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족은 인도유럽어족의 이탈리아어군에 속하는 민족언어 집단으로, 고대 이탈리아 반도에 거주하며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형성했다. 기원전 500년경 로마가 이탈리아 반도를 통일하면서 라틴 문화를 중심으로 로마화가 진행되었다. 이탈리아족은 언어에 따라 라틴-팔리스크어군과 오스크-움브리아어군으로 분류되며, 라틴족, 오스크족, 움브리아족, 사비니족 등이 포함된다.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고대 라틴족은 스텝 혈통을 가지고 있었으며, 에트루리아인 및 원시 빌라노바 집단과 유전적으로 유사했다. 이탈리아족은 연극 등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족 - 라틴족
라틴족은 기원전 1000년경 이탈리아 라티움 지역에 정착한 인도유럽계 민족으로, 라틴어를 사용하며 라티알 문화를 형성하고 도시국가를 건설, 공동 종교 의례를 통해 동족 의식을 유지했고, 로마 건국 신화의 기원이 되었으며, 로마 제국 팽창과 함께 라틴어는 로망스어군의 기반이 되었다.
| 이탈리아족 |
|---|
2. 역사
이탈리아 민족이 원시 인도유럽인에서 분화되어 게르만족, 켈트족, 슬라브족 등과 다른 문화 집단으로 갈라져 간 과정은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그들은 원시 인도유럽인의 민족 대이동으로 유럽 대륙에 진출하여 알프스 산맥과 포 강을 넘어 아페닌 산맥으로 이동했다. 그곳에서 여러 집단으로 나뉘어 도시, 국가, 문명권을 형성했고, 아페닌 산맥 주변 반도는 이탈리아 반도로 불리게 되었다. 이탈리아계 민족은 점차 남하하여 반도 전역과 시칠리아 섬 등 도서부까지 세력을 넓혔다.[30] 이 지역은 오늘날의 중부 이탈리아 및 남부 이탈리아와 겹친다.
기원전 500년경부터 라틴족의 국가 로마는 급속히 영토를 확대하여 여러 전쟁을 통해 이탈리아 민족을 통일했다. 고대 로마는 에트루리아인과 켈트계 민족과의 싸움을 거쳐 이탈리아 반도를 중심으로 한 세계 제국으로 성장했다.
2. 1. 동기 시대 (기원전 4000년기~기원전 3000년기)
금속기 시대인 구리 시대 동안, 금속 세공이 나타난 것과 동시에 인도유럽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이 여러 차례에 걸쳐 이탈리아로 이주한 것으로 여겨진다.[3] 이러한 이주와 관련된 문화는 북이탈리아와 중부 이탈리아의 레메델로 문화와 리날도네 문화, 그리고 남부 이탈리아의 가우도 문화이다.[3] 이 문화들은 전사 귀족 계층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침입적인 성격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3] 무덤에서 무기의 존재, 이 시기에 이탈리아에 말의 출현, 그리고 중앙 유럽 문화와의 물질적 유사성은 이들의 인도유럽어적인 특성을 시사한다.[3]

데이비드 W. 앤서니에 따르면, 기원전 31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얌나 문화의 원시 인도유럽인들이 다뉴브강 계곡으로 대규모 이주를 했다. 수천 개의 쿠르간이 이 사건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이주는 아마도 원시 이탈리아어, 원시 켈트어, 그리고 원시 게르만어를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분리했을 것이다.[4]
2. 2. 초기 및 중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3000년기~기원전 1500년기)
데이비드 W. 앤서니에 따르면, 기원전 3100년에서 3000년 사이에 얌나야 문화에서 비롯된 인도유럽인의 대규모 이주가 다뉴브강 유역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원시 이탈리아어, 원시 켈트어, 원시 게르만어 등이 분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5][4] 이 시기에 아나톨리아인들과 토하라인들은 이미 다른 인도유럽인들에게서 분리된 상태였다.[36][5]수명 (Hydronym, 水名) 연구에 따르면 원시 게르만인들의 본거지는 중부 독일이었으며, 이는 이탈리아어와 켈트어의 본거지와 매우 가까운 곳이었다.[37][6] 이탈리아어, 켈트어, 게르만어 사이의 유사성을 설명하기 위해 "이탈리아-켈트어" 가설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 가설에 따르면, 이들 언어의 조상은 오늘날의 동부 헝가리 지역에서 발견되는 얌나야 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기원전 3100년경에 정착했다. 베이즈 추론을 이용한 연구에 따르면, 원시 이탈리아어 화자들은 약 5,500년 전, 즉 청동기 시대 초기쯤에 원시 게르만어 화자들로부터 분리되었다.[38][7] 이는 게르만어파가 켈트어파보다 이탈리아어파와 더 많은 어휘를 공유한다는 사실로 뒷받침된다.[39][8]
