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머스 비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비첨은 영국의 지휘자, 오페라 제작자이자 작곡가로, 1879년에 태어나 1961년에 사망했다. 부유한 집안 출신으로 음악 교육을 받았으며, 1899년 프로 지휘자로 데뷔한 후 막대한 재산을 투자하여 오페라단을 창설하고 여러 오케스트라를 설립했다.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창단하고 로열 오페라 하우스의 음악 감독을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과 호주에서 활동했다. 1946년에는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창단하여 영국 음악계에 기여했으며, 1960년 은퇴 후 이듬해 사망했다. 비첨은 프레더릭 델리우스의 음악을 옹호하고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이며 영국 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며, 재치 있는 어록으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의 지휘자 - 에드워드 엘가
    에드워드 엘가는 1857년 영국에서 태어나 관현악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하여 《수수께끼 변주곡》, 《위풍당당 행진곡》 등을 작곡하고 기사 작위와 공로 훈장을 받았으며 1934년에 사망했다.
  • 잉글랜드의 지휘자 - 프랭크 브리지
    프랭크 브리지는 영국의 작곡가, 비올라 연주자, 지휘자로, 왕립음악대학에서 수학 후 벤자민 브리튼을 제자로 길렀으며, 후기 낭만주의에서 근대주의로 발전하는 음악적 경향을 보이며 관현악곡 《바다》, 《여름》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 옥스퍼드 대학교 워덤 칼리지 동문 - 카미세세 마라
    카미세세 마라는 피지의 정치인으로, 초대 총리,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런던 정경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1966년 연합당을 창당하고 수석 장관을 거쳐 피지 독립 후 초대 총리가 되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워덤 칼리지 동문 - 세실 데이 루이스
    세실 데이 루이스는 아일랜드 출신의 영국 시인이자 소설가이며, 니콜라스 블레이크라는 필명으로 탐정 소설을 썼고, 1968년에는 영국의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었다.
  • 영국의 준남작 - 찰스 라이엘
    영국의 지질학자이자 변호사였던 찰스 라이엘은 제임스 허턴의 동일과정설을 발전시키고 대중화했으며, 대표 저서 《지질학 원리》를 통해 지구가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변화했다는 이론을 제시하여 지질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층서학, 고생물학, 빙하학 등 다양한 지질학 분야에 기여했다.
  • 영국의 준남작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토머스 비첨
기본 정보
토머스 비첨 (1948년)
토머스 비첨 (1948년)
토머스 비첨 서명 1938
토머스 비첨 서명 1938
본명토머스 비첨
출생1879년 4월 27일
영국 잉글랜드 랭커셔 주세인트 헬렌스
사망1961년 3월 8일 (81세)
영국 잉글랜드, 런던
국적영국
직업지휘자
활동 기간1899년 - 1960년
장르클래식 음악
학력옥스퍼드 대학교 중퇴
서훈
작위경 (Sir)
칭호CH

2. 생애

토머스 비첨은 비첨 제약의 후계자로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1] 피아노를 배우거나 집에 온 음악가에게 여러 악기와 작곡을 배우기도 했고, 아버지와 함께 국내외 콘서트와 오페라 공연을 관람하기도 했다. 그러나 모리츠 모슈코프스키 등에게서 재교육을 받기는 하였으나, 정규 음악 교육은 받지 않았다. 옥스퍼드 대학교를 단기간 다니다 중퇴한 후,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지휘자 등을 거쳐 1899년 한스 리히터의 대역으로 할레 관현악단을 지휘하며 프로 지휘자로 데뷔했다.

