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학사장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사장교는 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문무를 겸비한 장교를 양성하는 제도이다. 대한민국 육군, 해군, 해병대, 공군에서 운영되며, 각 군의 특성에 맞춰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육군은 1981년 학사사관 제도를 창설하여 현재까지 많은 장교를 배출했으며, 해군과 해병대는 엄격한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공군은 OTS(학사사관후보생 과정)를 통해 후보생을 훈련시킨다. 미국, 영국, 호주 등 세계 여러 나라도 학사장교 제도를 운영하며, 각국의 군사적 특성을 반영한 훈련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장교 - 간부사관
    간부사관은 병사로 복무 중인 자를 장교로 임용하는 제도를 의미하며, 미군의 그린 투 골드와 유사하게 운영되지만, 소위 임관에는 학위가 필수가 아니고 소령 진급에는 학위가 요구된다.
  • 대한민국의 장교 - 갑종장교
    갑종장교는 대한민국 육군의 장교 양성 과정 중 갑종간부후보생 과정을 거쳐 4성 장군(대장)까지 진급한 오자복, 정호근, 조영길, 정수성, 권영기 등의 인물들을 배출한 제도이다.
  • 대한민국의 군사 교육 및 훈련 - 호국훈련
    호국훈련은 대한민국 국군이 실시하는 대규모 합동 군사 훈련으로, 1996년부터 한국군 단독으로 실시되다가 2008년부터 육해공 합동 훈련으로 확대되었으며, 북한은 이를 '북침 연습'이라며 비난한다.
  • 대한민국의 군사 교육 및 훈련 - 팀 스피리트
  • 학사 - 이학사
    이학사는 인류학, 농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교과목을 제공하며 자연과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을 아우르는 학사 학위 프로그램이다.
  • 학사 - 의학 학사, 외과 학사
    의학 학사, 외과 학사(MBBS)는 영국 및 과거 대영 제국 국가에서 주로 수여되는 5년 또는 6년제 의학 학위로, 기초 및 임상 의학과 실습 교육을 포함하며, 졸업 후 의사 면허 취득 및 임상 진료 자격을 부여한다.
학사장교
개요
종류사관후보생 양성 학교
임무장교 양성
역사
창설군대 필요에 따라 수시 개설 및 폐쇄
특징
선발 대상병사
부사관
예비역
대학교 졸업자
교육 기간수개월 (군사 훈련 및 리더십 교육)
졸업 후소위로 임관
대한민국
종류육군3사관학교
육군학생군사학교
해군사관후보생
공군사관후보생
해병대 사관후보생
육군육군3사관학교,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담당
해군해군사관후보생전대에서 담당
공군공군사관학교에서 담당
해병대해병대 교육단에서 담당
일본
명칭간부후보생학교
설치 부대자위대
역할육상자위대 간부 후보생 교육
미국
명칭Officer Candidate School (OCS)
종류미국 육군 사관후보생 학교
미국 해군 사관후보생 학교
미국 공군 사관학교
미국 해병대 사관후보생 학교
특징장교가 될 자질을 갖춘 후보생 선발
집중적인 군사 훈련과 리더십 교육 실시
졸업 후 장교로 임관

2. 대한민국

대한민국학사사관 제도는 1980년대 안보 환경이 불안정한 시기에 '문무겸비(文武兼備)'를 갖춘 장교 양성을 목표로 창설되었다. 이 제도는 미국군의 OCS 프로그램을 모델로 했으며, 자격을 갖춘 사람들은 3~4개월 동안의 혹독한 기초 군사 훈련을 거쳐 장교로 임관할 수 있다.[4]

대한민국 육군은 매년 가장 많은 수의 학사사관 후보생을 배출한다. 지원자는 학사 학위 소지자여야 하며, 현역 부사관이나 의사, 변호사 등 전문 자격증 소지자는 예외가 적용된다. 선발 과정은 필기 시험, 체력 검정, 여러 차례의 면접으로 이루어진다. 합격자는 괴산에 있는 육군학생군사학교에 입교하며, 졸업 후 소위로 임관한다.[4]

