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에르 드 쿠베르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드 쿠베르탱은 근대 올림픽 부활을 주도한 프랑스의 교육자이자 역사가이다. 그는 1863년 파리에서 태어나 프랑스-프로이센 전쟁과 파리 코뮌 등 격변기를 겪으며 성장했다. 교육에 대한 열정으로 독일, 영국, 미국 등 여러 나라의 체육 교육 시스템을 연구했고, 스포츠를 통한 개인의 성장과 국제 교류를 강조했다. 1894년 국제 스포츠 대회의 필요성을 느껴 소르본 대학교에서 올림픽 부활을 제창,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를 창설하고 1896년 아테네에서 첫 근대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그는 올림픽 상징인 오륜기를 디자인하고, 올림픽 헌장과 개폐막식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등 올림픽 운동의 기틀을 마련했다. 그러나 여성 스포츠와 베를린 올림픽에 대한 그의 입장은 비판을 받기도 하며, 그의 유산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남작 - 몽테스키외
    몽테스키외는 프랑스 계몽주의 시대의 사상가로, 법학 연구에 기여하고 《법의 정신》을 통해 삼권 분립 사상을 제시했으며, 사회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 프랑스의 남작 - 안 로베르 자크 튀르고
    안 로베르 자크 튀르고는 프랑스의 경제학자이자 정치가로, 중농주의 학파의 주요 인물로서 루이 16세 시대에 재정총감으로 임명되어 자유주의 경제 개혁을 시도했으나 기득권 세력의 반발로 실각했으며, 경제 사상 발전과 사회 발전 단계론 제시에도 기여했다.
  • 근대 올림픽 창시자 - 에방겔리스 자파스
    에방겔리스 자파스는 19세기 그리스의 애국자이자 사업가, 자선가로서 그리스 독립 전쟁 참전과 왈라키아에서의 사업 성공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으며, 근대 올림픽 부활에 기여하고 교육 기관 설립 등 다양한 자선 활동을 펼쳤다.
  • 근대 올림픽 창시자 - 디미트리오스 비켈라스
    디미트리오스 비켈라스는 그리스의 작가이자 사업가, 번역가이며 피에르 드 쿠베르탱을 설득하여 제1회 근대 올림픽을 아테네에 개최하는 데 기여하고 초대 IOC 위원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 디미트리오스 비켈라스
    디미트리오스 비켈라스는 그리스의 작가이자 사업가, 번역가이며 피에르 드 쿠베르탱을 설득하여 제1회 근대 올림픽을 아테네에 개최하는 데 기여하고 초대 IOC 위원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피에르 드 쿠베르탱
기본 정보
1920년대 중반의 쿠베르탱
이름피에르 드 쿠베르탱 남작
본명샤를 피에르 드 프레디
출생일1863년 1월 1일
출생지프랑스 파리
사망일1937년 9월 2일
사망지스위스 제네바
배우자마리 로탕
자녀2명
모교파리 정치 대학
서명[[파일:Pierre de Coubertin (Signature).svg|피에르 드 쿠베르탱 서명]]
직책
직책제2대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임기 시작1896년 4월 10일
임기 종료1925년 5월 28일
이전 위원장디미트리오스 비켈라스
다음 위원장앙리 드 바이에라투르
명예 위원장국제 올림픽 위원회
명예 위원장 임기 시작1925년 5월 28일
명예 위원장 임기 종료1937년 9월 2일
명예 위원장 이전직책 신설
명예 위원장 다음공석, 다음 시그프리드 에드스트룀 (1952년)
예술
메달올림픽 예술 경기
금메달1912 스톡홀름 문학
기타
프랑스어 이름샤를 피에르 드 프레디, 바롱 드 쿠베르탱
프랑스어 발음/ʃaʁl pjɛʁ də fʁedi baʁɔ̃ də kubɛʁtɛ̃/
프랑스어 이름피에르 드 프레디
프랑스어 이름피에르 드 쿠베르탱
프랑스어 이름쿠베르탱 남작
파리 정치 대학 관련128년 후... 피에르 드 쿠베르탱, 시앙스포에 복귀
피에르 드 쿠베르탱 기록, 시앙스포에 합류

2. 어린 시절

쿠베르탱은 1863년 파리에서 귀족이자 예술가인 샤를 루이 드 프레디, 쿠베르탱 남작과 어머니 아가트 마리마르셀 지고 드 크리스누아(Agathe Marie–Marcelle Gigault de Crisenoy프랑스어) 사이에서 '피에르 드 프레디(Pierre de Frédy프랑스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3] 그는 샤를과 아가트의 4번째 아이였으며 노르망디 르아브르 근처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그의 아버지는 화가였고, 어머니는 음악가였다.