비첨은 프로 데뷔 후 막대한 재산을 투자하여 순회 오페라단을 결성해 수년간 운영했다. 이후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몇 개 창설했다. 1910년부터는 로열 오페라 하우스를 자비로 빌려 자신의 기획대로 오페라 공연을 시작했다. 런던 초연이 절반 이상이었고, 성공과 실패를 거듭하며 큰 수입은 없었지만, 손실은 아버지에게 빚을 져서 충당했다. 1915년 비첨 오페라단을 설립하여 한동안 오페라 지휘자로 활동했지만, 1932년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 같은 해 로열 오페라 하우스 음악 감독에 취임하여 자신의 기획대로 오페라 공연에 전념했다. 뉴욕 필하모닉과 잘츠부르크 음악제(1931년) 등 해외 지휘 활동도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오스트레일리아에서 활동하며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단골 지휘자가 되었다. 그러나 미국 활동으로 런던 필을 떠나게 되었다. 전후 1946년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창설하여 생애 마지막까지 이끌었다.

1960년 로열 필의 차기 수석 지휘자로 루돌프 켐페를 지명하고 사실상 은퇴했으며, 1961년 사망했다.

비첨은 재치있는 성격으로 유명했고, 연주자들에게 고압적으로 행동하지 않았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와는 제2차 세계대전 후 슈트라우스의 소식을 알아내 영국 무대에 서게 할 정도로 친분이 있었다. 브루노 발터의 런던 데뷔도 비첨이 주선했으며, 세르게이 디아길레프, 표도르 샤랴핀 등 러시아 예술가·음악가들과도 친분을 맺었다.

비첨은 "음악의 개척자"라는 사명감을 가지고 활동했다. 1910년대 오페라 상연은 대부분 초연 작품이라 적자를 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공하지 않는 공연"을 계속 한 것은 그의 사명감과 집안의 재력 덕분이었다. 그러나 영국 음악계에 큰 공헌을 했음에도, 비첨은 다른 음악 관계자들에게 "변방", "이단"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협주곡에서는 화려하게 움직여 솔리스트를 괴롭히는 지휘자로도 알려져 있었다. 1928년 미국 데뷔 당시 블라디미르 호로비츠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제1번을 연주했는데, 템포가 맞지 않아 리허설에서는 호로비츠에게 맞췄지만 본 공연에서는 자신의 템포로 지휘했다. 호로비츠는 마지막 악장에서 비첨을 무시하고 자신의 템포로 오케스트라를 이끌었다고 한다.[207]

음악 프로듀서 월터 레그는 비첨을 "아마도 영국이 낳은 마지막 위대한 기인"이라고 평가했다.

2. 1. 초기 생애

토머스 비첨은 1879년 4월 29일 랭커셔 주(현 머지사이드 주) 세인트헬렌즈에서 제약 회사 비첨스 필스(Beecham's Pills) 창립자 토머스 비첨의 손자이자, 조지프 비첨 경의 아들로 태어났다.[1] 1885년, 비첨 가문은 리버풀(리버풀) 근처 휴이턴(휴이턴)으로 이사했다.[2]

1892년부터 1897년까지 로살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 와덤 칼리지에 진학했으나 1898년에 중퇴했다.[3][4] 그는 피아니스트를 지망했으나, 손목 부상으로 인해 지휘자로 전향했다.[5][6] 프레더릭 오스틴, 찰스 우드, 모리츠 모슈코프스키에게 작곡을 배웠지만, 지휘는 독학으로 익혔다.[9]

1899년 10월, 비첨은 세인트헬렌스에서 첫 공개 지휘를 했고,[4] 한 달 후에는 한스 리히터를 대신해 할레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프로 지휘자로 데뷔했다.

