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인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인왕후는 조선 선조의 왕비로, 1555년에 태어나 1600년에 사망했다. 박응순과 완산부부인 이씨의 딸로 태어났으며, 세종과 한확을 공통 조상으로 한다. 1569년 선조와 혼인하여 왕비가 되었으나, 자녀를 두지 못했다. 임진왜란 중에는 광해군을 보살폈으며, 1600년 46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의 목릉에 선조와 함께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55년 출생 - 이복남
이복남은 1555년 강원도 명주 출신으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활약하다 남원성 전투에서 전사한 조선 중기의 무관이다. - 1555년 출생 - 고니시 유키나가
고니시 유키나가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활동한 일본 다이묘이자 장군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에서 임진왜란에서 선봉장으로 활약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 후 참수당했다. - 1600년 사망 - 조르다노 브루노
조르다노 브루노는 16세기 이탈리아 철학자, 수학자, 점성술사, 시인으로서, 혁신적인 무한 우주론과 다원 우주론을 주장하다 가톨릭교회로부터 이단으로 규정되어 화형당했으나, 그의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치며 사상의 자유의 상징이 되었다. - 1600년 사망 - 안코쿠지 에케이
안코쿠지 에케이는 아키 다케다씨 출신으로 모리 씨의 외교를 담당하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급부상을 예측하고 귀순을 중재, 이요 국에서 6만 석의 영지를 받았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가담하여 처형당한 승려이자 정치적 수완가이다. - 조선의 왕비 -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의 황후로, 황태자비 책봉 후 순종 즉위와 함께 황후가 되었으나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이왕비로 격하되었고, 순종 사후에는 대비로 불리다 한국 전쟁 중 창덕궁을 지키고 말년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낙선재에서 지내다 심장마비로 사망 후 유릉에 합장되었다. - 조선의 왕비 - 명성황후
명성황후는 1851년 민치록의 딸로 태어나 고종의 왕비가 되었으며, 개화 정책을 추진하고 외세의 개입을 겪었으며, 을미사변으로 시해된 후 명성태황후로 추존되었다.
의인왕후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의인왕후 |
한자 표기 | 懿仁王后 |
로마자 표기 | Uin Wanghu |
성씨 | 반남 박씨 |
본관 | 반남 박씨 |
출생일 | 1555년 5월 5일 |
사망일 | 1600년 8월 5일 |
사망 장소 | 조선 한성부 정릉동 행궁 |
묘소 | 목릉 |
묘소 위치 |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 |
시호 | 장성휘열정헌경목의인왕후 |
재위 | |
재위 기간 | 1569년 12월 8일 ~ 1600년 8월 5일 |
재위 기간 (음력) | 1569년 11월 1일 ~ 1600년 6월 27일 |
유형 | 왕비 |
전임자 | 인순왕후 |
후임자 | 인목왕후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박응순, 반성부원군 |
어머니 | 완산부부인 전주 이씨 |
배우자 | 선조 |
혼인 | 1569년 |
기타 | |
존호 | 장성(章聖) |
휘호 | 휘열정헌경목(徽烈貞憲敬穆) |
![]() |
2. 생애
1555년 판성부원군 박응순과 완산부부인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569년, 14세의 나이에 세 살 위인 선조에게 시집가 왕비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남편 선조는 후궁인 공빈 김씨와 인빈 김씨를 총애하였고, 선조 자신도 병약했기 때문에 자녀를 얻지 못했다.
