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라타 제6군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라타 제6군단은 기원전 52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창설된 로마 군단이다. 카이사르 사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휘하에서 필리피 전투에 참전하고 유대 속주에 주둔했으며, 악티움 해전에서 패배한 후 아우구스투스 휘하로 편입되어 시리아와 유대 지역에서 활동했다. 유대 전쟁, 바르 코크바의 난 진압에도 참여했으며, 2세기부터 3세기까지 시리아 팔라이스티나에 주둔했다. 이후 세베루스 왕조 시대에도 존재했으나, 395년 이전에 해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 제2차 삼두정치
제2차 삼두정치는 옥타비아누스, 안토니우스, 레피두스가 카이사르 암살자 복수와 공화정 재건을 명분으로 결성한 5년 권한의 정치 동맹이었으나, 숙청, 자금난, 내분, 전쟁 등을 거치며 옥타비아누스의 단독 권력 장악으로 이어졌다. -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 안토니우스의 내전
안토니우스의 내전은 옥타비아누스가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의 결탁을 명분으로 일으킨 전쟁으로, 옥타비아누스가 승리하여 로마의 유일한 지배자가 되고 로마 공화정을 로마 제정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 기원전 52년 - 알레시아 전투
알레시아 전투는 기원전 52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로마군과 베르킨게토릭스의 갈리아 연합군 간에 벌어진 갈리아 전쟁의 결정적 전투로, 로마의 승리와 갈리아 지역에 대한 로마 지배 확립, 그리고 카이사르의 정치적 입지 강화에 기여했으며, 전투 위치는 프랑스 알리즈-생트-렌 지역으로 추정된다. - 기원전 52년 - 알라우다이 제5군단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전쟁 중 기원전 52년에 창설한 알라우다이 제5군단은 갈리아 출신 병사로 구성되어 갈리아 전쟁, 로마 내전, 악티움 해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며, 아우구스투스 사후 라인 강 지역 폭동에 연루되기도 했다. - 로마 군단 - 미네르비아 제1군단
미네르비아 제1군단은 82년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창설한 로마 제국 군단으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서 활동하고 다키아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내전기에 여러 황제를 지지하다 353년경 프랑크족 침공 이후 기록에서 사라졌다. - 로마 군단 - 아디우트릭스 제2군단
아디우트릭스 제2군단은 로마 제국의 군단으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서 시작해 브리튼을 거쳐 다키아 전쟁에 참전했으며, 아퀸쿰에 주둔하며 여러 전쟁에 파견되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권력 장악에 기여했고, 금석문 자료를 통해 활동 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
| 페라타 제6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활동 기간 | 기원전 65년 ~ 최소 서기 244년 |
| 국가 | 로마 공화정과 로마 제국 |
| 종류 | 로마 군단 (마리우스) |
| 역할 | 강습 보병 |
| 마스코트 | 황소 |
| 주요 지휘관 | 율리우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 |
2. 역사
기원전 52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창설한 제6군단은 알레시아 전투를 시작으로 카이사르 휘하에서 활약했다. 카이사르의 내전에서는 파르살루스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여하여 "히스파니엔시스"라는 칭호를 얻었다. 알렉산드리아 공성전에서는 큰 피해를 입었으나, 젤라 전투에서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
카이사르 사후, 제6군단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휘하에 들어갔다. 필리피 전투 이후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 간의 권력 분할이 이루어졌고, 제6군단은 유다이아 방어를 위해 동방으로 이동했다. 악티움 해전에서 옥타비아누스 측과 맞섰으나 패배했고, 이후 시리아/유다이아에 주둔했다.
서기 54년부터 68년까지 제6군단은 파르티아와의 전쟁에서 활약했고, 69년에는 유대 전쟁에 참전했다. 네 황제의 해 내전 기간에는 베스파시아누스를 지지했다. 106년에는 다키아 정복에 참여했고, 바르 코크바의 난 이후에는 시리아 팔라이스티나에 주둔했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시기에는 내전에서 그를 지지하여 페스켄니우스 니게르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치세에는 페니키아로 이동했다. 필리푸스 아라부스 시대까지는 존재가 확인되지만, 발레리아누스 황제가 사산 제국에 포로로 잡힌 에데사 전투 기록에는 제6군단에 대한 언급이 없다. 디오클레티아누스 시기에 팔라이스티나 테르티아 방어를 위해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으나, 395년 이전에 해산된 것으로 보인다.
