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에르 르베르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르베르디는 프랑스 시인으로, 1889년 나르본에서 태어나 1960년 사망했다. 그는 1917년 전위 예술 잡지 《북-남》을 창간하고, '이미지론'을 발표하여 초현실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르베르디는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에 참여하면서도 독자적인 리리시즘을 추구했으며, 1926년 가톨릭으로 개종한 후 은둔 생활을 했다. 그는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침묵을 지켰으며, 사후 그의 작품은 프랑스 현대시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의 작품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으며, 한국 문학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입체파 - 오르피즘
    오르피즘은 입체주의에서 파생되어 감각과 색채의 통일을 추구하며 인식 가능한 주제를 없앤 순수 서정적 추상 미술 사조로, 기욤 아폴리네르에 의해 명명되었고 로베르 들로네와 소니아 들로네 부부가 활동했으며 한국 근현대 미술에도 영향을 주었다.
  • 입체파 - 아비뇽의 처녀들
    《아비뇽의 처녀들》은 파블로 피카소가 1907년에 완성한 유화 작품으로, 큐비즘의 시작으로 평가받으며 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고, 현재 뉴욕 현대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한 사람 - 카를로스 메넴
    아르헨티나의 정치인 카를로스 메넴은 라 리오하 주지사를 거쳐 대통령을 역임하며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사회적 불평등 심화, 부정부패 논란, 테러 사건 미흡 대처 등으로 비판받았고, 그의 재임 기간은 논쟁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한 사람 - 도나 타트
    미시시피주 출신 미국 소설가 도나 타트는 『비밀의 역사』, 『작은 친구』, 퓰리처상 수상작 『황금방울새』 등의 작품으로 비평적,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독특한 서사 구조와 심리 묘사, 섬세한 문체로 인정받고 있다.
  • 1960년 사망 - 이기붕
    이기붕은 이승만 정권에서 요직을 두루 거치며 권력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으나,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몰락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1960년 사망 - 아사누마 이네지로
    아사누마 이네지로는 일본 사회당 위원장으로, 사회주의 운동가, 정치인으로서 일본 노농당 창립, 도쿄 시의회 의원, 국회 의원, 사회당 재건, 헌법 9조 개정 및 재군사화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1960년 미일 안보 조약 개정 반대 투쟁 중 극우 청년에게 암살당했다.
피에르 르베르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피에르 르베르디, 1915
아메데오 모딜리아니의 피에르 르베르디 초상 (1915년)
본명앙리-피에르 르베르디
출생1889년 9월 11일
출생지프랑스, 나르본 (옥시타니, 오드 주)
사망1960년 6월 17일 (70세)
사망지프랑스, 솔렘 (페이 드 라 루아르, 사르트 주)
안장지솔렘 묘지
국적프랑스
직업
직업시인, 평론가
언어프랑스어
문학 활동
활동 기간1915년 - 1959년
장르시, 예술론, 미학
사조큐비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데뷔 작품《산문 시집》
대표 작품《타원형의 천창》
《잠자는 기타》
《그려진 별들》
《하늘의 표착물》
《모피 장갑》
《바람의 샘》
《고철》
《이미지론》
영향앙드레 브르통
트리스탄 차라
파블로 피카소
조르주 브라크
서명

2. 생애

프랑스 남부 나르본 출신으로, 어린 시절 포도 농장을 운영하던 아버지 밑에서 글을 익혔다. 교회 석공 및 조각가 집안의 영향으로 일찍부터 신앙심을 가졌으며, 나르본과 툴루즈에서 학업을 마친 뒤 1910년 작가가 되기 위해 파리로 향했다.

파리 몽마르트르에 정착한 그는 궁핍한 생활 속에서도 시 쓰기에 몰두하며 피카소, 브라크, 마티스 등의 화가들과 아폴리네르, 막스 자코브, 루이 아라공, 앙드레 브르통다다초현실주의 계열의 시인 및 작가들과 교류했다. 1917년에는 전위 예술 잡지 Nord-Sud|북-남프랑스어을 창간하여 1918년 말까지 운영하며 전위 예술가들에게 지면을 제공하고 자신의 시론을 펼쳤다. 이 잡지에 발표한 그의 'L’image|이미지론프랑스어'은 서로 무관해 보이는 현실을 병치시켜 사물의 본질에 다가가는 이미지 창조를 강조했으며, 이는 훗날 앙드레 브르통초현실주의 이론 정립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르베르디는 이미지의 '정신의 창조' 측면을 중시하며 무의식과 자동기술법을 강조한 초현실주의와는 거리를 두었다. 당시 문단의 주목은 주로 엘뤼아르아라공 같은 초현실주의 시인들에게 향했고, 르베르디는 점차 중앙 문학계와 멀어졌다.