2. 2. 지휘자 경력

1899년 할레 오케스트라(Hallé Orchestra)를 지휘하며 프로 지휘자로 데뷔했다.[4] 한 달 후, 조셉 비첨이 세인트헬렌스 시장으로 취임하는 것을 기념하는 할레 오케스트라의 콘서트에서 한스 리히터를 대신하여 갑작스럽게 지휘를 맡았다.[4] 1906년 런던의 베히슈타인 홀에서 일련의 콘서트를 위해 뉴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지휘를 맡았다.[16] 1909년 자신의 이름을 딴 비첨 심포니 오케스트라(Beecham Symphony Orchestra)를 설립했다.[26] 그는 기존의 심포니 오케스트라에서 연주자를 빼앗아 오지 않고, 극장 악단, 지역 심포니 협회, 호텔의 팜 코트 및 음악 대학에서 모집하여, 평균 연령 25세의 젊은 팀을 구성했다.[27][26]

Emu가 그린 비첨의 캐리커처, 1910년


1910년부터 아버지의 지원을 받아 코벤트 가든 및 기타 극장에서 오페라 시즌을 기획했다.[29] 1910년 코벤트 가든과 히즈 마제스티스 극장에서 190회의 공연을 지휘하거나 임프레사리오로서 책임을 맡았다. 브루노 발터와 퍼시 피트가 조수 지휘자였다.[31] 그 해 34편의 오페라를 공연했는데, 대부분 런던에서는 새롭거나 거의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었다.[32] 이 중 수익을 낸 것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신작 오페라 ''살로메''와 ''엘렉트라''(영국 초연), ''호프만 이야기'', ''박쥐'' 뿐이었다.[35]

1913년 비첨 러시아 발레 시즌의 살로메로 분한 타마라 카르사비나


1915년 영국 가수들로 구성된 비첨 오페라단을 결성하여 런던과 전국을 순회 공연했다.[43] 1932년 말콤 사전트와 함께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LPO)를 창단했다.[55] LPO는 음악대학을 갓 졸업한 젊은 음악가, 지방 오케스트라의 베테랑 연주자, LSO의 주요 단원 17명을 포함하여 106명의 연주자로 구성되었다.[56]

런던 필하모닉의 첫 번째 본거지였던 퀸스 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오스트레일리아에서 활동하며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등에서 지휘했다.[9] 1946년 영국으로 돌아와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RPO)를 창단하여, 생애 마지막까지 이끌었다.[9]

2. 3. 개인사 및 말년

비첨은 세 번 결혼했다. 1903년 뉴욕 출신 유티카 셀레스티나 웰레스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103] 첫째 아들 에이드리언은 작곡가로 활동했고,[104] 둘째 아들은 토머스였다.[28] 두 번째 아이가 태어난 후, 비첨은 결혼 생활에서 멀어지기 시작했고, 1911년에는 아내와 함께 살지 않았다.[105] 유티카는 이혼을 거부했고, 비첨이 1943년 이혼한 후에도 재혼하지 않았다.[106]

1909년경, 비첨은 모드 앨리스(에메랄드로 알려짐)와 관계를 시작했다. 두 사람은 함께 살지 않았지만, 1943년 재혼할 때까지 관계를 유지했다.[5]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리사 펄리(도라 래벳)와 관계를 맺어 아들 폴 스트랭을 낳았다.[110] 1943년, 비첨은 베티 험비와 결혼했고, 1958년 베티가 사망할 때까지 함께했다.[97] 1959년에는 1950년부터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 일했던 셜리 허드슨과 결혼했다.[113]

1916년 아버지 조지프 비첨이 사망하면서 남작 작위를 계승했다.

1960년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자로 루돌프 켐페를 지명하고 사실상 은퇴했으며, 1961년 3월 8일 런던에서 관상동맥 혈전증으로 사망했다.