대한민국 해군대한민국 해병대는 가장 엄격한 학사사관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해군 및 해병대 학사사관 후보생은 창원 해군사관학교에서 함께 임관하지만, 훈련 프로그램은 별도로 운영된다. 해병대 후보생은 포항 해병대 학교로, 해군 후보생은 창원에 남는다. 현역 수병이나 하사관도 학사 학위를 취득하면 OCS 프로그램에 지원할 수 있다.[6]

대한민국 공군의 학사사관후보생 과정(OTS)은 경쟁률이 높은 인기 있는 장교 훈련 프로그램이다. 공군 OTS는 방공군과 군사경찰 후보생 대부분을 훈련시키며, 항공기 조종사도 훈련하지만, 대부분의 공군 조종사는 공군사관학교나 공군 학군사관 프로그램 출신이다.[4]

2. 1. 육군

1980년대 대한민국의 대내외적 안보환경이 불안했던 시기, '문무를 겸비한 장교' 양성을 기치로 1981년 6월 28일 학사사관 제도가 창설되었다. 전투병과 위주의 정예 간부 632명이 학사 1기로 광주 상무대에서 임관하였다.[9] 학사 2기부터는 생도과정이 폐지된 육군3사관학교에서 장교양성교육을 받고 임관하였으며, 1980년대 중순부터는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 제도를 도입하여 매년 2개 기수씩 임관하였다.[9] 2010년 이후 연 1개 기수로 통합되었고, 2011년까지 육군3사관학교에서 16주간의 장교양성 과정을 이수하고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2012년부터는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장교양성교육을 받고 임관하고 있다.[9] 2015년 6월 1일부로 여군사관은 학사사관으로 통합되었다.[9] 2023년까지 총 68개 기수, 51,943명의 정예 장교가 학사사관 과정으로 배출되었다.[9]

학사사관 출신으로 군에서는 정현석 준장(3기)을 시작으로 최진규 중장(9기), 소영민 중장(11기) 등 장성급 장교로 꽤 많이 진출했으며, 특히 소영민 중장은 요직인 육군특수전사령관을 역임했다.[9]

정계에는 이종배(1기) 국민의힘 의원, 윤준병(5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학사사관 출신으로 활동하고 있다.[9] 이호승(15기)은 문재인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을 역임했다.[9]

2. 2. 해군

해군 학사사관은 1948년 6월 29일 해사대학 내 특별교육대로 시작되었으며, 처음에는 74명이 입교하였다.[1] 초기에는 특과 장교를 주로 양성하였으나, 1968년 1월에 임관한 제46차부터 항해 등 전투 병과 장교 40명이 임관하면서 전투 병과 장교도 양성하기 시작했다.[1]

1967년 제45차부터 간부후보생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1972년 제55차부터 사관후보생으로 변경되었다.[1]

2001년 7월에는 사관후보생 96기로 13명의 여군을 임관시키고, 같은 해 11월 그중 6명을 여군 최초로 함정에 배치하였다.[4]

대한민국 해군대한민국 해병대 학사사관 후보생은 창원에 있는 해군사관학교에서 함께 임관하며, 훈련 프로그램은 별도로 운영된다.[6] 해병대 후보생은 포항에 있는 해병대 학교로 보내지고, 해군 후보생은 창원에 남는다.[6] 학사 학위를 취득한 현역 수병 또는 하사관도 OCS 프로그램에 지원할 수 있다.[6]

2. 3. 공군

공군사관후보생은 1948년 5월 14일 제1기 임관을 시작으로 1997년 2월 1일 99기 임관까지 약 25,000여 명의 장교를 배출하였다.[1] 1988년까지 대전에서 교육훈련을 받다가 1989년 85기부터 경상남도 진주시 소재 교육사령부 기본군사훈련단 장교교육대대(사관교육대)로 이전하여 교육훈련을 받았다.[1] 1년에 2차례, 대략 300~500명 정도가 장교로 임관된다.[1]

