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곤은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개국 후 완산부윤, 대장군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그는 제2차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을 지지하여 공신이 되었으며, 명나라에 사은사로 파견되기도 했다. 이후 평안도 관찰사로 재임하며 기생의 풍류를 폐지하고 풍속을 바로잡는 데 기여했고, 이조판서를 지냈다. 윤곤은 태종의 신임을 받았으나, 1422년 사망했으며, 사후 소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의 묘는 경기도 파주에 있으며, 후손으로는 정현왕후, 윤필상, 윤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22년 사망 - 헨리 5세
헨리 5세는 1413년부터 1422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랭커스터 왕조의 두 번째 왕으로, 왕권 강화, 프랑스와의 아쟁쿠르 전투 승리, 트루아 조약으로 프랑스 왕위 계승권 확보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셰익스피어 희곡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 1422년 사망 - 샤를 6세
샤를 6세는 12세에 프랑스 국왕으로 즉위하여 섭정 시기를 거쳤으나 20대 중반부터 정신 질환을 앓았고, 그의 병은 백년전쟁 중 궁정 혼란과 부르고뉴파-아르마냐크파 대립을 심화시켰으며, 트루아 조약으로 잉글랜드에 영토를 빼앗기고 1422년 사망했다. - 한명회 - 계유정난
계유정난은 1453년 수양대군이 황보인, 김종서 등의 고명대신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수양대군이 권력을 장악하여 왕위에 오르고 훈구파의 권력 독점을 야기하며 조선의 정치 구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한명회 - 갑자사화
갑자사화는 1504년 연산군이 폐비 윤씨 사사 사건을 빌미로 훈구 세력을 숙청하고 왕권 강화를 꾀한 사건으로, 많은 신하들이 처형되거나 부관참시되었으며 조선 사회에 큰 충격과 공포를 안겨주어 중종반정의 원인이 되었다. - 한국의 장군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한국의 장군 - 궁예
궁예는 신라 왕족의 서자로 추정되며 후삼국시대에 후고구려를 건국하고 태봉으로 국호를 변경한 인물이며, 말년에 폭정을 일삼다 신하들에게 축출되어 사망했다.
윤곤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윤곤(尹坤) |
호 | 해옹(海翁) |
자 | 기중(起重) |
출생 | 1569년 |
사망 | 1615년 |
묘소 | 충청북도 괴산군 |
관직 | |
조선 | 좌승지 대사간 형조참판 도승지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윤선지(尹先智) |
어머니 | 청주 한씨 |
부인 | 평산 신씨 해평 윤씨 |
아들 | 윤척(尹隻) 윤저(尹著) 윤희(尹羲) |
저서 | |
주요 저서 | 해옹집(海翁集) 해옹문집(海翁文集) |
기타 | |
로마자 표기 | Yun Gon |
2. 가계 및 생애 초기
윤곤은 고려말 문하평리를 지낸 윤승순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단양이씨로 판도판서를 지낸 이거경의 딸이다. 동북 9성을 쌓은 윤관의 후손으로, 윤관의 아들 형제들 중 윤언이의 후손이다. 외삼촌은 조선 건국 초 좌정승을 지낸 이무이고, 이모부 이씨는 개국공신 조영무의 아들 조륜이다. 첨의정승 유탁의 딸 고흥유씨와 혼인하였다가, 뒤에 청주한씨 예문관대학사 문열공 한상질의 딸과 재혼하였다. 한상질의 아들 중 한기는 한명회의 아버지로, 윤곤은 한명회의 고모부가 된다.
2. 1. 가계 배경
아버지는 고려말 문하평리를 지낸 윤승순이고 어머니는 단양이씨로 판도판서를 지낸 이거경의 딸이다. 동북 9성을 쌓은 윤관의 후손으로, 윤관의 아들 형제들 중 윤언이의 후손이다.외삼촌은 조선건국 초 좌정승을 지낸 이무였고, 이모 이씨의 남편은 개국공신 조영무의 아들인 조륜이다. 첨의정승 유탁의 딸 고흥유씨와 결혼했다가 뒤에 청주한씨 예문관대학사 문열공 한상질의 딸과 재혼하였다. 한상질의 아들 중 한기는 한명회의 아버지로 한명회의 고모부가 된다.
