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부르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 부르제는 프랑스의 소설가, 평론가, 시인으로, 심리 소설, 사상 소설,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아미앵에서 태어나 클레르몽페랑에서 성장한 그는 1872년 시집 《바닷가에서》로 문단에 데뷔했으며, 이후 평론가로 활동하며 《현대 심리학 에세이》를 발표했다. 소설 《제자》를 통해 유물론과 실증주의를 비판하고 도덕적 가치를 강조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의 작품은 일제강점기에 한국에 소개되어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는 절판되어 구하기 어렵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미앵 출신 - 에마뉘엘 마크롱
에마뉘엘 마크롱은 프랑스의 정치인이자 "앙 마르슈!(En Marche!)"를 창당하여 중도주의 정책을 표방하며 2017년과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프랑스의 현직 대통령이다. - 아미앵 출신 - 올리비에 블랑샤르
올리비에 블랑샤르는 프랑스 출신의 거시경제학자로서, 국제 통화 기금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역임하고 신 케인즈 경제학을 연구하며 30권 이상의 저서와 15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 프랑스의 여행 작가 -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은 프랑스 낭만주의 운동을 이끈 작가이자 정치가로, 소설을 집필하고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자유, 평등, 박애의 가치를 옹호하다가 1848년 혁명 중에 사망했다. - 프랑스의 여행 작가 - 장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
2008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프랑스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인 장 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경험을 바탕으로 실험적인 문체에서 평이한 문체로 변화하며 사막,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 이주, 생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독특한 문학 세계를 구축했지만, 사회적 논란을 겪기도 했다. - 리세 루이르그랑 동문 - 빅토르 위고
빅토르 위고는 19세기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시인으로, 낭만주의 운동을 이끌고 《레 미제라블》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정치에도 참여하여 국민적 시인으로 존경받았다. - 리세 루이르그랑 동문 - 알랭 바디우
알랭 바디우는 존재론, 집합론, 정치를 융합한 독자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하고 진리, 사건, 주체 등의 개념을 정립하여 서구 민주주의를 비판하고 공산주의를 옹호한 프랑스의 철학자, 수학자, 정치 활동가이다.
폴 부르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폴 샤를 조제프 부르제 |
출생 | 1852년 9월 2일 |
출생지 | 아미앵, 프랑스 |
사망 | 1935년 12월 25일 |
사망지 | 파리, 프랑스 |
묘지 | 몽파르나스 묘지 |
직업 | 소설가, 비평가 |
학력 | |
모교 | 리세 루이-르-그랑, 고등연구실습원 |
작품 활동 | |
주요 작품 | 《제자》 |
기타 정보 | |
![]() |
2. 생애
폴 부르제는 프랑스 피카르디 솜 아미앵에서 태어났다. 수학 교수였던 그의 아버지는 이후 클레르몽페랑의 대학교에 임명되어 부르제는 그곳에서 조기 교육을 받았다. 그 후 리세 루이르그랑과 고등 연구 학교에서 공부했다.
1872년과 1876년 사이에 시집 ''바닷가에서(Au Bord de la Mer)''를 출간했고, 이후 다른 시집들이 나왔으며, 마지막 시집 ''고백(Les Aveux)''은 1882년에 출간되었다.[5] 그동안 문학 저널리즘에서 명성을 얻었고, 1883년에는 ''누벨르 레뷔''에 처음 게재되었던 저명한 작가들에 대한 연구를 묶어낸 ''현대 심리학 에세이(Essais de Psychologie Contemporaine)''를 출간했다. 1884년 영국을 오랫동안 방문하여 첫 번째 출판 소설 ''돌이킬 수 없는 상처(L'Irréparable)''를 썼다.