어린 시절의 피에르 드 쿠베르탱(오른쪽)과 그의 누이. 그의 아버지인 샤를 루이 드 프레디, 쿠베르탱 남작이 그린 그림(《출발》(Le Départ), 1869년)의 세부 묘사.


쿠베르탱 가문은 15세기 초 프랑스에 처음 정착했으며, 1477년 루이 11세가 피에르 드 프레디라는 조상에게 귀족 작위를 수여했다. 그의 가문은 프랑스 역사에서 귀족, 군 지도자, 왕족 측근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았다.

쿠베르탱의 아버지는 왕당파이자 화가로, 그의 작품은 파리 살롱에서 전시되고 상을 받았다. 그의 그림은 가톨릭 교회, 고전주의, 귀족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었다. 쿠베르탱은 어린 시절 아버지와 어머니와의 관계가 다소 불편했다고 묘사했다.

쿠베르탱은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패배, 파리 코뮌, 제3공화국 수립 등 프랑스의 격변기에 성장했다. 1874년, 그의 부모는 그를 예수회 학교인 엑스테르나(Externat de la rue de Vienne)에 입학시켰다. 쿠베르탱은 기숙사 생활을 하며 엄격한 가톨릭 교육을 받았고, 학급에서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며 엘리트 아카데미 임원으로 활동했다.

귀족이었던 쿠베르탱은 군대나 정치 대신 지식인의 길을 선택하여 교육, 역사, 문학, 사회학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했다. 그는 파리 7구포브르 생제르맹 서쪽 부근에서 자랐고, 예수회 계열 학교에 다녔다. 그는 영국 퍼블릭 스쿨 교육에 관심을 가졌으며, 워털루 전투에서 영국프랑스를 이긴 것은 퍼블릭 스쿨의 육체와 정신을 단련하는 교육의 성과라고 기록했다.

3. 교육인

쿠베르탱은 권투, 펜싱, 승마, 럭비, 조정 등 다양한 스포츠를 즐겼다. 그는 스포츠가 인격 함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도덕적 활동력을 키우는 운동 정신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믿었다.[4] 이러한 믿음을 바탕으로 쿠베르탱은 스포츠를 젊은이들의 개인적 발달과 프랑스 교육의 핵심 요소로 여겼다.

그는 체육을 학교 활동의 구성 요소로 본 독일, 영국, 미국의 대학들을 방문하여 큰 영감을 받았다. 특히 럭비에 깊은 인상을 받아, 1892년 3월 20일 라싱 92와 스타드 프랑세 럭비팀 간의 프랑스 럭비 유니언 선수권 대회에서 심판을 맡기도 했다.[4]

쿠베르탱은 체육과 스포츠에 대한 교육 혁신과 더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려 노력했으나, 프랑스에서는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프랑스 스포츠 사회 연합을 창설하는 등 자신의 목표를 향해 꾸준히 노력했다. 비록 교육 혁신에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그의 노력은 스포츠 발전에 기여했다.[4]

4. 올림픽 아이디어의 탄생

쿠베르탱은 스포츠를 통해 국제 교류와 평화를 증진하고자 국제 스포츠 대회의 필요성을 느꼈다. 올림피아에서 고고학적 발굴이 이루어지면서 고대 올림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쿠베르탱은 고대 올림픽을 부활시킬 계획을 세웠다.[9] 1892년 파리에서 열린 스포츠 연합 회의에서 쿠베르탱은 올림픽 부활 계획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그는 "다른 땅들로 우리의 노잡이, 우리의 달리기 선수, 우리의 펜싱 선수들을 수출하자. 그것은 미래의 진실한 자유 교역이고, 평화의 원인을 유럽으로 소개된 날은 새롭고 강한 동맹자를 받을 것이다."라고 연설하며, 올림픽을 통해 평화를 증진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9]

