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루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루가는 러시아 칼루가주의 행정 중심지이며, 14세기 중반 모스크바 대공국의 남서쪽 변경 요새로 건설되었다. 이름은 "늪, 수렁"을 의미하는 고대 러시아어에서 유래되었다. 타타르족의 습격 기간 동안 오카 강변 방어선의 서쪽 끝이었고,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당시에는 프랑스군의 퇴각 경로가 되기도 했다. 러시아 제국 시대에는 정치적 망명자들의 거주지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의 점령을 겪었다. 현재 칼루가는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이며, 폭스바겐, 볼보, PSA 푸조 시트로엥 등 외국 자동차 기업들의 조립 공장이 위치해 있다. 기후는 습윤 대륙성 기후이며, 그랍체보 공항과 철도 노선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루가주 - 주코프 (칼루가주)
    주코프는 러시아 칼루가주에 위치한 산업 도시로, 17세기 초 철강 공장과 함께 시작되어 1974년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를 기념하여 개명되었으며 역사적 명소와 기념관들이 있다.
  • 칼루가주 - 코젤스크
    코젤스크는 1146년에 처음 언급된 러시아 도시로, 1238년 몽골 침공 당시 격렬한 저항으로 "악의 도시"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전략 로켓군 기지와 역사적 건축물, 옵티나 푸스틴 수도원으로 알려진 군사적, 문화적, 종교적 요충지이다.
  • 러시아의 주도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주도 - 오룔
    오룔은 러시아 오룔 주의 주도로, 1566년 요새로 건설되어 곡물 생산 및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혼란과 전쟁을 거쳐 재건되어 현재는 교육 및 교통의 중심지로서 국제 협력을 추진하는 도시이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칼루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카루가
로마자 표기Kaluga
별칭코스모노트의 요람 (Kolibel' Kosmonavtiki)
위치칼루가 주
스페이스 뮤지엄, 로켓 보스토크, 라코프의 집 상점, 조감도에서 본 카루가, 트롤리버스, 모스콥스카야와 도스토옙스코고 거리의 모퉁이
스페이스 뮤지엄, 로켓 보스토크, 라코프의 집 상점, 조감도에서 본 카루가, 트롤리버스, 모스콥스카야와 도스토옙스코고 거리의 모퉁이.
칼루가 국기
칼루가 국기
칼루가 문장
칼루가 문장
기념일9월 둘째 주 토요일
행정
국가러시아
연방 주체칼루가 주
도시 지위연방 주체 중요 도시
도시 구역칼루가 도시 구역
행정 중심지칼루가 주
자치체칼루가 도시 구역
시장드미트리 데니소프
시 의회칼루가 시 두마
지리
면적170.5 제곱킬로미터
고도190 미터
역사
최초 언급1371년
인구
2010년 인구 조사324,698명
기타 정보
우편 번호248xxx
지역 번호4842
웹사이트칼루가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칼루가는 14세기 중반 모스크바 대공국의 남서쪽 변경 요새로 건설되었으며, 14세기의 연대기에서 처음 '콜루가'로 기록되었다. 칼루가라는 이름은 고대 러시아어 '칼루가'에서 유래되었으며, "늪, 수렁"을 의미한다.[10] 타타르족의 습격 기간 동안 칼루가는 오카 강변 방어선의 서쪽 끝이었다. 우그라 강 대치는 칼루가 바로 서쪽에서 벌어졌다. 중세 시대 칼루가는 보로틴스키 공작이 소유한 작은 정착지였다. 이 공작들의 선조의 고향은 현대 도시의 남서쪽에 있다.

1777년 1월 19일, 칼루가 드라마 극장이 미하일 크레체트니코프 총독의 직접적인 참여로 설립되어 첫 번째 연극 시즌을 열었다.[11]

칼루가는 모스크바와 철도 노선, 그리고 고대 도로인 칼루가 도로(현재는 부분적으로 모스크바 내에 있으며(구 칼루가 고속도로), 부분적으로 A101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12] 1812년 가을, 나폴레옹은 모스크바의 함정에서 탈출하기 위해 이 도로를 이용하려 했다. 그러나 미하일 쿠투조프 장군은 나폴레옹의 진격을 격퇴하고, 퇴각하는 프랑스 군대를 프랑스가 러시아 침공 당시 황폐화시킨 오래된 스몰렌스크 도로로 몰아냈다.