3. 조선 개국 이후 관료 생활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동생 윤향(尹珦)과 함께 문학(文學)으로 기용되었다.[1] 1392년 조선 건국 후 완산부윤, 1398년 대장군을 역임했다.[1]
1406년(태종 6년) 좌군도총제에 임명되었으나, 다른 사건으로 파면되었다.[1] 1408년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
태종의 각별한 신임을 얻어 동생 윤목(尹穆)이 민무구의 옥사에 연루(1409)되어 처형되었음에도 처벌받지 않았고, 대간의 탄핵에도 태종이 특별히 배려하였다.[1]
1413년 경주 안동도 병마도절제사를 지냈다.[1]
1417년 의정부 참찬을 역임했다.[1]
3. 1. 제2차 왕자의 난과 공신 책록
1400년 정종 2년에 동지총제(同知摠制)로 재임 중, 제2차 왕자의 난 때 외삼촌인 이무, 상장군 이저를 따라 정안대군 이방원(뒤의 태종) 편에 서서 협력하였다. 이방원이 승리하고 태종으로 즉위한 후 1401년 추충익대좌명공신 3등(推忠翊戴佐命功臣三等)에 임명되고, 파평군(坡平君)에 봉해졌다.3. 2. 명나라 사신 파견
1401년 태종의 즉위를 알리는 사은사가 명나라에 파견될 때, 윤곤은 사은부사(謝恩副使)로 연경에 파견되어 태종이 왕위를 물려받았음을 알리는 뜻을 전달하고 돌아왔다. 그러나 무역마값을 잘못 정한 죄로 파평에 안치되었다.[1]3. 3. 태종의 신임과 관직 역임
고려 말에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동생 윤향(尹珦)과 함께 문학(文學)으로 기용되었다. 1392년 조선이 건국한 뒤에도 벼슬에 참여하여 완산부윤을 지내고, 1398년에 대장군(大將軍)이 되었다.정종 2년인 1400년에는 동지총제(同知摠制)로 재임 중, 제2차 왕자의 난 때 외삼촌인 이무, 상장군 이저를 따라 정안대군 이방원(뒤의 태종) 편에 서서 협력하였다. 이방원이 승리하고 태종으로 즉위한 후 1401년 추충익대좌명공신 3등(推忠翊戴佐命功臣三等)에 임명되고 파평군(坡平君)에 봉해졌다.
그해 명나라에 태종의 즉위를 알리는 사은사가 파견될 때 윤곤은 사은부사(謝恩副使)로 명나라 연경에 파견되어 태종이 왕위를 물려받았음을 고(告)하는 뜻을 전달하고 돌아왔으나, 무역마값을 잘못 정한 죄로 파평에 안치되었다.
1406년(태종 6년) 좌군도총제로 임명되었으나, 다른 사건에 연루되어 파면되었다. 1408년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는 태종의 각별한 신뢰를 얻었는데, 그의 동생 윤목(尹穆)이 민무구의 옥사에 연루(1409)되어 처형당하였지만 그는 처벌받지 않았다. 대간의 탄핵이 계속되었으나 태종은 그를 특별히 배려하였다.
1413년 경주 안동도 병마도절제사를 지냈다.
1417년 의정부 참찬을 지내고 세종 즉위년(1418년) 평안도 관찰사(觀察使)로 기용되었다. 평안도 관찰사로 있으면서 기생의 풍류를 폐지하여 풍속을 바로잡는 등 많은 공을 쌓고 돌아왔으며, 1419년 이조판서가 되었다.