대한민국 공군의 학사사관후보생 과정(OTS)은 대한민국에서 인기 있고 경쟁률이 높은 장교 훈련 프로그램이다.[4] 공군 OTS는 방공군과 군사경찰을 위한 대다수의 후보생을 훈련시키며, 항공기 조종사도 훈련시키지만, 공군 조종사의 대부분은 공군사관학교 또는 공군 학군사관 프로그램 출신이다.[4]

3. 세계 각국의 학사사관

싱가포르의 장교 후보생 학교(OCS)는 SAFTI 군사 연구소 내에 있으며, 모든 계급의 장교를 훈련하는 주요 훈련소이다. OCS는 싱가포르군에서 장교가 되는 유일한 경로이며, 육군, 공군, 디지털 및 정보국, 해군의 장교를 훈련하는 4개 군 통합 기관이다. 친선 사관학교에서 훈련받는 장학생도 해외 훈련 전에 OCS의 2/3 과정을 완료하고 임관해야 한다.[1]

OCS 훈련 기간은 약 38주이다. 첫 과정은 모든 군에 적용되는 군사 지식(군사사, 군사법 포함)으로 구성되며, 이후 장교 후보생들은 적성 및 선호도에 따라 각 군에 배정되어 특화된 훈련을 받는다.[1]

3. 1. 미국

미국 군대에서 학사장교(OCS)는 대학 졸업자와 부사관, 병사 등을 대상으로 장교 임관을 위한 훈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6주에서 17주 동안 진행되며, 군사 과목, 체력 훈련, 리더십 훈련 등을 포함한다.[5]

미군에서 장교가 되는 방법은 OCS, 참모 임명, ROTC, 또는 5개의 연방 사관학교를 통하는 방법이 있다.

군별위치기간비고
미 육군 학사장교조지아 주 포트 무어12주군 복무 경험 유무 관계없이 지원 가능. 군 복무 경험 없는 지원자는 기초 전투 훈련 필요. 육군 방위군 학사장교 과정은 18개월 소요되는 "전통적" 방식과 8주 단축 프로그램 중 선택 가능.
미 해병대 학사장교버지니아주 해병대 기지 콴티코6주/10주미 해군사관학교 출신 제외 모든 해병대 장교는 OCS 훈련. 소대 지도자반(대학 재학 중 6주 과정 2회 또는 10주 과정 1회) 또는 장교 후보생 과정(대학 졸업 후 10주 과정 1회) 통해 입학. 해군 ROTC 생도 역시 6주 과정 이수.
미 해군 학사장교로드 아일랜드주 해군 기지 뉴포트13주2007년 가을 플로리다주 NAS 펜사콜라에서 이전.
미 공군 장교 훈련학교앨라배마주 맥스웰 공군 기지9주/5주/6주현역 공군 장교 위한 9주 과정(기초 장교 훈련, BOT), 군목/의사/변호사 등 위한 5주 과정(임관 장교 훈련, COT), 공군 주 방위군 위한 6주 과정(군사 과학 아카데미, AMS)
미 해안 경비대 학사장교코네티컷주 뉴런던 미국 해안 경비대 사관학교17주1998년 8월 이전에는 버지니아주 요크타운 해안 경비대 예비 훈련 센터 위치.



학사장교는 각 주 주 방위군에서도 운영된다. 주 방위군 학사장교를 통해 임관하는 군 장교는 해당 주 군법과 연방 법률에 의해 인정되는 군 임관을 받는다.

주로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가 지원 가능하지만, 학위가 없더라도 경험이 풍부한 부사관 등의 입교도 허용되는 경우가 있다. 해병대의 경우, 대학교 1학년 이상 재학생을 위한 소대장 과정과 대학교 4학년 또는 졸업자를 위한 사관후보생 과정이 있으며, 이 경우 학위 취득 없이 입교할 수 있다. 수료 기간은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2-3개월 정도이다.