1572년 친잠례를 거행하였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선조는 인빈만을 데리고 의주로 피난하였고, 의인왕후는 선조와 떨어져 평안도 강계로 피난을 떠났다. 전란 중 광해군이 왕세자로 책봉되자, 그의 모후이자 후견인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선조는 다시 인빈을 데리고 피난을 떠났고, 의인왕후는 광해군과 함께 피난길에 올랐다. 잦은 피난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1600년 8월 5일, 한양 경운궁(덕수궁)에서 4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능은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에 있는 목릉이며, 남편 선조와 함께 안장되어 있다.[3]
2. 1. 탄생과 가계
1555년(명종 10년) 4월 15일, 아버지 반성부원군 박응순과 어머니 완산부부인 이씨[5]의 딸로 태어났다.의인왕후의 외할아버지인 문천정 이수갑은 세종의 여덟째 왕자인 계양군의 증손자이다. 또한 계양군의 부인인 정선군부인 한씨는 소혜왕후의 언니이기 때문에 의인왕후와 선조는 세종과 한확을 공통 조상으로 한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세종과의 관계 !! 한확과의 관계
|-
|
||
한확 | → 정선군부인 → | 영원군 → | 도안군 → | 이수갑 → | 완산부부인 → | 의인왕후 |
|}
의인왕후의 할아버지 박소(1493~1534)는 1519년(중종 14)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사헌부 지평 등을 지냈으나 권신 김안로가 권력을 전횡하여 사람들이 화를 입자 합천으로 낙향했다. 그러나 그의 아들 5명과 손자 17명은 모두 학식과 덕행이 뛰어났기에 존경을 받았다. 박소의 장남 박응천은 세자의 스승이 되었고, 차남 박응순은 선조의 장인이 되고 삼남과 사남 모두 문과급제하여 참판까지 올랐기에 아들 대에 반남 박씨는 조선의 주요 가문이 되었다.[6]
의인왕후의 아버지 박응순은 문과에 낙방하였지만 의금부도사로 특채된 후 사헌부 감찰 등을 지냈고, 딸이 선조의 왕비가 되자 반성부원군에 봉해져 도총부 도총관 등을 지냈다. 그러나 항상 몸가짐을 조심하여 그가 국구(國舅, 왕의 장인)임을 모르는 자들이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6]
2. 2. 왕비 시절
1569년(선조 2년), 왕비로 책봉되었다.[7] 왕실의 웃어른인 인성왕후와 인순왕후를 예를 다하여 섬겼으며 후덕한 인품을 지녔으나 선조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지 못했다. 이런 이유로 자식의 생산을 기원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 원찰(願刹)을 설치하였고 건봉사와 법주사 등을 비롯한 여러 사찰에 자주 재물을 베풀었다.[3] 1572년(선조 5년), 친잠례를 거행하였다.1577년(선조 10년), 선조의 총애를 받던 후궁인 공빈 김씨가 산후병으로 죽자, 공빈의 두 아들인 임해군과 광해군의 어머니가 되어 이들을 보살폈다. 공빈이 죽은 후에는 선조의 모든 총애가 인빈 김씨에게 기울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선조는 인빈만을 데리고 숙천과 영유현을 거쳐 의주로 파천하였고[8], 의인왕후는 선조와 떨어져 평안도 강계로 피난을 떠났다. 이후 한양이 수복되자 선조는 인빈을 데리고 한양으로 돌아왔지만 의인왕후는 여전히 해주에 머물렀다.
전란 중 왕세자에 책봉된 광해군의 모후이자 후견인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였다. 1593년(선조 26년), 선조가 선위 파동을 일으키자 광해군이 단식으로 맞섰고, 의인왕후는 광해군에게 죽을 먹을 것을 권하였다.[9]
1594년(선조 27년), 의인왕후는 해주의 굶주리는 백성들을 구휼하라고 전교를 내렸다.[10] 또한 농사철이므로 해주 백성들의 사역 또한 금지할 것을 전교하였다.[11] 1595년(선조 28년), 사간원과 승정원의 대신들이 해주에 머물고 있는 의인왕후를 도성으로 환어할 것을 청하였으나 선조는 윤허하지 않고 미적지근한 반응을 보였다.[12] 이후 재차 의인왕후의 환어를 청하자 허락하였다. 11월 22일, 도성을 떠난지 3년 8개월여만에 환도하여 대신들의 문안을 받았다.
1597년(선조 30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이번에도 선조는 인빈을 데리고 피난을 떠났고, 의인왕후는 광해군과 함께 피난길에 올라 황해도 수안에 머물렀다.
2. 3. 사망
懿仁王后중국어는 1600년(선조 33년) 6월 24일, 불면증, 식욕 부진, 구토, 숨 가쁨, 가래 끓는 소리 등의 증상을 앓았다. 6월 27일 증세가 위급해져 사망했다.[13] 선조는 비망기를 내려 의인왕후를 칭송하였다.[14]임진왜란 이후 선조는 의주로 피난하며 인빈 김씨와 왕비를 대동했다. 그러나 왕비는 피난길에 낙오되어 평안도와 평안남도의 벼랑섬으로 피신했다. 선조와 인빈 김씨는 수도로 복귀했지만, 왕비는 1597년까지 해주에 머물렀다.
2차 침략 때 선조는 다시 인빈 김씨와 피난했고, 왕비는 광해군과 함께 피난했다. 잦은 이동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자녀 없이 45세로 사망했고, 사후 의인왕후로 추존되었다.
懿仁王后중국어 박씨는 1600년 8월 5일 서울특별시 경운궁(덕수궁)에서 46세로 세상을 떠났다.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의 목릉에 남편 선조와 함께 안장되어 있다.
