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복기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축복기도는 기독교 예배, 유대교 의식, 힌두교 기도 등에서 행해지는 의례적인 축복을 의미한다. 기독교에서는 예배의 마지막 부분에 행해지며, 로마 가톨릭교회, 성공회, 개신교 등 다양한 교파에서 각기 다른 형식으로 진행된다. 유대교에서는 베라코트라고 불리는 의례적인 축복 기도를 사용하며, 힌두교에서는 만트라 기도를 축복으로 간주한다. 또한, 축복기도는 문학, 음악 등 대중문화에서도 소재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기도 - 성공회 기도서
성공회 기도서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 과정에서 가톨릭 교회의 성무일도에서 파생되어 예배, 기도, 성례 등의 절차를 담은 규칙서로, 영어 예배와 성서학 및 고전문헌학 발달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성공회에서는 '성공회 기도서' 또는 '기도서'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 기독교의 기도 - 기독교 신비주의
기독교 신비주의는 하느님의 직접적이고 변혁적인 임재를 준비하고 자각하며 영향을 받는 기독교 신앙 및 실천으로, 그 어원은 "숨기다"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하느님의 "임재"에 대한 "의식"을 강조하는 독특한 경험으로 이해된다.
축복기도 |
---|
2. 기독교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기독교인들은 예배 의식, 특히 예배의 마지막에 의례적인 축복 기도를 도입했으며, 이는 동방 기독교와 서방 기독교 모두에서 정기적으로 행해졌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예배의 시작과 끝에 축복 기도가 있으며, 예배 중에도 다른 축복 기도가 있을 수 있다. 마지막 축복 기도(파송)가 가장 중요하며, 그날 기념하는 대축일이나 성인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사제는 오른손으로 축복하고, 주교는 두 손으로 축복한다. 이때 손가락은 IC XC(그리스어로 "예수 그리스도"의 약자)를 형성하도록 잡고, 손으로 공중에 십자가 성호를 긋는다. 주교나 수도원장이 축복 기도를 할 때 주교 지팡이를 들고 있다면, 오른손을 들어 주교 지팡이와 오른손으로 십자가 성호를 번갈아 가며 긋는다. 신성한 전례의 마지막에 나오는 것과 같은 더 엄숙한 축복 기도는 손 대신 축복 십자가로 행해진다.
2. 1. 로마 가톨릭 교회
사제가 "전능하신 천주 성부, 성자, 성령께서는 여기 모인 모든 이에게 (또는 "우리에게") 강복하소서."라고 말하면 신자들이 따라 "아멘"이라고 후창한다.[1]로마 가톨릭교회의 축복 기도에는 교황과 그의 대리인이 행하는 [http://www.newadvent.org/cathen/02602a.htm 사도적 축복]과 임종 시의 [http://www.newadvent.org/cathen/04660c.htm "마지막 축복"]이 포함된다. 성찬 전에 종종 복잡하고 긴 축복 기도가 갈리아 전례 미사에서 이루어졌고, 일부 프랑스 관구에서는 갈리아 전례 논쟁으로 억압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나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이러한 관구들이 지역 전례의 이 전통적인 요소를 복원하도록 허가했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가장 일반적인 예배 중 하나는 축복기도이며, 프랑스에서는 살뤼(Salut), 독일에서는 제겐(Segen)이라고 알려져 있다. 오후나 저녁에 드리는 신심으로, 성체가 성광 안에 제단 위에 노출되고 촛불로 둘러싸인 상태에서 특정한 찬송가, 연도, 성가를 부른다. 마지막에 사제나 부제는 어깨에 후두 베일을 두르고 성광을 손에 들고 무릎을 꿇고 있는 신자들 위에서 묵묵히 십자 성호를 긋는다. 축복기도는 종종 저녁기도, 야경 등 다른 예배의 결론으로 사용되지만, 그 자체로 완벽한 의식으로 취급되는 경우도 많다.
여러 국가에서 사용에 상당한 다양성이 있지만, 일부 요소는 일관적이다. 향과 왁스 촛불의 사용, "Tantum ergo"와 그 구절 및 기도의 노래, 그리고 성체로 주는 축복은 모든 곳에서 의무적이다. 로마에서는 엄격하게 전례로 간주되는 예배의 유일한 부분은 "Tantum ergo"의 노래와 바로 뒤따르는 축복을 주는 것이다. 많은 로마 교회에서 집전 사제가 코프를 입고 향로를 든 사람, 시종 등의 행렬을 이끌고 "Tantum ergo"가 시작되기 직전에 성소로 들어간다. 이에 앞서, 성체는 코타와 영대를 입은 사제에 의해 비공식적으로 노출된다. 그 다음 합창단과 신자들은 연도와 성가를 부르거나, 상황에 따라 기도와 신심을 바친다.