기원전 3천년기 말에서 기원전 2천년기 초, 이베리아반도에서 온 부족들이 비커 문화[40]와 청동기 주조법을 포강 유역, 토스카나, 사르데냐와 시칠리아 해안에 전파했다. 비커 문화는 헝가리 대평야의 얌나야 방언을 오스트리아와 바이에른으로 가져온 연결고리였을 수 있으며, 이 방언들은 이후 원시 켈트어로 발전했을 수 있다.[44][15] 일부 문헌에서는 인도유럽인의 이탈리아 도착을 비커 문화인들의 도달과 연관짓기도 한다.[32][1]
기원전 1800년경, 초기 인도유럽인들이 동중유럽에서 알프스산맥을 넘어 이탈리아로 이주한 것으로 여겨진다.[41][42][10][11]
기원전 2천년경 중반에 테라마레 문화가 포강 유역에서 발달했다.[43][14] 테라마레 문화는 정착지 언덕의 검정 토양 유기물(''terra marna'')에서 이름이 유래했으며, 오랫동안 지역 농부들의 비료 요구를 충족시켜 왔다. 테라마레 문화인들은 사냥, 가축 사육, 야금술, 농업(콩, 덩굴 식물, 밀, 아마 경작) 등에 능숙했다. 라틴-팔리스크인들이 이 문화권과 연관지어지며, 특히 고고학자 루이지 피고리니가 이 학설을 주장한다.[34][3]
2. 3. 후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1500년기~기원전 1000년기)
언필드 문화는 헝가리에 있던 "이탈리아-켈트족" 부족들 가운데 원시 이탈리아족들을 이탈리아로 이끌었을지도 모른다.[44] 이 부족들은 기원전 제2천년기 후기에 원시 빌라노바 문화를 거쳐, 동쪽에서 이탈리아로 침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44] 이들은 이후에 아펜니노산맥을 건너 라티움을 포함한 중부 이탈리아에 정착했다. 기원전 1000년기 이전에, 몇몇 이탈리아족들은 아마 이탈리아에 들어왔을 것이다. 이들은 다양한 집단으로 나뉘었고 서서히 중부 이탈리아와 남부 이탈리아에 자리잡았다.[42] 이 시기는 바다 민족의 출현과 후기 청동기 시대의 붕괴를 포함한, 지중해의 만연한 대변동이 특징이었다.[45]원시 빌라노바 문화는 이탈리아 반도를 장악했고 이전의 아펜니노 문명을 대체했다. 원시 빌라노바 문화인들은 화장을 치렀고 죽은 자들의 유해를 독특한 이중 원추 모양의 토기 단지에 매장했다. 원시 빌라노바 문화의 정착지들은 베네토에서 시칠리아 동부에 이르는 이탈리아반도 전역에 세워졌으며, 이탈리아 중부와 북부에 다수가 있다. 발굴된 주요한 정착지들에는 베네토 지역의 프라테시나, 에밀리아로마냐 지역의 비스만토바, 로마 북부의 몬티델라톨파 인근이 있다. 베네티인들이 이 문화와 연관되어 있으며, 라틴-팔리스크족이며, 오스크-움브리아인일 수도 있다.
기원전 13세기에, 오늘날 스위스, 동부 프랑스, 남서부 독일 지역에서 이주해온 원시 켈트인 (레폰티족들의 선조들로 추정)들이 북부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및 동부 피에몬테)에 진입했고, 카네그라테 문화를 형성했으며, 이들은 얼마 안 있어 토착민들인 리구리아인들을 합병하여 골라세카 문화를 만들어냈다.
2. 4. 철기 시대 (기원전 1000년기~기원전 1세기)
철기 시대 초, 철 가공술 도입과 독특한 토기에 유해를 매장하는 화장 풍습이 특징인, 알프스 오스트리아의 켈트족계 할슈타트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된 원시 빌라노바 문화 (기원전 1200-900년)는 분열과 지역화 과정을 보여주었다. 토스카나, 에밀리아로마냐 일부, 라티움, 캄파니아에서는 원시 빌라노바 문화가 빌라노바 문화로 이어졌다. 빌라노바 문화의 초기 흔적은 기원전 9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테베레강 남쪽(''Latium Vetus'')에서는 라틴족의 라티알 문화가, 이탈리아반도 북동쪽에서는 베네티족의 에스테 문화가 나타났다. 비슷한 시기, 이탈리아 중부(오늘날 움브리아와 사비나 지역)의 오스키족-움브리족들은 베르 사크룸 의례를 통해 남부 라티움, 몰리세, 이탈리아반도 남부 절반에 걸쳐 식민지를 전파하며 여러 방향으로 이주했고, 오피키족, 오에노트리아족 등 이전 민족들을 대체했다. 이 이동은 켈트계 할슈타트와 라텐 문화와 유사성이 큰 테르니 문화 출현과 일치한다.[46] 기원전 1000년 테르니의 움브리족 네크로폴리스는 골라세카 문화의 켈트족 네크로폴리스와 모든 면에서 동일하다.[47]
기원전 500년경부터 라틴족 국가 로마는 급속히 영토를 확대, 여러 전쟁을 통해 이탈리아 민족을 통일했다. 고대 로마는 에트루리아인 등 원시 인도유럽인에 속하는 켈트계 민족과 싸우며 이탈리아반도를 중심으로 한 세계 제국으로 성장했다.