쿠베르탱 이전에도 에방겔리스 자파스 (1859년)와 윌리엄 페니 브룩스 (1860년) 등이 올림픽과 유사한 대회를 개최하려는 시도를 했었다. 그러나 이들의 노력은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실패로 끝났다. 반면 쿠베르탱은 국제적인 조직과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올림픽 부활을 실현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특히 브룩스는 1866년 크리스탈 팰리스에서 런던 국가 올림픽 경기를 조직했는데, 이는 그리스 이외 지역에서 열린 최초의 올림픽 경기 대회와 유사한 형태였다.[9] 그러나 국제 올림픽 위원회를 설립하고 최초의 현대 올림픽 경기 대회를 조직한 것은 쿠베르탱의 업적이었다.[9]

5. 올림픽의 시작

Pierre de Frédy프랑스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쿠베르탱은 초기의 회의론에도 불구하고, 1894년 6월 23일 소르본 대학교에서 열린 국제 회의에 9개국에서 온 79명의 사절단을 모았다. 이 회의에는 벨기에, 영국, 프랑스, 그리스, 이탈리아, 러시아, 스페인, 스웨덴, 미국 등에서 온 대표들이 참석했다. 이 회의를 통해 고대 올림픽을 다시 시작하려는 목적을 세웠다.

이 회의에서 경기를 조직하는 임무와 함께 국제 올림픽 위원회 (IOC)가 설립되었고, 쿠베르탱은 사무총장을 맡았다. 또한, 첫 근대 올림픽을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하고, 4년마다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그리스의 드미트리우스 비켈라스가 IOC의 초대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1896년 하계 올림픽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고, 비켈라스가 물러난 후 쿠베르탱이 IOC 위원장 직을 맡았다.

쿠베르탱은 올림픽 경기를 통해 세계 평화를 증진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평화는 더 나은 세계에서만 가능하고, 더 나은 세계는 더 나은 개인들에 의해서만 만들어질 수 있으며, 더 나은 개인들은 자유 경쟁을 통해 서로 주고받고, 완화하고, 타격하고, 변화하며 노력하는 사람들에 의해서만 개발될 수 있다"고 말했다.[14]

6. 투쟁

1900년 파리 올림픽1904년 세인트루이스 올림픽은 세계 박람회에 가려져 큰 주목을 받지 못하면서 올림픽 운동은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또한, 영국의 국왕 앞에서 성조기를 내리는 것을 미국 팀이 거부하는 등의 정치적 문제로 인해 올림픽 정신이 민족주의에 오염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14]

1906년 중간 올림픽을 계기로 올림픽은 다시 활기를 찾았고,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스포츠 행사로 성장했다.[14] 쿠베르탱은 1912년 하계 올림픽을 위해 근대5종을 창안했다.

그러나 쿠베르탱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참호에서 죽어가는 젊은이들을 보면서, 올림픽이 세계 평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자신의 이상에 환멸을 느꼈다. 53세의 나이에 프랑스 육군에 복무하려 했으나 거절당했다.

1906년 중간 올림픽은 올림픽 경기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스포츠 경기로 자리매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14] 쿠베르탱은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부터 근대5종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도록 하였다. 그는 19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났는데, 1924년 파리 올림픽은 1900년 올림픽보다 훨씬 성공적이었다.

1912년 제5회 스톡홀름 올림픽 예술 경기에서 그는 금메달을 획득했다고 알려져 있다. “호로트&에셴바흐”라는 필명으로 예술 경기 문학 부문에 참가하여 “오드 오 스포르(Ode au Sport, Ode au Sport|스포츠 찬가프랑스어)”라는 작품으로 우승했다고 알려졌으나, 이것이 쿠베르탱 본인의 작품인지 확실하지 않다.

7. 이후의 생애

1924년 하계 올림픽이 끝난 후, 쿠베르탱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 직에서 물러났다. 1936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되었으나, 수상에는 실패했다.[19] 그는 1937년 9월 2일 제네바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할 때까지 IOC 명예 위원장 직을 유지했다.[19]

피에르 드 쿠베르탱의 묘


그는 로잔에 묻혔지만, 그의 심장은 유언에 따라 그리스 올림피아 유적 근처의 기념비에 따로 안치되었다.[19][37][38] 이 비석은 국제올림픽아카데미(IOA)의 쿠베르탱 숲에 있으며, 올림픽 성화가 점화되면 첫 번째 성화 봉송 주자가 이곳의 대리석 제단에 불을 밝힌다.[25]