러시아 제국 시대 동안 칼루가는 정치적 망명자와 수감자들의 거주지였다.

인물기간
샤힌 기라이1786년
키르기스 술탄 아리가지-압둘-아지즈1828년
조지아 공주 테클라 공주1834년–1835년
아바르 지도자 이맘 샤밀1859년–1868년

[13]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군대바르바로사 작전의 일환으로 모스크바 전투 기간 동안 칼루가를 잠시 점령했다. 칼루가는 1941년 10월 12일부터 12월 30일까지 독일군에 점령되었다.[10] 1944년, 소련 정부는 현지 군사 건물을 사용하여 진격하는 소련 전선에서 체포한 폴란드 국내군 병사들을 구금했다.

오카강과 칼루가 시가지

2. 1. 중세 시대

칼루가는 14세기 중반 모스크바 대공국의 남서쪽 변경 요새로 건설되었으며, 14세기의 연대기에서 처음 '콜루가'로 기록된다. 이름은 고대 러시아어 '칼루가'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늪, 수렁"을 의미한다.[10] 타타르족의 습격 기간 동안에는 오카 강변 방어선의 서쪽 끝이었다. 우그라 강 대치는 바로 서쪽에서 벌어졌다. 중세 시대 칼루가는 보로틴스키 공작이 소유한 작은 정착지였다. 이 공작들의 선조의 고향은 현대 도시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다.

1371년, 칼루가는 리투아니아 대공 알기르다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필로테오스에게 보낸 서한에서 모스크바 대공국에 빼앗긴 도시 중 하나로 언급되었다.

중세 칼루가는 오카 강 상류 공국군 중 하나인 보로틴스크 공국에서 기원하여 모스크바 대공국의 유력 귀족이 된 보로틴스키 공이 다스리는 작은 도시였다. 원래 중심지였던 보로틴스크는 현재 칼루가 시 바로 남서쪽에 있었다고 전해진다. 칼루가와 모스크바 사이에는 칼루가 도로라고 불리는 옛길이 있었고, 중세부터 근세에 걸쳐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현재 국도 A101호는 부분적으로 이 옛길 근처를 지난다.

1480년에는, 대 오르다의 아흐마드 칸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연합군에 대항하여 모스크바 대공국의 이반 3세의 군대가 대치한 "우그라 강변 대치"가 발생하였고, 이는 러시아에 대한 몽골의 지배("타타르의 멍에")의 종말을 알리는 전투가 되었다. 칼루가는 모스크바 대공국 군의 거점이 되었고, 이후에도 모스크바를 목표로 쳐들어오는 서쪽의 리투아니아나 남쪽의 타타르인 군대를 여기서 막는 요새가 되었다. 17세기 초 혼란기인 러시아-폴란드 전쟁에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군대와 가짜 드미트리 2세 군대에 의해 칼루가는 유린되었다. 모스크바 부근의 본거지 투시노에서 도망친 가짜 드미트리 2세를 우르소프 공이 살해한 곳이 칼루가였다. 칼루가에 있던 목조 크렘린 (요새)은 1654년 우크라이나가 폴란드에서 러시아로 할양되면서 중요성을 잃었고, 18세기에 소실된 채로 재건되지 않았다.

2. 2. 근세 시대

칼루가는 14세기 중반 모스크바 대공국의 남서쪽 변경 요새로 건설되었으며, 14세기의 연대기에서 처음 '콜루가'로 기록된다. 이름은 고대 러시아어 '칼루가'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늪, 수렁"을 의미한다.[10] 타타르족의 습격 기간 동안에는 오카 강변 방어선의 서쪽 끝이었다. 우그라 강 대치는 바로 서쪽에서 벌어졌다. 중세 시대 칼루가는 보로틴스키 공작이 소유한 작은 정착지였다. 이 공작들의 선조의 고향은 현대 도시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다.