2. 5. 고대 시대 (기원전 1000년기 중반~기원후 5세기)
기원전 1천년기 중반쯤, 로마의 라틴족들은 힘과 영향력을 키우고 있었다. 이 성장은 고대 로마 문명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비이탈리아족 및 에트루리아인들과 맞서 싸우기 위해, 몇몇 이탈리아 부족들은 라틴 동맹을 결성했다. 라틴족들이 에트루리아 지배에서 벗어난 후, 라틴족들은 이탈리아 부족들 사이에서 지배적 위치를 차지했다. 여러 이탈리아족들 간의 잦은 분쟁들이 이어졌는데, 이 분쟁들 중 잘 기록된 것이 라틴족과 삼니움족 간의 삼니움 전쟁이었다.[32]라틴족들은 마침내 이탈리아족들을 통합해내는 데 성공한다. 많은 비 라틴족 및 이탈리아족들은 라틴족의 문화를 받아들였고 로마 시민권을 얻었다. 이 시기 동안에 이탈리아족 식민지들이 이탈리아 전역에 세워졌고, 비이탈리아족들도 결국엔 로마화라 알려진 과정에서 라틴족의 언어와 문화를 받아들였다.[42] 기원전 1세기 초, 몇몇 부족들, 특히 마르시족 및 삼니움족들은 로마의 지배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다. 이 분쟁은 사회 전쟁이라 불린다. 로마의 승리가 확실해진 뒤, 포 계곡의 켈트족을 제외한, 이탈리아의 모든 민족들이 로마 시민권을 부여받았다.[32]
3. 분류
이탈리아족은 인도유럽어족의 한 갈래인 이탈리아어파 언어를 사용한 민족언어 집단이다.
전문적인 언어학 문헌 외에, 이 용어는 에트루리아인과 라이티인같이 인도유럽어를 사용하지 않았던 로마 이전의 민족들을 포함한, 모든 이탈리아의 고대 민족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32] 이런 분류법은 언어학에서는 부적절하지만, 고대 및 오늘날 역사학에선 흔하게 사용된다.[33]
이탈리아족은 크게 라틴-팔리스크족과 오스크-움브리아족으로 나뉜다.
3. 1. 라틴-팔리스크어군
3. 2. 오스크-움브리아어군
이탈리아어파의 한 갈래인 오스크-움브리아족은 사벨리족이라고도 불렸으며 이탈리아 중남부에 거주했다.| 계통 | 지역 | 부족 |
|---|---|---|
| 움브리아계 | 이탈리아 중부 | 마르시족, 움브리아족, 볼스키족 |
| 오스크계 | 이탈리아 중부·남부 | 마루키니족, 오스크족(아우룬키족, 아우소네족, 캄파니아족, 시비시니족), 파엘리그니족, 사비니족[31] |
| 사무니움계 (언어적으로는 오스크어를 사용) | 브루티족, 프렌타니족[31], 루카니족, 사무니움족(펜트리족, 카라케니족, 카우디니족, 히르피니족) | |
| 기타 (언어적으로는 오스크어를 사용) | 아에쿠이족, 피데나이족, 헤르니키족, 피케니족, 베스티니족 |
4. 유전학
2019년 11월 사이언스에 발표된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기원전 900년에서 기원전 200년 사이 로마 근처에 매장된 라틴 남성 6명의 유해를 조사한 결과, 이들은 부계 하플로그룹 R-M269, R-311, R-PF7589, R-P312와 모계 하플로그룹 H1aj1a, T2c1f, H2a, U4a1a, H11a, H10을 가지고 있었다.[30] 이전 원-빌라노반 문화의 여성은 모계 하플로그룹 U5a2b를 가지고 있었다. 이 조사된 개인들은 이탈리아의 이전 집단과 약 25-35%의 스텝 조상의 존재로 구별되었다. 라틴족, 에트루리아인, 그리고 이탈리아의 이전 원-빌라노반 집단 간의 유전적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5. 문화

에트루리아인을 비롯한 이탈리아 민족은 이미 연극 문학의 형태를 발전시켰다.[28] 리비우스가 언급한 전설에 따르면, 처음에 로마에 역병이 돌았을 때 에트루리아 역사가들의 요청이 있었다고 한다. 로마 역사가들은 대 그리스와 그 연극 전통과의 접촉 이전에 그리스 연극으로부터 기원했다는 것을 부정했다. 에트루리아 극장에 대한 건축 및 예술적 증거는 없다.[28] 바르와 같은 매우 늦은 자료에서 에트루리아어로 비극을 쓴 볼니오라는 인물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
삼니테인들 또한 아텔라 파스 코미디와 같이 로마 극작술에 많은 영향을 미친 독창적인 표현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몰리세의 피에트라본단테 극장과 로마인들이 그 위에 자신들의 극장을 건설한 노체라 수페리오레 극장과 같은 몇몇 건축적 증거도 남아있다.[29] 피에트라본단테와 노체라의 삼니테 극장 건설은 그리스 극장의 건축적 기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Ancient Italic people | Etruscans, Latins, & Samnit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웹사이트
Anatolien war nicht Ur-Heimat der indogermanischen Stämme
http://www.eurasisch[...]