1867년에 가톨릭을 버린 부르제는 1889년에 점진적으로 가톨릭으로 복귀하기 시작하여 1901년에 완전히 개종했다. 1893년 미국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그는 변화된 자신의 견해에 대해 "현대 도시의 대부분의 젊은이들과 마찬가지로 수년 동안 불가지론에 안주했지만, '나는 모른다. 그리고 모르는 채로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한다'고 말하는 사람의 삶은 공허하고 실망과 고통으로 가득 차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닫고 정신을 차리게 되었다. 반면에 교리의 가르침을 따르는 사람들은 남녀가 감각, 정념, 약점에 이끌리고 지배될 때 거의 예외 없이 따르는 도덕적 재앙으로부터 상당 부분 보호받고 있다"고 말했다.[7] 이것은 그의 소설 ''제자(Le Disciple)''(1889)의 주제였다.
1891년에는 이탈리아 여행 기록인 ''이탈리아의 감각(Sensations d'Italie)''을 통해 새로운 면모를 드러냈고, 1895년에는 1893년 미국 방문의 비평적인 기록을 담은 ''해외(Outre-Mer)''를 출간했다. 또한 1891년에는 소설 ''여인의 마음(Coeur de Femme)''과 남성 인물의 "유형"을 다룬 ''새로운 파스텔(Nouveaux Pastels)''을 출판했는데, 이는 여성 유형을 다룬 ''파스텔(Pastels)''(1890)의 속편이다.
1894년 아카데미 프랑세즈에 입회했으며, 1895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6]
1929년에는 베니토 무솔리니의 서문이 있는 이탈리아에 관한 책인 ''이탈리아의 얼굴(Le Visage de l'Italie)''에 기고했다.[12]
1935년 크리스마스에 파리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1852-1872)
아미앵에서 태어났지만, 부르제는 1854년부터 1867년까지 아버지 쥐스탱 부르제가 클레르몽페랑의 대학교에서 수학 교수직을 맡고 있던 클레르몽페랑에서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보냈다.[14] 그는 클레르몽페랑에 있는 리세 블레즈파스칼에서 공부했다. 부르제의 가족은 아르데슈 출신이었다. 할아버지 클로드 부르제는 유명 발명가 마르크 스갱 밑에서 일했다. 폴 부르제는 6살 때 어머니 안 아델라이드 발랑탱을 잃었고,[15] 아버지는 5개월 뒤 재혼했다.부르제는 파리의 생트 바르브 칼리지에서 공부한 후, 몰리에르와 빅토르 위고가 다녔던 명문 학교인 루이 르 그랑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동급생 도니 코섕, 페르디낭 브뤼니티에르, 앙리 베크렐 등과 친분을 쌓았다. 재학 중에 철학을 공부했고, 가톨릭 신앙에 의문을 품고 1867년에 기독교를 버리고 무신론자가 되었다. 졸업 후, 고등연구실천원에 다녔다. 1871년 파리 코뮌을 목격했다.
부르제는 하인리히 하이네, 조지 고든 바이런, 오노레 드 발자크, 빅토르 위고에게 강하게 영향을 받아 시인이 되기를 열망했고, 20세 즈음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여 1872년에 첫 시집 『''바닷가에서''』를 발표했다. 이때 부르제는 테오도르 드 방빌, 스테판 말라르메, 폴 베를렌과 같은 고답파 문화인들과 식사를 하며 친목을 다졌다. 특히 앙드레 질과 프랑수아 코페와 친분이 깊었다.
