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디카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디카티는 8세기부터 15세기까지 사르데냐 섬에 존재했던 자치 정부 체제이다. 8세기 무슬림 해적의 침략과 비잔티움 제국의 쇠퇴로 사르데냐는 경제적, 군사적으로 독립하여 주디카티가 성립되었다. 1073년 4개의 주디카티(칼리아리, 아르보레아, 갈루라, 로구도로)가 공식적으로 확인되었으며, 각 주디카티는 독자적인 법률, 행정 체제, 군대를 갖추고 통치했다. 주디카티는 코로나 데 로구(의회)를 통해 통치되었으며, 주디체(판관)는 선출되거나 세습되었고, 수상의 도움을 받아 통치했다. 11세기부터 피사와 제노바의 개입, 아라곤의 침략으로 주디카티는 쇠퇴하여, 1420년 아르보레아 주디카토의 멸망으로 종말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중세사 - 시칠리아 왕국
시칠리아 왕국은 1130년 로제르 2세가 건국한 노르만 왕국으로, 이탈리아 남부 시칠리아 섬과 주변 지역을 통치했으며, 다양한 왕조를 거쳐 1816년 나폴리 왕국과 통합되어 두 시칠리아 왕국을 형성했다. - 이탈리아의 중세사 - 타란토 공국
타란토 공국은 1088년 보에몽 1세가 건국한 남부 이탈리아의 봉건 영지로, 풀리아 지역을 거의 차지했으며 타란토를 수도로 삼았고, 시칠리아 왕국과 나폴리 왕국의 봉건 영지였다가 1463년 나폴리 왕국에 병합되어 소멸했다. - 사르데냐주의 역사 - 사르데냐 왕국
사르데냐 왕국은 지중해 섬 사르데냐를 중심으로 동로마 제국, 피사/제노바 공화국, 아라곤 왕국, 사보이아 왕가의 지배를 거쳐 피에몬테-사르데냐 왕국으로 발전,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기여 후 이탈리아 왕국 건설로 소멸한 역사적 왕국이다. - 사르데냐주의 역사 - 반달 왕국
5세기부터 6세기 중반까지 북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존재했던 반달 왕국은 가이세리크의 지휘 아래 카르타고를 점령하고 해상 세력을 확장하며 지중해를 장악했으나, 내부 갈등과 베르베르족의 저항으로 쇠퇴하여 534년 동로마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 이탈리아반도의 옛 나라 -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왕국은 1861년 사르데냐 왕국의 주도로 통일되어 건국되었으며, 자유주의 시대를 거쳐 파시스트 정권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은 후 국민투표로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이탈리아반도의 옛 나라 - 로마 제국
로마 제국은 기원전 27년부터 서로마와 동로마 제국의 멸망까지 이어진 고대 로마의 제국 시대로, 팍스 로마나 시대를 거쳐 다민족 국가로 성장했으나 분열과 멸망을 겪었으며, 법, 군사,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디카티 | |
---|---|
개요 | |
유형 | 역사적 국가 |
존속 기간 | 9세기 ~ 15세기 |
위치 | 사르데냐 |
수도 | 다양한 수도 (각 주디카토별로 상이) |
언어 | 사르데냐어 라틴어 (공식) |
정치 | |
정치 체제 | 주디카토 (Judicate) |
통치자 | 주디케 (Judge) |
역사 | |
기원 | 비잔티움 제국의 사르데냐 통치 약화 |
주요 사건 | 독립적인 주디카토의 형성 (9세기) 아르보레아의 부상과 사르데냐 통일 시도 아라곤의 침공 및 정복 (14~15세기) |
문화 및 사회 | |
사회 구조 | 귀족, 자유민, 농노 등으로 구성된 봉건 사회 |
경제 | 농업, 목축업, 광업 중심 |
종교 | 가톨릭교 |
법률 | 지역 관습법 및 로마법 기반 |
주요 주디카티 | |
칼리아리 | 사르데냐 남부 |
아르보레아 | 사르데냐 중서부 |
갈루라 | 사르데냐 북동부 |
로구도로 | 사르데냐 북중부 |
2. 역사적 배경
