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에게 부과된 인위적 장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인에게 부과된 인위적 장애(FDIA)는 다른 사람에게 질병이나 장애를 유발하거나 조작하는 행위로, 과거에는 대리 뮌하우젠 증후군으로 불리기도 했다. FDIA는 주로 아동에게 발생하며, 가해자는 아이의 질병을 조작하여 의료적 관심을 끌려고 시도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무호흡, 섭식 문제, 설사, 발작 등이 있으며, 피해 아동은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신체적으로 불가능한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FDIA는 드물게 발생하지만, 실제 발생률은 알려진 것보다 높을 수 있으며, 가해자는 주로 어머니 또는 다른 여성 간병인인 경우가 많다. 법적 측면에서 FDIA는 아동 학대의 한 형태로 간주되며, 가해자의 동기를 입증하는 것이 어려워 논란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위장애 - 뮌하우젠 증후군
뮌하우젠 증후군은 관심을 얻기 위해 질병 증상을 의도적으로 만들어내거나 과장하는 정신 질환으로, 과거 병력 조작이나 자해 등의 행동을 보이며 자기에게 강요된 허위성 장애로 분류된다. - 아동 학대 - 부모화
부모화는 부모가 자녀에게 발달적으로 부적절한 역할이나 책임을 부여하는 현상으로, 도구적, 정서적, 배우자화 등의 형태로 나타나 부정적 영향과 긍정적 결과를 모두 초래할 수 있다. - 아동 학대 - 흔들린 아이 증후군
흔들린 아이 증후군(SBS)은 심한 흔들림으로 5세 미만 영유아의 두개골 또는 뇌 내용물이 손상되는 아동 학대의 한 형태이며, 학대성 뇌 손상(AHT)이라는 포괄적인 용어로도 사용되지만, 진단과 관련된 과학적 근거에 대한 논쟁과 법적, 윤리적 쟁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증후군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증후군 - 수근관 증후군
수근관 증후군은 손목터널 내 정중신경 압박으로 인해 저림, 통증을 유발하며 유전적 요인, 당뇨병, 반복적인 손목 사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고,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 타인에게 부과된 인위적 장애 | |
|---|---|
| 개요 | |
![]() | |
| 분야 | 정신과 |
| 증상 | 다양함 |
| 합병증 | 임신 합병증 |
| 발병 | 불명 |
| 지속 기간 | 불명 |
| 원인 | 불명 |
| 위험 요인 | 아동 학대 피해 경험이 있는 간병인 자신에게 부과된 허위성 장애를 가진 간병인 |
| 진단 | 아동을 간병인으로부터 분리하면 증상 개선 간병인 몰래 비디오 감시 |
| 감별 진단 | 의학적 질환 다른 형태의 아동 학대 망상 장애 |
| 예방 | 불명 |
| 치료 | 아동 격리 심리 치료 |
| 약물 | 불명 |
| 예후 | 불명 |
| 빈도 | 아동 100만 명당 1~30건으로 추정 |
| 다른 이름 | |
| 동의어 | 뮌히하우젠 증후군 대리 (MSbP) 대리 뮌히하우젠 증후군 (MbP) 타인에 의한 허위성 장애 대리 허위성 장애 간병인에 의한 조작 또는 유도된 질병 (FII) 의료적 아동 학대 |
| Fabricated or induced illness (FII) | |
| 개요 | 누군가가 다른 사람을 아프게 하거나, 더 아프게 보이게 하거나, 실제보다 더 아프다고 주장하는 경우. |
2. 진단 및 증상
"대리 뮌하우젠 증후군"이라는 용어 사용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세계 보건 기구의 국제 질병 분류, 제10차 개정판(ICD-10)에서 공식적인 진단명은 허위성 장애(ICD-9의 301.51, ICD-10의 F68.12)이다. 미국 내에서는 타인에게 가해지는 허위성 장애(FDIA 또는 FDIoA)가 2013년에 공식적으로 장애로 인정되었으며,[17] 영국에서는 간병인에 의한 조작 또는 유발된 질병(FII)으로 알려져 있다.[18]
미국 정신의학 협회가 2013년에 발행한 진단 매뉴얼인 DSM-5에서 이 장애는 ''300.19 허위성 장애''로 분류된다. 이는 다시 두 가지 유형을 포함한다:[17]
- ''자신에게 가해지는 허위성 장애''
- ''타인에게 가해지는 허위성 장애''(이전의 대리 허위성 장애); 진단은 가해자에게 부여되며, 피해자는 학대 진단(예: 아동 학대)을 받을 수 있다.