2. 2. 문학적 성장과 심리 소설 시대 (1872-1889)
아미앵에서 태어났지만, 부르제는 1854년부터 1867년까지 아버지 쥐스탱 부르제가 클레르몽페랑의 대학교에서 수학 교수직을 맡고 있었기 때문에 그곳에서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보냈다. 이후 리세 루이르그랑과 고등 연구 학교에서 공부했다.[6]1872년 시집 ''바닷가에서(Au Bord de la Mer)''를 출간했고, 이후 다른 시집들이 나왔으며, 마지막 시집 ''고백(Les Aveux)''은 1882년에 출간되었다.[5] 그동안 그는 문학 저널리즘에서 명성을 얻었고, 1883년에는 ''누벨르 레뷔''에 처음 게재되었던 저명한 작가들에 대한 연구를 묶어낸 ''현대 심리학 에세이(Essais de Psychologie Contemporaine)''를 출간했다. 1884년 부르제는 영국을 오랫동안 방문하여 첫 번째 출판 소설 ''돌이킬 수 없는 상처(L'Irréparable)''를 썼다.[6]
부르제는 평론가로 출발하여 《현대 심리논총(論叢)》(1883)에서 1880년대 작가들의 염세사상을 해명하였다. 《가혹한 수수께끼》(1885)로 소설가로 데뷔하여 처음에는 영국풍(英國風)의 상류생활 서술과 여성심리의 묘사에 전념하여 자연주의의 붕괴와 때를 맞추어 심리소설의 시대를 구축하였다. 《사랑의 죄》(1886), 《앙드레 코르네리스》(1887), 《거짓말》(1887) 등은 그런 종류의 걸작이다.[6] 1885년에는 ''잔혹한 수수께끼(Cruelle Enigme)'', 1886년에는 ''앙드레 코르넬리스(André Cornelis)'', 1887년에는 옥타브 미르보의 삶에서 영감을 받은 ''거짓말(Mensonges)''이 출간되어 많은 호평을 받았다.[6]
1888년에 처음 출판된 ''연구와 초상(Études et portraits)''에는 부르제가 영국과 아일랜드에 머물렀던 인상, 특히 옥스퍼드에서 보낸 몇 달간의 회상이 담겨 있다.
2. 3. 가톨릭 회귀와 사상 소설 시대 (1889-1935)
1889년, 소설 『제자(Le Disciple)』를 발표하면서 실증주의와 결별하고 가톨릭 신앙으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작품은 유물론과 실증주의를 옹호하는 철학자 아드리앵 식스테가 그의 제자 로베르 게슬롱에게 끔찍한 영향을 미쳐 젊은 여성의 비극적인 죽음으로 이어진다는 내용으로, 프랑스 사회에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베스트셀러가 되었다.[8][9] 이로 인해 부르제는 한때 심취했던 에밀 졸라나 자연주의자들과 격렬하게 대립했다. 1892년에는 반(反)자연주의 문예지 『''La Revue hebdomadaire''』에 참여했는데, 이 잡지의 기고가들은 대부분 한때 졸라에게 감화되었다가 나중에 실망한 사람들이 중심이었다.1890년 미니 다비드와 결혼했다. 1894년 5월 31일에는 막심 뒤 카앙의 후임으로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9]
드레퓌스 사건 당시 부르제는 반 드레퓌스파의 선봉에 섰으며, 프랑스 조국 동맹에 가입했다. 그 후 반 드레퓌스파 평론가 샤를 모라스가 참여한 왕당파 우파 조직 아크시옹 프랑세즈에 감명을 받아 열광적인 지지자가 되었다.[20]
1902년의 『역참(L'Étape)』, 1904년의 『이혼(Un Divorce)』, 1907년의 『망명자(L'Emigré)』 등 가톨릭 교회의 윤리관에 기반한 사회 문제 소설을 발표했다. 이 무렵 부르제는 가톨릭 교회의 도덕과 전통을 중시하며 더욱 국가주의, 왕당주의의 회귀를 주창했다.[21]
1914년에 발표된 『낮의 악마(Le Démon de midi)』, 1915년에 발표된 『죽음의 의미(Le Sens de la Mort)』, 1918년에 발표된 『네메시스(Némésis)』 등 전쟁과 관련된 소설도 발표했다.
1935년 크리스마스에 파리에서 사망했다.
3. 작품 세계
폴 부르제는 시, 소설, 평론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한 프랑스 작가이다. 초기에는 시인으로 출발하여 1872년 ''바닷가에서(Au Bord de la Mer)''를 출간했고, 이후 여러 시집을 발표했으며, 1882년에는 마지막 시집 ''고백(Les Aveux)''을 출간했다.[5] 그의 시들은 훗날 두 권의 시집(1885–1887)으로 묶여 그의 성숙한 방법과 후기 예술 작품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클로드 드뷔시는 부르제의 시에서 영감을 받아 예술 가곡 보 소아르를 비롯한 여러 곡을 작곡했다.