705년 이후, 북아프리카에서 온 무슬림 해적들이 사르데냐 섬을 약탈하기 시작했고, 비잔티움 제국 군대는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815년에는 사르데냐 대사들이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경건왕 루트비히에게 군사적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다.[1]
807년, 810년-812년, 821년-822년에 스페인의 아랍인들과 북아프리카인들이 사르데냐를 침략했지만, 사르데냐인들은 여러 차례의 공격을 견뎌냈다.[2] 851년에는 교황 레오 4세가 칼리아리를 기반으로 했던 사르데냐의 루덱스 프로빈차이(Iudex Provinciae, 지역 행정관)에게 로마의 방어를 위한 지원을 요청할 정도로 사르데냐인들의 방어는 효과적이었다. 8세기 카르타고를 기반으로 한 아프리카 교구 몰락과 특히 827년 시칠리아 내 아랍인 존재 발생으로, 사르데냐는 비잔티움과의 연결이 끊기고 경제적, 군사적으로 독립하게 되었다.
이후 역사적 사료 부족으로 정확한 과정은 알 수 없지만, 칼리아리스의 루덱스 프로빈차이가 섬 전체를 지배하다가 해안 방어를 위해 로키세르바토르(lociservator)를 임명했고, 이들이 칼리아리스로부터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게 되면서 주디카티(Giudicati)가 탄생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6] 1073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의 서간에서 4개의 주디카티가 존재했다는 사실이 역사적으로 처음 확인된다.[7]
4개의 주디카티는 다음과 같다:
2. 1. 주디카티 성립의 배경
705년 이후, 이슬람교의 확장과 함께 북아프리카에서 온 무슬림 해적들이 사르데냐 섬을 약탈하기 시작했고, 비잔티움 군대는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815년에는 사르데냐 대사들이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경건왕 루트비히에게 군사적 도움을 요청하기까지 했다.[1]807년, 810년-812년, 821년-822년에 스페인의 아랍인들과 북아프리카인들이 사르데냐를 침략했지만, 사르데냐인들은 여러 차례의 공격을 견뎌냈다.[2] 851년에는 교황 레오 4세가 칼리아리스를 기반으로 했던 사르데냐의 루덱스 프로빈차이(Iudex Provinciae, 지역 행정관)에게 로마의 방어를 위한 지원을 요청할 정도로 사르데냐인들의 방어는 효과적이었다. 8세기 카르타고를 기반으로 한 아프리카 교구 몰락과 특히 827년 시칠리아내 아랍인 존재 발생으로, 사르데냐는 비잔티움과의 연결이 끊기고 경제적, 군사적으로 독립하게 되었다.
2. 2. 4개의 주디카티 탄생
역사적 사료가 부족하여 비잔티움 제국의 중앙 권력에서 벗어나 사르데냐에 자치 정부가 들어서는 과정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칼리아리스의 루덱스 프로빈차이(Iudex Provinciae, 지역 행정관)가 섬 전체를 지배하다가, 해안 방어를 위해 로키세르바토르(lociservator)를 임명했는데, 이들이 칼리아리스로부터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게 되면서 주디카티(Giudicati)가 탄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6]1073년 10월 14일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사르데냐의 지역 행정관들에게 보낸 서간에서 4개의 주디카티가 존재했다는 사실이 역사적으로 처음 확인된다.[7] 그러나 872년 교황 요한 8세의 편지에서 이미 사르데냐의 통치자들을 '프링키페스 사르디니아이(principes Sardiniae, 사르데냐의 대공들)'라고 칭하며 그들의 자치권을 인정한 바 있다.[7]
4개의 주디카티는 다음과 같다.
