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리 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리 조약은 1881년 러시아와 청나라 사이에 체결된 조약으로, 1871년 러시아가 점령했던 일리 지역의 반환 문제를 다루었다. 둔간 반란과 야쿱 벡의 난으로 혼란스러웠던 신장 지역에서 러시아는 일리 지역을 점령했으나, 청나라의 반발과 재협상 끝에 일리 조약을 체결하여 해당 지역 대부분을 반환했다. 이 조약으로 청나라는 신장 지역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고 군사력을 증강했으며, 현재의 카자흐스탄-중국 국경이 확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일리 조약
조약 정보
조약 이름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
다른 이름이리 조약
종류불평등 조약
서명일1881년 2월 24일 (구력 1881년 2월 12일)
서명 장소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서명 당사자쩡지쩌 (청나라)
니콜라이 기르스 와 예브게니 부초프 (러시아 제국)
조약 당사국
국가청나라
러시아 제국
조약 내용
이리 지역 반환이리 동쪽 지역은 청나라에 반환한다.
이리 서부 할양호르고스 강 서쪽의 이리 서부 지역은 러시아에 할양한다.
배상금배상금 900만 루블을 러시아에 지불한다.
영사관 설치쑤저우와 투르판에 러시아 영사관을 설치한다.

2. 배경

19세기 중반, 중앙아시아에서는 대영 제국러시아 제국이 패권을 다투는 이른바 "그레이트 게임"이 벌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국제 정세 속에서 신장 지역에서는 둔간 반란(회민 봉기)이 일어나는 등 혼란이 계속되었다. 1864년 쿠처에서 호자(Khoja) 가문의 봉기가 발생했고, 인근 코칸트 칸국에서 파견된 장군 야쿱 벡이 이를 진압한 후 이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러시아의 투르케스탄 정복이 진행되면서 러시아는 현재의 중국 국경까지 동카자흐스탄을 장악했다. 러시아는 둔간 반란으로 혼란스러운 틈을 타 1871년 일리 지역을 점령했다.[3] 러시아는 1851년 청나라와 체결한 일리 통상 조약을 통해 일리 지역에서 자유 무역, 거주권, 영사권 등의 특권을 인정받았으나, 야쿱 벡의 신장 침입으로 통상 조약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거주민 보호를 명목으로 점령을 감행한 것이었다.[8]

청나라는 러시아에 일리 지역 반환을 요구했고, 러시아는 이 지역의 질서 회복을 조건으로 반환에 응하겠다고 답했다. 이후 청나라는 쭤쭝탕을 파견하여 1876년부터 신장 지역 회복에 나섰고, 1878년에는 동투르키스탄을 완전히 재정복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나라는 러시아와 일리 지역 반환 협상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숭후가 협상 대표로 파견되어 1879년 리바디아 조약을 체결했으나, 이 조약은 러시아에 지나치게 유리한 조건으로 인해 청나라 내부에서 큰 비판을 받았다. 결국 증기택이 새로운 협상 대표로 임명되어 재협상을 진행, 1881년 일리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2. 1. 청나라의 신장 통치와 둔간 봉기

1864년 쿠처에서 호자(Khoja) 가문의 봉기가 발생했다. 인근 코칸트 칸국에서 파견된 장군 야쿱 벡은 이들을 제압한 후 이 지역에서 새롭게 자립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가 일리 지역을 점령하였다.[3]

1690년부터 동투르키스탄의 패권을 둘러싸고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었으나, 청나라가 1759년에 준가르 구령의 톈산산맥 북부를 접수한 이후, 톈산산맥 북부의 일리강 북안에 이리 장군부를 설치하고 군정을 실시하여 강제 이주(정착) 등의 정책을 시행했다.

이 청조의 지배에 대해 여러 차례 반란이 발생했지만, 회족 학살을 계기로 대립이 더욱 깊어져 1862년에 서북 무슬림 대반란(회민 봉기)이 발생했다. 같은 해 이후, 동투르키스탄의 이슬람교도의 반란이 잇따랐다. 이 동란 속에서 군대를 이끌고 타림 분지에 들어간 코칸트 칸국의 군인 야쿱 베크는 1865년부터 카슈가르, 잉기셰르, 타림 분지 서부 등에서 청조의 세력을 격퇴하고, 1867년에는 톈산 남로를 통치하게 되었다.