영어권 국가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제와 그의 조력자가 행렬을 이루어 들어오고 성합실에서 성체를 꺼내자마자 "O Salutaris Hostia"를 부르는 것으로 예배가 시작된다. 영국에서는 "O Salutaris"의 노래가 이전 웨스트민스터 관구의 시노드에서 승인된 절차 규정인 "Ritus servandus"에서 명시되어 있다. 성모의 연도는 일반적으로 "O Salutaris" 뒤에 인쇄되고 축복기도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불리지만, 의무적인 것은 아니다. 부제와 차부제가 달마티카를 입고 참석함으로써 예배에 더 엄숙함을 더하는 경우가 많다. 교구 주교가 집전할 때 제단으로의 행렬에서 미트라와 주교 지팡이를 사용하고, 축복을 줄 때 신자들 위에서 세 번 십자 성호를 긋는다.
더 정교한 의식을 수행할 수단이 없는 경우, 비공식적인 예배가 허용된다. 코타와 영대를 착용한 사제가 성합실 문을 연다. 기도와 신심이 드려지거나 불리고, 그런 다음 사제는 성합실 문이 다시 닫히기 전에 베일로 덮인 성작으로 참석자들을 축복한다. 성광으로 축복기도를 드리는 예배에는 교구 주교의 일반 또는 특별 허가가 필요하다.[3]
2. 2. 성공회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기독교인들은 예배 의식, 특히 예배의 마지막에 의례적인 축복 기도를 도입했으며, 동방 기독교와 서방 기독교 모두에서 정기적으로 행해졌다. 성공회는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 이후에도 축복의 원리를 유지했으며, 그 결과 축복 기도는 대부분의 성공회 예배를 마무리한다.[1] 사제가 "전능하신 하느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여러분에게 강복하소서."라고 말하면 신자들이 따라 "아멘"이라고 후창한다.2. 3. 개신교
개신교는 교단이 다양하며 정해진 기도문은 없으나, 고린도후서 13장 13절에 근거하여 하나님(성부), 예수 그리스도(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축복기도를 한다.침례교와 전례를 따르는 개신교 교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축복 기도 형식은 예배 인도자가 손을 들고 성경의 제사장 축복(민수기 6:24-26)의 말씀을 암송하는 것이다. 이 축복 기도는 마르틴 루터가 독일 미사에서 미사에 추가했으며, 루터교회에서 전통으로 남아 있다.[1] 감리교회와 같은 많은 개신교 교파들은 예배의 마지막 부분에 축복 기도를 포함시킨다.[2] 이러한 축복 기도는 성경에서 인용되거나, 교회 구성원이 작성하거나, 이 두 가지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3. 유대교
유대교는 예루살렘 성전과 가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의례적인 축복기도(Berakhah|베라코트he)를 발전시켰다. 히브리어 동사(''brkh'')는 '무릎을 꿇다'를 의미한다.[4] 이러한 ''베라코트''는 종종 ''미츠바''(신의 계명)의 이행에 대한 축복의 형태를 취했다. 가장 중요한 축복은 사제 축복으로, 코하님(아론의 후손인 제사장)이 선포하였다.
4. 힌두교
ISKCON에 의해 대중화된 힌두교의 축복기도는 보통 점심, 오후 또는 기타 선호되거나 선택된 시간 동안, 전후에 말하거나 부르는 만트라 기도를 의미한다.
5. 대중문화 속 축복
- F. 스콧 피츠제럴드의 단편 소설 《축복기도》는 1920년에 출판되었다.
- Hot Natured와 Ali Love의 트랙 "Benediction"은 Hot Creations 레이블에서 발매되었다.
- Thurston Moore의 솔로 앨범 《Demolished Thoughts》의 첫 번째 트랙은 "Benediction"이다.
- The Weakerthans의 세 번째 앨범 《Reconstruction Site》의 수록곡 중에 "Benediction"이 있다.
- 켄트 하루프의 소설 "Benediction"은 2013년에 출판되었다.
- August Alsina의 트랙 중에도 "Benediction"이 있다.
- Benediction은 영국 버밍엄 출신의 데스 메탈 밴드이다.
참조
[1]
서적
Lutheran Worship History and Practice
Concordia Publishing House
1993
[2]
서적
American Methodist Worship
Oxford University Press
2001-03-08
[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Benediction of the Blessed Sacrament
http://www.newadvent[...]
[4]
간행물
Benedictions
Encyclopedia Judaica
0000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musicasac[...]
2019-07-31
[6]
웹사이트
Sacred Service (Avodat Hakodesh)
https://www.milken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