3. 2. 영국

영국군의 초급 장교 훈련(IOT)은 영국 내 3개의 군사 학교 중 한 곳에서 진행되며, 각 학교는 군별로 특화되어 있다.[1]

영국 육군의 IOT는 '''샌드허스트 왕립 육군사관학교'''(RMAS)에서 진행된다.[1] 이 학교는 잉글랜드 버크셔주 샌드허스트 근처의 캠벌리에 위치하며, 런던에서 남서쪽으로 약 55km 떨어져 있다.[1] RMAS의 목표는 "리더십 분야의 국가 최고 센터"가 되는 것이다.[1] 이곳에서는 준사관 출신 늦은 진급 장교를 포함한 모든 영국 육군 장교뿐만 아니라 해외 군대 출신의 많은 남녀도 훈련을 받는다.[1] 샌드허스트에서 정규 장교의 표준 훈련 기간은 44주이다.[1]

영국 해군(RN)의 IOT는 데번주 다트머스에 있는 '''브리타니아 왕립 해군 대학'''(BRNC), 일명 '''HMS ''다트머스'''''(돌로 지은 군함)에서 진행되며, 영국 해병대(RM)의 IOT는 '''영국 해병대 특공대 훈련 센터'''(CTCRM)에서 수행된다.[1] 영국 공군(RAF) IOT는 RAF 크랜웰 공군 기지 내에 위치한 '''왕립 공군 대학 크랜웰'''(RAFC)에서 진행된다.[1] 샌드허스트와 마찬가지로 다트머스와 크랜웰에서도 다양한 외국 및 영연방 군대의 미래 장교들을 훈련시킨다.[1] 다트머스에서 진행되는 영국 해군 임관 과정은 30주이며, 영국 해병대 과정은 CTCRM과 BRNC에서 15개월 동안 진행된다.[1] 영국 공군 사관 생도는 RAFC에서 24주 과정을 거친다.[1]

3. 3. 호주

호주 육군 사관학교 - 포트시(OCS Portsea)는 1951년부터 1985년 말까지 호주 육군 장교를 훈련했다. OCS 포트시 폐쇄 이후, 모든 호주 육군 장교 훈련은 로열 밀리터리 칼리지, 던트룬(캔버라)에서 실시되었다.[1]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사관 훈련 부대, 셰이빌은 1965년부터 1972년 사이에 국민 징병자를 소위로 훈련하고 임관시키는 데 사용되었다.[2]

3. 4. 프랑스

프랑스는 에콜 폴리테크니크, 생시르 육군사관학교, 국립헌병 장교 학교, 해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등 다양한 장교 훈련 기관을 운영한다.[1]

3. 5. 독일

독일은 다음과 같은 장교 훈련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 육군 장교 학교(Offizierschule des Heeres) - 드레스덴
  • 공군 장교 학교(Offizierschule der Luftwaffe) - 뮌헨 근처 퓌르스텐펠브루크 공군 기지 (퓌르스텐펠브루크)
  • 뮐비크 해군 학교(Mürwik Naval School) - 플렌스부르크

3. 6. 미얀마

미얀마의 주요 장교 훈련 학교는 바투 장교 훈련 학교(Officers Training School, Bahtoo)이다.[3]

3. 7. 필리핀

필리핀에서 필리핀 군 장교 후보생 학교는 1930년대 필리핀 연방 법률 제1호, 일명 "필리핀 국방법"에 따라 설립된 '''예비 장교 위탁 학교'''(SRC)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필리핀 방어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필리핀 군인과 민간인 자원봉사자(예비군)를 위한 10년 훈련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필리핀 군의 주요 지상군으로 필리핀 육군을 창설했다. 그러나 10년 프로그램은 제2차 세계 대전이 태평양에서 발발하면서 중단되었고, 이후 ROSS 훈련은 중단되었다.

