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력함은 범선 시대에는 전열함, 20세기 초에는 전함과 순양전함,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항공모함으로 변화하며 해상 전력의 핵심을 담당해왔다. 20세기 초 군축 조약에서 주력함의 기준이 정의되었으며, 항공모함의 등장으로 주력함의 역할과 중요성이 변화했다. 현대에는 핵잠수함이 주력함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냉전 종식 이후에는 저강도 분쟁에서 구축함과 프리깃 등이 주력함 역할을 수행한다. 주력함은 해군 전략에서 해상 전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주력함 | |
---|---|
개요 | |
유형 | 군함 |
역할 | 함대 기함 해군력 투사 |
역사적 맥락 | 대함 전투의 중심이 되는 가장 크고 강력한 군함 |
역사 | |
기원 | 17세기 전열함 20세기 초 드레드노트 |
발전 | 전함 순양전함 항공모함 |
특징 | |
크기 | 함대에서 가장 큰 함선 |
무장 | 강력한 화력 (대포, 미사일, 항공기 등) |
방어 | 중장갑 또는 첨단 방어 시스템 |
현대적 역할 변화 | |
현대의 주력함 | 항공모함 (미국 해군) 미사일 순양함 (러시아 해군) |
해군력 투사 | 국제 분쟁 개입, 인도주의적 지원 |
2. 범선 시대
19세기 말 이전 범선 시대의 주력함은 일반적으로 영국 해군의 군함 등급 체계에 따라 전열함 중 1급, 2급, 3급 함선을 의미했다.
전투함의 주된 목적은 해전에서 타국의 전투함과 교전하여 승리하는 것이며, 주력함은 이러한 해전에서 주력을 담당하는 함종이었다. 이에 반해 적 탐지, 정찰, 야습 등 부수적인 목적에 종사하는 전투함은 보조함으로 분류되었다.
2. 1. 1급함
100문 이상의 대포를 장착했으며, 일반적으로 3~4개의 갑판 구조를 가졌다. 4층 갑판 구조의 함선은 거친 바다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가장 낮은 갑판은 잔잔한 해상 조건에서만 포를 쏠 수 있었다. 1800년경의 1등함은 100문 이상의 포를 갖추었으며, 최하층의 포문은 수면선에 가까워 바다가 잔잔하지 않으면 포 사용이 어려웠다.[1]2. 2. 2급함
2급함은 90문에서 98문의 대포를 갖추었다.[2]2. 3. 3급함
64~80문의 대포를 장착했다. (64문 3급함은 비교적 소형이었고 어떤 시대에도 많지 않았다).[1]2. 4. 4, 5, 6급함 및 기타 함선
1756년까지 4급함(46~60문)은 전열에 서기에는 너무 약하다고 인정되어 보조 임무로 격하되었지만, 더 큰 전열함이 항해할 수 없는 얕은 북해와 미국 연안에서도 복무했다.[1]순양함은 5급 함선이었고, 6급은 소형 순양함과 코르벳으로 구성되었다.[1] 나폴레옹 전쟁 말기와 19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일부 더 크고 강력한 순양함은 4급으로 분류되었다.[1]
19세기 말 전강철제 군함이 등장하기 전까지 영국 해군의 등급 제도에 따라 1등부터 3등에 해당하는 함선은 전열함으로, 즉 주력함으로 여겨졌다. 4등 이하의 함선은 사용 편의성과 쾌속성을 살려 정찰 등에 사용되는 보조함이었다.[1] 1800년경의 등급 분류는 다음과 같다.[1]
- 4등함의 대부분과 5등함은 프리깃함이다. 4등 전열함은 극히 소수이다.[1]
- 6등함, 무등급 함선의 대부분은 슬루프이다. 무등급 함선의 분류는 매우 혼란스럽다.[1]
3. 전함 / 순양전함 시대
20세기 초, 드레드노트 혁명의 결과로 탄생한 드레드노트급 전함(드레드노트라고도 불림)과 순양전함은 새로운 주력함의 기준이 되었다.[1] 이들은 배수량이 2만 톤에 가깝거나 그 이상이었으며, 대구경 함포와 강력한 장갑 방호를 갖추고 있었다. 영국의 와 일본의 ''야마토''는 각각 순양전함과 전함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전함의 주된 목적은 해전에서 타국의 전투함과 교전하여 승리하는 것이며, 주력함은 이러한 해전에서 주력을 담당하는 함종이다. 