주디카티의 행정 조직은 비잔티움 제국의 행정과 유사했지만, 누라게 문명의 영향과 쿠라토리아스(Coronas de curatorias)라는 반(半)민주적인 정치 체제 등 독자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8][3] 이러한 행정 조직은 중세 유럽의 봉건제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각 주디카티는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요새화된 국경, 법률, 행정, 상징 등을 가지고 있었다.[7]
3. 통치
3. 1. 코로나 데 로구와 중앙 의회
코로나 데 로구는 장로(행정 구역인 쿠라도리아스(Curadorias)의 대표자들)들과 고위 성직자들의 의회였다.[3] 코로나 데 로구는 통치자인 주디체(판관)를 임명하고 그에게 최고 권력을 부여하는 한편, 왕국 전체에 관련된 조항과 협정들을 비준할 수 있는 권한을 유지하였다.[3]
수도에서 수 콜렉투(su Collectu, 대관식)를 하는 동안, 고위 성직자들과 성주들로 이뤄진 수도의 쿠라도리아스의 두 대표자들은 유라도스 코로나스 데 쿠라토리아(jurados Coronas de curatoria)에서 선출되었다. 그 후 주디체는 직계 남계쪽이 우선적으로 선출되는 방식과 부자 상속 체제가 혼합된 형태로 왕위에 올랐으며, 여성도 왕위 계승이 가능했다.
주디체들은 시민들의 약속(bannus-consensus)을 바탕으로 통치하였다. 주디체는 퇴위당할 수 있었고 심지어 폭정과 억압 등의 심각한 행동을 할 경우에는, 같은 가문 출신이 합법적으로 처형을 할 수도 있었다. 이때, 동일 지배 가문 내에서 상속받을 것으로 예견되는 자는 제외되었다.[3]
3. 2. 주디체 (판관)
주디체는 적어도 형식적으로는 봉건적인 전제 군주는 아니었고, 코로나 데 로구의 동의 없이는 전쟁 선포나 평화 조약을 맺을 수 없었다.[3] 그럼에도 코로나 데 로구는 주로 귀족들의 친척들로 구성되어 공동의 이해관계로 연결되어 있었다.
권좌 계승은 가문에 의한 것이었으나, 가끔씩은 코로나 데 로구에 의해 선출될 가능성도 있었다.[3]
3. 3. 주디체의 수상
주디체는 수상을 두어 통치에 도움을 받았다. 왕의 권위는 마요레스(majores)라고 불리는 공직자들의 도움을 받았는데, 이들은 보통 주교나 고위 성직자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이 작성한 '불라타(bullata)'라는 공식적인 법 제도를 통해 공식화되었다.[3] 영토 정부에서 주디체는 재판소의 도움을 받았다. 주권은 사실상 국가 대법관(일반적으로 주교 또는 고위 성직자)이 다른 관리(majoressc)들의 도움을 받아 작성한 bullatasc 서류라고 불리는 공식 문서의 초안 작성을 통해 공식화되었다.
