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레쥐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쥐스는 프랑스 바르주에 위치한 도시로, 켈트-리구리아 민족의 정착지로 시작되어 로마 시대에 번성했다. 로마 시대에는 원형 경기장, 수도교, 극장 등 다양한 건축물이 건설되었으며,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의 중요한 항구 도시였다. 중세 시대에는 잦은 침략과 흑사병으로 쇠퇴했지만, 15세기 이후 다시 부흥하여 해변 휴양지로 발전했다. 현재는 관광 도시로서, 풍부한 로마 유적과 지중해성 기후를 바탕으로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르주의 코뮌 - 툴롱
    툴롱은 프랑스 남부의 항구 도시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발전하여 중세 시대에는 군항으로 변모했고, 나폴레옹의 툴롱 포위전으로 유명하며,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다양한 스포츠 클럽이 활동하는 곳이다.
  • 바르주의 코뮌 - 이에르 (바르주)
    이에르는 프랑스 남동부 바르주에 위치한 지중해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어 로마 시대와 중세 시대를 거쳐 발전했으며, 1481년 프랑스 왕국 직할령이 된 후 묘목 및 원예 산업 중심지로 성장했고, 현재는 문화 행사와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코트다쥐르 - 칸 (도시)
    프랑스 남동부 코트다쥐르에 위치한 칸은 세계적인 칸 영화제 개최지이자, 19세기 이후 국제적인 휴양지로 발전하여 현재는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영화도시로 지정된 유명한 관광 도시이다.
  • 코트다쥐르 - 니스 (프랑스)
    니스는 프랑스 남동부에 위치한 지중해 연안 도시로, 고대 그리스에 의해 건설되어 오랜 역사 동안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1860년 프랑스에 합병되었고, 니스 코트다쥐르 공항이 위치하며, 관광, 문화, 경제적으로 중요한 도시이다.
  • 프랑스의 도시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도시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프레쥐스
일반 정보
프레쥐 시청
프레쥐 시청
프레쥐의 기
프레쥐의 기
프레쥐의 문장
프레쥐의 문장
로마자 표기Frejús
코뮌프레쥐
소속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INSEE 코드83061
우편 번호83600, 83370
시장다비드 라클린
임기2020–2026
소속 정당RN
복합 자치체에스테렐 코트 다쥐르 아글로메라시옹
해발 고도8m
최소 해발 고도0m
최대 해발 고도616m
면적102.27km2
공식 웹사이트프레쥐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프레쥐스의 역사는 고대 켈트-리구리아 민족이 자연 항구를 중심으로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로마 도시 포룸 율리이(Forum Juliila)가 건설되면서 지중해의 중요한 항구이자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속주의 주요 도시로 발전했으며, 오늘날에도 원형 경기장, 수도교 등 풍부한 로마 유적이 남아 있다. (자세한 내용은 #고대 및 #로마 유적 참고)

로마 제국 쇠퇴 이후에는 여러 민족의 침입과 사라센인의 약탈 등으로 혼란기를 겪었으며, 항구가 점차 퇴적되어 쇠퇴하였다. 중세에는 프로방스 백작령에 편입되었고, 프레쥐스 대성당이 건설되었으나 흑사병과 같은 재앙을 겪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중세 참고)

근세에는 바르바리 해적의 공격과 위그노 전쟁 등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다. (자세한 내용은 #근세 참고)

근대에 들어 나폴레옹이 이집트 원정에서 돌아와 이곳에 상륙했으며, 늪지 간척 이후 해변 휴양지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프랑스 식민지 군대의 주요 주둔지였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에게 점령되기도 했다. 1959년에는 말파세 댐 붕괴 사고로 큰 피해를 입었다. (자세한 내용은 #근대 및 #현대 참고)

프레쥐스라는 이름은 로마 시대 명칭인 '포룸 율리이'(율리우스의 시장)에서 유래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Frejurio(1024년) 등을 거쳐 14세기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정착되었다.

2. 1. 고대

프레쥐스의 역사는 고대 켈트-리구리아 민족이 자연 항구 아이기트나 주변에 정착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몽 오리아스크와 캅 카펠랭에는 당시의 방어벽 유적이 남아있다. 이후 마르세유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포카이아인들이 이 지역에 전초 기지를 세우기도 했다.

