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수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수군은 기원전 114년 전한 시대에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농서군을 분할하여 만들었다. 왕망 시대에 전융군으로 개칭되기도 했으나, 후한 시기에 천수군으로 명칭이 회복되었다. 후한 말에는 한양군으로 개명되었으며, 위, 서진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다. 수나라 시대에는 진주로 개명되었다가, 당나라 때 다시 천수군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758년에 진주로 개칭되면서 천수군이라는 명칭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쑤성의 군 - 북지군
    북지군은 기원전 271년 진나라가 의거족의 영토를 병합하여 설치한 군으로 현재의 간쑤성 칭양시 일대에 위치했으며,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과 관할 지역에 변화가 있었고 당나라 대에 빈주로 불리다 군제가 폐지되어 사라졌다.
  • 간쑤성의 군 - 농서군
    농서군은 기원전 3세기에 진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치소가 적도에 있었으며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과 명칭이 변화했고, 양무현이 행정 중심지가 되면서 현대 룽시 현의 전신이 되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서진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서진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천수군
개요
위치중국 간쑤성 동남부
중심지톈수이시 (현재)
역사적 중심지상규 (上邽)
역사
설치 시기기원전 114년 (한나라)
폐지 시기554년 (서위)
변화전한: 설치
후한: 존속
삼국 시대: 위나라
서진: 존속
오호 십육국 시대: 여러 국가의 점령 및 분할
북위: 존속
서위: 폐지 및 다른 군으로 통합
행정 구역 (전한)
속현상규현 (上邽縣)
기현 (冀縣)
시저현 (始 저縣)
저도현 (邸道縣)
성기현 (成紀縣)
규저현 (規邸縣)
맥령현 (麥領縣)
계현 (街縣)
정양현 (精 양縣)
평양현 (平 양縣)
원도현 (苑道縣)
략양현 (略陽縣)
현의 수12개 현
인구 (전한)
총 인구258,052명
가구 수63,724호
주요 인물
위나라강유
마준
기타조앙
윤봉
이회
양부
제갈첨
한양군 (漢陽郡) 추가 정보
위치현재의 간쑤성 톈수이시 일대
역사전한 시대에 설치, 무도군의 일부
후한 시대에 독립된 군으로 분리
속현기현
상규현
시저현
저도현
규저현
성기현
서향후국 (西鄉侯國)
면저도위 (綿 저都尉)
주요 인물외준
조충
후열

2. 전한

원정 3년(기원전 114년) 농서군을 분할해 천수군을 설치했다.[12] 소제 시원 6년(기원전 81년)에는 금성·유중 2현을 신설된 금성군에 넘겨주었다.[12] 양주자사부에 속했다.[13]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60,370호, 261,348명이 있었다.[2][14][13]

한서 지리지에 따르면,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은 총 16현으로, 치소는 평양현이다. 속현은 다음과 같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평양현平襄縣딩시시 퉁웨이 현 서
가천현街泉縣핑량시 좡랑 현 남동
융읍도戎邑道톈수이시 칭수이 현 북서
망원현望垣縣톈수이시 북서
한견현罕幵縣톈수이시 남동
면제도綿諸道톈수이시 북
아양현阿陽縣핑량시 징닝 현 남서
약양도略陽道톈수이시 친안 현 북동
기현冀縣톈수이 시 간구 현《우공》의 주어산(朱圄山)이 현 남쪽 오중취(梧中聚)에 있다.
용사현勇士縣란저우시 위중 현 북속국도위의 치소가 만복(滿福)에 있다.
성기현成紀縣핑량 시 징닝 현 광야천(廣爷川)과 톈수이 시 친안 현 엽보향 사이
청수현淸水縣톈수이시 칭수이 현 북서
봉첩현奉捷縣?
농현隴縣톈수이시 칭수이 현 북
완도豲道딩시시 룽시 현 남동기도위(騎都尉)의 치소가 밀애정(密艾亭)에 있다.
난간현蘭干縣?