동시대에는 중앙아시아의 패권을 둘러싼 대영 제국러시아 제국의 항쟁, 이른바 "그레이트 게임"이 전개되었다. 중앙아시아에 먼저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대영 제국은 1868년에 야쿱 베크 정권을 승인했고, 이어서 1870년에 러시아 제국이 야쿱 베크 정권을 승인하는 등, 야쿱 베크의 난에 따른 신정권 수립은 영·러 양측의 관심사가 되었다.

러시아와 청나라 간에 체결된 1851년의 일리 통상 조약에서, 러시아 제국은 일리 및 타르바가타이에서의 자유 무역, 거주권, 영사권 등의 특권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야쿱 베크의 신장 침입으로 통상 조약이 불이행되었다고 본 러시아 제국은, 거주민 보호를 명목으로 1871년에 일리 지방을 점령했다. 청나라는 러시아 측에 설명과 일리 지방의 반환을 요구했고, 러시아 측은 동 지방에서의 복권과 국경의 안전 회복을 조건으로 반환에 응하겠다는 답변을 했다.

1876년 5월, 청나라의 쭤쭝탕이 선봉 부대를 파견하여, 진순, 류진탕 등이 우루무치 및 기타 거점도 탈환하여, 신장 북부를 손에 넣었다. 이듬해 1877년 3월에 류진탕이 우루무치와 신장 남부를 잇는 다반청을 함락시키고, 11월에 카슈가르를 제압했다. 당시 러시아는 러-투르크 전쟁을 시작했고, 청군의 동향에 대응할 수 없었다. 이듬해 1878년, 동투르키스탄은 청조에 의해 재정복되었다.

2. 2. 야쿱 벡의 난과 열강의 개입

1864년 쿠처에서 호자(Khoja) 가문의 봉기가 발생했다. 인근 코칸트 칸국에서 파견된 장군 야쿱 벡은 이들을 제압한 후 이 지역에서 새롭게 자립하였다. 러시아의 투르케스탄 정복 동안 러시아는 현재의 중국 국경까지 동카자흐스탄을 장악했고, 둔간 반란 동안 중국은 서부 영토의 많은 부분을 잃었다.[3]

1690년부터 동투르키스탄의 패권을 둘러싸고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었으나, 청나라가 1759년에 준가르 구령의 톈산산맥 북부를 접수한 이후, 톈산산맥 북부의 일리강 북안에 이리 장군부를 설치하고 군정을 실시하여 강제 이주(정착) 등의 정책을 시행했다. 이 청조의 지배에 대해 여러 차례 반란이 발생했지만, 회족 학살을 계기로 대립이 더욱 깊어져 1862년에 서북 무슬림 대반란(회민 봉기)이 발생했다. 같은 해 이후, 동투르키스탄의 이슬람교도의 반란이 잇따랐다. 이 동란 속에서 군대를 이끌고 타림 분지에 들어간 코칸트 칸국의 군인 야쿱 벡은 1865년부터 카슈가르, 잉기셰르, 타림 분지 서부 등에서 청조의 세력을 격퇴하고, 1867년에는 톈산 남로를 통치하게 되었다.

당시 중앙아시아의 패권을 둘러싼 대영 제국러시아 제국의 항쟁, 이른바 "그레이트 게임"이 전개되었다. 중앙아시아에 먼저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대영 제국은 1868년에 야쿱 벡 정권을 승인했고, 이어서 1870년에 러시아 제국이 야쿱 벡 정권을 승인하는 등, 야쿱 벡의 난에 따른 신정권 수립은 영국과 러시아 양측의 관심사가 되었다.

러시아와 청나라 간에 체결된 1851년의 일리 통상 조약에서, 러시아 제국은 일리 및 타르바가타이에서의 자유 무역, 거주권, 영사권 등의 특권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야쿱 벡의 신장 침입으로 통상 조약이 불이행되었다고 본 러시아 제국은, 거주민 보호를 명목으로 1871년에 일리 지방을 점령했다.[8] 청나라는 러시아 측에 설명과 일리 지방의 반환을 요구했고, 러시아 측은 동 지방에서의 복권과 국경의 안전 회복을 조건으로 반환에 응하겠다는 답변을 했다.