1708년 표트르 1세의 지방 개혁으로 칼루가는 모스크바현의 일부가 되었다. 1775년 예카테리나 2세가 칼루가를 행차했고, 다음 해인 1776년 8월 24일에는 칼루가현이 설치되어 칼루가는 12개의 군을 통괄하는 현의 주도가 되었다. 또한 예카테리나 2세는 신고전주의 건축에 의한 도시 계획도 제정했다. 당시 인구는 17,000명 정도였으며, 시가지에는 석조 건축이 늘어서고, 그전까지의 명산품이었던 목공품이나 레이스 외에 벽돌이나 타일 공장을 시작으로 작은 공장이 다수 들어섰다. 1777년에는 러시아에서도 가장 오래된 부류에 속하는 드라마 극장이 개관했다.

1777년 1월 19일, 칼루가 드라마 극장이 미하일 크레체트니코프 총독의 직접적인 참여로 설립되어 첫 번째 연극 시즌을 열었다.[11]

칼루가는 모스크바와 철도 노선과 고대 도로인 칼루가 도로(현재는 부분적으로 모스크바 내에 있으며(구 칼루가 고속도로), 부분적으로 A101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12] 이 도로는 1812년 가을, 나폴레옹이 모스크바의 함정에서 탈출하는 데 선호하는 경로를 제공했다. 그러나 미하일 쿠투조프 장군은 나폴레옹의 이 방향으로의 진격을 격퇴하고 퇴각하는 프랑스 군대를 프랑스가 러시아 침공 당시 황폐화시킨 오래된 스몰렌스크 도로로 몰아냈다.

한편 재해도 많았다. 1723년1737년에는 기근으로 마을이 폐허가 되었다. 1742년부터 1761년에 걸쳐 마을은 여러 번 소실되었다. 1771년에는 페스트가 맹위를 떨쳤다.

러시아 제국 시대 동안 칼루가는 마지막 크림 칸 샤힌 기라이(1786), 키르기스 술탄 아리가지-압둘-아지즈(1828), 조지아 공주 테클라(1834–1835) 및 아바르 지도자 이맘 샤밀(1859–1868)과 같은 정치적 망명자와 수감자들의 거주지였다.[13]

2. 3. 나폴레옹 전쟁 이후

1812년 나폴레옹 1세가 이끄는 프랑스군(대륙군)이 러시아 제국을 침공했을 때, 칼루가는 후방 기지로서 큰 역할을 했다. 칼루가는 게릴라의 거점이 되어 프랑스군의 후방을 습격했다. 나폴레옹은 모스크바에서 철수할 때 칼루가 길을 통과하려 했지만, 미하일 쿠투조프는 말로야로슬라베츠 전투 등에서 대륙군의 퇴각을 방해하여 모스크바 침공 당시 이미 초토화되어 보급 물자가 없는 스몰렌스크 길을 지나갈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다.[13]

칼루가는 모스크바와 철도 노선 및 고대 도로인 칼루가 도로(A101 도로)로 연결되어 있었다.[12] 이 도로는 1812년 가을, 나폴레옹이 모스크바에서 퇴각할 때 사용하려던 경로였다. 그러나 미하일 쿠투조프 장군은 나폴레옹의 이 방향으로의 진격을 격퇴하고 퇴각하는 프랑스 군대를 프랑스가 러시아 침공 당시 황폐화시킨 오래된 스몰렌스크 도로로 몰아냈다.