두 유형 모두 관찰된 행동이 단일 에피소드였는지 반복 에피소드의 일부였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선택적 명시자를 포함한다.[17]
=== 주요 증상 ===
FDIA 가해자는 다양한 증상을 체계적으로 조작하거나 유발한다.[37] 가장 흔한 증상은 무호흡(26.8%), 섭식 문제(24.6%), 설사(20%), 발작(17.5%), 청색증(11.7%) 등이다.[10] 이 외에도 행동(10.4%), 천식(9.5%), 알레르기(9.3%), 발열(8.6%)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10] 발달 부진, 구토, 출혈, 발진, 감염 등도 보고된다.[11][12] 이러한 증상 중 상당수는 주관적이어서 위조가 쉽다.[10]
FDIA 피해 아동은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특이한 경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신체적/임상적으로 불가능한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의료 서비스 제공자는 FDIA 가해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학대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37]
=== 경고 징후 ===
타인에게 부과된 인위적 장애의 경고 신호는 다음과 같다:[15]
-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지속적이고, 설명하기 어려운 특이한 경과를 보이는 하나 이상의 의학적 문제를 가진 아동이 있다.
- 매우 특이하거나, 환자의 증상이나 병력과 일치하지 않거나, 신체적으로 또는 임상적으로 불가능한 신체적 또는 실험실적 소견이 발견된다.
- 의학적 지식이 풍부하고 의학적 세부 사항과 병원 가십에 매료되어 있으며 병원 환경을 즐기는 것처럼 보이는 부모가 있다. 이들은 다른 환자의 문제에 대한 세부 사항에 관심을 보인다.
- 자녀 곁을 떠나기를 꺼리고 끊임없는 관심이 필요한 것처럼 보이는 매우 세심한 부모도 경고 신호에 해당한다.
- 자녀의 의학적 과정에서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하여 매우 침착하게 보이며 의사를 매우 지지하고 격려하거나, 화를 내고, 직원을 폄하하고, 추가적인 개입, 더 많은 절차, 세컨드 오피니언, 더 정교한 시설로의 이송을 요구하는 부모도 의심해 볼 수 있다.
- 의심되는 부모가 의료 분야에서 일하거나 건강 관련 직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 자녀의 질병 징후와 증상이 부모가 없을 때 완화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 (이 인과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 입원 및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할 수 있다.)
- 형제자매의 유사하거나 설명되지 않는 질병이나 사망에 대한 가족력이 존재할 수 있다.
- 자녀의 의학적 문제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부모 또는 그 자체로 당혹스럽고 특이한 질병 병력이 있는 경우도 있다.
- 부모 간의 감정적으로 소원한 관계가 의심될 수 있다. 배우자는 종종 환자를 방문하지 않고 자녀가 심각한 질병으로 입원했을 때조차 의사와 거의 연락하지 않는다.
- 자녀가 치료를 받는 동안 그들과 그들의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는 화재, 강도, 자동차 사고와 같은 극적이고 부정적인 사건을 보고하는 부모가 있다.
- 칭찬에 대한 만족할 수 없는 필요가 있거나 자신의 능력에 대한 대중의 인정을 위한 이기적인 노력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부모도 있다.
- 퇴원 계획이 잡힐 때마다 설명할 수 없이 악화되는 자녀가 있을 수 있다.
- 의료진이 있을 때 질병을 가장하기 위해 부모에게서 단서를 찾는 자녀의 경우도 경고 징후이다.
- 나이에 비해 의학 용어와 자신의 질병 과정에 대해 지나치게 유창한 자녀가 있다.
- 반복적인 질병, 부상 또는 입원 병력을 가지고 응급실에 내원하는 자녀가 있다.
2. 1. 주요 증상
FDIA 가해자는 다양한 증상을 체계적으로 조작하거나 유발한다.[37] 가장 흔한 증상은 무호흡(26.8%), 섭식 문제(24.6%), 설사(20%), 발작(17.5%), 청색증(11.7%) 등이다.[10] 이 외에도 행동(10.4%), 천식(9.5%), 알레르기(9.3%), 발열(8.6%)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10] 발달 부진, 구토, 출혈, 발진, 감염 등도 보고된다.[11][12] 이러한 증상 중 상당수는 주관적이어서 위조가 쉽다.[10]FDIA 피해 아동은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특이한 경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신체적/임상적으로 불가능한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의료 서비스 제공자는 FDIA 가해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학대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37]
2. 2. 경고 징후
타인에게 부과된 인위적 장애의 경고 신호는 다음과 같다:[15]-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지속적이고, 설명하기 어려운 특이한 경과를 보이는 하나 이상의 의학적 문제를 가진 아동이 있다.
- 매우 특이하거나, 환자의 증상이나 병력과 일치하지 않거나, 신체적으로 또는 임상적으로 불가능한 신체적 또는 실험실적 소견이 발견된다.
- 의학적 지식이 풍부하고 의학적 세부 사항과 병원 가십에 매료되어 있으며 병원 환경을 즐기는 것처럼 보이는 부모가 있다. 이들은 다른 환자의 문제에 대한 세부 사항에 관심을 보인다.
- 자녀 곁을 떠나기를 꺼리고 끊임없는 관심이 필요한 것처럼 보이는 매우 세심한 부모도 경고 신호에 해당한다.