쿠베르탱이 나온 아제르바이잔의 우표 (1994년)

8. 유산 및 평가

피에르 드 쿠베르탱 남작은 근대 올림픽 부활에 큰 영향을 끼쳐 그의 노력과 비전은 오늘날까지도 올림픽 정신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하지만 그의 사상과 업적에는 긍정적인 면과 더불어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로잔의 조각상


2013년 러시아 우표 시리즈 "스포츠 전설"에 등장하는 피에르 드 쿠베르탱


쿠베르탱은 1912년 올림픽에서 근대5종을 도입했고, 19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났다. 1924년 파리 올림픽은 1900년 첫 시도보다 훨씬 성공적이었다.[14] 1925년 벨기에의 앙리 드 바이예-라투르에게 위원장직을 물려주었다. 은퇴 후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유치를 도왔으며, 독일은 그를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했으나, 1935년 수상자는 반나치 인사인 칼 폰 오시에츠키였다.[15]

소행성 2190 쿠베르탱은 1976년 소련 천문학자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 체르니흐가 발견하여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31] 몬트리올 올림픽 스타디움(1976년 하계 올림픽 개최)이 위치한 거리는 피에르 드 쿠베르탱 애비뉴 4549번지이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쿠베르탱의 이름을 딴 거리에 위치한 올림픽 스타디움이다. 몬트리올에는 쿠베르탱의 이름을 딴 학교도 두 곳 있다.[32][33] 1984년 NBC 미니시리즈 ''제1회 올림픽: 아테네 1896''에서 루이 주르당이 쿠베르탱 역을 연기했다.[34] 2007년, 럭비 유니온 스포츠에 대한 공헌으로 월드 럭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35]

8. 1. 긍정적 유산

쿠베르탱 남작은 근대 올림픽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그는 올림픽의 상징인 오륜기를 디자인했으며, 오늘날까지 사용되는 개막식폐막식을 위한 진행 절차를 포함한 올림픽 헌장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14]

많은 선수와 관객들, 그리고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스포츠맨 정신 메달로도 알려진 피에르 드 쿠베르탱 메달을 금메달보다도 더 위대한, 올림픽 선수들이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영예로 여긴다. 국제 페어플레이 위원회가 수여하는 피에르 드 쿠베르탱 월드 트로피는 1965년부터 시작되어, 동료 경쟁자를 돕기 위해 자신의 경기력을 저해하는 페어플레이 행위를 한 선수에게 수여된다.[29]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1997년부터 "피에르 드 쿠베르탱 정신에 따라 교육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과 연구 및 지적 작품 창출을 통해 올림피즘을 증진하는 데 기여한 사람들"에게 피에르 드 쿠베르탱 메달이라는 특별한 훈장을 수여한다.[30]

1894년에 쿠베르탱이 제안한 전통적인 올림픽 모토인 "Citius, Altius, Fortius"(더 빠르게, 더 높이, 더 강하게)는 1924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으나, 2021년 "Citius, Altius, Fortius – Communiter"(더 빠르게, 더 높이, 더 강하게 – 함께)로 수정되었다.[27][28]

8. 2. 비판적 평가

몇몇 학자들은 쿠베르탱의 유산을 비판해왔다. 데이비드 C. 영은 쿠베르탱이 고대 올림픽 선수들이 아마추어였다는 주장은 잘못되었다고 주장한다.[4] 이 문제는 학계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다. 영과 다른 학자들은 고대 올림픽 선수들이 프로였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초기 올림픽 선수들은 아마추어였으며, 경기가 기원전 480년 이후에야 전문화되었다고 주장한다. 쿠베르탱은 후자의 견해에 동의했고, 이러한 전문화는 경쟁의 도덕성을 훼손한다고 보았다.[4]

영은 쿠베르탱이 참여했던 국제 경쟁을 아마추어 선수로 제한하려는 노력이 상류층이 노동 계급으로부터 운동 경쟁에 대한 통제권을 장악하려는 노력의 일부였다고 주장한다. 쿠베르탱은 그러한 운동에서 역할을 했을 수도 있지만, 그의 옹호자들은 그가 어떤 계급적 영향도 의식하지 못한 채 그렇게 했다고 주장한다.[4]

그러나 고대 올림픽 경기에 대한 그의 낭만적인 비전은 역사적 기록에 묘사된 것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이 분명하다. 예를 들어, 참가가 승리보다 중요하다는 쿠베르탱의 생각은 그리스인들의 이상과는 상반된다.