러시아 제국 시대 동안 칼루가는 정치적 망명자와 수감자들의 거주지였다. 대표적인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기간
샤힌 기라이1786년
키르기스 술탄 아리가지-압둘-아지즈1828년
조지아 공주 테클라 공주1834년–1835년
아바르 지도자 이맘 샤밀1859년–1868년

[13]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독일 국방군바르바로사 작전의 일환으로 모스크바 전투 기간 중 칼루가를 점령했다. 칼루가는 1941년 10월 12일부터 12월 30일까지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며[10], 1941년 10월 13일 독일 국방군에 점령되었다가[26] 같은 해 12월 30일 붉은 군대의 반격으로 탈환되었다. 독일군 철수 과정에서 많은 가옥이 파괴되었다. 1944년 칼루가의 붉은 군대 시설에는 붉은 군대가 전선에서 포로로 잡은 폴란드 국내군 병사들이 수용되었다.

1944년 7월 5일 칼루가 주가 신설되면서 칼루가는 칼루가 주의 주도가 되었다.

2. 5. 21세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되어 부분 동원령이 내려지자, 칼루가 시는 예산을 동원병 장비 충원에 필요한 비용으로 배분했다. 이 때문에 매년 연말에 열리던 불꽃놀이 등이 중단되었다.[27]

2024년 11월에는 시내의 군수 공장에 우크라이나의 무인기 등에 의한 공격이 발생하여 시설이 화재로 불타는 피해가 발생했다.[28]

3. 행정 구역 및 인구

칼루가는 칼루가주의 행정 중심지이다.[15] 러시아의 행정 구역 틀 내에서 칼루가 시는 칼루가주의 행정 구역과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로 통합되었다.[15] 러시아의 지방 자치체로서 칼루가 시는 페르지코프스키 군의 셀로 노보즈다미로보와 함께 '칼루가 도시 오크루그'로 통합되었다.[16]

3. 1. 인구 통계

칼루가의 인구 변화[14]
연도인구
1897년49,513명
1926년49,425명
1939년89,396명
1959년134,235명
1970년210,906명
1979년265,013명
1989년311,399명
2002년334,751명
2010년324,698명
2021년337,058명



2021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칼루가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4]

칼루가의 민족 구성 (2021년)
민족 집단인구비율
러시아인310,622명91.9%
아르메니아인4,527명1.3%
타지크인3,260명1.0%
우즈벡인3,100명0.9%
우크라이나인2,876명0.9%
기타13,691명4.0%


3. 2. 민족 구성

2021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칼루가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4]

민족 집단인구비율
러시아인310,62291.9%
아르메니아인4,5271.3%
타지크인3,2601.0%
우즈벡인3,1000.9%
우크라이나인2,8760.9%
기타13,6914.0%


4. 경제

칼루가 터빈 공장과 철도 궤도 기계를 생산하는 칼루가 기계 공장이 이곳에 위치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칼루가는 여러 외국 기업들이 조립 공장을 설립하면서 러시아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17]

2007년 11월 28일, 폭스바겐 그룹(Volkswagen Group)은 칼루가에 새로운 조립 공장을 열었고, 2009년까지 확장되었다. 투자는 5억유로 이상에 달했다. 공장에서는 폭스바겐 파사트, 스코다 파비아 및 스코다 라피드를 조립했다.[18]

2007년 10월 15일, 볼보(Volvo Group)는 새로운 트럭 조립 공장 기공식을 가졌으며, 2009년 1월 19일에 개장했다.[19] 연간 생산 능력은 볼보 트럭 10,000대와 르노 트럭(Renault trucks) 5,000대였다.[20]

2007년 12월 12일, PSA 푸조 시트로엥은 칼루가에 새로운 조립 공장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21] 칼루가는 공업 도시로서 번영해 왔다. 특히 소련 시대에는 방위 산업이 시의 고용의 많은 부분을 차지했지만, 2000년대 후반에는 러시아에 진출한 외국 자동차 기업들이 잇달아 칼루가에 조립 공장을 설치하여 칼루가는 자동차 산업의 중심이 되어가고 있다. 2007년 11월 28일에는 폭스바겐 공장이 개업했고[29], 2007년 10월 15일에는 볼보 그룹의 공장 기공식이 거행되어[30] 2009년에 개업했다. 2007년 12월에는 PSA 푸조 시트로엥과[31] 미쓰비시 자동차가[32] 조립 공장을 칼루가에 설치할 것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다.