프레쥐스는 로마 시대의 주요 도로인 비아 율리아 아우구스타(이탈리아와 론 강 연결)와 비아 도미티아가 만나는 중요한 교차점에 위치했다. 로마 시대 이전 정착지의 흔적은 많지 않지만, 시인 코르넬리우스 갈루스가 기원전 67년에 이곳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기원전 49년경,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존의 중심지였던 마살리아를 대체하기 위해 이곳에 '율리우스의 시장'이라는 의미의 포룸 율리이(Forum Juliila)라는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다. 이는 프레쥐스가 로마 도시로서 본격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역사가 타키투스는 이 항구를 '바다의 관문'이라는 뜻의 '클라우스트라 마리스'(claustra marisla)라고 부르기도 했다.[3] 포룸 율리이의 정확한 건립 시기는 불확실하나, 기원전 43년 이전에 이미 존재했음은 분명하다.

이후 로마 제국 시대에 포룸 율리이는 크게 발전하여 나르보넨시스 속주의 주요 도시이자 지중해의 중요한 항구 및 해군 기지로 기능했다. (자세한 내용은 #로마 유적 문단 참고)

로마 제국 후기인 4세기에는 리옹 다음으로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큰 프레쥐 교구가 이곳에 설립되었다. 374년에 주교가 선출되었고, 433년에 주교가 된 성 레옹스는 자신이 프레쥐스의 첫 번째 주교로서 첫 대성당과 세례당을 건설했다고 기록했다. 이 세례당은 5세기에 지어졌으며, 사용된 기둥은 이전 로마 시대 건물에서 가져온 것이다.

그러나 로마 제국의 쇠퇴와 함께 프레쥐스 역시 점차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2. 1. 1. 로마 유적

프레쥐스는 고대 로마 시대에 중요한 도시였으며, 오늘날에도 프랑스에서 아를 다음으로 많은 로마 시대 건축 유적이 남아 있는 곳이다.

프레쥐스의 로마 원형 극장 유적.


이 지역은 비아 율리아 아우구스타와 비아 도미티아라는 두 중요한 로마 도로가 만나는 전략적 요충지였다. 시인 코르넬리우스 갈루스가 기원전 67년에 이곳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2], 로마 도시로서의 본격적인 역사는 율리우스 카이사르마살리아를 대체할 도시로 '율리우스의 시장'이라는 뜻의 포룸 율리이(Forum Juliila)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정확한 건설 시기는 불확실하지만 기원전 49년경으로 추정되며, 늦어도 기원전 43년 이전에는 존재했다.[3]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도시는 크게 발전했다.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승리한 옥타비아누스마르쿠스 안토니우스에게서 빼앗은 갤리선들을 이곳으로 보냈다.[4] 기원전 29년에서 27년 사이에는 제8 아우구스타 군단의 퇴역 군인들을 위한 식민지가 되었고, '옥타바노룸 콜로니아'(Colonia Octavanorumla)라는 이름이 더해졌다.[5] 기원전 22년, 아우구스투스는 이곳을 새로 설치된 나르보넨시스 속주의 수도로 지정했다. 포룸 율리이는 지중해의 주요 항구 중 하나이자 갈리아 로마 함대의 유일한 해군 기지였으며,[6] 네로 황제 시대까지는 오스티아 다음으로 큰 항구였다.[7]

티베리우스 황제 시대에는 오늘날에도 볼 수 있는 주요 기념물들이 건설되었다. 원형 극장, 몽에서 물을 끌어오는 수도교, 등대, 목욕탕, 극장 등이 이때 세워졌다. 도시는 길이 3.7km에 달하는 인상적인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성벽 안의 면적은 35ha에 달했으며, 약 6천 명의 주민이 거주했다. 도시의 행정 구역인 '시비타스 포로율리엔시스'(civitas forojuliensisla)는 서쪽의 카바스에서 북쪽의 파이앙스와 몽스까지 넓게 펼쳐져 있었다.

로마 목욕탕 유적인 포르트 도레(황금 문).