소설가로서 부르제는 사실주의가 유행하던 시기에 심리 분석을 중시하는 새로운 경향을 개척했다. 1884년 첫 소설 ''돌이킬 수 없는 상처(L'Irréparable)''를 발표한 이후, ''잔혹한 수수께끼(Cruelle Enigme)''(1885), ''앙드레 코르넬리스(André Cornelis)''(1886), ''거짓말(Mensonges)''(1887) 등을 연이어 발표하며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6] 1891년에는 소설 ''여인의 마음(Coeur de Femme)''과 남성 인물 유형을 다룬 ''새로운 파스텔(Nouveaux Pastels)''을 출판했다. ''새로운 파스텔''은 1890년에 출간된 여성 유형 갤러리 ''파스텔(Pastels)''의 속편이다.
이후 ''약속의 땅(La Terre Promise)''(1892), 로마를 배경으로 한 심리 소설인 ''코스모폴리스(Cosmopolis)''(1892), ''비극적인 로맨스(Une Idylle tragique)''(1896), ''푸른 공작 부인(La Duchesse bleue)''(1897), ''유령(Le Fantôme)''(1901), ''두 자매(Les Deux Sœurs)''(1905) 등의 소설과 ''감상적인 복잡성(Complications Sentimentales)''(1896), ''가족 드라마(Drames de famille)''(1898), ''사업가(Un Homme d'Affaires)''(1900) 등의 단편 소설집을 발표했다.
1910년 이후에는 ''라 비 파스(La Vie Passe)''(1910), ''죽음의 의미(Le Sens de la Mort)''(1915), ''라자리느(Lazarine)''(1917), ''네메시스(Némésis)''(1918), ''로렌스 알바니(Laurence Albani)''(1920) 등 여러 소설과 단편 소설을 발표했다. 희곡으로는 ''바리케이드(La Barricade)''(1910), ''트리뷴(Le Tribun)''(1912)이 있으며, 다른 작가들과 공동으로 ''양심의 문제(Un Cas de Conscience)''(1910), ''위기(La Crise)''(1912)를 집필했다. 1912년에는 비평 연구집 한 권이, 1914년에는 여행 스케치집 ''남쪽의 악마(Le Démon du Midi)''가 출판되었다.[10] 1929년에는 베니토 무솔리니의 서문이 있는 이탈리아에 관한 책 ''이탈리아의 얼굴(Le Visage de l'Italie)''에 기고했다.[12]
3. 1. 심리 소설
부르제는 초기에는 자연주의의 영향에서 벗어나 인간 심리의 미묘한 움직임을 탐구하는 심리 소설을 주로 썼다. 그의 심리 소설은 상류 사회의 여성 심리 묘사에 특히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는다.[6] 스탕달의 영향을 받아 사실주의적 관찰을 바탕으로 인간 심리를 분석했다.3. 2. 사상 소설
1889년 제자(Le Disciple) 발표는 부르제의 작가 인생에 전환점이 되었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 유물론과 실증주의 철학이 젊은 세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8]을 비판하며, 가톨릭 신앙으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였다.[7] 이후 부르제는 사회 문제에 대한 보수적, 전통주의적 입장을 옹호하는 작품들을 주로 썼다.그의 사상 소설들은 가정, 사회, 종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당시 프랑스 사회의 변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낸다. 이혼이 자연법을 위반하는 것이라는 로마 가톨릭의 입장을 옹호한 Un Divorce프랑스어(1904)가 대표적이다.[6] L'Etape프랑스어(1902)에서는 농민 계급에서 급격히 성장한 가족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그려내기도 했다.[6]