2. 1. 카이사르 시기 (기원전 1세기 중반)
기원전 52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키살피나(지금의 북이탈리아)에서 제6군단을 창설했다.[1] 제6군단은 갈리아 전쟁에서 카이사르의 지휘 아래 알레시아 공방전(기원전 52년)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19] 기원전 51년에는 카빌로눔(샬롱쉬르손)에 주둔했고, 기원전 50년에는 케나붐(오를레앙)에서 카르누테스족의 반란을 진압했다.[19]카이사르의 내전(기원전 49년-기원전 45년)에서 카이사르 편에 서서 활약하며, 기원전 49년 스페인 레리다 지역 전투에서 "히스파니엔시스" 칭호를 얻었다.[1] 파르살루스 전투(기원전 48년)에서 큰 공을 세웠다.[2]
기원전 47년, 카이사르는 제6군단을 알렉산드리아로 데려가 클레오파트라와 이집트의 분쟁을 해결하려 했다. 알렉산드리아 공성전에서 제6군단은 병력의 3분의 2를 잃는 큰 피해를 입었지만, 페르가몬의 미트리다테스의 지원군 덕분에 카이사르는 승리할 수 있었다.[2]
이후 카이사르는 "베테랑 6군단"을 시리아와 폰토스로 데려갔다.[3] 제6군단은 기원전 48년과 기원전 47년에 폰토스에서 카이사르를 도와 젤라 전투에서 승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4] 카이사르는 제6군단의 공로를 치하하며 보상과 영예를 주고 이탈리아로 복귀시켰다.[5]
기원전 46년 카이사르의 아프리카 전쟁 동안, 제6군단은 스키피오 군대에서 이탈하여 카이사르 편에 서서 싸웠다.[6]
2. 2.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시기 (기원전 1세기 후반)
기원전 44년 레피두스가 재창단한 제6군단은 이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에게 지휘권이 넘어갔다.[25] 필리피 전투(기원전 42년)에서 카시우스와 브루투스가 이끄는 공화파 군대를 격파한 후,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 사이에 권력이 분할되었다. 기원전 41년, 베네벤툼에 퇴역 군인들을 위한 식민 도시가 건설되었고, 남은 제6군단 병사들은 안토니우스에 의해 유다이아 방어를 위해 동방으로 이동했다.[25] 안토니우스 휘하에서 군단병은 12,000명이 넘었고 지휘 장교는 300명이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한편, 옥타비아누스는 안토니우스가 이미 사용하고 있던 제6군단 번호를 복제하여 또 다른 제6군단인 빅트릭스 제6군단을 창설했다.[26] 이는 옥타비아누스가 베네벤툼에 남아있던 카이사르의 제6군단 퇴역 군인들을 활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후 제6군단 ''페라타''는 기원전 36년 안토니우스의 파르티아 원정에 참전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25]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 간의 내전 기간 중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제6군단 ''페라타''는 빅트릭스 제6군단과 맞섰으며, 옥타비아누스 군대에 큰 피해를 입었다. 전투 후, 일리리쿰의 빌리스에 또 다른 퇴역병 식민 도시가 건설되었고, 제6군단 ''페라타''의 잔류 병력은 시리아/유다이아로 이동 배치되었다.