3. 레퍼토리

토머스 비첨은 헨델, 하이든, 모차르트고전주의 음악뿐만 아니라, 베를리오즈, 슈만, 비제낭만주의 음악, 드뷔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스트라빈스키, 시벨리우스 등 근대 음악까지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했다.[114][143] 특히 프레데릭 델리우스의 음악을 적극적으로 연주하여 영국 음악계에 정착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비첨은 헨델을 "모든 시대의 위대한 국제 거장"이라 칭송하며 그의 작품을 당대 취향에 맞게 편집, 재관현악하여 연주했고,[114][115] 헨델의 오페라를 바탕으로 여러 모음곡을 편곡했다.[116] 하이든과 모차르트 작품도 즐겨 연주했는데, 특히 모차르트의 경우 ''코지 판 투테'', ''극장 지배인'', ''후궁탈출'' 등을 영국 관객에게 소개하는 데 앞장섰다.[121]

19세기 독일 음악에 대해서는 다소 모호한 태도를 보였으나, 베토벤바그너 작품을 정기적으로 지휘하여 성공을 거두었다.[128] 특히 바그너의 오페라를 자주 지휘했으며, 《로엔그린》은 서정적인 면에서, 《반지》는 노래하는 듯한 연주로 호평받았다.[139]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엘렉트라》, 《살로메》, 《장미의 기사》 등을 영국에 처음 소개했고, 교향시 《영웅의 생애》는 그의 마지막 녹음으로 남았다.[130][140]

프랑스 음악에 대해서는 "어떤 프랑스 지휘자보다 해외에서 프랑스 음악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했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애정을 보였다.[143] 베를리오즈 작품을 자주 연주, 녹음했으며, 비제, 샤르팡티에, 델리브, 뒤파르크, 글루크, 라로, 륄리, 오펜바흐, 생상스, 토마 등 다양한 작곡가들의 작품을 즐겨 연주했다.[147]

베르디 오페라 중에서는 《일 트로바토레》, 《라 트라비아타》, 《아이다》, 《돈 카를로》, 《리골레토》, 《가면무도회》, 《오텔로》, 《팔스타프》 등 8편을 지휘했다.[138] 푸치니와는 개인적 친분이 있었으며, 《라 보엠》, 《토스카》, 《투란도트》 등을 지휘했다.[150][151] 빅토리아 데 로스앙헬레스와 유시 비욀링이 출연한 1956년 《라 보엠》 녹음은 명반으로 꼽힌다.[152][153]

러시아 음악에도 조예가 깊어 무소륵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와 《호반시치나》,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이반 뇌제》 등을 영국에 소개했다.[9] 시벨리우스와는 각별한 관계를 맺고 그의 음악을 적극 옹호했다.[161] 1954년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한 시벨리우스 《교향곡 2번》 실황 녹음에는 비첨이 오케스트라를 격려하는 소리가 담겨 있다.[162]

비첨은 가벼운 소품들을 앙코르로 즐겨 연주했는데, 이를 "막대사탕(lollipops)"이라고 불렀다.[164] 베를리오즈의 《요정들의 춤》, 샤브리에의 《즐거운 행진곡》, 구노의 《줄리엣의 잠》 등이 대표적이다.[164]

3. 1. 델리우스와의 관계

비첨은 1907년부터 프레데릭 델리우스와 깊은 친분을 맺고, 그의 음악을 열렬히 옹호했다.[18] 델리우스의 비서였던 에릭 펜비(Eric Fenby)는 비첨을 "델리우스의 음악에서 다른 모든 사람들을 능가하는...특히 오케스트라와 함께 할 때 그러했다"라고 언급했다.[156]

비첨은 델리우스의 작품을 직접 수정하여 연주하기도 했는데, 이는 델리우스가 유일하게 허락한 사례였다. 델리우스는 자신의 작품에 다른 사람의 손이 들어가는 것을 극도로 싫어했지만, 비첨의 조언이 적절했기에 예외로 삼았다. 비첨은 델리우스의 인상을 "추기경 같다"고 회상했다. 월터 레그에 따르면 "델리우스는 비첨이 완전히 자기화할 수 있는 작곡가"였다.