그러나 일부 작품들은 편견에 치우쳐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3. 3. 평론
부르제는 평론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1883년에는 저명한 작가들에 대한 연구를 묶어낸 《현대 심리학 에세이(Essais de Psychologie Contemporaine)》를 출간했다.[6] 이 책은 처음에는 누벨르 레뷔에 게재되었다. 1891년에는 이탈리아 여행 기록인 《이탈리아의 감상(Sensations d'Italie)》을 발표했고,[6] 1895년에는 1893년 미국 방문을 비평적으로 기록한 《해외(Outre-Mer)》를 두 권으로 출간했다.4. 평가
폴 부르제는 19세기 말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으로, 심리 소설과 사상 소설 양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초기 작품에서 보여준 인간 심리의 섬세한 묘사와 사회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은 높이 평가받는다.[6] 그의 시는 클로드 드뷔시의 예술 가곡 보 소아르를 비롯한 여러 가곡에 영감을 주기도 했다.[6]
하지만 부르제는 후기 작품으로 갈수록 지나치게 보수적이고 교훈적인 경향을 보이며, 이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특히 드레퓌스 사건 당시 그가 보인 반동적인 행적은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볼 때 비판받아 마땅하다. 그의 사상은 로마 가톨릭 교리에 기반한 것으로, 이혼과 같은 사회 문제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했다.[6]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르제의 문학적 성취는 인정할 만하다. 그의 작품은 당시 프랑스 사회의 다양한 면모와 시대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5. 작품 목록
폴 부르제는 시, 소설,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1872년 시집 ''Au Bord de la Mer|바닷가에서프랑스어''를 출간한 이후, ''La Vie inquiète|불안한 삶프랑스어''(1875), ''Petits Poèmes|작은 시들프랑스어''(1876), ''Edel|에델프랑스어''(1878) 등을 발표했고, 1882년 마지막 시집 ''Les Aveux|고백프랑스어''을 출간했다.[5]
1883년에는 ''누벨르 레뷔''에 게재되었던 작가론을 묶어 ''Essais de Psychologie Contemporaine|현대 심리학 에세이프랑스어''를 출간했다. 1888년 ''Études et portraits|연구와 초상프랑스어''에는 영국과 아일랜드 체류 경험, 특히 옥스퍼드 회상이 담겨 있으며, 1891년에는 이탈리아 여행기 ''Sensations d'Italie|이탈리아의 감각프랑스어''을 발표했다.[6] 1914년에는 여행 스케치집 ''Le Démon du Midi|남쪽의 악마프랑스어''를 출간했다.[10]
희곡으로는 ''La Barricade|바리케이드프랑스어''(1910), ''Le Tribun|트리뷴프랑스어''(1912) 등이 있으며, ''Un Cas de Conscience|양심의 문제프랑스어''(1910)와 ''La Crise|위기프랑스어''(1912)는 공동 작품이다. 1929년에는 베니토 무솔리니가 서문을 쓴 ''Le Visage de l'Italie|이탈리아의 얼굴프랑스어''에 기고했다.[12]
다음은 부르제의 작품 목록이다.