3. 4. 지역 행정: 쿠라도리아스
주디카티의 여러 영토들은 도시와 시골 마을들로 구성된 여러 크기의 행정 구역인 쿠라도리아스(Curadorias)로 나뉘어 있었으며, 이들은 쿠라도레(curadore)가 위치한 수도에 의존하였다. 유라도스(jurados)와 코로나 데 쿠라도리아(Corona de curatoria) 의회의 특별한 지원을 받은 이 행정 구역의 관리자들은 주디체들의 지방 권위를 대신하였다.[3]
각 마을에 임명된 쿠라도레는 행정권과 사법권을 지닌 쿠라도리아스 아 마요레 데 비다(curadorias a majore de Bidda, 오늘날의 시장과 동등)의 일부였고, 토지 관리의 성공적인 행위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을 지고 있었다.[4]
다양한 왕국의 영토는 쿠라도리아sc로 나뉘었는데, 쿠라도리아는 도시와 농촌 마을로 구성된 다양한 크기의 행정 구역으로, 쿠라도레sc가 거주하는 수도에 의존했다. 이러한 행정관들은 특히 후라도스sc(판사)와 쿠라도리아 코로라sc라는 의회의 도움을 받아 지역 사법권을 대표하고 왕실의 공공 자산을 관리했다.[4]
각 마을에 임명된 쿠라도레sc는 쿠라도리아sc의 일부였으며, 행정 및 사법 권한을 가진 마조레 데 비다sc(현대의 시장에 해당)는 토지 관리의 성공적인 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책임을 가졌다.[4]
4. 법
카르타 데 로구는 여러 주디카티에서 시행된 형사, 공공, 민사 및 토지 규정의 중요한 모음집이다. 콘다게는 11세기에서 13세기 사이의 사법 시대를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4. 1. 콘다게
콘다게는 비잔틴 기원의 용어('콘타키온' - 함께 꿰매어진 카드가 굴려진 막대)로, 수도원이나 기타 교회 단체에 대한 기증 증서의 양피지가 기록된 등록부를 정의한다. 콘다게에는 돈의 액수, 하인, 하녀, 경작지, 포도원, 숲 지역(소금), 목초지 및 지역 귀족이 기증한 가축이 매우 상세하게 보고되었다. 콘다게를 통해 사법 시대 역사의 큰 부분을 재구성할 수 있었으며, 고대 사르데냐 방언의 가장 오래된 증거이기도 하다.
4. 2. 카르타 데 로구
카르타 데 로구는 여러 주디카티에서 시행된 형사, 공공, 민사 및 토지 규정의 중요한 모음집이다. 아르보레아 주디카토의 카르타 데 로구는 14세기 말, 마리아노 4세와 그의 딸 엘레오노라에 의해 법치주의의 탄생을 알렸으며, 사회적 조건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규칙의 범위를 확장했다. 이 헌장은 사르데냐어(로구도레스 방언)로 작성되어, 불법 행위와 그에 따른 형사적 의미를 시민들에게 알리고 인식시키려는 사법적 의도를 추론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법적 확실성이 보장되었다.이 헌장은 사법 시기를 거쳐 1827년 4월 카를로 펠리체 법전이 제정될 때까지 스페인 및 사보이 시대에도 효력을 유지했다. 헌장 연구를 통해 주디카티가 말 사육 및 가죽 생산을 포함, 농촌 지역의 안전과 농업 생산 보호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양 사육에 손해를 끼칠 정도였으며, 사르데냐 독립 투쟁에서 적의 노력을 뒷받침하는 생산 기반에 대한 큰 관심을 나타낸다.

5. 군대
사르데냐의 주디카티 군대는 군인들과 기간마다 군 복무를 해야 하는 자유 시민들로 구성되었다. 긴급 시에는 징집이 이루어졌다. 엘리트 부대는 부야케소스(bujakesos)(부자케소스sc)라고 불리는 정예 기수들로, 왕을 지키는 지휘관인 얀나 데 마요레(janna de Majore)(마조레 데 자나sc)의 지휘를 받았다.[1][2] 이들은 국왕의 안전을 책임졌다.[2]