비첨은 1910년에 오페라 《시골의 로미오와 줄리엣》, 1935년에 《코앙가》의 영국 초연과 1953년에 《이르멜린》의 세계 초연을 지휘했다.[159] 1911년 6월 전곡 델리우스 콘서트에서 비첨은 《석양의 노래》의 초연을 지휘했다.[157] 그는 1929년과 1946년에 델리우스 페스티벌을 열었고[157]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그의 콘서트 작품을 선보였다.[158]

4. 평가 및 영향

토머스 비첨은 독특한 해석과 카리스마 넘치는 지휘로 청중을 사로잡았으며, 영국 음악계에 큰 족적을 남겼다.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창단하여 영국 오케스트라의 수준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다.[83] 오페라 공연에서도 혁신적인 시도를 통해 영국 오페라 발전에 기여했다.[30][35]

헨리 우드 경 같은 선배나, 어드리언 볼트 경, 존 바비롤리 경 같은 동료 지휘자들과 항상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지는 못했다.[179][180][181] 그러나 빌헬름 푸르트벵글러를 존경하고 격려했으며,[184] 피에르 몽튜를 존경했고,[185] 루돌프 켐페를 자신의 후계자로 육성하는 등 외국 지휘자들과는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186][187][188]

그는 재치 있는 언변으로도 유명했는데, 그의 어록들은 책으로 출판될 정도였다.[191] 예를 들어, "음악학자는 음악을 읽을 수 있지만 들을 수 없는 사람이다"[194]라는 말이나, 70세 생일 축하연에서 "모차르트로부터는 아무것도 없나요?"[196]라는 말은 그의 유머 감각을 잘 보여준다.

음악 프로듀서 월터 레그는 비첨을 "아마도 영국이 낳은 마지막 위대한 기인"이라고 평가했다.[207]

비첨은 일본을 방문한 적이 없어, 일본에서의 평가는 레코드와 영상만으로 이루어졌다.[207] 사후 CD 시대에 들어 그의 연주는 재평가되고 있다.

4. 1. 한국의 관점에서의 평가

비첨은 귀족 출신으로, 그의 엘리트주의적인 면모는 비판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음악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려 노력한 점, 특히 당시 영국에서 소외되었던 다양한 작곡가들의 작품을 소개하고 연주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의 활동은 영국 음악계의 다양성을 확장하고, 대중의 음악적 안목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비첨은 아버지 조지프 비첨이 제임스 화이트의 영향을 받아 베드퍼드 공작으로부터 코벤트 가든 부지를 매입하는 과정에 참여했다.[47] 이 거래는 ''더 타임스''지에 의해 "런던 부동산 역사상 최대 규모 중 하나"로 묘사될 정도였다.[48]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인해, 비첨은 음악계를 떠나 3년 이상 부동산 매각에 매달려야 했다.[49] 1923년까지 저당과 개인 채무를 모두 상환하고,[50] 1924년에는 코벤트 가든 부동산과 세인트헬렌스의 알약 제조 사업을 통합한 비첨 에스테이츠 앤드 필스를 설립하여 상당한 지분을 보유하게 되었다.[49]

5. 어록

비첨은 재치와 유머로 유명했으며, 많은 어록을 남겼다. 다음은 그가 남긴 유명한 어록들이다.


  • "음악학자는 음악을 읽을 수 있지만 들을 수 없는 사람이다."
  • "좋은 연주에 있어서 관객에게 필요한 것은 오케스트라가 함께 시작하고 끝내는 것뿐이다. 중간에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 (슈트라우스, 스트라빈스키, 시벨리우스의 축전을 읽은 후 70세 생일 축하연에서) "모차르트로부터는 아무것도 없나요?"

6. 수상 및 서훈


  • 1916년 기사 작위(Knight Bachelor) 서임[51]
  • 1916년 남작 작위(Baronet) 계승[51]
  • 1938년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Légion d'honneur) 수훈[76]
  • 1955년 핀란드 백장미 훈장(Order of the White Rose of Finland) 수훈[76]
  • 1957년 명예 동반자 훈장(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 CH) 수훈[77]

7. 저서

비첨은 생전에 다음 세 권의 책을 출판했다.