왕망 시대에는 전융군(填戎郡)으로 개칭되었다.[6]

2. 1. 속현 목록 (전한)

3. 신

왕망(王莽) 시대에 천수군은 전융군(塡戎郡)으로 개칭되었다.[6] 군의 이름은 진융(塡戎)으로, 현의 이름은 평상(平相), 진융정(塡戎亭), 망정(望亭), 기치(冀治), 기덕(紀德), 식목(識睦), 난순(蘭盾) 등으로 고쳐졌다.

전한
평양평상(平相)
융읍진융정(塡戎亭)
망원망정(望亭)
기치(冀治)
용사기덕(紀德)
청수식목(識睦)
난간난순(蘭盾)


3. 1. 변경된 현 이름 (신)

4. 후한

105년 한양군(漢陽郡)으로 개명되었다. 13성 27,423호 130,138명을 거느렸다.[15] 후한이 건국되자 천수군으로 명칭이 되돌아왔으나, 74년(영평 17년)에 다시 한양군(漢陽郡)으로 개칭되었다.[7]

후한 시대 한양군은 기(冀)·망원(望垣)·아양(阿陽)·약양(略陽)·용사(勇士)·성기(成紀)·롱(隴)·환도(豲道)·란간(蘭干)·평양(平襄)·현친(顕親)·상규(上邽)·서(西)의 13개 현을 관할했다.[7]

다음은 후한 시대 한양군의 현 목록이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기현冀縣톈수이시 간구 현제갈량사후 북벌을 전담하게 되는 강유가 태어난 곳이다.
망항현望恒縣톈수이 시 위남진
아양현阿陽縣핑량 시 징닝 현 이가천 일대
약양현略陽縣톈수이 시 장자촨 후이족 자치현 농성진인근에 가정 전투의 배경이 되었던 가정성이 있다. 193년 영양군으로 이관되었다.
용토현勇土縣
성기현成紀縣핑량 시 징닝 현 광야천(廣爷川)과 톈수이 시 친안 현 엽보향 사이
농현隴縣톈수이 시 장자촨 후이족 자치현
완도豲道
난간현蘭干縣
평양현平襄縣딩시 시 퉁웨이 현 신점자193년 영양군으로 이관되었다.
현친현顯親(新)縣톈수이 시 친안 현 서보촌
상규현上邽縣톈수이 시
서현西縣룽난 시 리 현 홍하향


4. 1. 속현 목록 (후한)

5. 조위

후한말 광위군으로 이관되었던 평양현, 약양현이 있었다. 남쪽으로 촉나라 무도군과 접하고 있었는데, 228년 천수의 난이 일어나 천수군과 인근의 농서군, 남안군, 안정군일대의 호족들이 제갈량의 북벌에 투항하면서 일시적으로 촉나라의 땅이 되었다. 그러나 마속가정 전투에서 패하면서 위나라가 수복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기현冀縣톈수이시 간구 현천수군의 치소를 두었다.
신양현新陽縣
현신현顯新縣톈수이 시 친안 현 서보촌
성기현成紀縣딩시 시 퉁웨이 현 치평향
서현西縣룽난 시 리 현 홍하향
상규현上邽縣톈수이 시



"천수(Tianshui)"라는 이름은 조위(Cao Wei) 시대에 부활했다. 서기 280년, 6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인구는 8,500 가구였다.[4]

5. 1. 속현 목록 (조위)

6. 서진

서진에서 천수군으로 복구했으며 269년(태시 5년)에 진주를 신설하면서 진주로 이관되었다.[16] 전량을 세우는 장궤가 점령했으며 일시적으로 전조 유요에게 점령당한 적이 있었다.[16]