주 무장은 검, 사슬 갑옷, 방패, 투구, 그리고 고대 로마 시대의 투창인 베르툼과 유사한 형태의 비루두(birrudu)(비루두sc)였다.[1][2] 민병대와 보병(birrudos)(비루두스sc)들은 비루두의 짧은 형태의 무기를 사용했다.[1][2] 그 외에 창과 방패를 들었으며, 또 다른 무기로는 뼈로 된 손잡이와 50-70cm 길이의 휘어진 날을 지닌 검인 레파(레파sc)가 있었으며, 이 검은 그 후로도 크기가 변화하며 19세기까지 사용되었다.[1][2] 사르데냐식 장궁도 제작되었고, 시간이 흘러서는 쇠뇌가 전파되었다.[1][2]
주디케들 간의 잦은 분쟁 속에서 제노바 쇠뇌병 같은 용병들이 자주 사용되었다.[1][2]
6. 문화
비잔티움 그리스어와 중세 라틴어가 사라진 후, 사르데냐어가 발전하여 모든 주디카티 내에서 공식 언어가 되었다. 사르데냐어는 법률과 콘다게, 지방 도시들의 법령 같은 행정 문서, 카르타 데 로구 같은 왕국들의 법령에서도 사용되었다.[9]
6. 1. 종교
기독교는 초기에 바르바자 같은 곳을 제외한 사르데냐 섬 대부분에 전파되었다. 6세기 말 무렵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바르바자인(barbaricini)들의 최고 권력자인 오스피토네와 그의 종족들을 이교에서 기독교로 개종시키겠다는 약속을 하는 합의에 도달하였다. 사르데냐가 비잔티움 제국의 정치적 영역에 들어온 이후로는 바실리오 수도승들의 전도 등의 결과로 그리스 문화와 동방 기독교의 특성들에 영향을 받았다.[9]11세기에 교황 알렉산데르 2세에 따르면, 주디체들은 사르데냐에 새로운 중경 기술 도입 등 넓은 분야의 문화적 전파 목적과 함께 서방 교회식 수도원 제도 성장을 위한 정책을 시작하였다. 사르데냐에 이주해온 수도승들은 자금을 헌금하며 전파를 부채질하였고 귀족들은 지역 교회들을 세웠다. 그럼에도 여전히 사르데냐에는 동방 교회의 전례가 강하게 남아있었다. 1092년에 교황 칙서는 사르데냐 교회의 자치성과 자주관리권을 완전히 폐지시켰으며, 피사 대주교의 권위 아래에 두었다.[9]
교회 기부의 첫 행위는 1064년에 토레스의 바리소네 1세가 몬테카시노의 베네딕도회 수도승들에게 수도 아르다라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넓은 땅과 그곳의 교회들(비잔티움 교회의 노스트라 세뇨라 데 메수문두 포함)을 준 것이었다. 그 후 몇 세기에 몬테카지노 수도원, 카말돌리 수도원, 발롬브로사 수도회, 마르세유의 비토리니 수도회, 클레르보의 베르나르의 시토회의 수도승들을 포함한 많은 종교 단체들의 대표자들이 사르데냐에 와서 정착했다. 이에 대한 결과로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이 섬에서 번창하였다.
6. 2. 언어
비잔티움 그리스어와 중세 라틴어가 사라진 후, 사르데냐어가 발전하여 모든 주디카티 내에서 공식 언어가 되었다. 사르데냐어는 법률과 콘다게, 지방 도시들의 법령 같은 행정 문서, 카르타 데 로구 같은 왕국들의 법령에서도 사용되었다.[9]7. 피사-제노바, 아라곤의 개입과 주디카티의 종말
11세기 피사와 제노바의 개입으로 주디카티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13세기 중후반, 로구도로 주디카토, 갈루라 주디카토, 칼리아리 주디카토는 외세의 간섭으로 자치권을 잃었다. 유일하게 아르보레아 주디카토 만이 14세기까지 명맥을 유지했다.[3]
아르보레아는 아라곤 연합왕국과 동맹을 맺어 피사의 영토를 공격했지만, 아라곤의 배신으로 1353년 전쟁을 선포했다. 아르보레아는 한때 사르데냐 섬 대부분을 차지하며 아라곤을 몰아냈으나, 1409년 산루리 전투에서 패배하고 1420년 굴리엘모 3세 디 나르보나가 영토를 매각하면서 멸망했다.