1926년, 37세의 나이로 천주교로 개종한 그는 파리를 떠나 솔렘 수도원 부근에 은둔했다. 이후 세상을 떠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잠시 절필하기도 했으나 전쟁 후 다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그의 후기 삶은 은둔 속에서 침묵과 함께 시 창작에 몰두하는 여정이었다.

2. 1. 초기 생애 (1889-1910)

피에르 르베르디는 1889년 9월 11일, 스페인 국경 근처 프랑스 남부 나르본(옥시타니 오드주)에서 태어났다.[2][17][18][19][20][21] 산파가 시청에 제출한 출생 신고서에는 성 없이 '앙리-피에르'라는 이름만 적혀 있었고, 생년월일은 '1889년 9월 13일'로, '아버지·어머니 불명'으로 기록되었다.[17][18][19][20][21] 당시 그의 어머니 잔느-로즈 튀르캥(결혼 전 성 에스크로피에)은 빅토르-레오폴드 튀르캥과 법적으로 부부 상태였으나, 남편은 2년 전부터 아르헨티나에 거주하고 있었다.[3][17] 어머니는 1895년에 남편과 이혼했고, 이때 '앙리-피에르'의 출생 신고서에 친아버지의 성인 '르베르디'가 기재되었다.[17] 친아버지 앙리-피에르 르베르디와 어머니 잔느-로즈는 사실혼 관계를 유지하다가 1897년에 정식으로 결혼했다.[3][17] 하지만 어머니가 아들을 법적으로 인지한 것은 르베르디가 22세가 된 1911년이었고, 이때 비로소 출생 신고서에 어머니의 성명이 기재되었다.[17]

어린 시절, 르베르디는 몽타뉴 누아르 근처에서 포도 농장을 운영하던 아버지 밑에서 글을 배웠다.[2] 르베르디 가문은 대대로 교회의 조각과 석공 일을 맡아왔는데, 이러한 집안 환경은 그가 일찍부터 신앙심을 갖게 된 배경으로 여겨진다. 어머니는 르베르디가 태어난 직후 툴루즈로 이사했고, 그는 의붓누나 앙리에트와 함께 그곳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다.[21] 부모가 결혼한 후에는 나르본의 빅토르 위고 중학교에 입학했지만, 몇 년 뒤 부모가 이혼하면서 어머니는 누나를 데리고 나르본의 다른 지역으로 이사했고, 르베르디는 아버지 곁에 남게 되었다.[21]

오드주 나르본을 포함한 구 랑그도크루시용 지역은 프랑스 최대의 포도 생산지 중 하나였다. 그러나 19세기 중반 이후 철도 발달로 파리를 겨냥한 평범한 와인이 대량 생산되면서 생산 과잉, 가격 폭락, 실업자 증가 등 심각한 문제에 직면했다. 결국 1907년 6월 20일, 나르본의 포도 재배자들이 대규모 폭동(1907년 포도 재배자 폭동)을 일으켜 사상자가 발생하는 사태로 번졌다.[22] 이 폭동의 여파로 르베르디의 아버지는 파산하여 포도밭을 잃었다. 이 사건은 어린 르베르디에게 큰 정신적 충격을 주었으며, "체제와 그 봉사자들에 대한 혐오"를 품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전해진다.[23] 르베르디는 나르본툴루즈에서 학업을 마쳤다.

2. 2. 파리에서의 전위 예술 활동 (1910-1926)

1910년 10월 파리에 도착한[4] 르베르디는 초기 몇 년간 글쓰기에 전념했다. 그는 당시 예술가들이 많이 모이던 몽마르뜨 언덕의 유명한 예술가 거주지 바토-라부아르 근처에 자리를 잡고, 인쇄 교정 등 여러 일을 하며 궁핍한 생활 속에서도 시 창작에 몰두했다. 이 시기 그는 피카소, 브라크, 마티스 같은 화가들과 기욤 아폴리네르, 막스 자코브, 루이 아라공, 앙드레 브르통, 필리프 수포, 트리스탄 차라 등 후에 다다이즘초현실주의 운동의 주요 인물이 되는 시인 및 작가들과 교류하며 친분을 쌓았다.[4]