- 자녀의 의학적 과정에서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하여 매우 침착하게 보이며 의사를 매우 지지하고 격려하거나, 화를 내고, 직원을 폄하하고, 추가적인 개입, 더 많은 절차, 세컨드 오피니언, 더 정교한 시설로의 이송을 요구하는 부모도 의심해 볼 수 있다.
- 의심되는 부모가 의료 분야에서 일하거나 건강 관련 직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 자녀의 질병 징후와 증상이 부모가 없을 때 완화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 (이 인과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 입원 및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할 수 있다.)
- 형제자매의 유사하거나 설명되지 않는 질병이나 사망에 대한 가족력이 존재할 수 있다.
- 자녀의 의학적 문제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부모 또는 그 자체로 당혹스럽고 특이한 질병 병력이 있는 경우도 있다.
- 부모 간의 감정적으로 소원한 관계가 의심될 수 있다. 배우자는 종종 환자를 방문하지 않고 자녀가 심각한 질병으로 입원했을 때조차 의사와 거의 연락하지 않는다.
- 자녀가 치료를 받는 동안 그들과 그들의 가족에게 영향을 미치는 화재, 강도, 자동차 사고와 같은 극적이고 부정적인 사건을 보고하는 부모가 있다.
- 칭찬에 대한 만족할 수 없는 필요가 있거나 자신의 능력에 대한 대중의 인정을 위한 이기적인 노력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부모도 있다.
- 퇴원 계획이 잡힐 때마다 설명할 수 없이 악화되는 자녀가 있을 수 있다.
- 의료진이 있을 때 질병을 가장하기 위해 부모에게서 단서를 찾는 자녀의 경우도 경고 징후이다.
- 나이에 비해 의학 용어와 자신의 질병 과정에 대해 지나치게 유창한 자녀가 있다.
- 반복적인 질병, 부상 또는 입원 병력을 가지고 응급실에 내원하는 자녀가 있다.
3. 원인 및 역학
3. 1. 가해자
3. 2. 피해자
진단 당시 피해자의 평균 연령은 4세였다. 50%가 조금 넘는 수가 24개월 이하였고, 75%가 6세 미만이었다.[10] 증상이 나타나고 진단까지 평균 22개월이 걸렸다.[10] 피해자는 장기적인 정서적/신체적 후유증을 겪을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10] 실제 피해자의 6%가 사망했는데, 대부분 무호흡증(질식) 또는 기아로 인해 사망했다.[10] 또한, 7%는 장기적 또는 영구적인 부상을 입었다.[10] 피해자의 약 절반에게 형제자매가 있었고, 알려진 형제자매의 25%가 사망했으며, 형제자매의 61%는 피해자와 유사하거나 의심스러운 증상을 보였다.[10] 연구에 따르면 6%에서 10% 사이의 사망률을 보이며, 이는 아마도 가장 치명적인 형태의 학대일 것이다.[11][10]3. 3. 역학
타인에게 부과된 인위적 장애(FDIA)는 드물게 발생하지만, 실제 발생률은 알려진 것보다 더 높을 수 있다.[37] 발생률 추정치는 아동 100만 명당 1~28명으로 다양하다.[37] 이탈리아의 한 연구에서는 병원에 입원한 700명 이상의 어린이 중 4명(0.53%)이 FDIA 진단 기준을 충족했다.[19]진단 당시 피해자의 평균 연령은 4세였다. 50%가 24개월 이하, 75%가 6세 미만이었다. 증상 발현에서 진단까지의 평균 기간은 22개월이었다. 진단 당시 피해자의 6%가 사망했는데, 대부분 무호흡증(질식) 또는 기아로 인해 사망했으며, 7%는 장기적 또는 영구적인 부상을 입었다. 피해자의 약 절반에게 형제자매가 있었고, 알려진 형제자매의 25%가 사망했으며, 형제자매의 61%는 피해자와 유사하거나 의심스러운 증상을 보였다. 어머니가 가해자인 경우는 76.5%, 아버지가 가해자인 경우는 6.7%였다.[10]
연구에 따르면 FDIA 사례의 90% 이상에서 학대자는 어머니 또는 다른 여성 보호자나 간병인이다.[20][21][22] 아버지와 다른 남성 간병인이 가해자인 경우는 연구된 사례의 7%였다.[10] 학대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경우, FDIA 피해자의 아버지 또는 남성 보호자는 종종 거리감이 있고, 감정적으로 무관심하며, 무력하다고 묘사된다. 이들은 집을 자주 비우고 입원한 아이를 거의 방문하지 않음으로써 FDIA에서 수동적인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압도적인 증거나 자녀의 도움 요청에도 불구하고 학대의 가능성을 강력하게 부인한다.[37][20]
뮌하우젠 증후군과 마찬가지로 주변의 관심을 끌기 위해 부상이나 질병을 조작하는 사례지만, 그 상처를 입히는 대상이 자기 자신이 아닌 가까운 사람에게 대리시키는 경우를 대리 뮌하우젠 증후군(MSbP)이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연간 600~1000건에 가까운 MSbP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그 수는 최근 증가 추세에 있다.