7. 1. 피사-제노바의 개입
피사와 제노바는 11세기에 사르데냐를 정복하려던 이베리아의 무슬림 왕국인 데니아 타이파국에 대항하여 주디카티들을 지원하면서, 주디카티들의 정치와 경제에 서서히 개입하기 시작하였다.[3]13세기 중후반부터는 영토, 무역, 교황령, 주디체들의 수상들에 대한 제노바와 피사의 외교적 술책 때문에 로구도로, 갈루라, 칼리아리 주디카티의 자치성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3] 도리아 가문과 말라스피나 가문에 의해 주디체의 영토가 직접적으로 지배를 받으며 로구도로 주디카토는 사실상 멸망했다. 갈루라 주디카토는 피사의 비스콘티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 칼리아리 주디카토는 1258년에 피사-사르데냐 동맹에 의해 정복되었고 영토는 두 승전국들이 나눠가졌다.[3]
7. 2. 아라곤의 개입과 아르보레아 주디카토의 멸망
피사와 제노바는 11세기에 사르데냐를 정복하려던 이베리아의 무슬림 왕국인 데니아 타이파국에 대항하여 주디카티들을 지원하면서 주디카티들의 정치와 경제에 서서히 개입하기 시작하였다.13세기 중후반부터는 영토, 무역, 교황령, 주디체들의 수상들에 대한 제노바와 피사의 외교적 술책 때문에 로구도로, 갈루라, 칼라리 주디카티의 자치성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 로구도로 주디카토는 제노바의 귀족 가문들인 도리아 가문과 말라스피나 가문에 의해 주디체의 영토가 직접적으로 지배를 받으며 사실상 멸망했다. 갈루라 주디카토는 피사의 비스콘티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 칼리아리 주디카토는 1258년에 피사-사르데냐 동맹에 의해 정복되었고 영토는 두 승전국들이 나눠가졌다.
아르보레아 주디카토는 가장 마지막까지 존재했었으며, 1323년과 1326년 사이 피사의 사르데냐 점거 지역(옛 갈루라 주디카토와 칼리아리 주디카토 지역) 정복을 하려던 아라곤 연합왕국 동맹에 참여했다. 그러나 종주국과 사르데냐의 나머지 지역들의 합병에 대한 아라곤의 주장으로 위협을 받아, 마리아노 4세 다르보레아의 지배하의 아르보레아 주디카토는 1353년에 아라곤과의 동맹을 파기하고 도리아 가문과 함께 이베리아인들에 대한 전쟁을 선포하였다. 1368년 아르보레아는 칼리아리와 알게로 등의 항구 도시들을 사르데냐 왕국으로부터 줄이고 나머지를 모두 합병시키며 사르데냐 섬에서 아라곤인들을 거의 다 몰아내고 공격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강화 조약으로 1388년에 아라곤에게 그들의 옛 영토들을 돌려주었지만, 긴장 상태는 계속되었다. 1391년에 브란칼레오네 도리아가 이끄는 아르보레아의 군대가 아르보레아에 종속시켜내면서 섬의 대부분을 다시 정복해냈다. 이 상태는 아르보레아 주디카토의 군대가 산루리 전투에서 아라곤에게 크게 패한 1409년까지 지속되었다.
아르보레아 주디카토는 마지막 주디체인 굴리엘모 3세 디 나르보나가 100000플로린에 아라곤에게 영토를 매각하면서 1420년에 막을 내렸다.
참조
[1]
서적
L'origine dei Giudicati
[2]
서적
La Sardegna dei Giudici
2005
[3]
서적
La politica religiosa del giudicato di Torres, ne I Cistercensi in Sardegna
1990
[4]
웹사이트
Note sulla struttura interna dei giudicati (secoli XI-XIII)
http://www.sardegnam[...]
2024-09-12
[5]
서적
La Chiesa Greca
1962
[6]
서적
L’origine dei Giudicati
[7]
서적
La politica religiosa del giudicato di Torres, ne I Cistercensi in Sardegna
1990
[8]
서적
La politica religiosa del giudicato di Torres, ne I Cistercensi in Sardegna
1990
[9]
서적
La Chiesa Greca
196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