5. 교통

칼루가에는 그랍체보 공항이 있다. 1899년부터 칼루가와 모스크바 사이에는 철도 연결이 있었다.[22]

대중교통은 트롤리버스, 버스 및 ''마르시루트카''(합승 택시)로 운영된다.

칼루가 근교에는 칼루가 공항(칼루가-그라프체보 공항)이 있다. 시내에는 뱌지마·랴지스크 간 철도가 지나가며 칼루가-1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시 외곽에는 모스크바-키예프 간 간선과 수히니치행 노선이 지나가며 칼루가-2역이 설치되어 있다. 시내 교통은 트롤리 버스와 버스 노선이 담당하고 있다.

6. 기후

칼루가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Dfb'')로, 따뜻하고 습한 여름과 길고 춥고 눈이 많이 오는 겨울을 특징으로 한다. 겨울철 극한 기온은 -45°C까지 내려갈 수 있으며, 여름철에는 40°C까지 올라갈 수 있지만, 칼루가의 일반적인 기온 변화는 겨울철에는 -5°C에서 -20°C 사이, 여름철에는 15°C에서 30°C 사이이다.

칼루가, 러시아 (1961–1990년 기간) 기후 데이터[1]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6.6°C-5°C0.4°C10.3°C18.7°C21.5°C23°C21.9°C15.7°C9°C0.7°C-3.7°C7.2°C
평균 기온 (°C)-10.1°C-9°C-3.5°C5.7°C12.7°C15.8°C17.5°C16.3°C10.9°C5.4°C-1.9°C-6.6°C4.4°C
평균 최저 기온 (°C)-13.5°C-12.9°C-7.4°C1°C6.7°C10.1°C12°C10.7°C6.1°C1.8°C-4.5°C-9.5°C0.1°C
강수량 (mm)39mm33mm35mm39mm43mm77mm80mm71mm55mm50mm53mm55mm630mm


7. 자매 도시 및 협력 도시

칼루가는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및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자매 도시는 문화 교류 및 우호 증진을 목적으로 하며, 협력 도시는 특정 분야에서 상호 협력을 추구한다.[24]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7. 1. 자매 도시

칼루가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4]

국가도시체결년도
독일1969년
몰도바티라스폴2005년
그리스테살로니키 파노라마2011년
벨라루스민스크2015년
중국빈저우 시2015년
우크라이나얄타2016년
세르비아니시2017년
스위스빈닝겐해당사항 없음
핀란드라티해당사항 없음
트란스니스트리아티라스폴해당사항 없음
우크라이나크로피우니츠키해당사항 없음
러시아스몰렌스크해당사항 없음
러시아오룔해당사항 없음
러시아툴라해당사항 없음
러시아마하치칼라해당사항 없음


7. 2. 협력 도시

칼루가는 다음 도시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24]

국가도시연도
미국클리어워터1992
중국셴양2000
러시아투라2002
러시아오룔2003
러시아스몰렌스크2003
러시아마하치칼라2012
러시아치올코프스키2016
러시아랴잔2017
러시아탐보프2017


8. 저명한 인물


  •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로켓 과학의 개척자였다.
  • 세르게이 아바기미얀: 전직 프로 축구 선수. 러시아 출생으로 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뛰었다.
  • 알렉산더 암피테아트로프
  • 유리 아베르바흐: 체스 그랜드마스터
  • 미콜라 아자로프
  • 파프누티 체비쇼프: 수학자
  • 알렉산더 치제프스키
  • 데이비드 에델스타트
  • 알렉산더 그레차니노프: 러시아계 미국 작곡가
  • 한커우의 요나
  • 안드레이 칼라예프
  • 발레리 코벨레프: 스키 점프 선수
  • 미하일 린게
  • 파벨 포포비치: 우주 비행사. 칼루가의 명예 시민권을 두 번 받은 유일한 사람이다(1962년, 1964년).[23]
  • 라리사 포푸가예바
  • 니콜라이 라코프
  • 이맘 샤밀
  • 니콜라이 스크보르초프: 수영 선수
  • 율리야 타바코바
  • 게오르기 주코프
  • 올레샤 지키나: 400m 육상 선수
  • 불라트 오쿠자바: 1980년대 공립학교에서 문학을 가르쳤다.
  • 세라핌 툴리코프
  • 이반 쿨리아크
  • 스타니슬라프 쿠냐예프

