀르크어의 특징이지만, 대부분 붕괴되었다. 그러나 a-접미사(후설 모음 ''a'' : 전설 모음 ''i'')에서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마지막 폐쇄 모음을 포함하는 어간의 경우 예측할 수 없이 선택된다(/pɯl'''ɣi'''/|알고 있는yug vs. /ɯst'''qɑ'''/|미는yug). 성대음화는 파열음과 파찰음에서 변별적 특징으로, 중국어와 같이 기음화로 대체되었다.
음소 /e/yug는 현재 /i/yug와 합쳐지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에서 두드러진다.
4. 3. 음운 변화
서부 유구르어는 원래의 공통 튀르크어 형태에서 진화하면서 여러 음운 변화를 겪었다.- 고모음은 첫 음절이 아닌 곳에서 원순성을 잃었다. (예: 공통 튀르크어 *tütün > 서부 유구르어 ''tuʰtïn'' "담배를 피우다")
- 공통 튀르크어 *u는 일부 단어, 특히 연구개음과 ''r'' 주변에서 서부 유구르어 ''o''로 낮아졌다. (예: 공통 튀르크어 *burun > 서부 유구르어 ''pʰorn'' "앞에, 앞에")
- 모든 고모음이 합쳐졌다. 구개음 환경에서는 전설 모음으로, 그 외에는 후설 모음으로 합쳐졌다. (예: 공통 튀르크어 *üčün > 서부 유구르어 ''utɕin'' "~으로, ~을 사용하여", 공통 튀르크어 *yïlan > 서부 유구르어 ''yilan'' "뱀")
-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발생했다.
- 공통 튀르크어의 *k와 *q 간의 이음적 차이가 음소가 되었다.
- 단어의 모음 조화 등급은 서부 유구르어에서 어휘적으로 결정되었다.
- 이전 고모음을 가진 모음 조화 접미사는 변하지 않게 되었다. (예: 공통 튀르크어: *-Ki/*-Kï > 서부 유구르어 ''-Kï'' "속성 명사 접미사")
- 전설 모음 *ä, *e, *ö는 *r, *l, *ŋ 앞과 (*ö 제외) *g 앞에서 *i, *ü로 상승했다. (예: 공통 튀르크어 *ärän > 서부 유구르어 ''erin'' "남자", 공통 튀르크어 *kȫk > 서부 유구르어 ''kük'', 공통 튀르크어 *-lar/*-lär > 서부 유구르어 ''-lar''/''-lir'' "복수 접미사")
- 공통 튀르크어 *ay는 첫 음절에서는 서부 유구르어 ''ey''~''e''로, 그 외에는 ''i''로 반영된다.
- 첫 음절에서만 단모음이 다음 자음의 무기 호흡을 획득하고, 그 외에는 장단 구별이 사라진다.
- 대부분의 튀르크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비음이 포함된 단어에서 어두의 *b는 *m으로 동화되었다.
- 어두의 파열음과 파찰음, 즉 공통 튀르크어의 *b, *t, *k, *g, *č는 예측 불가능한 기식음을 동반하는 무성음으로 나타난다. (예: 공통 튀르크어 *temir > 서부 유구르어 ''temïr'', 공통 튀르크어 *bog- > 서부 유구르어 ''pʰoɣ-'' "밧줄로 묶다")
- 순음은 모음 사이와 유음 뒤에서 *w로 합쳐지며, 나중에는 몇몇 경우에서 이중 모음을 형성하거나 생략된다. (예: 공통 튀르크어 *yubaš > 서부 유구르어 ''yüwaʂ'' "침착한", 공통 튀르크어 *harpa > 서부 유구르어 ''harwa'' "보리")
- 어말과 대부분의 자음군에서는 *p가 보존되고 *b는 생략된다.
- 치경 및 연구개 무성 파열음은 대부분의 위치에서 보존되며, 기식음은 거의 어두에서만 나타난다.
- 공통 튀르크어 *g는 ''ɣ''로, 공통 튀르크어 *d는 ''z''로 마찰음화된다.
-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공통 튀르크어 *š는 ''s''로 발달한다. (예: 공통 튀르크어 *tāš > 서부 유구르어 ''tas'' "돌")
- 공통 튀르크어 *z는 다음절 단어의 어말에서 무성음화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보존된다. (예: 공통 튀르크어 *otuz > 서부 유구르어 ''oʰtïs'' "서른")
- 공통 튀르크어 *č는 일반적으로 음절 종성에서 서부 유구르어 ''š''가 된다.
- 공통 튀르크어 *ñ는 서부 유구르어 ''y''로 발달한다. 어두의 공통 튀르크어 *y-는 대부분 보존된다. 공통 튀르크어 *h-는 몇몇 단어에서 보존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서부 유구르어 ''h-''가 어느 정도까지 대응되는지는 불분명하다.