1917년 3월 15일, 르베르디는 막스 자코브, 빈센테 우이도브로, 기욤 아폴리네르 등과 함께 전위 예술 잡지 ''fr''(북-남)을 창간했다.[7] 1918년 10월 15일까지 총 16호가 발행된[7] 이 잡지는 다다초현실주의 성향의 작가들에게 지면을 제공하며 전위 예술을 옹호했고, 르베르디 자신의 시론을 발표하는 중요한 장이 되었다. 잡지명 '북-남'은 당시 파리 지하철 노선 중 북쪽의 몽마르뜨와 남쪽의 몽파르나스를 잇는 노선명에서 따온 것으로, 앙드레 브르통에 따르면 이는 당시 '창작의 두 거점'이었던 두 지역을 상징적으로 연결하려는 르베르디의 의도를 보여준다.[7]

르베르디는 ''fr'' 제13호(1918)를 통해 그의 중요한 시론인 'fr'(이미지론)을 처음 발표했다. 그는 이 이론에서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무관해 보이는 두 현실을 예기치 않게 가까이 병치시킴으로써, 감각 현실 너머의 본질에 다가서는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할 수 있으며, 이는 '정신의 순수한 창조물'이라고 주장했다. 이 '이미지론'은 앙드레 브르통초현실주의 운동을 이론화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6] 브르통은 첫 번째 초현실주의 선언에서 르베르디를 "당대 최고의 시인"이라고 극찬했으며,[6] 루이 아라공 역시 브르통, 수포, 폴 엘뤼아르 등 동료들에게 르베르디가 "우리의 직접적인 선배이자 모범적인 시인"이라고 평가했다.[6] 그러나 르베르디의 이미지가 '정신의 창조'임을 강조한 반면, 초현실주의는 자동기술법 등을 통해 무의식에서 건져 올린 이미지로 현실을 부정하고 초월하려 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보인다. 르베르디에게 이미지는 현실을 넘어서는 환상이 아니라 '삶의 참맛'을 되찾게 하는 통로였다.

르베르디는 ''fr'' 외에도 피에르 알베르-비로가 창간한 잡지 ''fr''(1918-1919)과[43] 브르통, 아라공, 수포가 창간한 ''리테라튀르''(1919) 등 다른 전위 예술 잡지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수필, 시, 소설 등을 발표했다.[53] 특히 ''리테라튀르'' 창간호에 기고한 글의 제목 'fr'(백지 위임장)은 르베르디가 제안했던 잡지명 후보이기도 했으며, 기존 문학을 백지화하고 새로운 표현을 창조하려는 다다이즘의 정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개념이었다.[54]

1924년에는 그의 두 번째 시집 ''fr''을 출간하여 더 큰 명성을 얻었다.[5] 이 시집의 짧고 단편적인 시들은 날카로운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입체주의 화가나 조각가들의 예술과 유사한 문학적 성취를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았다.[5] 이처럼 파리 아방가르드 예술계의 중심인물 중 한 명으로 활동했지만, 프랑스 현대시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문학계의 주된 조명은 그의 영향을 받은 초현실주의 시인들에게 돌아갔고, 르베르디는 점차 중앙 문단과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본질적으로 내성적이고 강한 정신적 성향을 지녔던 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리의 보헤미안적인 세상과 멀어졌다. 1926년, 서른일곱의 나이에 가톨릭교로 개종한 그는 "자유로운 사색가, 자유로이 신을 선택한다"라는 말을 남기고, 친구들 앞에서 자신의 원고 다수를 불태우는 의식적인 행위를 통해 물질 세계와의 단절을 선언했다. 이후 아내 앙리에트와 함께 솔렘 근처의 작은 집으로 은거하며 파리에서의 전위 예술 활동 시기를 마무리했다.[8]

2. 3. 솔렘에서의 은둔 생활과 후기 (1926-1960)

서른일곱 살이 되던 1926년에 천주교로 개종한 그는 “자유로운 사색가, 자유로이 신을 선택한다”라는 말을 남기고, 프랑스 남부 솔렘 수도원 부근에 자리를 잡았다. 이후 신앙심을 내려놓은 뒤에도 세상을 뜰 때까지 그곳을 떠나지 않았다.

솔렘에서의 은둔 생활 중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었다. 그는 직접 저항 운동에 나서거나 참여시를 쓰는 대신 “침묵과 협정을 맺었다”고 말하며 한때 절필하기도 했다. 그러나 독일 점령 기간 동안 프랑스 레지스탕스 운동의 일원이 되었으며, 파리가 해방될 때 그의 동료 투사들은 프랑스 반역자이자 독일 간첩인 루이 드 보프르랑 남작을 체포하는 데 기여했다.