포룸 율리이는 공예품과 농산물의 중요한 시장 도시였다. 빌레페이[8]나 생라파엘 등지에 빌라 루스티카(농장 딸린 저택)가 건설되면서 농업이 발전했고, 녹색 사암과 청색 반암 채석, 양식업도 활발했다.

40년에는 로마의 브리타니아 정복을 완수한 장군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가 이곳에서 태어났다. 그의 장인인 역사가 타키투스는 아그리콜라에 관한 전기를 쓰면서 포룸 율리이를 "오래되고 이름난 식민지"라고 언급했다.[9] 스트라보와 대 플리니우스의 저술에도 이 도시가 여러 차례 등장한다. 69년에는 황제 자리를 놓고 경쟁하던 오토비텔리우스의 군대 사이에 포룸 율리이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10]

4세기에는 리옹 다음으로 프랑스에서 두 번째로 큰 프레쥐 교구가 설립되었고, 374년 주교가 선출되면서 첫 교회가 세워졌다. 433년에 주교가 된 성 레옹스는 자신이 프레쥐스의 첫 주교로서 첫 대성당과 세례당을 건설했다고 기록했다. 하지만 로마 제국의 쇠퇴와 함께 도시도 점차 쇠퇴의 길을 걸었다.

로마 시대의 도로 다리인 '데 제스클라페스'.


프레쥐스 대성당의 로마 시대 기둥을 재활용한 세례당.


오늘날 프레쥐스에 남아 있는 로마 시대 유적은 매우 풍부하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원형 경기장, 몽에서 시작되는 수도교, 극장이 있다. 이 외에도 구시가지에는 도시 성벽의 일부와 두 개의 문(로마의 문, 레이랑의 문), 갈리아인의 문이 있는 아그리콜라 광장, 성 앙투안 언덕의 저수조와 플랫폼, 로마 도로인 아우렐리아 가도의 포장 도로 일부, 고대 항구 유적(북쪽 부두 잔해, 아우구스투스 등대), 개인 소유지에 남아 있는 싸우는 수탉 모자이크 바닥, 현재 장 조레스 거리 아래의 하수도 등이 있다. 프레쥐스 대성당의 세례당은 5세기에 지어졌는데, 사용된 기둥들은 로마 시대 건물에서 가져온 것이다.

로마 시대 항구의 등대 유적인 '랑테른 도귀스트'.


프레쥐스에는 최소 5개의 로마 시대 공중 목욕탕 유적이 확인되었다. 포르트 도레, 플라트폼, 레 푸아리에, 빌뇌브(군사 시설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현대 건물에 통합됨), 성 앙투안 언덕의 목욕탕이 그것이며, 이 중 세 곳은 도시 성벽 밖에 위치했다.

고고학 발굴을 통해 추가적인 유적들도 발견되었다. 아이기에르와 빌뇌브에서는 군사 또는 해군 캠프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발굴되었고, 라 투라슈 거리에서는 4세기 무덤이, 라 로즈 데 사블에서는 교외 별장 유적이 발견되었다. 칸토니에와 에스클라페스(3개의 아치가 있음)에는 로마 시대 도로 다리가 여전히 남아 있으며, 아르세날에는 방축 공장 유적, 생 브리지트에는 묘지, 생 겝 해안에는 물고기 양식 연못 유적이 있다.

세네키에 지역에 남아 있는 로마 수도교 다리.


특히 몽에서 프레쥐스까지 이어진 로마 수도교는 총 길이가 42km에 달하며, 그중 1.8km는 다리 형태로, 500m는 벽 형태로 건설되었다. 상당 부분이 오늘날까지 잘 보존되어 있다.[14]

생트-크루아 지역의 로마 수도교 기둥 유적.