eurasischesmagazin
2016-07-20
[7]
간행물
Language evolution and human history: what a difference a date makes, Russell D. Gray, Quentin D. Atkinson and Simon J. Greenhill (2011)
http://rstb.royalsoc[...]
2011-04-12
[8]
웹사이트
A Grammar of Proto-Germanic, Winfred P. Lehmann Jonathan Slocum
http://folksprak.org[...]
[9]
서적
The prehistory of Britain and Ire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Italic languages: Origins of the Italic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18-07-10
[11]
웹사이트
History of Europe: Romans
https://www.britanni[...]
2018-07-10
[12]
서적
L'Italia nell'età del bronzo e del ferro : dalle palafitte a Romolo (2200-700 a.C.)
https://www.worldcat[...]
Carocci
2010
[13]
서적
Les Indo-Européens histoire, langues, mythes
https://www.worldcat[...]
Payot
1995
[14]
간행물
New research on the terramare of northern Italy
1998-12-01
[15]
서적
[16]
서적
[17]
웹사이트
Le grandi avventure dell'archeologia (I misteri delle civiltà scomparse) - Libro Usato - Curcio - {{!}} IBS
https://www.ibs.it/g[...]
2023-01-08
[18]
서적
Art and Archaeology of Ancient Rome
Midnight Marquee Press, Incorporated
[19]
서적
Bronze Age Cultur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20]
서적
La grande storia dei celti. La nascita, l'affermazione e la decadenza
Newton & Compton
[21]
서적
Il territorio comasco dall'età della pietra alla fine dell'età del bronzo
Società Archeologica Comense
[22]
서적
The Celts
Thames and Hudson
[23]
서적
Old Celtic Languages
http://www.univie.ac[...]
[24]
서적
San Giorgio su Legnano – storia, società, ambiente
[25]
서적
Lungo il fiume. Terre e genti nell'antica valle dell'Olona
Teograf
1998
[26]
서적
La necropoli delle Acciaierie di Terni: contributi per una edizione critica
[27]
서적
Carsulae svelata e Terni sotterranea
Associazione Culturale UMRU - Terni
[28]
웹사이트
Storia del teatro: lo spazio scenico in Toscana
https://brunelleschi[...]
2022-07-28
[29]
웹사이트
La fertile terra di Nuceria Alfaterna
https://riscoprendol[...]
2022-07-28
[30]
웹사이트
history of Europe : Romans
http://www.britannic[...]
2012-10-28
[31]
문서
Strabo V, 250
[32]
서적
[33]
URL
https://www.britanni[...]
[34]
서적
[35]
서적
[36]
인용
Anthony
2007
[37]
웹인용
Anatolien war nicht Ur-Heimat der indogermanischen Stämme
http://www.eurasisch[...]
eurasischesmagazin
2016-07-20
[38]
웹인용
Language evolution and human history: what a difference a date makes, Russell D. Gray, Quentin D. Atkinson and Simon J. Greenhill (2011)
http://rstb.royalsoc[...]
[39]
웹인용
A Grammar of Proto-Germanic, Winfred P. Lehmann Jonathan Slocum
http://folksprak.org[...]
[40]
서적
The prehistory of Britain and Ire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41]
웹인용
Italic languages: Origins of the Italic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18-07-10
[42]
웹인용
History of Europe: Romans
https://www.britanni[...]
2018-07-10
[43]
저널
New research on the terramare of northern Italy
1998-12-01
[44]
인용
Anthony
2007
[45]
인용
Waldman
2006
[46]
서적
La necropoli delle Acciaierie di Terni: contributi per una edizione critica
[47]
서적
Carsulae svelata e Terni sotterranea
Associazione Culturale UMRU - Ter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