전쟁이 끝난 뒤 다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이 시기 르베르디는 《바람의 근원》(Sources du ventfra), 《고철》(Ferraillefra), 《죽음의 노래》(Le Chant des mortsfra)를 포함한 여러 시집을 출간했다. 또한 문학에 대한 성찰과 경구를 담은 평론집 《엔 브락》(En vracfra)과 《내 항해일지》(Le livre de mon bordfra) 두 권을 출판했다. 기꺼이 은둔의 삶을 택하고 시를 써 나간 그의 후반기 삶은 침묵을 동반한 여정이었다.

3. 작품 세계

르베르디는 다다이즘초현실주의 운동에 참여하면서도 독자적인 시 세계를 구축했다. 그는 자동 기술과 같은 실험적 기법이나 정치적 활동에는 거리를 두었으며, 자신만의 이미지론에 기반한 '''리리즘'''(서정성)을 추구했다. 이는 감정 표현 중심의 낭만주의적 리리즘과는 구별되는 것이었다.[70]

1924년 앙드레 브르통이 「초현실주의 선언」[38]을 발표하며 초현실주의 운동이 본격화되었지만, 르베르디는 이 흐름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했다. 브르통 등이 창간한 문예지 『초현실주의 혁명』에는 창간호에 피카소의 삽화와 함께 「성벽에 끼여 꿈을 꾸는 남자」라는 글을 한 편 기고했을 뿐, 주도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았다.[59] 이 잡지는 피에르 나빌, 뱅자맹 페레, 아라공 등이 편집하며 자동 기술, , 데페이즈망, 객관적 우연 등 초현실주의의 핵심 주제를 다루었다.[36][58]

대신 르베르디는 『크로니크』지[60]나 툴루즈에서 발간된 문예지 『레 카이에 리브르』[61] 등에도 시를 기고하며 파리 중심의 전위 예술 운동과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브르통을 비롯한 일부 초현실주의자들이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하여 예술 혁명을 사회 혁명으로 연결하려 했을 때도[62], 르베르디는 이러한 정치적 행보에 동참하지 않았다.

그러나 1933년 『혁명에 봉사하는 초현실주의』[63]가 종간된 후 알베르 스키라 등이 창간한 미술·문학 잡지 『미노타우르』[65]에는 다시 참여했다. 이 잡지는 초현실주의 정신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예술 이론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66], 브르통, 엘뤼아르, 달리 등 초현실주의자 외에도 정신 분석가 자크 라캉, 사상가 조르주 바타유, 로제 카이유아 등 다양한 필진이 참여했다.[65] 르베르디는 창간호부터 「'''현재에 대한 영원한 기록'''」 등 주로 예술론에 관한 중요한 글들을 발표했으며[65], 이는 훗날 동명의 예술론집으로 출간되었다.[69]

이처럼 르베르디는 초현실주의 등 당대 주요 예술 운동과 관계를 맺으면서도 거리를 유지하고, 독자적인 리리즘과 이미지론을 발전시키는 데 집중했다. 1910년대 후반부터 1920년대 중반에 걸쳐 여러 대표 시집을 발표했으며, 이 시집들 다수에는 조르주 브라크, 마티스, 후안 그리, 앙드레 드랭, 피카소, 모딜리아니, 샤갈 등 당대 유명 화가들의 삽화나 초상화가 포함되어 시와 미술의 긴밀한 관계를 보여주기도 했다.

3. 1. 이미지론과 초현실주의

르베르디는 자신이 주필을 맡았던 잡지 『남북』[32][33] 등에서 독자적인 '''이미지론'''을 펼쳤다. 이는 젊은 앙드레 브르통과 이후 초현실주의 운동의 이론 정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브르통은 자신의 『초현실주의 선언』(1924년)에서 르베르디의 이론을 직접 인용하기도 했다.[35][36][37][38]

르베르디는 이미지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이미지는 정신의 순수한 창조물이다. 그것은 직유에서 생겨나는 것이 아니고, 다소 거리가 있는 두 현실의 접근에서 생겨난다. 접근하는 두 현실의 관계가 멀고, 게다가 적절할수록, 이미지는 더욱 강해지고, 더욱 감동의 힘과 시적 현실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39]

브르통은 첫 번째 초현실주의 선언에서 르베르디를 "당대 최고의 시인"이라고 평가했으며[6], 루이 아라공 역시 브르통, 수포, 폴 엘뤼아르 등에게 르베르디가 "우리의 직접적인 선배이자 모범적인 시인"이라고 말했다.[6]

그러나 르베르디의 이미지론과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사이에는 차이점도 존재했다. 브르통은 초현실주의적 이미지가 의도적인 정신의 창조물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무관계한 현실들의 우연한 만남의 결과여야 한다고 보았다.[40] 이는 이미지를 '정신의 의식적인 창조 활동'으로 본 르베르디의 관점과는 구분되는 지점이다.