갈리에니 성


2005년 7월의 고고학 발굴[15]에서는 고대 해안선의 일부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당시 해안선이 현재보다 약 1km 더 내륙에 위치했음을 보여준다. 포룸 율리이가 건설된 서기 1세기 중반, 해안선은 뷔트 생-앙투안(Butte Saint-Antoine) 남쪽에 약 100m 폭의 좁은 띠 형태로 존재했다. 추가 발굴을 통해 고대 항구에 대한 많은 정보가 밝혀졌는데,[16] 항구 입구에서는 트리톤(바다의 신) 조각상이 발견되어 이곳에 등대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로마인들은 부두에 두 개의 등대를 세우고, 바다 쪽 섬인 일 드 리옹 드 메르(Île du Lion de Mer)에 세 번째 등대를 세워 선원들이 항구의 해상 입구를 찾도록 도왔다. 배가 항구로 접근하면, 수로 북쪽의 트리톤 등대와 남쪽의 다른 등대가 입구를 표시하여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도록 안내했다.

2. 2. 중세

로마 제국 쇠퇴 이후 프레쥐스는 혼란기를 맞았다. 572년에는 랑고바르드족, 574년에는 색슨족이 마을을 약탈했다. 7세기부터 9세기 사이에는 무슬림 침략자들이 반복적으로 도시를 약탈했으며, 이로 인해 많은 기념물이 파괴되고 폐허로 변했다. 또한 바닷물이 육지를 침식하고 바다에서 밀려온 토사가 항구를 막으면서, 거대한 늪지대가 형성되어 마을과 바다를 분리시켰다. 10세기 무렵에는 과거 식민지의 흔적만 일부 남아있을 뿐이었다.

896년에는 사라센인이 인근 아프투 지역을 약탈했으며, 9세기 말에는 프레쥐스 마을 자체가 파괴되었다. 주민들은 공격을 피해 내륙으로 도망치거나, 사라센인에 의해 플라시네툼(현재의 라 가르드 프레뉘)으로 끌려갔다.

973년, 프로방스 백작 기욤 1세가 사라센 세력을 몰아내면서 프레쥐스의 항구와 마을은 프로방스 백작령에 편입되었다. 이 시기에 생 레옹스 대성당이 세워졌고, 마을 주변으로 성벽이 건설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1347년에는 흑사병이 크게 유행하여 도시가 다시 한번 큰 타격을 입었다.

1471년 당시 프레쥐스에는 266가구가 살고 있었다. 이 시기에도 바다로부터 바르바리 해적의 공격을 받았다. 1485년에 다시 페스트가 유행했을 때, 성 파올라의 프란체스코의 중재로 마을이 기적적으로 보호받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 사건 이후 파올라의 프란체스코는 프레쥐스의 수호 성인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2. 3. 근세

1471년, 프레쥐스에는 266가구가 살고 있었다. 이 시기에는 바다로부터 바르바리 해적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 1485년에 다시 페스트가 유행했을 때, 성 파올라의 프란체스코의 중재로 마을이 기적적으로 지켜졌다고 여겨졌으며, 이후 그는 프레쥐스의 수호 성인이 되었다.

근세 시기 프레쥐스는 위그노 전쟁의 전장이 되거나, 오이겐 공의 침공을 받는 등 불안정한 시대를 보냈다.

2. 4. 근대

1471년 프레쥐스에는 266가구가 살고 있었다. 이 시기 바다로부터 바르바리 해적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 1485년 다시 페스트가 유행했을 때, 성 파올라의 프란체스코의 중재로 마을이 기적적으로 지켜졌다고 여겨져, 이후 그는 프레쥐스의 수호 성인이 되었다.

근세에는 프레쥐스가 위그노 전쟁의 전장이 되거나 오이겐 공의 침공을 받는 등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다.

1799년 10월 9일, 나폴레옹은 이집트 원정에서 돌아와 파리의 프랑스 총재정부를 방어한다는 명목으로 프레쥐스에 상륙했다.

1860년, 시는 바다와 구시가지 사이에 놓인 늪지 간척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해변 휴양지로 주목받아, 20세기 초에는 영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별장과 호텔이 세워졌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프레쥐스는 세네갈 티레일러의 ''hivergnage''(겨울나기)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다.[17][18] 이 도시에는 벽에 아프리카 마을 생활 그림이 그려진 인종 차별적인 병원도 있었다.[19]

1911년에는 해군 항공 기지 설치가 결정되었고, 1913년 9월 23일에는 롤랑 가로스가 지중해를 횡단하여 튀니지로 향하던 중 프레쥐스에 들렀다. 당시 육군 장관이었던 조제프 갈리에니가 프레쥐스에 거주지를 마련하면서, 프랑스 식민지군 주둔지가 만들어졌다. 해외 영토에서 온 병사들을 위해 모스크가 세워지기도 했다. 이와 함께 1920년대에는 바다에 면한 프레쥐스-플라주 지구에 해수욕장과 호텔 등이 정비되었다.