서진 시대 천수군은 6현 8,500호를 거느렸다.[4]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상규현上邽縣톈수이 시천수군의 치소를 두었으며 이때부터 천수군의 치소가 상규로 고정되었기에 상규현이 현재의 톈수이 시의 전신이 되었다.
기현冀縣톈수이시 간구 현진주자사부가 있었다.
시창현始昌縣딩시 시 리 현 북서부 백하보회족진 일대
신양현新陽縣톈수이 시 마이지 구 중탄진일대
현신현顯新縣톈수이 시 친안 현 서보촌
성기현成紀縣핑량 시 징닝 현 광야천(廣爷川)과 톈수이 시 친안 현 엽보향 사이


6. 1. 속현 목록 (서진)

7. 남북조 시대

기원전 114년(전한원정 3년)에 Longxi와 Beidi 군의 영토에서 천수군(天水郡)이 설치되었다.[1] 왕망 시대에, 전융군(填戎郡)으로 개칭되었다.[6] 후한이 건국되자, 천수군으로 명칭이 되돌아왔다. 74년(영평 17년)에, 천수군은 한양군(漢陽郡)으로 개칭되었다.[7] 삼국 위 초기에, 천수군으로 명칭이 되돌아왔다.

진 시대에, 천수군은 진주에 속했으며, 상규(上邽)·기(冀)·시창(始昌)·신양(新陽)·현친(顕親)·성기(成紀)의 6개 현을 관할했다.[8]

북위 시대에, 천수군은 상봉(上封)·현친(顕親)·평천(平泉)·당신(当新)의 4개 현을 관할했다.[9] 진주의 치소를 천수군에 두었다. 4현을 거느렸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상규현上邽縣톈수이 시
현신현顯新縣톈수이 시 친안 현 서보촌447년(태평진군 8년) 안이현을 통폐합했다.
평천현平泉縣
당정현當亭縣톈수이 시 간구 현 고파향(古坡鄕)447년 설치했다.



영가의 난때 북방민족의 침공으로 수많은 화북의 주민들이 강남에 정착했다. 이후 지금의 샹양 시 일대에 천수군이 설치되었고 본래 천수군의 남쪽에 있다하여 '''남천수군(南天水郡)'''이라 이름지었다. 457년(유송 효무제 대명 원년) 폐지되었고 4현 687호 3,122명을 거느렸다.[17]

현명한자대략적 위치/직위비고
화음현華陰縣미상/현령(縣令)
서현西縣미상/현령(縣令)
약양현略陽縣샹양 시 이청시 동 안뇌촌(安垴村)남/후상(候相)
하양현河陽縣미상/현령(縣令)


7. 1. 북위

진주의 치소를 천수군에 두었다. 4현을 거느렸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상규현上邽縣톈수이 시
현신현顯新縣톈수이 시 친안 현 서보촌447년(태평진군 8년) 안이현을 통폐합했다.
평천현平泉縣
당정현當亭縣톈수이 시 간구 현 고파향(古坡鄕)447년 설치했다.


7. 1. 1. 속현 목록 (북위)

요약(summary)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source) 또한 내용이 없으므로, '천수군' 문서의 '속현 목록 (북위)'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정보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7. 2. 남조

영가의 난때 북방민족의 침공으로 수많은 화북의 주민들이 강남에 정착했다. 이후 지금의 샹양 시 일대에 천수군이 설치되었고 본래 천수군의 남쪽에 있다하여 '''남천수군(南天水郡)'''이라 이름지었다. 457년(유송 효무제 대명 원년) 폐지되었고 4현 687호 3,122명을 거느렸다.[17]

현명한자대략적 위치/직위비고
화음현華陰縣미상/현령(縣令)
서현西縣미상/현령(縣令)
약양현略陽縣샹양 시 이청시 동 안뇌촌(安垴村)남/후상(候相)
하양현河陽縣미상/현령(縣令)


7. 2. 1. 속현 목록 (남조)

요약(summary)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source) 또한 비어있으므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천수군' 문서의 '속현 목록 (남조)'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빈 섹션을 생성하는 것 또한 적절하지 않으므로,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8. 수