4. 사회문화적 측면
4. 1. 용어의 역사와 논란
"대리 뮌하우젠 증후군"이라는 용어는 로이 메도우 교수가 1977년에 처음 사용했다.[34][44][47] 메도우는 두 어머니가 자녀에게 해를 가하는 특이한 행동을 묘사하면서 이 용어를 사용했는데, 한 어머니는 과도한 소금으로 유아를 중독시켰고, 다른 어머니는 자신의 혈액을 아기의 소변 샘플에 넣었다.[45] 이 용어는 뮌하우젠 증후군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독일 귀족 바론 뮌하우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8][39] 뮌하우젠 증후군은 사람들이 관심이나 동정을 얻기 위해 질병을 가장하거나 과장하는 정신 질환이다.[36][40]"대리 뮌하우젠 증후군"이라는 용어는 미국 정신 의학 협회에서 발행하는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에서 공식적으로 별개의 정신 질환으로 인정된 적이 없다.[24] 현재는 '타인에게 가해지는 허위성 장애(FDIA)'라는 용어가 더 널리 사용된다.[25] FDIA는 여러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렸는데, DSM-5 (2013)에서는 ''타인에게 강요된 허위 장애''로,[25] DSM-IV-TR (2000)과 DSM-IV(1994)에서는 ''대리 허위 장애''로,[26] 영국 왕립 소아과 및 어린이 건강 대학(2002)에서는 ''보호자에 의한 조작 또는 유발된 질병(FII)''[27], 세계 보건 기구(1996)에서는 ''대리에 의한 허위 질병''[28], 아일랜드 보건부 및 아동부(1999–2002)에서는 ''유발된 질병(대리 뮌하우젠 증후군)''[25] 등으로 불렸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초, 로이 메도우는 MSbP/FII와 관련된 여러 살인 사건에서 전문 증인으로 활동했다.[46][47] 특히 샐리 클라크 사건에서 메도우는 한 가족 내에서 두 명의 설명할 수 없는 영아 사망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다고 주장하여 유죄 판결에 큰 영향을 미쳤다.[48] 그러나 이 수치는 과장된 것으로 밝혀졌고,[49] 클라크는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50][51] 메도우는 다른 사건들에서도 증언했으나, 이후 여러 유죄 판결이 번복되면서 그의 증언과 MSbP의 신뢰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46][47] 2005년, 메도우는 일반 의료 협의회(GMC)로부터 "심각한 전문적 과실" 혐의로 의료 면허를 박탈당했다.[55]
FDIA는 아동 학대의 한 형태로, 가해자는 주로 아동의 질병을 조작하거나 유발하여 의료적 관심을 끌려는 동기를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동기는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법적 문제에서 논란이 되기도 한다.[59]
4. 2. 법적 지위
대부분의 법적 관할권에서 의사는 아동이 해를 입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만 증언할 수 있으며, 동기에 대해서는 증언할 수 없다.[61] 호주와 영국에서는 타인에게 부과된 인위적 장애(FDIA)가 법의학적 실체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법적 선례가 확립되었다.[61]2004년 6월 호주 퀸즐랜드 주 대법원의 항소 심리에서 "대리인의 허위성 장애(뮌하우젠 증후군)라는 용어는 정신의학적으로 식별 가능한 질병이나 상태가 아닌 행동을 묘사하는 것일 뿐"이라고 판결했다.[61] 따라서 조직적이거나 인정된 신뢰할 수 있는 지식이나 경험의 집합체와 관련이 없으므로, Reddan 박사의 증언은 증거로 채택될 수 없었다.[61]
퀸즐랜드 주 대법원은 또한 피고가 의도적으로 아동에게 해를 입혔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전문 증인이 아닌 배심원의 몫이라고 판결했다.[62] 즉, 피고인이 허위 증상을 보고하거나 조작했는지, 또는 자녀에게 해를 입히기 위해 불필요한 의학적 절차를 의도적으로 유발하는 행위를 했는지에 대한 문제는 배심원이 결정해야 한다.[62]
이러한 판결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법 원칙 및 법적 절차에 대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 법원에 제출되는 모든 사항은 행동을 묘사하는 라벨이 아닌 사실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 MSBP/FII/FDBP는 정신 장애가 아니므로 정신과 의사의 증언은 증거로 채택될 수 없다.
- MSBP/FII/FDBP는 아동 학대의 한 형태를 묘사하는 행동이며, 부모나 자녀의 의학적 진단이 아니다. 의료 종사자는 MSBP/FII/FDBP로 "고통받고" 있다고 진술할 수 없으며, 그러한 증언은 증거로 채택될 수 없다. 의료 종사자의 증언은 관찰 및 청취 내용, 인정된 의학적 조사 절차에 의해 발견된 법의학적 정보로 제한되어야 한다.