반면, 적 탐지, 정찰, 야습 등 부수적인 목적에 종사하는 전투함은 보조함으로 분류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전함과 순양전함의 포격전으로 해전의 승패가 결정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잠수함, 구축함, 그리고 일부 순양함이 장비하는 어뢰는 전함을 격침할 능력을 갖추고 있었지만, 사용 상황이 제한적이고 명중률도 높지 않아 우발적인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러한 함선들은 보조함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영국에서 탄생한 순양전함은 개념상 순양함에 속하며, "적이 순양함 이하이면 포격으로 압도하고, 적이 전함이면 속력으로 도망칠 수 있다"는 것이었기에 적 전함에 대항할 수 없는 함선을 주력함으로 취급하는 데는 의문이 있었다. 유틀란트 해전에서는 영국과 독일의 순양전함대끼리 포격전을 벌였고, 방어력이 열세인 영국의 순양전함은 막대한 손실을 보아, 영국형 순양전함의 컨셉은 실패로 여겨졌다.
3. 1. 워싱턴/런던 해군 군축 조약
1922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1930년 런던 해군 군축 조약 등 1920년대와 1930년대의 군축 조약들은 주력함의 정의를 공식화했다.[1] 이러한 조약들은 강대국 간의 군비 경쟁을 제한하고 해군력 균형을 유지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서 주력함은 기준 배수량이 1만t을 초과하는(단, 항공모함 제외) 또는 구경 8인치(203mm)를 초과하는 포를 가진 함선으로 정의되었다.[9]3. 2. '포켓 전함'과 '슈퍼 순양함'
크리그스마리네의 급은 중순양함과 기술적으로 유사했지만, 속도는 느렸지만 훨씬 더 강력한 함포를 장착하여 일부에서는 주력함으로 간주되었다. 영국은 이들을 "포켓 전함"이라고 불렀다.[4] 이는 이들이 독일 해군의 몇 안 되는 대형 수상 전투함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미국의 급, 네덜란드의 설계 1047 순양전함, 일본의 설계 B-65 순양함은 해군 경쟁국들이 건조하던 중순양함에 대항하기 위해 특별히 계획되었으며, "슈퍼 순양함", "대형 순양함" 또는 심지어 "무제한 순양함"으로 묘사되었고, 일부에서는 심지어 순양전함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주력함으로 분류된 적은 없었다.[4]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서 주력함은 기준 배수량이 1만t을 초과하는(단, 항공모함 제외) 또는 구경 8인치(203mm)를 초과하는 포를 가진 함선이었다.[9] 도이칠란트급 장갑함은 기준 배수량은 1만t 이하(실제로는 1만t을 초과)이지만, 강력한 포력(11인치=280mm)을 가지고 있었고, 영국이 "포켓 전함"이라고 칭했듯이 대략 주력함으로 여겨졌다. 알래스카급 대형 순양함은 이름은 순양함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순양전함에 가까운 거대 함선이었으며, 주력함에 포함시켜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4. 항공모함 시대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항공모함은 전함을 대체하는 새로운 주력함으로 부상했다. 항공모함은 함재기를 통해 원거리 공격 능력을 제공하며 해상 전투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다. 1942년 말부터는 항공모함이 주력함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는데, 이는 항공기에 의한 전함 격침이 필연적인 것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함은 쇠퇴하고 항공모함이 주력함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현대 항공모함의 능력은 함선 자체의 함포나 미사일이 아닌, 사용 가능한 갑판과 갑판당 항공기로 정의된다.