2. 3. 러시아의 일리 점령

1864년 쿠처에서 호자(Khoja) 가문의 봉기가 발생했다. 인근 코칸트 칸국에서 파견된 장군 야쿱 벡은 이들을 제압한 후 이 지역에서 새롭게 자립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는 둔간 반란으로 혼란스러운 틈을 타 일리 지역을 점령했다.[3]

러시아는 1851년 청나라와 체결한 일리 통상 조약을 통해 일리 지역에서 자유 무역, 거주권, 영사권 등의 특권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야쿱 벡의 신장 침입으로 통상 조약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러시아 제국은, 거주민 보호를 명목으로 1871년에 일리 지방을 점령했다. 러시아는 영구적인 합병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지만, 상트페테르부르크는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지역을 점령하고 있다고 선언했다.[8]

청나라는 러시아 측에 설명과 일리 지역의 반환을 요구했고, 러시아 측은 이 지역에서의 복권과 국경의 안전 회복을 조건으로 반환에 응하겠다는 답변을 했다.

1876년 5월, 청나라의 쭤쭝탕은 군대를 파견하여 우루무치 등 신장 북부를 점령했다. 1877년에는 카슈가르를 제압하며 신장 지역 대부분을 회복했다. 당시 러시아는 러-투르크 전쟁 중이어서 청군의 움직임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었다. 1878년, 동투르키스탄은 청나라에 의해 다시 정복되었다.

3. 리바디아 조약과 청나라의 반발

1864년 쿠처에서 호자(Khoja) 가문의 봉기가 발생했다. 인근 코칸트 칸국에서 파견된 장군 야쿱 벡은 이들을 제압한 후 이 지역에서 새롭게 자립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가 일리 지역을 점령했고, 청나라는 러시아와 리바디아 조약을 통해 일리 지역을 돌려받고자 했다. 그러나 리바디아 조약은 일리 지역을 청나라에 돌려주는 대가로 너무 많은 영토를 러시아에 넘겨주는 내용을 담고 있어 많은 비판을 받았다. 결국 청나라는 증기택을 새로 파견하여 재협상을 하게 되었다.

3. 1. 숭후의 협상과 리바디아 조약 체결

1878년, 류금당이 야쿠프 베크를 평정한 후, 청나라는 전권대신 숭후를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에 파견하여 이리 지방 반환을 위한 협상을 진행했다. 9개월에 걸친 협상 끝에 1879년 10월 2일, 크림 반도의 리바디아 궁전에서 18개 조항으로 구성된 리바디아 조약Treaty of Livadia영어을 체결했다.[13]

그러나 이 조약은 러시아 측에 유리한 내용으로, 이리 서부와 남부를 러시아에 할양하고, 하미, 투르판, 우루무치 등 7곳에 러시아 영사관을 설치하며, 러시아와의 면세 무역을 허가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13]

이에 청나라 내부에서는 조약 파기 여론이 거세게 일었고, 좌종당은 러시아와의 전쟁까지 주장했다. 외교를 담당했던 숭후는 귀국 후 서태후에 의해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영국의 중재로 사면되었다.[14][15]

3. 2. 청나라 내부의 반발과 증기택의 재협상

리바디아 조약은 러시아 측의 의향에 따라 체결되었는데, 일리 서부와 남부를 러시아에 할양하고, 하미, 투르판, 우루무치 등 7곳에 러시아 영사관을 설치하며, 러시아와의 면세 무역을 허가하는 등의 내용이었다.[13]

이러한 불평등한 조약 내용 때문에 청나라 내부에서는 조약 파기를 요구하는 여론이 들끓었고, 쭤쭝탕은 러시아와의 전쟁까지 주장했다. 외교를 담당했던 전권대신 충후는 1879년 12월 귀국 후 서태후에게 사형을 선고받을 정도로 여론이 악화되었다.[14] 그러나 영국이 청나라에 러시아를 자극하지 않도록 충후의 사형 사면을 건의했고, 청나라는 이를 받아들여 사면을 결정했다.[15]

러시아는 청나라와의 전쟁을 준비하며 군함을 황해로 파견했고, 쭤쭝탕은 일리 공격 작전을 수립한 후 1880년 4월 숙주를 출발하여 하미에 도착했다.[16] 그러나 쭤쭝탕은 "경비 고문"으로 조정에 소환되었고, 청나라는 증기택을 새로운 대사로 임명하여 러시아와 재협상을 진행하게 하였다. 증기택은 그해 가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파견되어 외상 고르차코프와 수개월에 걸쳐 재협상을 진행했고, 배상금 증액과 함께 일리 동쪽을 청나라에 반환하는 것으로 합의를 이끌어냈다.