- 행동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라벨은 유죄 결정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선입견을 준다.
- 다른 사람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다는 주장은 해당 개인이 이러한 방식으로 행동했다는 사실적 증거가 아니다. 따라서 라벨의 적용은 공정성에 선입견을 준다.
퀸즐랜드 판결은 Ryder 판사에 의해 영국 대법원에서 영국법으로 채택되었다.[63] Ryder 판사는 "대리인의 뮌하우젠 증후군" 및 "대리인의 허위(및 유발된) 질병"이라는 용어는 식별 가능한 소아과, 정신과 또는 심리학적 질병이 아닌 일련의 행동에 대한 설명일 뿐인 아동 보호 라벨이라고 명시했다.[63] 그는 MSBP라는 라벨을 역사에 묻어두고 FII가 아동 보호 실무자에게 유용할 수 있더라도 사실 분석 및 위험 평가의 대체물로 라벨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63]
Marc Feldman은 그의 저서 ''Playing Sick''(2004)에서 이러한 발견이 미국과 심지어 호주 법원에서도 소수였다고 지적한다.[64] 소아과 의사 및 기타 의사들은 FII 탐지를 포함한 아동 학대 전문가에 대한 제한에 반대하기 위해 뭉쳤다.[64] 소아과 저널은 Meadow를 부적절하게 비방된 개인으로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아동 보호 맥락에서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주는 "상당한 개연성" 테스트를 사용하며 "합리적인 의심의 여지가 없는" 테스트를 사용하지 않는다.[65] "가족 및 지역 사회 서비스부 장관과 하퍼 자녀들 [2016] NSWChC 3" 사건에서, 특정 혈액 검사 결과가 자연적 또는 우발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전문 증언은 (동기에 대한 추측 없이) 영향을 받은 아동과 그의 어린 형제들을 어머니에게 돌려주는 것을 거부하기에 충분했다.[65]
5. 사례
5. 1. 미국
제닌 존스는 텍사스주의 간호조무사로,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자신이 담당하는 영유아 60명 이상을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그 중 3건으로 기소), 그 배경에는 대리 뮌하우젠 증후군이 있었을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91][92][93]1990년대 중반, 캐시 부시는 8살이 될 때까지 40번의 수술을 받고 640일 이상을 병원에서 보낸 딸 제니퍼 부시의 고통에 대해 대중의 동정을 샀다.[70] 힐러리 클린턴 여사가 부시의 고통을 의료 개혁의 필요성을 입증하는 증거로 옹호하면서, 이들과 만나기도 했다.[70] 그러나 1996년, 캐시 부시는 제니퍼의 의료 장비와 약물을 훼손하여 그녀의 질병을 악화시키고 연장한 혐의로 아동 학대 및 메디케이드 사기 혐의로 체포되었다.[70] 제니퍼는 위탁 보호 시설로 옮겨졌고, 그곳에서 빠르게 건강을 회복했다. 검찰은 캐시가 허위성 증후군에 의해 조종되었다고 주장했고, 1999년 5년 형을 선고받았다.[71] 캐시는 2005년 3년 복역 후 석방되었으며, 항상 무죄를 주장했고 서신을 통해 제니퍼와 다시 연락을 취했다.[72]
오하이오주에서 플로리다주의 한 어머니는 1996년에 아동 학대 혐의로 체포되었다. 그녀는 딸인 줄리 그레고리에게 독물을 먹이거나 세균을 링거 튜브에 넣는 등의 학대를 하였다. 이로 인해 줄리는 200번의 입원, 40번 이상의 수술을 받고 내장의 일부를 적출당했다. 체포 후, 어머니에게는 판결이 내려졌고, 출소 후에도 여아에게 접근 금지 명령이 내려져 편지 왕래만 할 뿐 만나지 못했다. 줄리 그레고리는 이 사건을 쓴 책을 발표하고 대리 뮌하우젠 증후군으로부터 아이들을 지키기 위한 작가가 되었다.