쿠베르탱이 경기가 평화의 원동력이었다는 주장 또한 과장이었다. 그가 말한 평화는 선수들이 올림피아로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존재했을 뿐이며, 전쟁의 발발을 막거나 진행 중인 전쟁을 종식시키지 못했다.[4]

학자들은 운동 경쟁이 문화 간의 이해를 높이고, 따라서 평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생각을 비판해왔다. 크리스토퍼 힐은 현대 올림픽 운동 참가자들이 "영국 성공회가 성공회 사제가 서명해야 하는 39개항 신조에 집착하는 것과 비슷한 정신으로" 이 특정 신념을 옹호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 그들이 그것을 완전히 믿지는 않을 수 있지만 역사적인 이유로 그것을 고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4]

1896년 아테네 올림픽 계획에서 쿠베르탱의 역할에 대한 진실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었다. 쿠베르탱은 계획에 거의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은 쿠베르탱이 벨로드롬을 스케치했다는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며, 사실 그는 독일인의 참가를 원하지 않는다는 인터뷰를 했었다고 제안한다. 쿠베르탱은 나중에 이를 부인했다.[4]

쿠베르탱은 여자 스포츠와 여자 세계 게임에 반대했다. 그는 "비실용적이고, 재미없고, 비미학적이며, 우리는 주저하지 않고 덧붙인다. 잘못된 것이다. 우리 의견으로는 이 여성 반올림피아드가 그러하다."라고 하였다.[26] 또한 여성이 스포츠 경기 대회에 출전하는 것에 찬성하지 않았으며, 여성이 스포츠를 함으로써 구경거리가 되어 주목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말하며, 올림픽에서 여성의 역할은 승자에게 영광을 안겨주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9][41]

프랑스의 올림픽 아카데미 회장은 여성 참가에 대한 쿠베르탱 남작의 견해에 대한 사회적 비판이 근대 올림픽 발상지인 프랑스의 올림픽 교육에서 남작을 다루기 어렵게 만드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41]

쿠베르탱은 나치 독일아돌프 히틀러에 의해 선전 도구로 이용된 베를린 올림픽을 칭찬했다.[42] 이 발언에 대해 토마스 바흐는 옹호하며, 2024년 6월 소르본 대학교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모든 사람은 그 시대적 배경에서만 평가받을 권리가 있으며, 그의 유산을 미래에 계승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42]

2024년 파리 올림픽 기간 중 신주쿠 알타 앞에서 진행된 데모에서, 데모 참가자들은 올림픽을 지탱하는 이데올로기는 쿠베르탱의 능력주의, 인종차별주의, 경쟁주의, 성차별주의, 국가주의, 엘리트주의라고 지적하고 비판했다.[43]

9. 기타



전통적인 올림픽 모토인 "Citius, Altius, Fortius"(더 빠르게, 더 높이, 더 강하게)는 쿠베르탱이 1894년에 제안했으며, 1924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2021년에는 "Citius, Altius, Fortius – Communiter"(더 빠르게, 더 높이, 더 강하게 – 함께)로 수정되었다. 이 모토는 쿠베르탱의 친구인 앙리 디동이 1891년 파리 청소년 모임을 위해 만든 것이다.[27][28]

국제 페어플레이 위원회가 수여하는 피에르 드 쿠베르탱 월드 트로피는 1965년부터 선수가 동료 경쟁자를 돕기 위해 자신의 경기력을 저해하는 페어플레이 행위에 대해 수여하는 상이다.[29]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1997년부터 피에르 드 쿠베르탱 메달을 수여하고 있다. 이 메달은 "피에르 드 쿠베르탱 정신에 따라 교육적이고 교육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과 연구 및 지적 작품 창출을 통해 올림피즘을 증진하는 데 기여한 사람들에게 경의를 표하는" 특별한 훈장이다.[30]

소행성 2190 쿠베르탱은 1976년 소련 천문학자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 체르니흐가 발견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31]