3. 4. 평안도 관찰사 시절
1418년 세종 즉위년에 평안도 관찰사로 기용되었다. 평안도 관찰사로 있으면서 기생의 풍류를 폐지하여 풍속을 바로잡는 등 많은 공을 쌓고 돌아왔다.[1]3. 5. 이조판서와 죽음
1419년 이조판서가 되었다.[1] 그는 조선 건국 후에도 고관을 역임하였지만 늘 고려를 그리워했다고 한다.[1] 그래서 아들의 이름을 백이와 숙제에서 따서 희이(希夷), 희제(希齊)라고 지었다.[1] (하지만 정황상 이 두 아들은 고려 말에 태어난 것으로 보인다.[1] 즉, 단순히 옛 고사를 인용해 이름을 지은 것으로 봐야 한다.)[1]1422년 3월 11일 윤곤(尹坤)이 병으로 사망하니, 조회를 3일 동안 폐하였다.[1] 두 임금이 행재소(行在所)에 있다가 부음(訃音)을 듣고 육선(肉膳)을 먹지 않았으며, 태상왕(태종)은 그를 부원군(府院君)에 임명하지 못한 것을 슬퍼하였다.[1] 윤곤은 성품이 관후(寬厚)하고 풍채(風彩)가 있었다.[1] 공신(功臣)으로서 부귀(富貴)를 보전하였으니, 세상에서 복노인(福翁)이라고 일컬었다.[1] 아들이 셋이니, 윤희이(尹希夷), 윤희제(尹希齊), 윤삼산(尹三山)이었다.[1] 사망 당시 정확한 연령은 전하지 않으나 고령이었다고 한다.[1]
4. 사후
윤곤은 조선 건국 후에도 고관을 역임하였지만 늘 고려를 그리워했다. 아들 이름을 백이와 숙제에서 따서 희이(希夷), 희제(希齊)라고 지었으나, 정황상 이들은 고려 말에 태어난 것으로 보여 옛 고사를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1422년 3월 11일 윤곤이 병으로 사망하자 3일 동안 조회를 열지 않았다. 태종은 그를 부원군에 임명하지 못한 것을 슬퍼하였다. 윤곤은 성품이 관대하고 풍채가 있었으며, 공신으로서 부귀를 보전하여 세상에서 복노인(福翁)이라 불렸다. 아들로는 윤희이, 윤희제, 윤삼산이 있었다. 사망 당시 정확한 연령은 전하지 않으나 고령이었다고 한다.[2]
4. 1. 묘소와 신도비
사후 소정(昭靖)이란 시호를 내렸으니, 용의(容儀)가 아름다운 것을 소(昭)라 하고, 마음이 너그러워 고종명(考終命)한 것을 정(靖)이라 하였다.윤곤선생묘는 경기도 파주군 주내면 연풍리에 있다. 근래에 아랫부분에 원형으로 둘레석을 둘렀다. 묘 앞에는 묘비·상석·향로석이 있는데, 상석과 향로석은 근래에 교체된 것이다. 상석을 중심으로 왼쪽에 장명등(長明燈: 무덤 앞에 세우는 돌로 만든 등)이 있고, 좌우로 문인석이 있다. 묘 오른쪽의 묘비는 고종 6년(1869년)에 세운 것이다. 묘역 아래에는 신도비(神道碑: 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 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우던 비)가 있는데, 비문은 윤상익이 짓고, 윤조영이 글을 썼다. 1422년에 묘표를 세웠으나 후일 1869년 18대손 진사 윤사규가 다시 비석을 세웠다. 그의 묘비와 신도비의 특징은 명나라의 숭정 연호나 영력 연호를 쓰지 않고 윤곤이 죽은 해를 기점으로 해서 '공이 몰한 후 모 번째 돌아오는 모 년'이라고 쓴 것이 특징이다. 1987년 2월 12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106호로 지정되었다.