4. 1. 항공모함의 중요성 대두
진주만 공습으로 미국 해군의 태평양 함대 전함 8척이 침몰하거나 손상되면서, 미 해군은 항공모함을 중심으로 함대를 재편해야 했다.[5][6][7] 1942년 말부터 항공모함은 주력함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21세기에는 항공모함이 유일한 주력함이 되었으며, 미국은 11척의 슈퍼캐리어와 9척의 강습 상륙함을 보유하여 현대 항공모함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8]
4. 2. 슈퍼캐리어와 강습상륙함
현대 해군은 대형 항공모함(슈퍼캐리어)과 강습 상륙함을 통해 항공모함 전력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은 슈퍼캐리어와 강습상륙함 모두에서 압도적인 전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거의 100대의 전술 항공기를 탑재하고 발진시킬 수 있는 11척의 현역 슈퍼캐리어와 다른 국가가 운용하는 경 VSTOL 항공모함 및 "해상 통제함" 구성에서 동등한 9척의 강습 상륙함을 보유하고 있다.[8]5. 핵잠수함 시대
핵잠수함은 냉전 시대에 등장하여 전략적 억지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했다. 핵잠수함은 초기 전함과 톤수가 비슷하지만, 국가의 핵 억지력 일부로 간주되며, 전통적인 주력함의 해상 통제 임무는 수행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 해군과 미국 해군 등 많은 해군에서는 핵잠수함을 주력함으로 간주하며, 과거 전함에 사용되었던 '드레드노트'(Dreadnought), '뱅가드'(Vanguard), '오클라호마'(Oklahoma), '아이오와'(Iowa)와 같은 이름을 부여하기도 했다.[1]
5. 1. 탄도 미사일 잠수함 (SSBN)

탄도 미사일 잠수함은 초기 전함에 상당하는 배수량을 가지며, 핵 억지의 일부를 담당하는, 중요성이 높은 함선이다. 전통적인 주력함처럼 제해권 유지를 위해 운용되지는 않지만, 새로운 주력함으로 간주된다.[1] 미국과 영국에서는 탄도 미사일 잠수함에 과거 전함과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1]
5. 2. 전략적 중요성과 현대적 역할
핵잠수함은 초기 전함과 톤수가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국가의 핵 억지력의 일부로 간주되며, 전통적인 주력함의 해상 통제 임무를 수행하지는 않는다. 영국 해군과 미국 해군을 포함한 많은 해군은 핵잠수함을 주력함으로 간주하고, 그중 일부에 과거 전함에 사용되었던 ''드레드노트''(Dreadnought), ''뱅가드''(Vanguard), ''오클라호마''(Oklahoma), ''아이오와''(Iowa)와 같은 이름을 부여했다.[1]탄도 미사일 잠수함은 초기 전함에 상당하는 배수량을 가진 중요한 함정이지만, 핵 억지의 일부를 담당하며, 전통적인 주력함처럼 제해권 유지를 위해 운용되지는 않는다. 이는 새로운 형태의 주력함이라고 할 수 있다.[4] 미국과 영국에서는 탄도 미사일 잠수함에 과거 전함과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4]
6. 현대의 주력함
냉전 종식 이후, 과거와 같은 대규모 해전을 상정하기 어려워지면서 전통적인 의미의 주력함은 그 역할을 다하게 되었다. 현대 해군은 항공모함, 구축함, 프리깃, 코르벳 등 다양한 함종을 균형 있게 운용하며, 저강도 분쟁 진압 및 해양 안보 유지에 주력하고 있다.
미국 해군은 여전히 다수의 원자력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있지만, 걸프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서 볼 수 있듯이 저강도 분쟁 진압이 주요 임무가 되었다. 탄도 미사일 잠수함 역시 냉전 종식과 함께 그 역할이 변화하였으나, 핵 억지 전략의 즉각적인 포기가 어려워 여전히 보유하고 있다.
현대에는 "주력함"이라는 단어가 단순히 수적으로 해군의 주력을 이루는 함정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항공모함을 보유하지 않은 해군에서는 구축함이나 프리깃, 코르벳이 이러한 의미의 주력함이 된다. 현대의 구축함은 대수상함, 대공, 대잠 장비를 균형 있게 갖추고 있으며, 프리깃 이하 함정들도 부분적으로 유사한 장비를 갖추어, 과거 대함 전투에 특화된 주력함과는 다른 성격을 보인다.