분야 | 제목 | 출판 연도 | 비고 |
---|---|---|---|
시집 | Au bord de la mer|바닷가에서프랑스어 | 1872 | |
시집 | La Vie inquiète|불안한 삶프랑스어 | 1875 | |
시집 | Petits Poèmes|작은 시들프랑스어 | 1876 | |
시집 | Le Parnasse contemporain|현대 파르나스프랑스어 | 1876 | |
시집 | Edel|에델프랑스어 | 1878 | |
시집 | Les Aveux|고백프랑스어 | 1882 | [5] |
시집 | Hélène|헬렌프랑스어 | 1923 | 서정적 대화 |
평론 | Essais de Psychologie Contemporaine|현대 심리학 에세이프랑스어 | 1883 | |
평론 | Études et portraits|연구와 초상프랑스어 | 1888 | |
평론 | 'Sensations dItalie|이탈리아의 감각프랑스어'' | 1891 | |
평론 | Le Démon du Midi|남쪽의 악마프랑스어 | 1914 | |
희곡 | La Barricade|바리케이드프랑스어 | 1910 | |
희곡 | Le Tribun|트리뷴프랑스어 | 1912 | |
희곡 | Un Cas de Conscience|양심의 문제프랑스어 | 1910 | 공동 작품 |
희곡 | La Crise|위기프랑스어 | 1912 | 공동 작품 |
기고 | 'Le Visage de lItalie|이탈리아의 얼굴프랑스어'' | 1929 | 베니토 무솔리니 서문 |
'''영문 번역 작품'''
- ''A Cruel Enigma영어''(1887)
- ''A Woman's Heart영어''(1890)
- ''Was it Love영어''(1891)
- ''Pastels of Men영어''(1891)
- ''Impressions of Italy영어''(1892, ''The Glamour of Italy영어''로 재출간, 1923)
- ''A Saint영어''(1892)
- ''Cosmopolis: A Novel영어''(1893)
- ''The Son영어''(1893, ''The Story of André Cornelis영어''로 재출간, 1909)
- ''The Land of Promise영어''(1895)
- ''Outre-Mer: Impressions of America영어''(1895)
- ''A Living Lie영어''(1896)
- ''A Tragic Idyl영어''(1896)
- ''Antigone, and Other Portraits of Women영어''(1898)
- ''The Blue Duchess영어''(1898)
- ''Domestic Dramas영어''(1899)
- ''The Disciple영어''(1901)
- ''Days in the Isle of Wight영어''(1901)
- ''The Screen영어''(1901)
- ''Some Impressions of Oxford영어''(1901)
- ''Monica, and Other Stories영어''(1902)
- ''A Divorce영어''(1904)
- ''The Weight of the Name영어''(1908)
- ''The Night Cometh영어''(1916)
- ''The Gaol영어''(1924)
'''선별된 기사'''
- "프랑스 문학의 새로운 도덕적 흐름," ''The Forum'' (1893)
- "내가 가장 좋아하는 소설가와 그의 최고의 책," ''Munsey's Magazine'' (1897)[13]
- [http://digital.library.cornell.edu/cgi/t/text/pageviewer-idx?c=livn&cc=livn&idno=livn0214-9&node=livn0214-9%3A1&view=image&seq=602&size=100 "귀스타브 플로베르," ]''The Living Age'' (1897)
- [http://babel.hathitrust.org/cgi/pt?id=coo.31924057459285;view=1up;seq=607 "현대 프랑스 소설의 진화," ]''Appleton's Magazine'' (1903)
- "지적 프랑스를 위해," ''The Living Age'' (1919)
- "일기의 쇠퇴," ''The Living Age'' (1921)
- "파스칼과 르낭," ''The Living Age'' (1923)
5. 1. 소설
폴 부르제는 여러 편의 소설을 발표하며 작가로서 명성을 쌓았다. 1884년 첫 소설 ''L'Irréparable|돌이킬 수 없는 상처프랑스어''를 발표한 이후, ''Cruelle Enigme|잔혹한 수수께끼프랑스어''(1885), ''André Cornelis|앙드레 코르넬리스프랑스어''(1886), 그리고 옥타브 미르보의 삶에서 영감을 받은 ''Mensonges|거짓말프랑스어''(1887) 등을 연이어 발표하며 호평을 받았다.[6]1889년에는 ''제자''를 발표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소설은 유물론과 실증주의 철학자 아드리앵 식스테의 사상이 제자 로베르 게슬롱에게 미치는 악영향과 그로 인한 비극적인 사건을 다루고 있다.[8] 이 작품은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이 가장 좋아하는 책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이후에도 부르제는 ''Coeur de Femme|여인의 마음프랑스어''(1891), 로마를 배경으로 한 심리 소설 ''Cosmopolis|코스모폴리스프랑스어''(1892), ''La Terre Promise|약속의 땅프랑스어''(1892), ''Une Idylle tragique|비극적인 로맨스프랑스어''(1896), ''La Duchesse bleue|푸른 공작 부인프랑스어''(1897), ''Le Fantôme|유령프랑스어''(1901) 등 다양한 소설을 발표했다.[6]
1900년대에도 ''Les Deux Sœurs|두 자매프랑스어''(1905), ''L'Etape|에타프프랑스어''(1902), ''Un Divorce|이혼프랑스어''(1904) 등의 소설을 통해 사회 문제와 인간 심리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보여주었다.[6] 특히 ''이혼''은 이혼이 자연법을 위반한다는 로마 가톨릭의 입장을 옹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910년대와 1920년대에도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갔으며, ''La Vie Passe|라 비 파스프랑스어''(1910), ''Le Sens de la mort|죽음의 의미프랑스어''(1915), ''Lazarine|라자리느프랑스어''(1917), ''Némésis|네메시스프랑스어''(1918), ''Laurence Albani|로렌스 알바니프랑스어''(1920) 등 다수의 소설을 발표했다.[10]
다음은 폴 부르제의 소설 목록이다.