4. 2. 후대의 평가
그는 조선 건국 후에도 고관을 역임하였지만 늘 고려를 그리워했다고 한다. 그래서 아들의 이름을 백이와 숙제에서 따서 희이(希夷), 희제(希齊)라고 지었다고 한다. 하지만 정황상 이 두 아들은 고려 말에 태어난 것으로 보여, 옛 고사를 인용해 이름을 지은 것으로 봐야 한다.[1]1422년 3월 11일 윤곤이 병으로 사망하자, 조정에서는 3일 동안 조회를 열지 않았다. 당시 두 임금이 행재소(行在所)에 있다가 부음을 듣고 육선(肉膳)을 먹지 않았으며, 태상왕(태종)은 그를 부원군(府院君)에 임명하지 못한 것을 슬퍼하였다. 윤곤은 성품이 관대하고 너그러웠으며 풍채가 있었다. 공신(功臣)으로서 부귀(富貴)를 보전하였으니, 세상에서 복노인(福翁)이라고 불렀다. 아들로는 윤희이(尹希夷), 윤희제(尹希齊), 윤삼산(尹三山)이 있었다. 사망 당시 정확한 연령은 전하지 않으나 고령이었다고 한다.[2]
그는 풍류를 좋아하지 않았으며 늘 웃음을 잃지 않고 인자한 성품을 지녔다고 한다.[3]
5. 가족 관계 및 후손
윤곤의 할아버지는 군부판서를 지낸 윤척(尹陟)이고, 아버지는 문하평리와 판개성부사를 지낸 윤승순(尹承順)이다. 어머니는 판도판서 이거경(李居敬)의 딸인 단양이씨이다.
전처는 고려시중 고흥백 충정공 류탁의 딸인 순정택주 흥양류씨이며, 장남 윤희이(尹希夷)는 상호군을, 차남 윤희제(尹希齊)는 판한성부사를 지냈다. 윤희제의 손자 윤경(尹坰)은 배천군수를, 증손자 윤필상(尹弼商)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활약했다. 윤희제의 또 다른 손자 윤은(尹垠)은 공조참의를 지냈고, 증손자 윤사로(尹師路)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세종의 부마였다.
후처는 태학사 문열공 한상질의 딸인 근순택주 청주한씨이며, 삼남 윤삼산(尹三山)은 영천부원군에 봉해졌다. 윤삼산의 손자 윤호(尹壕)는 성종의 장인이 되었고, 증손녀는 정현왕후가 되었다.
윤곤의 동생으로는 좌명공신 원평군 윤목(尹穆)과 형조판서를 지낸 윤향(尹向)이 있다. 사촌동생은 윤번이며, 당조카는 세조의 비 정희왕후이다. 성종에게는 처증조부 겸 외재종증조부가 된다.[1]
5. 1.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할아버지 | 윤척(尹陟) | 군부판서, 영평군 |
아버지 | 윤승순(尹承順) | 문하평리, 판개성부사, 시호 충간(忠簡) |
어머니 | 단양이씨 | 이거경(李居敬)의 딸 |
전처 | 순정택주 흥양류씨 | 류탁의 딸 |
장남 | 윤희이(尹希夷) | 상호군 |
차남 | 윤희제(尹希齊) | 판한성부사 |
손자 | 윤경(尹坰) | 배천군수 |
증손자 | 윤필상(尹弼商) | |
손자 | 윤은(尹垠) | 공조참의 |
증손자 | 윤사로(尹師路) | |
손자 | 윤배(尹培) | 사헌부 장령 |
후처 | 근순택주 청주한씨 | 한상질의 딸 |
삼남 | 윤삼산(尹三山) | 영천부원군 |
손자 | 윤호(尹壕) | 성종의 장인(영원부원군, 시호 평정(平靖)) |
증손녀 | 정현왕후 | |
동생 | 윤목(尹穆) | 좌명공신, 원평군 |
동생 | 윤향(尹向) | 형조판서, 시호 소도(昭度) |
사촌동생 | 윤번 | |
당조카 | 정희왕후 | 세조 비 |
기타 | 성종 | 처증조부 겸 외재종증조부[1] |