1976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한 몬트리올의 올림픽 스타디움이 위치한 거리는 피에르 드 쿠베르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스타디움 주소는 피에르 드 쿠베르탱 애비뉴 4549번지이다. 쿠베르탱의 이름을 딴 거리에 위치한 올림픽 스타디움은 세계에서 유일하며, 몬트리올에는 피에르 드 쿠베르탱의 이름을 딴 학교도 두 곳 있다.[32][33]

1984년 NBC 미니시리즈 ''제1회 올림픽: 아테네 1896''에서 루이 주르당이 쿠베르탱을 연기했다.[34]

2007년, 쿠베르탱은 럭비 유니온 스포츠에 대한 공헌으로 월드 럭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35]

9. 1. 올림픽 관련 활동

쿠베르탱은 1912년 스톡홀름 하계 올림픽 예술 경기 문학 부문에서 "스포츠 찬가"로 금메달을 수상했다.[16] 그는 아내의 출생지 근처 마을 이름인 조르주 호흐로드와 M. 에슈바흐라는 가명으로 시를 출품했다.[17]

역사서올림피아 제전 기록에 감명을 받은 쿠베르탱은 “르네상스 올림픽” 연설에서 근대 올림픽을 제창했다. 찬동자들에 의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설립되었고, 1896년 아테네 올림픽 개최로 이어졌다.

1912년 제5회 스톡홀름 대회 예술 경기에서 그는 “호로트&에셴바흐”라는 필명으로 참가하여 문학 부문 금메달을 획득했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 출품작은 프랑스어로 “오드 오 스포르(Ode au Sport, 일본어로 ‘스포츠 찬가’)”라고 한다. 그러나 이것이 정말 쿠베르탱 본인의 작품인지에 대한 확증은 없어 현재까지도 불명확하다.

그의 고안 및 제창에 따라 근대5종이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부터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9. 2. 어록

"올림픽은 승리하는 것이 아니라 참가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L'important, c'est de participer|L'important, c'est de participer|직역: 중요한 것은 참가하는 것이다프랑스어)라는 말은 유명하지만, 사실 이 말은 쿠베르탱이 직접 생각해낸 것이 아니다. 이 말은 성공회 펜실베이니아 대주교인 에셀베르트 탈보트(Ethelbert Talbot)가 1908년 런던 올림픽 당시 미국 선수들에게 한 말이다.[35]

1908년 런던 올림픽 당시 미국과 영국은 사이가 좋지 않았고, 미국 선수단은 런던에서 여러 괴롭힘을 당했다. 이에 미국 선수단은 세인트 폴 대성당에서 성찬식에 참석하여 설교를 듣고 큰 용기를 얻었다. 이 일과 대사가 알려지면서 감명을 받은 쿠베르탱은 각국 올림픽 관계자들을 초대한 만찬회 자리에서 이 말을 인용하여 연설했고, 이는 "쿠베르탱 남작의 연설"로 유명해져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그러나 쿠베르탱은 자신이 생각해낸 말이라고 소개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35]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9. 3. 가족 관계

마리 로탄은 피에르 드 쿠베르탱의 가족 친구의 딸로, 1895년에 쿠베르탱과 결혼했다. 이들 부부의 아들 자크(1896~1952)는 어릴 적 햇볕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병을 얻었다. 딸 르네(1902~1968)는 정신적인 고통을 겪었으며, 결혼하지 않았다. 쿠베르탱 부부는 두 조카에게서 위안을 찾으려 했으나, 두 조카 모두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전사했다.[19][20][21]