  • 《존 플레처》(John Fletcher, 1956)
  • 《섞인 종소리 – 자서전에서 발췌》(A Mingled Chime – Leaves from an Autobiography, 1959)
  • 《프레더릭 델리우스(Frederick Delius, 1959)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웹사이트 Beecham, Sir Thomas, second baronet (1879–1961)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5-24
[6] 서적
[7] 서적
[8] 서적 1959
[9] 웹사이트 Beecham, Sir Thomas http://www.oxfordmus[...] Oxford Music Online 2011-03-13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959
[15] 간행물 Mr. Thomas Beecham 1910-10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1959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없음
[37] 서적 없음
[38] 서적 없음
[39] 서적 없음
[40] 서적 없음
[41] 서적 없음
[42] 서적 없음
[43] 뉴스 The Honours List The Times 1916-01-01
[44] 서적 없음
[45] 서적 없음
[46] 서적 없음 1959
[47] 서적 없음 1959
[48] 뉴스 Covent Garden Estate: Sale of the Property to Sir Joseph Beecham The Times 1914-07-07
[49] 웹사이트 The Bedford Estate: The Sale of the Estate http://www.british-h[...] Survey of London, Volume 36: Covent Garden 1970
[50] 뉴스 Sir Thomas Beecham to Pay in Full: The Receiving Order Discharged The Manchester Guardian 1923-03-29
[51] 뉴스 The Hallé Concerts: Sir Thomas Beecham's Return The Manchester Guardian 1923-03-16
[52] 뉴스 Albert Hall Concert: Sir Thomas Beecham's Return The Times 1923-04-09
[53] 서적 없음 1971
[54] 서적 없음
[55] 서적 없음
[56] 서적 없음
[57] 서적 없음
[58] 서적 없음
[59] 서적 없음
[60] 서적 없음
[61] 서적 없음
[62] 서적 없음
[63] 서적 없음
[64] 서적 없음
[65] 서적 없음
[66] 서적 없음 1989
[67] 서적 없음
[68] 서적 없음
[69] 서적 없음
[70] 서적 없음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라디오 CD Review http://www.bbc.co.uk[...] BBC Radio 3 2011-03-12
[90] 웹사이트 Beecham, Sir Thomas, second baronet (1879–1961)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5-24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뉴스 Concerts The Times 1958-09-13, 1958-09-29, 1958-10-18, 1958-10-25, 1958-11-01, 1958-11-15, 1958-11-29, 1958-12-06
[96] 뉴스 Concerts The Times 1955-01-19, 1955-01-21
[97] 서적
[98] 뉴스 Sudden Setback for Sir Thomas Beecham and The Trojans Revived The Times 1960-07-13, 1960-04-30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뉴스 The World of Music The Illustrated London News 1922-09-30
[105] 서적
[106] 서적 Reid
[107] 뉴스 Obituary The Times 1977-10-14
[108] 서적 Reid
[109] 서적 Jefferson
[110] 서적 Lucas
[111] 웹사이트 Remembering Paul Strang (1933–2024) https://www.trinityl[...] 2024-04-04
[112] 서적 Reid
[113] 서적 Reid
[114] 서적 Beecham 1992
[115] 서적 Jefferson
[116] 서적 Golding, Melville-Mason (Handel)
[117] 서적 Procter-Gregg
[118] 서적 Jefferson
[119] 서적 Procter-Gregg
[120] 서적 Jefferson
[121] 서적 Lucas
[122] 서적 Procter-Gregg
[123] 서적 Holden
[124] 뉴스 King's Theatre The Times 1811-05-07, 1811-06-29
[125] 뉴스 King's Theatre The Times 1818-06-12, 1818-07-21
[126] 뉴스 St. George's Opera The Times 1873-01-21