5. 2. 한명회와의 관계
윤곤의 후처는 한상질의 딸이다. 한상질의 아들 중 한기는 한명회의 아버지로, 윤곤은 한명회의 고모부가 된다. 그런데 윤곤의 손자 윤사로의 장남이 다시 한명회의 딸이자 공혜왕후의 언니와 결혼하여 이중 인척관계를 형성한다.[1]5. 3. 주요 후손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윤승순(尹承順) | 문하평리, 판개성부사. 시호 충간(忠簡) |
어머니 | 군부인 단양이씨 | 판도판서 이거경(李居敬)의 딸 |
전처 | 순정택주 흥양류씨 | 고려시중 고흥백 충정공 류탁(柳濯)의 딸 |
장남 | 윤희이(尹希夷) | 상호군 |
차남 | 윤희제(尹希齊) | 판한성부사 |
3남 | 윤삼산(尹三山) | 영천부원군. 윤호(尹壕)의 아버지, 정현왕후의 할아버지 |
후처 | 근순택주 청주한씨 | 태학사 문열공 한상질(韓尙質)의 딸 |
동생 | 윤목(尹穆) | 좌명공신, 원평군 |
동생 | 윤향(尹向) | 형조판서. 시호 소도(昭度) |
사촌동생 | 윤번 | 정희왕후의 아버지 |
윤사로, 정현왕후, 윤필상은 윤곤의 후손들이다.[2] 윤곤의 둘째 아들 윤희제(尹希齊)의 후손으로는 소론 재상인 윤황, 윤선거, 윤증 일가와 노론 학자인 윤봉구 등이 있다. 윤희제의 첫째 아들 윤경의 아들이 윤필상이고, 윤희제의 둘째 아들 윤은의 아들이 윤사로이다. 윤사로는 세종의 서녀 정현옹주와 혼인하여 부마가 되었으며, 그의 후손으로는 윤지선, 윤지완 형제가 있다.[2] 윤사로의 동생인 윤사하의 후손 중에는 윤비경과 그의 손자인 윤봉구, 윤봉오, 윤봉조 일가가 있다.[3]
윤희제의 또 다른 아들 윤배(尹培)의 손자는 윤탁(尹倬)이며, 윤탁의 후손으로는 팔송 윤황(尹煌), 후촌 윤전 형제, 윤순거, 윤원거, 윤문거, 윤선거, 명재 윤증, 윤박, 윤진, 윤유, 윤경교, 윤혜교, 윤동도, 윤동섬, 윤광소 등이 있다. 윤곤의 6대손 윤돈이 충청남도에 낙향하고 윤창세가 충남 노성에 정착하면서 그 후손들이 노성윤씨라 불리는 일가를 이루게 되었다.[4]
6. 기타
평안도관찰사로 재직 중에는 평양부내의 기방을 혁파하고 기생들의 풍기 문란을 대대적으로 단속하였다. 또한 학문을 장려하여 문풍을 확산시키기도 했다.
윤사로, 정현왕후와 윤필상이 그의 후손들이었다. 또한 소론 재상인 윤황, 윤선거, 윤증 일가와 노론 학자인 윤봉구 역시 그의 후손들이다. 모두 둘째 아들 윤희제(尹希齊)의 후손들로 윤희제의 첫째 아들 윤경의 아들이 윤필상이고, 윤희제의 둘째 아들 윤은의 아들이 윤사로로 세종의 서녀 정현옹주와 혼인하여 부마가 되었고 그의 후손이 윤지선, 윤지완 형제이다.[2] 윤사로의 동생인 윤사하의 후손 중에는 윤비경과 그의 손자인 윤봉구와 윤봉오, 윤봉조 일가가 있다.[3]
윤희제의 다른 아들 윤배(尹培)의 손자는 윤탁(尹倬)이고, 윤탁의 후손이 팔송 윤황(尹煌)과 후촌 윤전형제, 윤순거, 윤원거, 윤문거, 윤선거, 명재 윤증, 윤박, 윤진, 윤유, 윤경교, 윤혜교, 윤동도, 윤동섬, 윤광소 등이다. 윤곤의 6대손 윤돈이 충청남도에 낙향하고 윤창세가 충남 노성에 정착하여 그 후손들이 노성윤씨라 불리는 일가를 이루게 된다.[4]
참조
[1]
text
[2]
list
[3]
list
[4]
li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