2. 3. 옥타비아누스와의 관계 (기원전 1세기 후반)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 간의 내전 기간 동안, 제6군단 페라타와 제6군단 빅트릭스는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서로 다른 편에서 맞붙었다.[26] 이 전투에서 제6군단 페라타는 옥타비아누스의 군대에 의해 큰 피해를 입었다. 전투 후, 제6군단 페라타의 퇴역병들은 일리리쿰의 빌리스에 정착했으며, 남은 병력은 시리아/유다이아로 이동하여 주둔했다. 한편, 제6군단 빅트릭스는 스페인으로 보내졌다.[25]2. 4. 유다이아와 팔라이스티나 (서기 1세기-3세기)
서기 54년부터 68년까지 ''페라타'' 제6군단은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 휘하에서 파르티아에 맞서 아르메니아의 아르탁사타와 티그라노케르타에서 복무했다.[27] 69년에 제6군단은 유다이아로 복귀하여 유대 전쟁 (66-73년)에 참전했다. 유대 전쟁이 끝나갈 무렵, 6군단은 네로 사후 일시적인 내전 기간에 비텔리우스의 군대에 대한 무키아누스의 승리에 기여했다.[28]106년에 6군단의 ''벡실라티오''가 다키아를 상대로 한 최후의 전투(사르미세게투사 전투)에 참전했다. 군단의 핵심 인원들은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팔마 프론토니아누스 휘하의 나바티아의 보스트라에 배치되었을 수 있다.[29] 바르 코크바의 난 이후 138년에, 6군단은 시리아 팔라이스티나[30] 속주 지역의 고대 카파르코트나(Caparcotna)[31]와 오늘날의 라지윤 인근에 팔레스타인 지역을 가로지르는 마리스 가도에 있는 전략 지점인 레기오라고 알려진 주둔지에서 주둔했다. 안토니누스 피우스 재위 때 아프리카에 잠시 파견되기도 했다.[27] 서기 150년에 6군단은 시리아 팔라이스티나로 다시 파견됐고, ''페라타'' 제6군단에 헌정한 것이 발견된 한 비문은 이들이 215년에도 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25] 카이사리아 마리티마에서 발견된 필리푸스 아라브스의 주화는 244년경에 6군단이 여전히 존재했음을 말해준다.
디오클레티아누스 시기에, 팔라이스티나 테르티아 지역이 되는 지역을 방어하기 위하여 ''리메스 아라비쿠스'' 남쪽에 아드루 (요르단 우드루) 주둔지로 이동됐을지 모른다.[32] 6군단은 노티티아 디그니툼에 등장하지 않으며 395년 이전에 해산된 걸로 보인다.
2. 5. 세베루스 왕조 시대 이후 (2세기-3세기)
페르티낙스 암살 후 로마는 다시 내란에 휩싸였고, 제6군단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를 지지했다. 세베루스는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여 로마 황제가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제6군단은 페스켄니우스 니게르와의 전투에서 공적을 세웠으나, 그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치세 동안 오랫동안 팔레스타인(유대 속주의 일부)에 주둔하던 제6군단은 페니키아로 이동했다. 이 이후의 기록은 드물다.필리푸스 아라부스 치세에는 그 시대에 발행된 화폐를 통해 제6군단의 존재가 확인되지만, 시대가 지나 사산 제국의 샤푸르 1세와의 에데사 전투 (로마 황제 발레리아누스가 포로로 잡힘) 기록에는 제6군단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3. 확인된 인원
| 성명 | 계급 | 시기 | 속주 | 출처 |
|---|---|---|---|---|
| 루키우스 아르토리우스 카스투스 | 켄투리오 | 2세기 | 시리아 팔라이스티나 | [1] |
| 퀸투스 글리티우스 아틸리우스 아그리콜라 | 레가투스 | 80년경 | [2][3] | |
|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폴리나리우스 | 레가투스 | 87-91년 | 시리아 | [4] |
| 가이우스 율리우스 프로쿨루스 | 레가투스 | 104/106년 | 시리아 | [5] |
|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 레가투스 | 114/115년 | ||
| 마르쿠스 플라비우스 포스투무스 | 레가투스 | 145년과 161년 사이 | 시리아 팔라이스티나 | [6] |
| 퀸투스 안티스티우스 아드벤투스 | 레가투스 | ?159-?162년 | 시리아 팔라이스티나 | [33] |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수바티아누스 프로쿨루스 | 레가투스 | 206년경 | 시리아 팔라이스티나 | [7] |
| 파쿠비우스 | 군사 호민관 | 19년경 | 시리아 | 타키투스 연대기, ii.79 |
| 루키우스 유니우스 L.f. 모데라투스 | 보좌 트리부누스 | 70년 이전 | [8] | |
| 루키우스 코에타니우스 L.f. 프로쿨루스 카르술라스 | 보좌 트리부누스 | 117년 이전 | [9] | |
| 마르쿠스 포르키우스 M.f. 아프루스 | 보좌 트리부누스 | [10] | ||
| 루키우스 베킬리우스 C.f. 모데스투스 | 보좌 트리부누스 | 서기 1년과 100년 사이 | [11] | |
| 세르기우스 루스티쿠스 아프로니아누스 | 광폭 트리부누스 | 152년 이전 | [12][13] | |
| 루키우스 세르기우스 L.f. 파울루스 | 광폭 트리부누스 | [14] |
4. 유산
제6군단의 주둔지였던 라윤(Lajjun)은 라틴어 'Legio'(군단)에서 유래한 지명이다.[35][36] 오스만 제국 시대에 이곳에 세워진 칸은 "칸 알-라윤"으로 알려져 있으며, 1948년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이전까지 라윤이라는 팔레스타인 마을이 존재했다.