2014년, 가넷 스피어스 살해 사건(Murder of Garnett Spears)의 레이시 스피어스는 뉴욕주 웨스트체스터 카운티에서 2급 잔혹 살인 및 1급 과실 치사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녀는 인터넷에서 소금의 효과에 대한 조사를 한 후 아들 가넷 스피어스에게 위험한 양의 소금을 먹였다. 그녀의 행동은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에서 얻은 소셜 미디어의 관심에 의해 동기 부여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녀는 2015년 3월 2일 2급 살인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73] 20년에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74]
디디 블랑차드 살해 사건(Murder of Dee Dee Blanchard)의 디디 블랑차드는 미주리주 출신 어머니로, 딸 집시 로즈 블랑차드가 수년 동안 아프고 장애가 있다고 주장하며 딸의 머리를 삭발하고, 공공 장소에서 휠체어를 사용하게 하고, 불필요한 약물과 수술을 받게 한 후 2015년 딸과 남자친구에게 살해당했다. 집시는 특별한 질병이 없었다. 펠드먼은 연구 25년 만에 피해자가 가해자를 살해한 첫 번째 사례라고 말했다.[75] 그들의 이야기는 HBO의 다큐멘터리 영화 ''Mommy Dead and Dearest''[76]와 훌루의 한정 시리즈 ''The Act''에 소개되었다.[77] 집시 로즈는 2급 살인 혐의를 인정하고 10년 형을 선고받아 2023년 12월 가석방되었고, 그녀의 남자친구는 1급 살인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5. 2. 영국
베벌리 앨리트는 영국 간호사로, 1991년 링컨셔 그랜섬 앤 케스티븐 병원에서 4명의 어린이를 살해하고 9명에게 부상을 입혀 허위성 증후군 진단을 받았다.[66] 데번 출신인 리사 헤이든-존슨은 아들에게 총 325건의 의료 행위를 가한 혐의로 3년 3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여기에는 아들에게 휠체어를 사용하도록 강요하고 위관 영양을 하는 것 등이 포함되었다. 그녀는 아들이 당뇨병, 음식 알레르기, 뇌성마비, 낭포성 섬유증 등 다양한 질병을 앓고 있다고 주장하며 그를 "영국에서 가장 아픈 아이"라고 묘사했고, 두 번의 크루즈를 포함해 수많은 현금 기부와 자선 선물을 받았다.[69]메간 바리(1996/7-2018)와 그녀의 어머니는 메간이 뇌종양을 앓고 있다는 주장에 근거하여 아픈 어린이를 돕기 위해 Believe in Magic이라는 자선 단체를 설립했다. 그녀의 사망 후 부검 결과 뇌에서 형태학적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킹스턴 성인 보호 위원회는 그녀의 사망 이후 조사를 실시하여 이것이 FII의 사례라고 결론지었다. BBC 팟캐스트 Believe in Magic은 그녀의 사건을 더 자세히 살펴본다.[83]
5. 3. 일본
1998년, 후쿠오카현 구루메시에서 1살 반 여자아이가 어머니로부터 항간질제를 먹고 중독 증상을 일으킨 사례가 보고되었다.[95] 여자아이는 구토, 설사, 경련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의식 장애를 일으켜 흔들어도 눈을 뜨지 않는 상태였다. 항간질제를 소량 투여하자 갑자기 혈중 농도가 높아져 중독 상태에 빠졌는데, 이는 어머니가 같은 약을 대량으로 먹였을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여자아이는 물을 하루 2리터 이상 마셔 수분 중독에 의한 저나트륨혈증을 일으키고 있었다.[95] 담당 의사는 "우리 아이, 어려운 병인 거죠"라고 반복해서 묻는 어머니의 모습에서, 때로는 어머니를 의심해 보는 자세가 필요함을 언급했다.[95]일본 후생노동성의 2008년도 통계에 따르면, 2008년 4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일본에서 학대로 사망한 아동 67명 중 3명(4.5%)이 타인에게 부과된 인위적 장애(MSbP)로 인해 사망했다.[94]
6. 관련 작품
줄리 그레고리가 저술한 "Sickened"는 FDIA를 앓는 어머니와 함께 성장한 경험을 다룬다. 아키모토 야스시의 소설 "착신아리"와 치넨 미키토의 소설 "아마쿠 타카오의 추리 진료 기록" 제4화 "맞춤형 독약"에서도 이 장애를 소재로 다루고 있다. 미국 TV 드라마 "크리미널 마인드" 시즌 5 제13화 "리스키 게임"에서도 관련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ünchausen syndrome by adult proxy: a perpetrator abusing two adults
https://psycnet.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4-07-04
[2]
웹사이트
Factitious Disorder Imposed on Self – Psychiatric Disorders
https://www.merckman[...]
2019-04-28
[3]
웹사이트
Overview - Fabricated or induced illness
https://www.nhs.uk/m[...]
2022-11-09
[4]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5]
서적
Encyclopedia of Family Health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04
[6]
논문
The perpetrators of medical child abuse (Munchausen Syndrome by Proxy) – A systematic review of 796 cases.
2017-10
[7]
논문
Beyond Munchausen syndrome by proxy: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child abuse in a medical setting
https://pediatrics.a[...]
Karger Publishers
2007-05
[8]
논문
Medical Child Abuse: An Unusual "Source" of Vaginal Bleeding
https://linkinghub.e[...]
2019
[9]
서적
Myers on Evidence in Child, Domestic, and Elder Abuse Cases
https://books.google[...]
Aspen Publishers Online
2005
[10]
논문
The deceit continues: an updated literature review of Munchausen Syndrome by proxy
2003-04
[11]
논문
Understanding Munchausen syndrome by proxy
http://ps.psychiatry[...]