5. 어휘
서부 유구르어는 위구르어와의 유사점 외에도 여러 가지 특징, 주로 고어를 북동 튀르크어와 공유하지만, 특정 언어와 특별히 가깝지는 않다. 서부 유구르어와 동부 유구르어는 모두 상호 이해도 측면에서 위구르어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3]
서부 유구르어는 현대 위구르어와 시베리아어에서 발견되지 않는 고어를 포함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옛 위구르어와 일치하는 선행적 수사법과 옛 위구르어에서 유래했지만 위구르어의 연결 어미를 대체하는 서술사 ''dro'' 등이 있다.[4]
서부 유구르어는 동 고대 튀르크어에서 많은 단어를 보존하고 있으며, 고대 튀르크어에서 알려진 선행 숫자 세기 체계를 보존한 유일한 튀르크어이다.[5] 이 체계에서 상위 십진법이 사용된다. 즉, ''per otus'' (''per'': 하나, ''otus'': 서른)는 "서른을 향해 가는 하나", 즉 21을 의미한다.[6]
수 세기 동안 서부 유구르어는 몽골어, 티베트어, 중국어와 언어 접촉을 해왔으며, 그 결과 이러한 언어로부터 많은 수의 차용어와 문법적 특징을 차용했다. 유구르어가 사용되는 지역과 인접한 중국 방언은 유구르어에 영향을 미쳐 차용어를 제공했다.[7]
6. 문법
명사뿐만 아니라 동사에서도 인칭 표지가 대부분 사라졌다. 동사 체계에서는 티베트어의 영향을 받아 증거성의 개념이 문법화되었다. 서부 유구르어의 동사 체계는 살라르어와 마찬가지로 중국어의 영향으로 유입된, 유한 동사 형태에서 인칭-수 일치 연결형 지표가 소실된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나는 충분히 먹었다"라는 문장을 서부 유구르어에서는 ''Men toz-dï''로, 우즈베크어에서는 ''Men to’y-dï'''m''' ''로 표현하는데, 후자의 경우 동사에 1인칭 지표 접미사 ''-(I)m''이 붙는 반면, 서부 유구르어 문장에는 이러한 접미사가 없다.
6. 1. 격
colspan="2" | | 파열음 뒤 | 비음 뒤 | -z 뒤 | |
---|---|---|---|---|
주격 | -∅ | |||
대격 | -ti | -ni | ||
소유격 | -tiŋ | -niŋ | ||
여격 | 후설 | -qa | -ɣa | |
전설 | -ki | |||
처격 | 후설 | -ta | ||
전설 | -ti | |||
탈격 | 후설 | -tan | ||
전설 | -tin |
4개의 친족어는 명확한 호격 형태를 가지며, 큰 소리로 부를 때 사용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aqu'' (← ''aqa'' "형"), ''qïzaqu'' (← ''qïzaqa'' "누나"), ''açu'' (← ''aça'' "아버지"), ''anu'' (← ''ana'' "어머니"). 1인칭과 2인칭 소유 접미사 ''-(ï)ŋ''과 3인칭 소유 접미사 ''-(s)ï''가 있지만, 이러한 접미사는 친족어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anaŋ'', ''anasï'' "어머니"). 이는 불가분 소유의 개념과 유사하다. 4개의 친족 명사는 마지막 모음을 생략하고 자음 변형을 사용하여 불규칙한 1인칭 및 2인칭 형태를 가진다. (예: ''aqa'' → ''aqïŋ'' "형").
6. 2. 동사
명사뿐만 아니라 동사에서도 인칭 표지가 대부분 사라졌다. 동사 체계에서는 티베트어의 영향을 받아 증거성의 개념이 문법화되었다.서부 유구르어의 동사 체계는 살라르어와 마찬가지로 중국어의 영향으로 유입된, 유한 동사 형태에서 인칭-수 일치 연결형 지표가 소실된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나는 충분히 먹었다"라는 문장을 서부 유구르어에서는 ''Men toz-dï''로, 우즈베크어에서는 ''Men to’y-dï'''m''' ''로 표현하는데, 후자의 경우 동사에 1인칭 지표 접미사 ''-(I)m''이 붙는 반면, 서부 유구르어 문장에는 이러한 접미사가 없다.