제목 | 출판 연도 |
---|---|
L'Irréparable|돌이킬 수 없는프랑스어 | 1884 |
Cruelle énigme|잔혹한 수수께끼프랑스어 | 1885 |
Un crime d'amour|사랑의 범죄프랑스어 | 1886 |
André Cornélis|앙드레 코르넬리스프랑스어 | 1887 |
Mensonges|거짓말프랑스어 | 1887 |
제자 | 1889 |
Un cœur de femme|여인의 마음프랑스어 | 1890 |
Cosmopolis|코스모폴리스프랑스어 | 1892 |
La Terre Promise|약속의 땅프랑스어 | 1892 |
Steeple-Chase|장애물 경주프랑스어 | 1894 |
Une idylle tragique (mœurs cosmopolites)|비극적 로맨스 (코스모폴리탄 풍속)프랑스어 | 1896 |
La Duchesse Bleue|푸른 공작부인프랑스어 | 1898 |
Trois petites filles|세 어린 소녀들프랑스어 | 1899 |
L'Écran|스크린프랑스어 | 1900 |
L'Étape|단계프랑스어 | 1902 |
Un divorce|이혼프랑스어 | 1904 |
L'Émigré|망명자프랑스어 | 1907 |
La Dame qui a perdu son peintre|화가를 잃은 여인프랑스어 | 1910 |
Le Démon de midi|정오의 악마프랑스어 | 1914 |
Le Sens de la mort|죽음의 의미프랑스어 | 1915 |
Lazarine|라자린프랑스어 | 1917 |
Némésis|네메시스프랑스어 | 1918 |
Laurence Albani|로렌스 알바니프랑스어 | 1919 |
Un drame dans le monde|세상에서의 드라마프랑스어 | 1921 |
L'Ecuyère|여류 기수프랑스어 | 1921 |
La Geôle|감옥프랑스어 | 1923 |
Le Roman des quatre|네 사람의 로망프랑스어 | 1923 – 1926 |
Cœur pensif ne sait où il va|방황하는 생각하는 마음프랑스어 | 1924 |
Tragiques remous|비극적인 소용돌이프랑스어 | 1924 |
Le Danseur mondain|세련된 댄서프랑스어 | 1926 |
Nos actes nous suivent|우리의 행동은 우리를 따른다프랑스어 | 1927 |
Agnès Delas|아녜스 들라스프랑스어 | 1929 |
La vengeance de la vie|삶의 복수프랑스어 | 1930 |
La rechute|재발프랑스어 | 1931 |
Le Diamant de la reine|여왕의 다이아몬드프랑스어 | 1932 |
5. 2. 평론
부르제는 1883년에 ''현대 심리학 에세이(Essais de Psychologie Contemporaine)''를 출간했는데, 이 책은 이전에 ''누벨르 레뷔''에 게재되었던 저명한 작가들에 대한 연구를 묶어낸 것이다.[5] 1888년에 처음 출판된 ''연구와 초상(Études et portraits)''에는 부르제가 영국과 아일랜드에 머물렀던 인상, 특히 옥스퍼드에서 보낸 몇 달간의 회상이 담겨 있다.[6]1912년에는 비평 연구집 한 권이, 1914년에는 또 다른 여행 스케치집인 ''남쪽의 악마(Le Démon du Midi)''가 출판되었다.[10]
그의 비평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출판 연도 | 내용 및 기타 |
---|---|---|
현대 심리학 에세이 | 1883 | 『근대 심리론집 1』 (히라오카 노보루 역 코분도 서방 1940년) |
에르네스트 르낭 | 1883 | |
현대 심리학의 새로운 에세이 | 1886 | |
연구와 초상 (I 작가의 초상과 II 미학 노트) | 1891 | |
현대 사랑의 생리 | 1891 | |
이탈리아의 감각 (토스카나. 움브리아. 대 그리스) | 1891 | |
기 드 모파상 | 1893 | |
해외 (아메리카에 관한 노트) | 1895 | |
연구와 초상 III | 1903 | |
우리의 국가 전통, 어떻게 지켜야 하는가? | 1904 | |
정치에서의 전통주의 부활 | 1904 | |
연구와 초상 IV | 1906 | |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작품 | 1907 | |