1942년 11월, 제2차 세계 대전독일 국방군이 프레쥐스의 해군 항공 기지를 점령했다.

1959년 12월 2일, 인근의 말파세 댐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홍수로 인해 마을 주민의 약 5%에 해당하는 400여 명이 사망했으며, 마을 내 고대 건축물들도 큰 피해를 입었다.[32]

2. 5. 현대

나폴레옹은 1799년 10월 9일, 이집트 원정에서 돌아와 파리의 프랑스 총재정부를 장악하기 위해 프레쥐스에 상륙했다.

1860년, 시는 바다와 구시가지 사이에 놓인 늪지 간척 사업을 시작했다. 20세기 초에는 해변 휴양지로 주목받아 영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별장과 호텔이 세워졌다. 1911년에는 해군 항공 기지 설치가 결정되었다. 1913년 9월 23일, 롤랑 가로스는 지중해를 횡단하여 튀니지로 향하던 중 프레쥐스에 들렀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프레쥐스는 세네갈 티레일러 등 프랑스 식민지 군대의 주요 겨울 숙영지(''hivergnage'')가 되었다.[17][18] 새롭게 육군 장관이 된 조제프 갈리에니가 프레쥐스에 거주지를 마련하면서, 이곳은 프랑스 식민지군의 주둔지가 되었고, 해외 영토에서 온 병사들을 위해 모스크가 세워졌다. 또한 이 도시에는 벽에 아프리카 마을 생활 그림이 그려진 인종 차별적인 병원도 존재했다.[19]

1920년대에는 바다에 면한 프레쥐스-플라주 지구에 해수욕장과 호텔 등이 정비되었다.

1942년 11월, 제2차 세계 대전독일 국방군이 프레쥐스의 해군 항공 기지를 점령했다.

1959년 12월 2일, 인근의 말파세 댐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홍수로 인해 마을 주민의 약 5%에 해당하는 400여 명이 사망했으며, 마을 내 고대 로마 유적 등 건축물도 큰 피해를 입었다.[32]

3. 지리

프레쥐스-플라주 지역


프레쥐스는 바르주 동부에 위치하며, 아르장 강과 레이랑 강 사이의 범람원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으로는 모르 산괴, 서쪽과 배경에는 에스테렐 산괴가 있다. 코뮌의 서쪽 끝은 지중해에 면한 프레쥐스 만이다.

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여름은 덥고 건조하며, 겨울은 온난하고 습윤하다. 모르 산괴와 에스테렐 산괴가 바람을 막아주지만, 때때로 미스트랄이 불기도 한다. 드물게 레반트 풍이나 시로코가 강하게 불 때도 있다. 연평균 기온은 14.4°C이고, 연간 일조 시간은 약 2748시간이다.

4. 기후



바르주 동부에 위치한 프레쥐스는 아르장 강과 레이랑 강 사이의 범람원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으로는 모르 산괴, 서쪽으로는 에스테렐 산괴가 있다. 코뮌의 서쪽 끝은 지중해에 면한 프레쥐스 만이다.

프레쥐스는 여름이 덥고 건조하며, 겨울은 온난하고 습윤한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sa''')를 나타낸다. 모르 산괴와 에스테렐 산괴가 바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지만, 때때로 미스트랄이 불어오기도 한다. 드물지만, 레반트 풍과 시로코가 거세게 불어올 때도 있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연평균 기온은 15.7°C이다.[24] 가장 더운 달은 8월로 평균 최고 기온은 29.3°C이며, 가장 추운 달은 2월로 평균 최저 기온은 3.8°C이다.[24] 연평균 강수량은 785.6mm이며, 주로 가을과 겨울에 비가 집중되어 10월(115.5mm)과 11월(132.5mm)에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한다.[24] 연간 평균 일조 시간은 약 2665시간이다.[25][26] 역대 최고 기온은 2003년 7월에 기록된 42.5°C이고, 역대 최저 기온은 1985년 2월에 기록된 -12°C이다.[24]