[127] 서적 Jefferson
[128] 서적 Cardus
[129] 웹사이트 Search results: Beethoven/Thomas Beecham http://www.worldcat.[...] 2014-05-02
[130] 서적 Jefferson
[131] 서적 Cardus
[132] 뉴스 Concerts The Times 1955-01-19
[133] 서적 Lucas
[134] 서적 Beecham 1959
[135] 서적 Cardus, Procter-Gregg, Melville-Mason (Wagner)
[136] 서적 Reid
[137] 서적 Jefferson
[138] 서적 Procter-Gregg
[139] 서적 Howes, Frank (quoted in Procter-Gregg)
[140] 간행물 Strauss, Richard. Ein Heldenleben Gramophone 1961-06
[141] 서적 Jefferson
[142] 뉴스 Composer's Gift to Sir T. Beecham The Times 1938-04-22
[143] 서적 Atkins
[144] 웹사이트 Hector Berlioz – the Unloved Genius http://www.scena.org[...] 2008-03-31
[145] 서적 Procter-Gregg
[146] 서적 Procter-Gregg
[147] 서적 Procter-Gregg
[148] 서적 Jenkins 2000
[149] 서적 Procter-Gregg
[150] 서적 Lucas
[151] 서적 Procter-Gregg
[152] 서적 Jefferson
[153] 서적 March
[154] 서적 Jefferson
[155] 서적 Reid
[156] 서적 Procter-Gregg
[157] 서적 Lucas
[158] 서적 Procter-Gregg
[159] 서적 Lucas
[160] 서적 Montgomery and Threlfall
[161] 서적 Osborne
[162] 간행물 Originally issued on LP as HMV ALP 1947 in 1962 and subsequently reissued on compact disc as BBC Legends BBCL 415–4 in 2005
[163] 서적 Cardus
[164] 서적 Jenkins 1991
[165] 웹사이트 Sir Thomas Beecham: Some Personal Memories https://www.jstor.or[...] 2011-03-15
[166] 간행물 Sibelius, Symphony No. 2 in D major Gramophone 1962-11
[167] 서적 Jenkins 1992
[168] 서적 Procter-Gregg
[169] 간행물 Masonic Magic Gramophone 2006-01
[170] 웹사이트 Commentary: 50 Years of (BASF) Tape 2011-03-13
[171] 간행물 The Beecham Archives Gramophone 1987-09
[172] 간행물 Sir Thomas Beecham Selected Discography Gramophone 2011-05
[173] 서적 Culshaw
[174] 웹사이트 CD Review: Building a Library Recommendations http://www.bbc.co.uk[...] 2011-03-13
[175] 간행물 Music from Heaven Gramophone 2003-12
[176] 간행물 Haydn Symphonies 1993-09
[177] 간행물 Beecham in the Recording Studio: a centenary tribute to Sir Thomas Beecham 1979-04
[178] 웹사이트 Sir Thomas Beecham Edition http://www.emiclassi[...] EMI 2011
[179] 서적
[180] 서적 1989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서적
[186] 서적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190] 간행물 British Conductors 1929-06
[191] 서적
[192] 서적
[193] 서적
[194] 서적
[195] 뉴스 Jolts and Jars: some wit and wisdom by Sir Thomas Beecham 1974-10-03
[196] 서적
[197] 서적 Thomas Beecham: An Independent Biography 1961
[198] 웹사이트 The Havergal Brian Society Newsletter, No. 228 http://klassichaus.u[...] 2016-05-23
[199] 서적
[200] 서적
[201] 뉴스 Sir T. Beecham made C.H. 1957-06-13
[202] 서적
[203] 웹사이트 Timothy West as Beecham https://web.archive.[...] 2007-07-26
[204] 뉴스 Conductors on Stamps 1980-07-17
[205] 웹사이트 Membership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11-03-30
[206] 웹사이트 Sir Thomas Beecham http://www.gramophon[...] 2012-04-10
[207] 서적 二十世紀の10大ピアニス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