비평과 교리의 페이지 | 1912 | |
비평과 교리의 새로운 페이지 | 1922 | |
모리스 바레스의 교훈 | 1924 | |
발자크의 소설 예술 | 1926 | |
생트뵈브의 현재성 | 1927 | |
몇 가지 증언 | 1928 | |
이폴리트 텐 탄생 100주년 | 1928 | |
질서 유지를 위해 | 1929 – 1932 | |
토스카나에 관하여 | 1929 |
5. 3. 시집
참조
[1]
간행물
"M. Paul Bourget,"
[2]
간행물
"Paul Bourget, Romancier,"
[3]
간행물
"Paul Bourget, Critique et Romancier,"
[4]
웹사이트
Nomination Database
https://www.nobelpri[...]
2017-04-20
[5]
간행물
"M. Paul Bourget,"
[6]
백과사전
Bourget, Paul Charles Joseph
[7]
뉴스
Paul Bourget in New York
https://news.google.[...]
1893-08-21
[8]
웹사이트
Faith and Fiction
http://www.seattleca[...]
2004-10-18
[9]
서적
One Hundred Best Books
https://archive.org/[...]
G. Arnold Shaw
[10]
백과사전
Bourget, Paul
https://archive.org/[...]
[11]
서적
The Hypocrisy of Justice in the Belle Epoque
https://archive.org/[...]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2]
서적
Le Visage de l'Italie, publié sous la direction littéraire de Gabriel Faure. Préface de Benito Mussolini. - Paul Bourget, Henri de Régnier, Henry Bordeaux, Georges Goyau, Pierre de Nolhac, de l'Académie française; Gérard d'Houville et Marcelle Vioux, Marcel Boulenger, Gabriel Faure, Paul Guiton, Ernest Lémonon, Eugène Marsan, Maurice Mignon, Ed. Schneider, J.-L. Vaudoyer.
Impr.-éditions des Horizons de France, 39, rue du Général-Foy
[13]
간행물
My Favorite Novelist
http://babel.hathitr[...]
[14]
웹사이트
Paul Bourget (1852-1935)
https://alleanzacatt[...]
[15]
웹사이트
BOURGET PAUL CHARLES JOSEPH
https://www.universa[...]
[16]
서적
Companion to Literary Myths, Heroes and Archetypes
https://www.google.c[...]
[17]
웹사이트
Biography
https://www.enotes.c[...]
[18]
웹사이트
An Unknown Letter from Edith Wharton to Minnie Bourget
https://www.jstor.or[...]
[19]
웹사이트
Elu en 1894 au fauteuil
https://www.academie[...]
[20]
웹사이트
Biografías y Vidas
https://www.biografi[...]
[21]
웹사이트
BOURGET, Paul
https://www.treccani[...]
[22]
웹사이트
Le visage de l'Italie
https://catalogue.nl[...]
[23]
웹사이트
The hypocrisy of justice in the Belle Epoque
https://archive.org/[...]
[24]
웹사이트
Nomination archive
https://www.nobelp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