참조

[1] 웹사이트 128 ans plus tard... Pierre de Coubertin de retour à Sciences Po http://www.sciencesp[...] 2018-01-29
[2] 뉴스 Les archives Pierre de Coubertin rejoignent Sciences Po http://www.archimag.[...] 2018-01-29
[3] 웹사이트 Ancestry of Pierre de Coubertin http://roglo.eu/rogl[...] Roglo.eu 2011-10-09
[4] 서적 Muddied Oafs, The Soul of Rugby Yellow Jersey Press
[5] 강연 Physical exercises in the modern world 1892-11
[6] 서적 Une Campagne de 21 Ans 1887–1908 Librairie de l'education physique
[7] 서적 The Olympic Idea Editions Internationales Olympiques
[8] 웹사이트 Rugby in the Olympics:History http://www.irb.com/r[...]
[9]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Olympic Games Blackwell Publishing
[10] 서적 Memoire sur le conflit entre la Grèce et la Roumanie concernant l'affaire Zafdeppa
[11] 서적 L'affaire Zappa https://archive.org/[...] Paris, L. Larose 2016-10-19
[12] 웹사이트 Randonneurs Ontario, Profile of Pierre Giffard http://www.randonneu[...] Randonneursontario.ca 2010-08-25
[13] 웹사이트 Féchain Athlétique Club, Association loi 1901-Affiliation à la Fédération Française d'athlétisme, Histoire http://home.nordnet.[...] Home.nordnet.fr 1982-12-31
[14] 웹사이트 Overview of Olympic Games http://www.britannic[...] 2008-06-04
[15] 뉴스 Evidence Ties Olympic Taint To 1936 Games https://www.nytimes.[...] 2018-07-10
[16] 웹사이트 Pierre, Baron de Coubertin Biography and Olympic Results https://www.sports-r[...] Sports Reference.com 2012-03-07
[17] 서적 The Games Macmillan 2016
[18] 웹사이트 1911 : Les Éclaireurs Français – Histoire du Scoutisme Laïque https://histoire-du-[...] 2021-02-20
[19] 웹사이트 Pierre, Baron de Coubertin Bio, Stats, and Results https://www.sports-r[...]
[2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Modern Olympic Movement https://archive.org/[...]
[21] 웹사이트 Pierre de Coubertin http://www.olympic.o[...]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6-10-19
[22] 뉴스 Drut calls for modern Olympics founder Coubertin to enter Paris Panthéon in time for 2024 Olympics https://www.insideth[...] 2022-02-12
[23] 뉴스 Guy Drut wants to put Coubertin in the Pantheon https://www.francsje[...] 2022-02-12
[24] 웹사이트 Coubertin Grove World Heritage Journeys of Europe https://visitworldhe[...] 2023-08-08
[25] 웹사이트 Education https://www.ioa.org.[...] 2023-08-08
[26] 웹사이트 Les femmes aux Jeux Olympiques. https://digital.la84[...] 2024-07-30
[27] 웹사이트 Schneller? Höher? Stärker? http://www.johannes-[...]
[28] 웹사이트 Opening Ceremony http://www.olympic.o[...]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2-08-23
[29] 웹사이트 World Fair Play Trophy https://www.fairplay[...] Infoartnet 2024-08-13
[30] 간행물 106th IOC Session Meeting Minutes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1997-09-03
[31]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Verlag
[32] 웹사이트 École Pierre de Coubertin School http://www.emsb.qc.c[...] English Montreal School Board 2018-06-21
[33] 웹사이트 École primaire Pierre-De-Coubertin https://pierredecoub[...] Commission scolaire de la Pointe-de-l'île 2018-06-21
[34] 뉴스 Squeezing Inspiration from the 1896 Olympics https://www.nytimes.[...] 2018-05-23
[35] 웹사이트 Pierre de Coubertin https://www.worldrug[...] 2018-06-21
[36] 웹사이트 Full bibliography of Сoubertin's writings http://www.coubertin[...]
[37] 웹사이트 「平和の祭典」、大いなる矛盾 - 映像の世紀バタフライエフェクト https://www.nhk.jp/p[...] 2024-07-25
[38] 웹사이트 クーベルタンとオリンピズム|オリンピックを知る|JOC - 日本オリンピック委員会 https://www.joc.or.j[...] 2024-07-25
[39] 웹사이트 Les femmes aux Jeux Olympiques https://digital.la84[...] digital.la84.org 2024-07-30
[40] 웹사이트 クーベルタンの女性差別に挑んだアリス・ミリア ジェンダー平等精神、パリ五輪で開花 https://globe.asahi.[...] GLOBE+ 2024-08-07
[41] 웹사이트 クーベルタン男爵の「人気度」は?…フランス社会の冷ややかな視線 https://www.yomiuri.[...] 読売新聞オンライン 2024-06-11
[42] 웹사이트 クーベルタン男爵の光と影=表に出ない「近代五輪の父」―花の都、熱狂間近・パリ五輪(中) https://sp.m.jiji.co[...] 時事通信ニュース 2024-07-16
[43] 웹사이트 パリ五輪に世界各地で反対デモ 「人権侵害、環境破壊の五輪は廃止を!」 https://www.kinyobi.[...] 週刊金曜日 2024-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