PsychiatryOnline.org
2012-01-30
[12]
웹사이트
Munchausen by proxy syndrome
http://kidshealth.or[...]
KidsHealth from Nemours
2010-08-27
[13]
논문
Beyond collusion: active illness falsification
[14]
논문
Munchausen by proxy victims in adulthood: a first look
[15]
서적
Hurting for Love: Munchausen by Proxy Syndrome
The Guilford Press
[16]
문서
Factitious Disorder/Munchhausen Syndrome
[17]
cit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18]
논문
Fabrication or Induction of Illness in a Child: a Critical Review of Labels and Literature Using Electronic Libraries
http://arrow.dit.ie/[...]
2012-02-03
[19]
논문
Factitious disorders and Munchausen syndrome: the tip of the iceberg.
2013-12
[20]
논문
Munchausen by Proxy
[21]
논문
Munchausen syndrome by proxy (MSBP): a review regarding perpetrators of factitious disorder imposed on another (FDIA)
https://www.cambridg[...]
2022
[22]
논문
A descriptive, retrospective case series of patients with factitious disorder imposed on self
2021
[23]
서적
The Psychology of Female Violence: Crimes Against the Body
Routledge
[24]
웹사이트
MBP Definitions, Maltreatment Behaviors, and Comments
http://www.mbpexpert[...]
2012-01-30
[25]
논문
Fabrication or Induction of Illness in a Child: a Critical Review of Labels and Literature Using Electronic Libraries
http://arrow.dit.ie/[...]
2012-02-03
[26]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Task Force on DSM-IV
[27]
웹사이트
Fabricated or Induced Illness by Carers (FII)
http://www.patient.i[...]
patient.info
2012-02-02
[28]
웹사이트
Managing Child Abuse: A Handbook for Medical Officers
http://www.searo.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01-30
[29]
논문
Munchausen by Proxy Defined
[30]
논문
Meadow and Munchausen
[31]
논문
Munchausen by proxy or Meadow's syndrome?
http://www.thelancet[...]
1987-09
[32]
논문
Munchausen family
1977-08-27
[33]
논문
Polle syndrome: children of Munchausen
1979-08-18
[34]
논문
Munchausen syndrome by proxy or Polle syndrome: which term is correct?
http://pediatrics.aa[...]
1984-10
[35]
논문
The Münchhausen of Munchausen Syndrome: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archfami.ama-[...]
[36]
EMedicine
Factitious Disorder Imposed on Self
[37]
학술지
Monsters in the Closet: Munchausen Syndrome by Proxy
http://www.aacn.org/[...]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s
2012-02-02
[38]
서적
Child Abuse and Neglect: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5-07-10
[39]
citation
Baron Munchhausen and the Syndrome Which Bears His Name: History of an Endearing Personage and of a Strange Mental Disorder
http://www.bium.univ[...]
2002-06
[40]
학술지
Munchausen's syndrome
1951-02-10
[41]
학술지
"Folie à deux" in the parents of psychosocial dwarfs: Two cases
[42]
학술지
Munchausen's Syndrome by Proxy: Update
[43]
학술지
The Dauphin of Munchausen: Factitious Passage of Renal Stones in a Child
http://pediatrics.aa[...]
1976-07-01
[44]
웹사이트
Definition of Munchausen syndrome by proxy
http://www.medterms.[...]
MedicineNet.com
2011-03-01
[45]
학술지
Munchausen Syndrome by Proxy: the Hinterlands of Child Abuse
http://web.tiscali.i[...]
[46]
뉴스
Disappointed and disheartened
http://news.bbc.co.u[...]
BBC
2006-02-17
[47]
뉴스
Profile: Sir Roy Meadow
http://news.bbc.co.u[...]
BBC
2003-12-10
[48]
웹사이트
Letter from the President to the Lord Chancellor regarding the use of statistical evidence in court cases
http://www.rss.org.u[...]
Royal Statistical Society
2002-01-23
[49]
뉴스
The science behind cot deaths
http://news.bbc.co.u[...]
BBC
2003-12-10
[50]
웹사이트
Sally Clark, mother wrongly convicted of killing her sons, found dead at home
https://www.theguard[...]
2007-03-17
[51]
BAILII
http://www.bailii.or[...]
2003-04-11
[52]
뉴스
Joy for mother cleared of baby deaths
https://www.telegrap[...]
2003-06-12
[53]
뉴스
Mother cleared of killing sons
http://news.bbc.co.u[...]
BBC
2003-12-10
[54]
뉴스
Anthony latest mother to be freed
http://news.bbc.co.u[...]
BBC
2005-04-11
[55]
뉴스
Sir Roy Meadow struck off by GMC
http://news.bbc.co.u[...]
BBC
2005-07-15
[56]
BAILII
2006-02-17
[57]
뉴스
Sally Clark doctor wins GMC case
http://news.bbc.co.u[...]