참조

[1] 뉴스 День города перенесли в Калуге http://www.kp40.ru/n[...] Калужский перекрёсток 2015-04-22
[2] 웹사이트 Устав муницип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Город Калуга" http://www.kaluga-go[...] kaluga-gov.ru 2011-09-19
[3] 웹사이트 Губернатор произвел кадровые перестановки http://www.vest-news[...] vest-news.ru 2018-03-27
[4] 웹사이트 Representative bodies of the municipality City of Kaluga http://duma.kaluga.r[...]
[5] 뉴스 Калуги стало больше http://www.kp40.ru/i[...] Калужский перекрёсток 2011-04-14
[6] 참조자료 2010Census
[7] 뉴스 Из фразы Гагарина в столице сделали артобъект http://www.yar.kp.ru[...]
[8] 웹사이트 Phcode.ru http://www.phcode.ru[...]
[9] 참조자료 2021Census
[10] 서적 Geograficheskie nazvaniya mira Russkie slovari 1998
[11] 간행물 Известия Калужской Ученой Архивной Комиссии. Выпуск XXI Типография Е. Г. Архангельской 1911
[12] 웹사이트 Товарные знаки — тоже искусство http://kbanda.ru/ind[...] 2011-09-13
[13] 웹사이트 Историки указали на стереотипность мнений про пленение Шамиля https://www.kavkaz-u[...] 2018-09-08
[14] 웹사이트 Территориальный орган Федеральной службы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по Калужской области https://40.rosstat.g[...]
[15] 문서 Charter of Kaluga Oblast
[16] 법률 Law #7-OZ
[17] 웹사이트 О Стратегии социально-экономического развития Калужской области до 2030 года (с изменениями на 12 февраля 2016 года) http://docs.cntd.ru/[...]
[18] 웹사이트 Škoda Annual Report 2014 http://www.skoda-aut[...]
[19] 뉴스 Volvo Truck starts production at Kaluga plant http://www.just-auto[...] Just-auto.com 2009-01-19
[20] 뉴스 New Volvo Group assembly plant in Kaluga https://web.archive.[...] Volvo Group corporate news 2007-10-15
[21] 뉴스 PSA Peugeot Citroën to Build Plant in Kaluga, Russia https://web.archive.[...] PSA Peugeot Citroën press release 2007-12-12
[22] 웹사이트 Train Station in Kaluga http://www.nnov-airp[...] Nnov-airport.ru
[23] 웹사이트 Ими гордится Калуга ("They Bring Pride to Kaluga") http://www.kaluga-go[...] Office of the Affairs of the Mayor of Kaluga
[24] 웹사이트 Города-побратимы https://www.kaluga-g[...] Kaluga
[25]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6]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7] 뉴스 ロシア動員兵は迷彩服まで自腹 支給の装備品は80年代もの https://news.tv-asah[...] テレビ朝日 2022-10-07
[28] 뉴스 黒煙が夜空にとめどなく...ロシアのミサイル工場がウクライナ無人機攻撃の標的に 「巨大な炎」が撮影される https://www.newsweek[...]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語版 2024-11-26
[29] 웹사이트 Kaluga > Europe > Regions & Locations > Mobility and Sustainability. > Company > Volkswagen International Homepage http://www.volkswage[...]
[30] 뉴스 New Volvo Group assembly plant in Kaluga http://www.volvo.com[...] Volvo Group corporate news 2007-10-15
[31] 뉴스 PSA Peugeot Citroën to Build Plant in Kaluga, Russia http://www.psa-peuge[...] PSA Peugeot Citroën press release 2007-12-12
[32] 뉴스 Mitsubishi signs contract to build plant in Kalug http://en.rian.ru/ru[...] RIA Novosti 2007-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