6. 1. 명명 규칙
주력함의 이름은 국가 원수(예: Bismarck|비스마르크de), 중요한 장소, 역사적으로 중요한 해군 장교 또는 해군본부(예: De Ruyter|데 로이테르nl), 역사적 사건 또는 물건(예: Constitution|컨스티튜션영어), 전통적인 이름(예: Ark Royal|아크 로열영어) 등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규칙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다.미국의 경우, Texas|텍사스영어(미국 최초의 전함)를 시작으로 주력함은 전통적으로 미국의 주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순양함은 일반적으로 미국령(예: 제2차 세계 대전 직전과 기간 중의 앨래스카급 순양함) 또는 미국의 도시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기간 동안, 일본 제국 해군 역시 전함 이름을 현(県)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는 관례를 따랐다 (예: Yamato|야마토일본어).[1]
미국 해군 항공모함은 일반적으로 제럴드 R. 포드와 체스터 W. 니미츠와 같이 미국 해군 역사상 유명한 정치인 및 기타 개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며, 엔터프라이즈는 예외이다.[1]
최초의 트라이던트 장착 탄도 미사일 잠수함(예: Ohio|오하이오영어급)을 시작으로, 미국의 핵잠수함에 주 이름이 적용되었다.[1] 마지막 ''오하이오''급 탄도 미사일 잠수함이 완성된 후, 주 이름은 공격 잠수함에도 적용되었다 (예: Virginia|버지니아영어급).[1]
7. 전략적 함의
주력함의 분류에 대한 공식적인 기준은 없지만, 해군 전략에서는 유용한 개념이다. 톤수나 포 구경 같은 세부 사항을 고려하지 않고도 작전 구역에서 상대적인 해군력을 비교할 수 있게 해준다.
전투함의 주된 목적은 해전에서 타국의 전투함과 교전하여 승리하는 것이며, 주력함은 이러한 해전에서 주력을 담당한다. 반면, 적 탐지, 정찰, 야습 등 부수적인 목적에 종사하는 전투함은 보조함으로 분류된다. 태평양 전쟁은 미국 해군이 주로 전함과 항공모함을 태평양에 배치하도록 하였다. 유럽에서의 전쟁은 주로 육상전이었고, 독일의 수상 함대는 작았으며, 대서양 해전에 사용된 호위함은 주로 구축함과 구축함 호위함으로 유보트의 위협에 대처했다.
7. 1. 마한주의와 제2차 세계 대전
마한주의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싱가포르 방어 계획에 적용되었다.[2] 당시 영국 해군은 대서양 및 태평양 전역에 전함과 순양전함을 배치하는 문제를 결정해야 했다. 마한주의는 일본 제국 해군에도 적용되었으며, 이는 진주만 공격과 미국 태평양 함대의 전함에 대한 선제공격을 위한 선제 전쟁으로 이어졌다.[2]참조
[1]
서적
The Price of Admiralty
https://archive.org/[...]
Viking
1989
[2]
웹사이트
Welcome to the website of the Force Z Survivors Association
http://www.forcez-su[...]
Forcez-survivors.org.uk
2011-07-12
[3]
간행물
Turkey, the Montreux Convention, and Russian Navy Transits of the Turkish Straits
https://www.usni.org[...]
US Naval Institute Proceedings
2022-03
[4]
문서
Chesneau, p. 388; Garzke & Dulin, p. 86; Friedman 1984, p. 288; McLaughlin 2006, p. 104
[5]
웹사이트
ww2pacific.com Pacific Fleet not at Pearl
http://www.ww2pacifi[...]
2010-11-10
[6]
웹사이트
ww2pacific.com Pacific Fleet at Pearl
http://www.ww2pacifi[...]
2010-11-10
[7]
웹사이트
Solarnavigator.net Pearl Harbor
http://www.solarnavi[...]
[8]
웹사이트
Gen Amos' speech to Surface Navy Association.
http://www.marines.m[...]
[9]
웹사이트
와シントン海軍軍縮条約:海軍軍備制限に関する条約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22-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