북주에서 총관부를 설치했으나 대업 초에 폐지되었다. 천수군은 6현 52,130호를 거느렸다.[18]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상규현上邽縣톈수이 시개황초에 군을 폐지했다가 대업초 군을 복구하면서 복구되었다. 몽수(濛水)가 흐른다.
기성현冀城縣톈수이 시 간구 현북주에서 기성현이라고 불렀으며 청수군에 소속되었다. 하지만 개황초에 청수군을 폐하면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관관(關官)이 있다. 분수령(分水嶺)이 있다.
진령현秦嶺縣톈수이 시 마이지 구 백양진북위에서 설치한 현이다. 백양현이라고 불렸다가 개황연간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농성현隴城縣톈수이시 친안현 농성진(隴城鎭)약양군(略陽郡)이 있던 곳으로 약양군은 582년(개황 2년) 폐지되었고 현명도 하양(河陽)으로 바뀌었다. 586년(개황 6년) 농성으로 개명했다.
청수현淸水縣톈수이 시 칭수이 현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천수군은 친주의 다른 이름이었다. 천수군은 6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인구는 52,130 가구였다.[5] 619년(무덕 2년)에, 당(唐)이 설거를 평정하면서, 천수군은 당의 진주가 되었고, 총관부가 설치되었다. 742년(천보 원년)에, 진주는 천수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에, 천수군은 진주로 개칭되었고, 천수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1]

583년(개황 3년)에,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천수군은 진주(秦州)로 개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州)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진주는 천수군으로 개칭되었다. 상규(上邽)·기성(冀城)·청수(清水)·진령(秦嶺)·롱성(隴城)·성기(成紀)의 6개 현을 관할했다[10]

8. 1. 속현 목록 (수)

9. 당

619년(당 고조) 무덕 2년, 설거(薛舉)를 굴복시키고 진주(秦州)에 총관부를 설치했다. 진주는 상규현, 성기현, 진령현, 청수현의 4개 현을 관할했다. 총관부는 진주, 위주, 민주, 조주, 성주, 난주, 문주, 무주, 강주, 탕주, 부주 등 12개 주를 통치했다.[19] 626년(당 고조 무덕 9년)에는 지금의 톈수이시 간구현 무가하향(武家河鄕) 남쪽에 염천현이 신설되었고, 627년(당 태종 정관 원년) 염천현을 이빈현(夷賓縣)으로 개명했다가 628년(당 태종 정관 2년) 폐지되었다.[19] 632년(당 태종 정관 6년) 장천현을, 643년(당 태종 정관 17년) 진령현을 각각 통폐합했다.[19] 640년(당 태종 정관 14년)에는 진주, 만주, 위주, 무주의 4개 주 치소를 상규에 두었다.[19]

742년(천보 원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천수군으로 복구되었고, 옛 도독부에 의지했는데, 이 도독부는 천수군, 농서군, 동곡군의 민정을 맡았다. 같은 해 치소를 다시 상규현으로 옮겼다.[19] 758년(건원 원년), 진주로 복구되었다.[19] 초기에는 6현 5,724호 25,073명을, 천보 연간에는 5현 24,827호 109,700명을 거느렸다.[19]

당나라 시기 천수군(진주)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상규현上邽縣톈수이 시734년(당 현종 개원 22년) 지진으로 치소를 성기현 경친천(敬親川)으로 옮겼다가 742년 진주 치소로 복구되었다. 농우도의 중심지였다.
성기현成紀縣핑량 시 징닝 현 광야천(廣爷川)과 톈수이 시 친안 현 엽보향 사이본래 치소는 소항천(小坑川)가에 있었으나 734년 지진으로 경친천으로 옮겨 진주자사부로 삼았다. 742년 진주 치소가 상규로 복구되었다.
복강현伏羌縣톈수이 시 간구 현620년(당 고조 무덕 3년) 기성현에서 복강현으로 개명 후 복주(伏州)를 설치했으나 625년 복주 폐지로 진주에 내속되었다. 629년(당 태종 정관 3년) 이빈현을 통폐합했다.
농성현隴城縣톈수이 시 친안 현 농성진(隴城鎭)619년 문주(文州)로 분리되었다가 625년(당 고조 무덕 8년) 진주로 통폐합되었다. 장천현을 통폐합했다.
청수현淸水縣톈수이 시 칭수이 현621년(당 고조 무덕 4년) 청수현을 규주(邽州)로 분리했으나 2년 만에 진주로 통폐합되었다.