4. 일리 조약(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의 체결

1864년 쿠처에서 호자(Khoja) 가문의 봉기가 발생했다. 인근 코칸트 칸국에서 파견된 장군 야쿱 벡은 이들을 제압하고 이 지역에서 새롭게 자립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가 일리 지역을 점령했고, 청과 러시아는 리바디아 조약을 통해 일리 지역을 돌려받고자 했다. 그러나 리바디아 조약은 일리 지역을 청에 반환하는 대가로 많은 영토를 러시아에 할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많은 비판을 받았다. 결국 청은 증기택을 파견하여 재협상을 진행했다.

재협상 결과 체결된 것이 일리 조약(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이다. 이 조약에서는 일리 지역 대부분을 청에 반환하는 대가로 일리 지역의 극히 일부와 900만러시아 루블을 지불하고 발하슈호도 내주기로 했으며, 현재 중국의 서북쪽과 서남쪽 국경이 확정되었다.

1690년부터 동투르키스탄의 패권을 둘러싸고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었으나, 청나라가 1759년에 준가르 구령의 톈산산맥 북부를 접수한 이후, 톈산산맥 북부의 일리강 북안에 이리 장군부를 설치하고 군정을 실시하여 강제 이주(정착) 등의 정책을 시행했다.

이 청조의 지배에 대해 여러 차례 반란이 발생했지만, 회족 학살을 계기로 대립이 더욱 깊어져 1862년에 서북 무슬림 대반란(회민 봉기)이 발생했다. 같은 해 이후, 동투르키스탄의 이슬람교도의 반란이 잇따랐다. 이 동란 속에서 군대를 이끌고 타림 분지에 들어간 코칸트 칸국의 군인 야쿱 베크는 1865년부터 카슈가르, 잉기셰르, 타림 분지 서부 등에서 청조의 세력을 격퇴하고, 1867년에는 톈산 남로를 통치하게 되었다.

당시 중앙아시아의 패권을 둘러싼 대영 제국러시아 제국의 항쟁, 이른바 "그레이트 게임"이 전개되었다. 중앙아시아에 선수를 치기 위해, 대영 제국은 1868년에 야쿱 베크 정권을 승인했고, 이어서 1870년에 러시아 제국이 야쿱 베크 정권을 승인하는 등, 야쿱 베크의 난에 따른 신정권 수립은 영·러 양측의 관심사가 되었다.

러시아와 청나라 간에 체결된 1851년의 일리 통상 조약에서, 러시아 제국은 일리 및 타르바가타이에서의 자유 무역, 거주권, 영사권 등의 특권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야쿱 베크의 신장 침입으로 통상 조약이 불이행되었다고 본 러시아 제국은, 거주민 보호를 명목으로 1871년에 일리 지방을 점령했다. 청나라는 러시아 측에 설명과 일리 지방의 반환을 요구했고, 러시아 측은 동 지방에서의 복권과 국경의 안전 회복을 조건으로 반환에 응하겠다는 답변을 했다.

1876년 5월, 청나라의 쭤쭝탕이 선봉 부대를 파견하여, 진순, 류진탕 등이 우루무치 및 기타 거점도 탈환하여, 신장 북부를 손에 넣었다. 이듬해 1877년 3월에 류진탕이 우루무치와 신장 남부를 잇는 다반청을 함락시키고, 11월에 카슈가르를 제압했다. 당시 러시아는 러-투르크 전쟁을 시작했고, 청군의 동향에 대응할 수 없었다. 이듬해 1878년, 동투르키스탄은 청조에 의해 재정복되었다.

러시아 측은 청나라와의 전쟁을 준비하며 군함을 황해로 파견했고, 한편 쭤쭝탕은 이리 공격 작전을 짠 후 1880년 4월 숙주를 출발하여 하미에 이르렀다.[16] 그러나 쭤쭝탕은 "경비 고문"으로 조정으로 소환되었다.