5. 인구

'''프레쥐스의 연도별 인구 추이'''
연도인구연도인구연도인구
17932,40018562,72719219,451
18002,22918612,87819269,091
18061,94318663,05019319,676
18212,30618723,05219369,441
18312,66518763,478194612,907
18363,04118813,135195413,452
18413,06218863,540196216,953
18463,13218913,139196823,629
18512,66518963,510197528,851
19014,156198231,662200952,203[21]
19064,190199041,486201453,511[21]
19114,022199946,801202055,750[21]



출처: EHESS[20] 및 INSEE (1968–2020)[21]

6. 정치

2014년 프랑스 지방 선거에서 국민연합의 다비드 라클린이 프레쥐스 시장으로 선출되었다.[22]

프레쥐스 시장 목록
시작종료이름정당
19771997프랑수아 레오타르UDF–PR
19972014엘리 브륀UMP
2014현재다비드 라클린FN/RN


7. 경제

프레쥐스는 휴양 도시로, 여름철에는 평소 거주 인구보다 3~4배 많은 사람이 찾는다.[23] 연중 다양한 박람회가 열리며, 특히 로마 건축고딕 건축 양식의 건물과 오래된 타일 지붕, 다채로운 색상의 벽을 배경으로 도자기 박람회와 Bravade|브라바데fra 축제 등이 개최된다. 750척의 선박을 수용할 수 있는 Port Fréjus|포르 프레쥐스fra 항구는 아름답고 고운 모래 해변으로 둘러싸여 있다. 매년 록 다쥐르(Roc d'Azur|록 다쥐르fra) 산악 자전거 행사가 열린다.

8. 교통

프레쥐스역에서는 생라파엘, 레자르, 등 지역 목적지로 가는 기차를 이용할 수 있다. 장거리 노선은 인근의 생라파엘-발레스퀴르역에서 이용 가능하다. 프레쥐스역은 TER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노선과 프랑스 국철(SNCF)이 운행한다.

A8 고속도로가 프레쥐스를 엑상프로방스니스와 연결하며, 그 외에도 N98, N7 국도가 지난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칸-망들리외 공항이다.

9. 자매 도시

프레쥐스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7]