9. 1. 속현 목록 (당)

10. 송

진주 참조.

기원전 114년 전한 원정 3년에 Longxi와 Beidi 군의 영토에서 천수군(天水郡)이 설치되었다.[1] 천수군은 양주에 속했으며, 평양(平襄)·가천(街泉)·융읍도(戎邑道)·망원(望垣)·한건(罕幵)·면제도(綿諸道)·아양(阿陽)·약양도(秦安道)·기(冀)·용사(勇士)·성기(成紀)·청수(清水)·봉첩(奉捷)·롱(隴)·환도(豲道)·란간(蘭干)의 16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 시대에, 전융군(填戎郡)으로 개칭되었다[6]。 서기 2년, 천수군의 총 인구는 261,348명(60,370 가구)이었다.[2]

후한이 건국되자 천수군으로 명칭이 되돌아왔으나, 74년(영평 17년)에 한양군(漢陽郡)으로 개칭되었다.[7] 기(冀)·망원(望垣)·아양(阿陽)·약양(略陽)·용사(勇士)·성기(成紀)·롱(隴)·환도(豲道)·란간(蘭干)·평양(平襄)·현친(顕親)·상규(上邽)·서(西)의 13개 현을 관할했다[7]。 서기 140년 동한(Eastern Han)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130,138명(27,423 가구)이었다.[3]

삼국 위 초기에 천수군으로 명칭이 되돌아왔다. 진 시대에 천수군은 진주에 속했으며, 상규(上邽)·기(冀)·시창(始昌)·신양(新陽)·현친(顕親)·성기(成紀)의 6개 현을 관할했다[8]。 서기 280년, 6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인구는 8,500 가구였다.[4]

북위 시대에는 천수군과 한양군으로 분할되었으며,[4] 천수군은 상봉(上封)·현친(顕親)·평천(平泉)·당신(当新)의 4개 현을 관할했다[9]

583년(개황 3년)에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천수군은 진주(秦州)로 개명되었다. 607년(대업 3년)에 주(州)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진주는 다시 천수군으로 개칭되었다.[10]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천수군은 친주의 다른 이름이었다. 상규(上邽)·기성(冀城)·청수(清水)·진령(秦嶺)·롱성(隴城)·성기(成紀)의 6개 현을 관할했으며,[10] 인구는 52,130 가구였다.[5]

619년(무덕 2년)에 당(唐)이 설거를 평정하면서 천수군은 당의 진주가 되었고 총관부가 설치되었다. 742년(천보 원년)에 진주는 천수군으로, 758년(건원 원년)에 다시 진주로 개칭되면서 천수군의 명칭은 사라졌다.[11]

참조

[1] 서적 Dynamics of Disintegration: The Later Han Empire (25-220 CE) & Its Northwestern Frontier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2
[2] 서적 Book of Han https://s:zh.wikiped[...]
[3]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s:zh.wikiped[...]
[4] 서적 Book of Jin https://s:zh.wikiped[...]
[5] 서적 Book of Sui https://s:zh.wikiped[...]
[6] 서적 漢書地理志下
[7] 서적 後漢書』郡国志五
[8] 서적 晋書』地理志上
[9] 서적 魏書』地形志二下
[10] 서적 隋書』地理志上
[11] 서적 旧唐書』地理志三
[12]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13]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4] 서적 한서
[15]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16]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17]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18]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19] 서적 구당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