4. 1. 조약의 주요 내용

러시아가 점령했던 일리 지역 대부분을 청나라에 반환하는 대신, 청나라는 러시아에 배상금을 지불하고 일리 계곡에 새로운 국경을 설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항내용
제1조러시아는 점령 지역 대부분을 청나라에 반환한다.
제2조청나라 정부는 반란 기간 동안 해당 지역 주민들의 행동에 대해 민족, 종교에 관계없이 해를 끼치지 않기로 합의한다.
제3조해당 지역 주민들은 러시아군 철수 전에 거취를 선택할 수 있으며, 머물거나 러시아로 이주할 수 있다.
제6조청나라 정부는 점령 비용, 반란 기간 동안 재산을 잃은 러시아인 보상, 반란으로 사망한 러시아인 가족에 대한 물질적 지원을 위해 900만 "금속 루블"(металлических рублей|메탈리체스키흐 루블레이ru; roubles métalliques|루블 메탈리크프랑스어; 아마도 은 루블)을 러시아에 지불한다.
제7조일리 계곡에 새로운 국경을 설정한다. 국경 서쪽 지역은 러시아가 "러시아 시민이 되기를 선택하고 새로운 국경 동쪽에서 소유한 땅을 떠나야 하는 지역 주민들의 정착"을 위해 유지한다.
제8조자이산호 동쪽 지역(현재 동카자흐스탄주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북부인 일리 카자흐 자치주와 접경)에서 양국 간 국경의 사소한 조정을 규정한다.
제10조러시아가 중국 제국 북서부 지역(신장 위구르 자치구, 간쑤성, 그리고 외몽골)에서 영사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쿨자 조약에서 규정된 쿨자, 타르바가타이(추구차크, 타청), 카슈가르, 우르가(울란바토르) 외에도, 수저우(주취안), 투르판에 영사관을 설치하고, 코브도(호브드), 울리아수타이(울리아스타이), 하미(쿠물), 우루무치, 구청(치타이)에는 무역량에 따라 추후 설치한다.
제12조몽골과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러시아 상인들의 면세 무역 권리를 확인한다. 또한 러시아 상인들의 활동을 용이하게 하고 양자 무역을 규제하기 위한 다양한 조항을 담고 있으며, 부록에는 양국이 운영해야 할 국경 통과 지점 목록이 명시되어 있다.



조약의 중국어 문, 러시아어 문, 프랑스어 문을 정본으로 하고, 해석에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프랑스어 문에 따른다(제20조)고 규정되었다.[16]

4. 2. 조약의 체결과 비준

1881년 2월 24일(구력 2월 12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청나라와 러시아 제국 간의 조약이 체결되었다.[16] 증기택은 러시아 외상 고르차코프와 수개월에 걸쳐 재협상을 진행하여, 배상금 증액과 함께 이리 동쪽을 청나라에 반환하는 조건으로 합의했다. 이 조약은 6개월 이내에 비준하도록 규정되었다.

5. 조약의 영향 및 결과

1864년 쿠처에서 호자(Khoja) 가문의 봉기가 발생하여, 인근 코칸트 칸국에서 파견된 장군 야쿱 벡이 이들을 제압하고 자립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가 일리 지역을 점령하였고, 청과 러시아는 리바디아 조약을 통해 일리 지역을 돌려받고자 하였다. 그러나 리바디아 조약은 일리 지역 반환 대가로 너무 많은 영토를 러시아에 할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비판을 받았고, 청은 증기택을 파견하여 재협상을 진행했다. 그 결과 일리 조약이 체결되었는데, 이 조약에서 일리 지역 대부분을 청에 반환하는 대신 일리 지역의 극히 일부와 900만러시아 루블을 지불하고 발하슈호를 내주어 현재 중국의 서북쪽과 서남쪽 국경이 확정되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일리 조약)은 러시아 내에서 큰 손실이자 후퇴로 인식되었으며, 국방부 장관 드미트리 밀류틴과 저명한 군 지휘관 알렉세이 브루실로프 등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5]

러시아 통치 지역과 비교했을 때, 중국 통치 지역의 무슬림 키르기스족(카자흐족)에게 더 많은 혜택이 주어졌다. 러시아 정착민들은 무슬림 유목민 키르기스족과 갈등을 겪었고, 이는 러시아인들이 키르기스족을 중국과의 분쟁에서 불리한 요소로 여기게 만들었다. 무슬림 키르기스족은 전쟁에서 중국이 러시아를 이길 것이라고 확신했다.[10]

러시아의 중국학자, 러시아 언론, 내부 반란 위협, 베를린 회의의 부정적 여론, 그리고 러시아 경제의 어려운 상황 등은 모두 러시아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중국과 협상하여 일리의 대부분을 중국에 반환하도록 압박했다.[7]