7. 역사
서부 유구르어는 위구르어와 여러 유사점을 가지고 있지만, 주로 고어를 북동 튀르크어와 공유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특정 언어와 특별히 가깝지는 않다. 서부 유구르어와 동부 유구르어는 모두 위구르어와 상호 이해가 불가능하다.[3]
서부 유구르어는 현대 위구르어와 시베리아어에서 발견되지 않는 고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옛 위구르어와 일치하는 선행적 수사법과 옛 위구르어에서 유래했지만 위구르어의 연결 어미를 대체하는 서술사 ''dro'' 등이 있다.[4] 서부 유구르어는 고대 튀르크어의 어휘를 많이 보존하고 있으며, 고대 튀르크어에서 알려진 선행 숫자 세기 체계를 보존한 유일한 튀르크어이다.[5] 이 체계에서는 상위 십진법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per otus'' (''per'': 하나, ''otus'': 서른)는 "서른을 향해 가는 하나", 즉 21을 의미한다.[6]
수 세기 동안 서부 유구르어는 몽골어, 티베트어, 중국어와 언어 접촉을 해왔다. 그 결과 이들 언어로부터 많은 차용어와 문법적 특징을 차용했다. 유구르어가 사용되는 지역과 인접한 중국 방언 또한 유구르어에 영향을 미쳐 차용어를 제공했다.[7] 명사뿐만 아니라 동사에서도 인칭 표지가 대부분 사라졌으며, 동사 체계에서는 티베트어의 영향을 받아 증거성의 개념이 문법화되었다.
현대 위구르어와 서부 유구르어는 튀르크어족 내에서 서로 다른 갈래에 속한다. 카를루크어군은 카라한 칸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예: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의 ''튀르크어 사전''에 설명된 Xākānī어[8])에서 기원했으며, 시베리아 튀르크어군에는 고대 위구르어가 포함된다.
유구르족은 간저우 위구르 왕국, 고창 위구르와 위구르 카간국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리 포타닌은 1893년 러시아어 저서 ''중국과 중앙 몽골의 당-티베트 접경 지역''에서 살라르어, 서부 유구르어, 동부 유구르어의 어휘집을 기록했다.[9][10][11][12]
7. 1. 참고 문헌
- Arik, Kagan (2008). 〈중앙, 서부 및 북아시아 언어〉. Austin, Peter K. 《1,000개의 언어: 살아있는 언어, 멸종 위기의 언어, 사라진 언어》.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36–153쪽. ISBN 978-0-520-25560-9.
- 천 종전; 뢰 선춘 (1985). 《서부 유구르어 간지 [서부 유구르어 간결 문법]》. 베이징.
- Coene, Frederik (2009). 《코카서스: 소개》. 런던: 루틀리지. ISBN 978-1-135-20302-3.
- 뢰 선춘 (1992). 《서부 유구르-한어 사전 [서부 유구르어 - 중국어 사전]》. 청두.
- 말로프, S. E. (1957). 《옐티흐 우이구르의 언어. 사전과 문법》. 알마아타.
- 말로프, S. E. (1967). 《옐티흐 우이구르의 언어. 텍스트와 번역》. 모스크바.
- Roos, Martina Erica (2000). 《서부 유구르어 (황 유구르어): 문법, 텍스트, 어휘》 (박사). 라이덴 대학교.
- 로스, 마르티; 한스 너그테른; 종 진원 (1999). “서부 및 동부 유구르어의 일부 튀르크 속담에 관하여”. 《튀르크 언어》 3.2: 189–214.
- 테니셰프, È. R. (1976). 《사릭-유구르어의 구조》. 모스크바.
참조
[1]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
서적
The Mainz Meeting: Proceedings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urkish Linguistics, August 3–6, 1994
Otto Harrassowitz Verlag
[3]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China
Greenwood Press
[4]
문서
Chen et al., 1985
[5]
서적
A Grammar of Old Turkic
https://books.google[...]
Brill
2004
[6]
서적
Endangered Turkic Languages I: Theoretical and General Approaches, Volume 1
https://www.ayu.edu.[...]
Hodja Akhmet Yassawi International Turkish-Kazakh University
2016
[7]
서적
The Handbook of Language Contact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8]
간행물
'[Review of the book ''An Eastern Turki-English Dictionary'' by Gunnar Jarring]'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965
[9]
간행물
Remarks on the Salar Language
http://altaica.ru/LI[...]
1953
[10]
서적
Tangutsko-Tibetskaya okraina Kitaya i Tsentralnaya Mongoliya: puteshestvie G.N. Potanina 1884–1886
https://books.google[...]
Typ. A. S. Suvoryna
1893
[11]
서적
Tangutsko-Tibetskaya okraina Kitaya i Tsentralnaya Mongoliya: puteshestvie G.N. Potanina 1884–1886
https://books.google[...]
Typ. A. S. Suvoryna
1893
[12]
서적
Tangutsko-Tibetskaya okraina Kitaya i Tsentralnaya Mongoliya: puteshestvie G.N. Potanina 1884–1886
https://books.google[...]
Typ. A. S. Suvoryna
1893
[13]
웹사이트
Western Yugur
https://www.ethnolog[...]
[14]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4-04-24
[15]
서적
The Mainz Meeting: Proceedings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urkish Linguistics, August 3-6, 1994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4-04-24
[16]
학위논문
The Western Yugur (Yellow Uygur) Language. Grammar, Texts, Vocabulary.
http://members.home.[...]
University of Leiden
2000
[17]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China
Greenwood Publishing Group
[18]
웹사이트
Western Yugu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