제6군단을 주제로 한 인기 있는 러시아 노래로는 Орёл Шестого легиона (песня)|제6군단의 독수리ru가 있다.
5. 고고학
20세기까지, 페라타 제6군단의 카스트라(영구 군사 기지)의 정확한 위치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문헌 자료에서는 카이사리아 마리티마에서 베트셰안에 이르는 도로를 따라, 므깃도에 인접한 이스르엘 계곡에 있다고 하였다. 이스라엘의 고고학자 요탐 테페르는 이스르엘에서 주화들과 6군단의 이름이 새겨진 기와들을 포함한 로마 유적지를 확인하였다. 2010년과 2011년에, 테페르는 Jezreel Valley Regional Project 및 the Center for Research and Archaeology of the Southern Levant와 협력하여 지하투과레이더와 전자 탐사를 실시했고, 고고학적 해석을 첨부하여 그 결과를 발표했다.[37] 2013년, 조사단은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발굴을 위한 최적의 장소를 결정하여 페라타 제6군단의 주둔지를 발굴했다. 발굴 결과, 방어용 토루, 성벽, 병영 시설, 6군단의 이름이 새겨진 기와, 동전, 미늘 갑옷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35] 
참조
[1]
웹사이트
Legio VI Ferrata - Livius
https://www.livius.o[...]
2020-08-06
[2]
문서
The Alexandrian War
[3]
문서
The Alexandrian War
[4]
문서
The Alexandrian War
[5]
문서
The Alexandrian War
[6]
문서
The African War
[7]
서적
Life in Ancient Rome
[8]
서적
The Making of the Roman Army: From Republic to Empire
[9]
서적
The Roman Legions
1957
[10]
간행물
Histories III, p.46
[11]
논문
Notes on the Parthian Campaigns of [[Trajan]]
[12]
서적
The Roman Imperial Army
Adam & Charles Black
1969
[13]
서적
A Companion to the Roman Army
John Wiley & Sons
2008
[14]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977
[15]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J.C. Gieben
1989
[16]
뉴스
Legio: Excavations at the Camp of the Roman Sixth Ferrata Legion in Israel
http://www.biblicala[...]
Bible History Daily,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13
[17]
서적
The Battles of Armageddon: Megiddo and the Jezreel Valley from the Bronze Age to the Nuclear 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8]
논문
Ground-penetrating Radar and Electromagnetic Archaeogeophysical Investigations at the Roman Legionary Camp at Legio, Israel
[19]
웹인용
Legio VI Ferrata
https://www.livius.o[...]
2017-07-29
[20]
문서
The Alexandrian War
[21]
문서
The Alexandrian War
[22]
문서
The Alexandrian War
[23]
문서
The Alexandrian War
[24]
문서
The African War
[25]
서적
Life in Ancient Rome
[26]
서적
The Making of the Roman Army: From Republic to Empire
[27]
서적
The Roman Imperial Army
Adam & Charles Black
1969
[28]
간행물
동시대사 3권, p.46
[29]
저널
Notes on the Parthian Campaigns of [[Trajan]]
null
[30]
웹인용
Legio VI Ferrata
https://www.livius.o[...]
Livius.org
2014-08-27
[31]
웹인용
Places: 678266 (Legio/Caporcotani/Maximianopolis)
http://pleiades.stoa[...]
Pleiades
2014-08-26
[32]
서적
A Companion to the Roman Army
John Wiley & Sons
2008
[33]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977
[34]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J.C. Gieben
1989
[35]
뉴스
Legio: Excavations at the Camp of the Roman Sixth Ferrata Legion in Israel
http://www.biblicala[...]
Bible History Daily,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13
[36]
서적
The Battles of Armageddon: Megiddo and the Jezreel Valley from the Bronze Age to the Nuclear 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7]
논문
Ground-penetrating Radar and Electromagnetic Archaeogeophysical Investigations at the Roman Legionary Camp at Legio, Isra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