5. 1. 청나라의 신장 통치 강화

야쿱 벡의 난 이후 러시아가 점령했던 일리 지역을 일리 조약을 통해 반환받은 청나라는 신장성 설치에 착수했다. 1884년에 신장성이 정식으로 성립되면서 중국 대륙과 비슷한 행정 체제가 시행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중국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19][20] 이로 인해 동투르키스탄은 자치를 빼앗기고 한족의 식민지가 되었다.[21][22]

5. 2.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진출 확대

1864년 쿠처(庫車)에서 호자(Khoja) 가문의 봉기가 발생하였다. 인근 코칸트 칸국에서 파견된 장군 야쿱 벡은 이들을 제압한 후 이 지역에서 새롭게 자립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가 일리 지역을 점령하였고, 청과 러시아는 리바디아 조약을 통해 일리 지역을 돌려받고자 하였다. 그러나 리바디아 조약에서는 일리 지역을 청에게 돌려주는 대가로 굉장히 많은 영토를 러시아에 할양하기로 하였다. 결국 이는 많은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고, 청은 증기택을 새로이 파견하여 재교섭하게 되었다. 이러한 재교섭 결과 체결된 것이 일리 조약이다. 이 조약에서는 일리 지역을 대부분 청에 반환하는 대가로 일리 지역의 극히 일부와 900만러시아 루블을 지불하기로 하였으며 발하슈호도 내주었고, 현재 중국의 서북쪽과 서남쪽 국경이 확정되었다.

5. 3. 현재의 국경선 확립

1864년 쿠처(庫車)에서 호자(Khoja) 가문의 봉기가 발생하였다. 인근 코칸트 칸국에서 파견된 장군 야쿱 벡은 이들을 제압한 후 이 지역에서 새롭게 자립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가 일리 지역을 점령하였고, 청과 러시아는 리바디아 조약을 통해 일리 지역을 돌려받고자 하였다. 그런데 리바디아 조약에서는 일리 지역을 청에게 돌려주는 대가로 굉장히 많은 영토를 러시아에 할양하기로 하였다. 결국 이는 많은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고, 청은 증기택을 새로이 파견하여 재교섭하게 되었다. 이러한 재교섭 결과 체결된 것이 일리 조약이다. 이 조약에서는 일리 지역을 대부분 청에 반환하는 대가로 일리 지역의 극히 일부와 900만러시아 루블을 지불하기로 하였으며 발하슈호도 내주었으며 현재 중국의 서북쪽과 서남쪽 국경이 확정되었다.[11]

5. 4. 둔간족과 타란치족의 이주

1881년 일리 조약을 통해 수천 가족의 둔간족(후이족)과 타란치족(위구르족)이 오늘날의 남동부 카자흐스탄과 북부 키르기스스탄에 해당하는 러시아 통치 지역으로 이주했다.[5] 이들 중 일부는 곧 중국으로 돌아갔지만, 대부분은 러시아 영토에 머물렀고, 그들의 후손은 그 이후로 카자흐스탄과 북부 키르기스스탄에 살고 있다.[5]

5. 5. 청나라의 군사력 강화 노력

일리 조약 체결 과정에서 청나라러시아의 군사적 위협을 인식하고, 서구 열강으로부터 현대식 무기를 도입하는 등 군사력 강화에 힘썼다. 역사학자들은 19세기 청나라가 서구 제국주의에 취약했던 주된 이유를 해군력 약세로 판단했다.[6] 반면, 청나라는 육상에서 서구 세력과 싸워 어느 정도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다.[6]

일리 사태 동안, 청나라는 러시아의 일리 점령 문제로 러시아와 전쟁을 벌일 것을 위협했고, 영국 장교 찰스 조지 고든이 잠재적인 전쟁에서 러시아에 대한 군사적 선택에 대해 조언하기 위해 영국에서 중국으로 파견되기도 했다.[7]

러시아는 일리 사태 동안 중국이 현대 무기를 비축하고 있는 것을 관찰했는데, 중국은 독일로부터 수천 정의 소총을 구매했다.[10] 1880년에는 유럽에서 어뢰, 포병, 260,260 정의 현대 소총을 구매하면서, 대량의 군사장비와 소총이 보트를 통해 앤트워프에서 중국으로 운송되었다.[10] 1888년 러시아 군사 관찰자 D. V. 푸티아티아는 중국을 방문하여 중국-러시아 국경을 따라 동북 중국(만주)에서 중국 군인들이 "유럽식 전술"에 능숙해질 수 있으며, 크루프 포병, 윈체스터 카빈, 마우저 소총과 같은 현대 무기로 무장하고 있음을 발견했다.[10]

이러한 청나라의 군사력 강화 노력은 서구 제국주의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근대화를 추진한 사례로 평가된다.