1940년대 미국이 필리핀을 해방한 후, 장교 후보생 학교가 설립되었다. 초기 훈련은 메트로 마닐라 파사이의 캠프 티니오, 방가드, 카바나투안 시, 누에바 에시하, 니콜스 공군 기지 및 포트 보니파시오에서 진행되었다. 이 훈련 과정을 졸업한 일부 졸업생들은 한국과 베트남에 파견되었다. 이후 OCS 훈련 장소는 1987년부터 2005년까지 27개 기수가 졸업한 캠프 카핀핀, 타나이, 리잘로 이전되었다. 수습 소위 및 수습 소위 계급의 장교 후보생은 필리핀 육군, 필리핀 경찰, 필리핀 공군, 필리핀 해군 및 기술 부대에서 정규 및 예비 장교로 임관되기 전에 12개월의 장교 후보생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1993년, OCS는 로열 브루나이군에서 두 명의 외국 장교 후보생을 받아들였다. 1994년에는 5명의 여성 장교 후보생이 졸업하여 필리핀 군 최초의 여성 장교가 되었다. 일부 필리핀 장교 후보생은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영국으로 훈련을 받으러 가기도 했다. 오늘날, 필리핀 군의 육군, 공군, 해군은 각각 자체 장교 훈련을 실시한다.

필리핀 육군 사관 후보생들이 2013년 4월 6일 필리핀 캠프 오도넬에서 발리카탄 2013 훈련 중 열병식에서 행진하고 있다.


훈련 및 교리 사령부(TRADOC), 필리핀 육군, 바랑가이 위치. 산타 루시아, 카파스, 타를락, 필리핀

3. 8. 싱가포르

싱가포르의 '''장교 후보생 학교'''(OCS)는 SAFTI 군사 연구소 내에 위치하며, 모든 계급의 장교를 훈련하는 주요 훈련소 역할을 한다. OCS는 싱가포르군에서 장교가 되는 유일한 경로이다. 육군, 공군, 디지털 및 정보국, 해군의 장교를 훈련하는 4개 군 통합 기관이다. 친선 사관학교에서 훈련을 받기 위해 장학금을 받는 일부 후보생조차도 해외에서 추가 훈련을 받기 전에 OCS의 2/3 과정을 완료하고 임관을 받아야 한다.[1]

OCS 훈련 기간은 약 38주이다. 첫 번째 과정은 모든 군에 적용되는 군사 지식(군사사, 군사법 포함)으로 구성된다. 이후 장교 후보생들은 적성 및 개인적 선호도에 따라 각 군으로 배정되어 해당 군에 특화된 훈련을 받는다.[1]

3. 9. 일본

일본 자위대에서는 간부 자위관을 양성하기 위해 간부 후보생 학교를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에 각각 설치하고 있다.[7][8]

  • 육상자위대 간부 후보생 학교
  • 해상자위대 간부 후보생 학교
  • 항공자위대 간부 후보생 학교


입교자는 대졸이나 석·박사 학위 취득자의 경우 방위대학교, 방위의과대학교, 일반 대학교(4년제 대학교 포함) 졸업자이고, 고졸이나 전문대 졸업 정도이면 육조 항공 조종 학생, 항공 학생, 3위 후보자 과정, 간부 예정자 과정, 부대 내 선발에 뽑힌 대원 등이다.

입교 중에는 자위관으로서 조장 또는 준위의 계급을 가진다.

참조

[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Australian Military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Australian Military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urma (Myanmar) Scarecrow Press 2006-08-21
[4] 웹사이트 Government Report Examines FEDREC Process https://www.ngaus.or[...]
[5] 웹사이트 High Honors for Cal Guard's OCS Class of 2017 https://www.dvidshub[...]
[6] 문서 U.S. Army Signal Corps OCS Association; ArmySignalOCS.com
[7] 문서 3尉候補者、幹部予定者などの現役曹長よりも幹部候補生たる曹長が上位であるが、准幹部(准尉)の下位である。
[8] 문서 [[3尉候補者課程]]と幹部予定者課程のみ。
[9] 뉴스 학사장교 출신 공직 새 파워엘리트 인맥 부상 http://www.seoul.co.[...] 서울신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