BBC
2006-02-17
[58]
BAILII
2006-02-17
[59]
학술지
The Last Frontier: Myths & The Female Psychopathic Killer
http://www.all-about[...]
[60]
학술지
Covert video recordings of life-threatening child abuse; lessons for child protection
[61]
AustLII
2004-06-04
[62]
AustLII
2004-06-04
[63]
BAILII
2005-01-18
[64]
서적
Playing sick?: untangling the web of Munchausen syndrome, Munchausen by proxy, malingering & factitious disorder
https://archive.org/[...]
Brunner-Routledge
[65]
웹사이트
The Secretary, Department of Family and Community Services and the Harper Children – NSW Caselaw
https://www.caselaw.[...]
2021-04-14
[66]
뉴스
Serial killer nurse Allitt must serve 30 years
https://www.theguard[...]
2007-12-06
[67]
뉴스
Military wife faces assault charges for making daughter sick
http://www.frederick[...]
Frederick News Post
2007-11-20
[68]
웹사이트
Growing pains
http://www.people.co[...]
People.com
2013-10-01
[69]
뉴스
Devon woman jailed for 'sick son' con
http://news.bbc.co.u[...]
2010-01-22
[70]
뉴스
Florida woman accused of sickening child for 8 years
http://www.cnn.com/U[...]
1999-07-20
[71]
뉴스
Mother found guilty of child abuse, fraud for making daughter sick
http://www.cnn.com/U[...]
1999-10-07
[72]
뉴스
Mom, Daughter To Reunite
http://articles.sun-[...]
2005-07-26
[73]
뉴스
ABC News: Mom Convicted...
https://abcnews.go.c[...]
[74]
뉴스
Mommy blogger gets 20 years to life for salt-poisoning son
https://nypost.com/2[...]
2016-04-08
[75]
뉴스
Munchausen expert says Gypsy Blanchard case is unprecedented
http://www.news-lead[...]
2017-06-02
[76]
웹사이트
Mommy Dead and Dearest Recap & Review – Dee Dee Blanchard HBO True Crime Documentary
http://www.cosmopoli[...]
2017-05-16
[77]
웹사이트
The New Trailer for Joey King's Hulu Series 'The Act' Will Straight Up Give You the Chills
https://www.cosmopol[...]
2019-03-14
[78]
웹사이트
Munchausen past and present
http://www.star-tele[...]
[79]
뉴스
Jury Clears Boston Children's Hospital In Justina Pelletier Case
https://boston.cbslo[...]
2020-02-20
[80]
뉴스
Boston Children's Hospital Wasn't Negligent in Pelletier Case, Jury Finds
https://www.nbcbosto[...]
2020-02-20
[81]
뉴스
Neurologist Takes Stand To Defend Care Given To Justina Pelletier At Boston Children's
https://www.wbur.org[...]
2020-02-09
[82]
뉴스
Justina Pelletier's family loses their civil suit against Boston Children's Hospital
https://www.bostongl[...]
2020-02-20
[83]
뉴스
Her illness fooled celebs. The truth may be even darker
https://www.bbc.com/[...]
2023-05-09
[84]
간행물
Understanding Animal Maltreatment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2-10-22
[85]
논문
'Battered pets'': Munchausen syndrome by proxy (factitious illness by proxy)
https://pubmed.ncbi.[...]
2001
[86]
journal
Munchausen syndrome involving pets by proxies
[87]
웹사이트
<独自>1歳次女に薬物、母逮捕へ 暴行容疑、投与後?に死亡 大阪府警(産経新聞)
https://news.yahoo.c[...]
2021-10-24
[88]
웹사이트
子供の病気やけがつくり出す「代理ミュンヒハウゼン症候群」 専門家「多くの誤解」指摘「小児に関わる医療者が意識を」
https://www.iza.ne.j[...]
2021-10-24
[89]
웹사이트
子供の病気やけがつくり出す「代理ミュンヒハウゼン症候群」 専門家「多くの誤解」指摘「小児に関わる医療者が意識を」
https://www.sankei.c[...]
2022-12-16
[90]
문서
8.代理によるミュンヒハウゼン症候群 - 日本小児科学会
https://www.jpeds.or[...]
[91]
웹사이트
乳児60人前後を殺害か "死の天使"と呼ばれた看護師、別事件で起訴
https://www.huffingt[...]
ハフポスト日本版
2018-04-16
[92]
웹사이트
乳児殺した看護師を別事件で起訴、60人前後殺害の疑いも 米国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
2018-04-16
[93]
서적
죽음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 전미 최고 검시관이 말하는 죽음과 진실
http://www.tsogen.co[...]
도쿄창원사
2018-01-31
[94]
문서
子ども虐待による死亡事例等の検証結果等について(第6次報告)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95]
journal
新しい児童虐待 母親に潜む「代理ミュンヒハウゼン症候群」わが子に「毒」を盛り、病気に仕立て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