6. 평가 및 역사적 의의

1864년 쿠처에서 호자 가문의 봉기가 발생했고, 인근 코칸트 칸국에서 파견된 장군 야쿱 벡이 이들을 제압하고 자립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가 일리 지역을 점령했고, 청과 러시아는 리바디아 조약을 통해 일리 지역 반환을 협상하였다. 그러나 리바디아 조약은 청에게 과도한 영토 할양을 요구하여 비판을 받았고, 청은 증기택을 파견하여 재협상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일리 조약이 체결되었으며, 이 조약에서 청은 일리 지역 대부분을 돌려받는 대가로 일리 지역 일부와 90만러시아 루블을 지불하고 발하슈호를 내주었다.[17][18]

6. 1. 외교적 승리 vs. 불평등 조약

일리 조약은 불평등 조약이었지만, 중앙아시아 지역의 국경을 확정했으며 이때의 국경선은 현재에 이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17][18] 청나라는 러시아 제국과의 재교섭을 통해 일리 지역 대부분을 반환받는 대신 일리 지역의 일부와 900000RUB을 지불하고 발하슈호를 내주어야 했다. 이 조약으로 현재 중국의 서북쪽과 서남쪽 국경이 확정되었다.

사구치 토오루는 이 조약이 비록 불평등 조약이었지만, 국제적으로 모호했던 중앙아시아 지역의 국경을 확정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17][18]

6. 2. 중앙아시아 지역의 국경 확정에 미친 영향

사구치 토오루는 이 조약이 불평등 조약이기는 했지만, 종래 국제적으로 애매했던 중앙아시아 지역의 국경을 확정했으며, 이때의 국경선은 현재에 이르고 있다고 언급했다.[17][18]

참조

[1] 서적 Historical Atlas of the 19th Century World, 1783-1914 Barnes & Noble Books
[2] 간행물 Tsêng Chi-tsê
[3] 서적 Tso Tsung-tʼang and the Muslims: statecraft in northwest China, 1868-1880 https://books.google[...] Limestone Press 2010-06-28
[4] 서적 Imperial Rivals: China, Russia, and Their Disputed Frontier https://archive.org/[...] M.E. Sharpe 2018-02-22
[5] 웹사이트 РУССКО-КИТАЙСКИЕ ПЕРЕГОВОРЫ О ВОЗВРАЩЕНИИ КУЛЬДЖИ. ЛИВАДИЙСКИЙ (1879) и ПЕТЕРБУРГСКИЙ (1881) ДОГОВОРЫ http://new.hist.asu.[...] в кн. Моисеев В.А. Россия и Китай в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вторая половина XIX в. - 1917 г.). - Барнаул: АзБука, 2003. - 346 с. 2008-04-14
[6] 논문 Conceptualizing the Blue Frontier: The Great Qing and the Maritime World in the Long Eighteenth Century http://archiv.ub.uni[...]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2013-06-28
[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Late Chʻing, 1800-1911, pt. 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Eurasian Crossroads: A History of Xinjiang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9] 서적 China and the International System, 1840-1949: Power, Presence, and Perceptions in a Century of Humiliation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8-11-07
[10] 서적 The Russian General Staff and Asia, 1860-1917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11-22
[11] 보고서 China and Russia: Common interests, contrasting perceptions (Asian geopolitics: Specific reports) https://www.chathamh[...] CLSA (Credit Lyonnais Securities Asia)/Chatham House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2006-05-01
[12] 문서 今谷、P195。
[13] 문서 今谷、P196 - P197。
[14] 문서 今谷、P197 - P198。
[15] 문서 イギリス公使の[[トーマス・ウェード]]の助命嘆願により赦免となる。
[16] 문서 今谷、P198。
[17] 문서 「新疆民族史研究」吉川弘文館1986、同「18-19世紀東トルキスタン社会史研究」吉川弘文館1963
[18] 문서 今谷、P200。
[19] 문서 佐口透「19世紀中央アジア社会の変容」『岩波講座 世界歴史 近代8』1971
[20] 문서 今谷、P202。
[21] 문서 今谷p202
[22] 문서 羽田明 『中央アジア史研究』(臨川書店 1982年) 第二章「清朝の東トルキスタン統治政策」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