2. 4. 존호와 시호, 능묘
1590년(선조 23년), 장성(章聖)의 존호가 올려졌다. 1604년(선조 37년)에는 휘열(徽烈), 1610년(광해군 2년)에는 정헌(貞憲)을, 1892년(고종 29년)에는 경목(敬穆)의 휘호가 추상되었다. 시호는 '''의인'''(懿仁)이다. 존호와 휘호, 시호를 모두 합친 정식 시호는 '''장성휘열정헌경목의인왕후'''(章聖徽烈貞憲敬穆懿仁王后)이다.능은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에 있는 목릉으로, 동원이강릉 형식으로 한 권역 내에 선조와 의인왕후, 계비인 인목왕후가 따로 묻혀 있다. 의인왕후의 능호는 원래 유릉(裕陵)으로 조성되었으나 선조의 목릉을 의인왕후의 능 북쪽으로 이장하면서 유릉을 목릉으로 고쳐 한 권역 내에 속하게 되었다.[3]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조부 | 박소(朴紹) | 1493년 | 1534년 | |
조모 | 정경부인 남양 홍씨 | ? | 1578년 | |
부친 | 박응순 | 1526년 | 1580년 | 반성부원군(潘城府院君) |
외조부 | 이수갑(李壽甲) | 1495년 | 1568년 | 문천정(文川正), 계양군의 증손 |
외조모 | 광산 김씨 | ? | ? | 김극핍(金克愊)의 5녀 |
모친 | 이수(李壽) | 1528년 | 1595년 | 완산부부인(完山府夫人) |
오빠 | 박동언(朴東彦) | 1553년 | 1605년 | |
남편 | 선조 | 1552년 | 1608년 | |
양자 | 광해군 | 1575년 | 1641년 |
의인왕후는 세종과 한확을 공통 조상으로 하여 선조와 먼 친척 관계였다.[5]
의인왕후의 할아버지 박소는 1519년(중종 14)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사헌부 지평 등을 지냈으나, 권신 김안로의 전횡으로 사람들이 화를 입자 합천으로 낙향했다. 그러나 그의 아들 5명과 손자 17명은 모두 학식과 덕행이 뛰어나 존경을 받았다. 박소의 장남 박응천은 세자의 스승이 되었고, 차남 박응순은 선조의 장인이 되었으며, 삼남과 사남 모두 문과에 급제하여 참판까지 올랐기에, 아들 대에 반남 박씨는 조선의 주요 가문이 되었다.[6]
의인왕후의 아버지 박응순은 문과에 낙방하였지만 의금부도사로 특채된 후 사헌부 감찰 등을 지냈고, 딸이 선조의 왕비가 되자 반성부원군에 봉해졌다. 그는 도총부 도총관 등을 지냈으나 항상 몸가짐을 조심하여, 그가 국구(왕의 장인)임을 모르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6]
4. 관련 작품
참조
[1]
서적
Recording State Rites in Words and Images: Uigwe of Joseon Kore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4-03-05
[2]
서적
The King at the Palace: Joseon Royal Court Culture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https://books.google[...]
Designintro
2016-01-01
[3]
학술지
Buddhist Practitioner and Artist: The Dual Identity of Buddhist Monk Painters during the Joseon Dynasty
http://www.ijkaa.org[...]
2023
[4]
백과사전
의인왕후 [懿仁王后]
두산백과
[5]
문서
선원록 - 세종 자손록
[6]
서적
왕의 하루
김영사
2012
[7]
사료
선조수정실록 3권, 선조 2년(1569년 명 융경(隆慶) 3년) 11월 1일 (경오)
[8]
사료
선조수정실록 27권, 선조 26년(1593년 명 만력(萬曆) 21년) 2월 1일 (병술)
[9]
사료
선조실록 34권, 선조 26년(1593년 명 만력(萬曆) 21년) 1월 29일 (갑신)
[10]
사료
선조실록 47권, 선조 27년(1594년 명 만력(萬曆) 22년) 1월 21일 (경자)
[11]
사료
선조실록 49권, 선조 27년(1594년 명 만력(萬曆) 22년) 3월 20일 (무술)
[12]
사료
선조실록 68권, 선조 28년(1595년 명 만력(萬曆) 23년) 10월 20일 (기미)
[13]
사료
선조실록 126권, 선조 33년(1600년 명 만력(萬曆) 28년) 6월 27일 (무술)
[14]
사료
선조실록 127권, 선조 33년(1600년 명 만력(萬曆) 28년) 7월 9일 (경술)
[15]
문서
명덕황후 마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