국가도시명
미국프레데릭스버그
독일트리베르크
프랑스둠베아
프랑스바제유
이탈리아파올라
이탈리아피에베 디 테코
튀니지타바르카


10. 출신 인물

코르넬리우스 갈루스, 기원전 30년경

  • 코르넬리우스 갈루스(기원전 70–26년경), 로마의 시인, 웅변가이자 정치가.[28]
  •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서기 40–93년), 로마의 브리타니아 속주 총독.[29]
  • 성 막시무스(460년 사망), 레랭의 수도원장이자 프레쥐스의 주교.
  • 마르크-앙투안 데소지에(1742–1793) & 마르크-앙투안 마들렌 데소지에[30](1772–1827), 프랑스 작곡가.
  • 에마뉘엘 조제프 시에예스(1748–1836), '아베 시에예스'로 알려짐, 프랑스 혁명의 주요 이론가이자 ''제3신분이란 무엇인가?''의 저자.[31]
  • 패트릭 살라메(1957년 출생), 프랑스 범죄자이자 연쇄 살인범.
  • 벨린다 칼라일(1958년 출생), 미국 가수, 음악가, 작가. 1994년부터 2017년까지 프레쥐스에서 거주했다.
  • 케이시 레글러(1977년 출생), 프랑스계 미국 작가, 레스토랑 경영자, 모델 및 전 올림픽 수영 선수.
  • 안나 무글라리스(1978년 출생), 프랑스 배우이자 모델.
  • 다비드 라슐린(1987년 출생), 정치인, 2014년 3월부터 프레쥐스 시장.
  • 브라이언 페리(1945년 출생), 영국 록 가수. 1982년 록시 뮤직과 함께 프레쥐스에서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했다.
  • 오디아 시디베(1970년 출생), 기니계 프랑스 육상 단거리 선수.
  • 요안 리쇼메(1983년 출생), 프랑스 항해사이자 요트 선장.
  • 아딜 라미(1985년 출생), 450경기 이상의 클럽 경기에 출전하고 프랑스 대표팀에서 36경기를 뛴 축구 선수.
  • 마르크 앙드레(1985년 출생), 럭비 유니언 선수.
  • 케빈 콩스탕(1987년 출생), 228경기 이상의 클럽 경기에 출전하고 기니 대표팀에서 24경기를 뛴 축구 선수.
  • 앙토니 모데스트(1988년 출생), 400경기 이상의 클럽 경기에 출전한 프랑스 축구 선수.
  • 레뱅 퀴르자와(1992년 출생), 200경기 이상의 클럽 경기에 출전하고 프랑스 대표팀에서 13경기를 뛴 축구 선수.
  • 모에즈 아센, 축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2023-06-06
[2] 간행물 The Origin of Cornelius Gallus
[3] 문서 Tacitus Histories 3, 43
[4] 문서 Tacitus Annals IV, 5
[5] 문서 Pliny the Elder, Histories, III, 35
[6] 서적 The Age of the Galley
[7] 문서 Tacitus Histories 2, 14; 3, 43
[8] 간행물 Les fouilles des ruines gallo-romaines de Villepey (Villa Podii). Près Fréjus (Forum Julii) 1930
[9] 문서 Tacitus Histories 3, 43
[10] 문서 Tacitus: Histories 2.14-15.
[11] 간행물 La place des thermes dans la ville: les exemples de Fréjus et Cimiez
[12] 간행물 Une fouille récente à la périphérie de Forum Julii: le chantier des Aiguières [article] 1982
[13] 서적 Le port militaire de Forum Julii Paris 1935
[14] 웹사이트 Roman aqueducts: Frejus (France) http://www.romanaque[...]
[15] 웹사이트 New data on the ancient littoral of Fréjus. The archaeological evaluation of the "théâtre d'agglomération" (Fréjus, Var) http://archeoscience[...]
[16] 서적 Fréjus (Forum Julii): Le Port Antique / The Ancient Harbour
[17] 웹사이트 Les tirailleurs " sénégalais " à l'épreuve de l'hiver http://regards.grand[...] 2020-09-19
[18] 웹사이트 Fréjus. Un hommage solennel aux tirailleurs sénégalais https://www.letelegr[...] 2020-09-19
[19] 학술지 Locating Colonial Histories: Between France and West Africa. http://ahr.oxfordjou[...] 2005-04
[20] 데이터베이스 Fréjus Cassini-Ehess
[21]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22] 뉴스 Municipales 2014 : à Fréjus, le frontiste David Rachline emporte la ville https://www.lemonde.[...] Le Monde 2014-03-30
[23] 뉴스 In Frejus, France's far-right FN faces test of leadership https://www.reuters.[...] 2022-04-06
[24] 웹사이트 Frejus (83) https://donneespubli[...] Meteo France 2018-04-05
[25] 웹사이트 Normales / Moyennes 1981-2010 / Frejus (83) https://www.meteocie[...] Météo-France 2022-09-12
[26] 웹사이트 Normes et records 1961-1990: Fréjus - St Raphaël (83) - altitude 2m http://www.infoclima[...] Infoclimat 2018-04-05
[27] 웹사이트 Villes jumelles https://www.ville-fr[...] Fréjus 2019-11-14
[28] EB1911
[29] EB1911
[30] EB1911
[31] EB1911
[32] 서적 マルパッセの悲劇 アーチ・ダム最初の崩壊 https://books.google[...] 建築技術 1995
[33] 데이터베이스 Fréjus Cassini-Ehess
[34]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35] 웹인용 Frejus (83) https://donneespubli[...] Meteo France 2018-04-05
[36] 웹인용 Normes et records 1961-1990: Fréjus - St Raphaël (83) - altitude 2m http://www.infoclima[...] Infoclimat 2018-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