3. 2. 후기 시 세계의 변화

트리스탕 차라는 르베르디의 초기 작품인 《탈랑의 도둑》과 《지붕의 슬레이트》에 대해, '''닫힌 방, 어디에도 통하지 않는 계단, 창문도 문도 없는 집 등 침묵과 부동, 정지의 상태'''를 "정신의 순수한 창조물"인 회화적 이미지로 제시하는 큐비즘의 시라고 평가했다. 이 시기 르베르디는 '''우주적 정신의 균형 상태'''에 도달했다고 보았다. 차라는 이어지는 작품 《미채복의 기수》에서는 시인이 더욱 '''명확하고 자유로우며 우주적인 "확실성"'''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분석했다.[77] 이는 초기 시 세계의 정적인 상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적 탐구를 모색했음을 보여준다.

3. 3. 주요 작품

발표 연도한국어 제목원제비고
1915『산문 시집』Poèmes en prose파리, Imprimerie Birault. 후안 그리스, 앙리 로랑스 삽화.
1916『타원형 채광창』La Lucarne ovale파리, Imprimerie Birault.
1916『몇 편의 시』Quelques poèmes파리, Imprimerie Birault.
1917『탈랑의 도둑』 (소설)Le Voleur de Talan아비뇽, Imprimerie Rullière.
1918『지붕의 슬레이트』Les Ardoises du toit파리, Imprimerie Birault. 조르주 브라크 스케치 2점 포함.
1918『위장 기수』Les Jockeys camouflés파리, À la Belle Édition. 앙리 마티스 스케치 5점 포함.
1919『잠자는 기타』La Guitare endormie파리, Imprimerie Littéraire. 후안 그리스 스케치 4점 포함 (1점은 르베르디 초상).
1919『자기 방어』 (평론)Self defense파리, Imprimerie Littéraire.
1921『그려진 별들』Étoiles peintes파리, Editions du Sagittaire. 앙드레 로랑 에칭 1점 포함.
1921『참나무 심장』Cœur de chêneÉditions de la Galerie Simon.
1922『삼끈 넥타이』Cravates de chanvre파리, Éditions Nord-Sud. 파블로 피카소 에칭 3점 포함.
1924『파블로 피카소』 (평론)Pablo Picasso파리, Éditions de la NRF. 피카소 그림/스케치 복사본 26점 포함.
1924『하늘의 조난물』Les Épaves du ciel파리, Éditions de la NRF (갈리마르). 이전 시집 모음.
1925『바다의 거품』Écumes de la mer파리, Éditions de la NRF (갈리마르). 피카소의 르베르디 초상 포함.
1925『그랜드 네이처』Grande nature파리, Éditions des Cahiers Libres.
1926『인간의 피부』 (단편집)'La Peau de lhomme''파리, Éditions de la NRF (갈리마르).
1927『모피 장갑』 (산문집)Le Gant de crin파리, Plon.
1928『튀어오르는 공』La Balle au bond마르세유, Les Cahiers du Sud. 아메데오 모딜리아니의 르베르디 초상 포함.
1929『바람의 샘』Sources du vent파리, Maurice Sachs 출판사. 피카소의 르베르디 초상 포함.
1929『유리의 웅덩이』Flaques de verre파리, Éditions de la NRF (갈리마르).
1930『하얀 돌』Pierres blanches카르카손, Éditions d'Art Jordy. 마르크 샤갈의 르베르디 초상과 권두 삽화 포함.
1930『위험과 위협』 (단편집)Risques et périls파리, Éditions de la NRF (갈리마르). 1915-1928년 단편 모음.
1937『고철』Ferraille브뤼셀, les Cahiers du Journal des Poètes.
1940『만석』Plein verre니스, Éditions des Îles de Lérins.
1945『언제나』Plupart du temps파리, 갈리마르. 1915-1922년 시집 모음 (산문시집, 몇 편의 시, 타원형 채광창, 지붕의 슬레이트, 위장 기수, 잠자는 기타, 그려진 별들, 참나무 심장, 삼끈 넥타이).
1946『얼굴』Visages파리, Le Chêne. 앙리 마티스 석판화 40점 포함.
1948『죽은 자들의 노래』Le Chant des morts파리, Tériade Éditeur. 제2차 세계 대전 중 쓰인 시 43편과 피카소 석판화 125점 포함 시화집.
1948『나의 항해 일지』Le Livre de mon bord파리, 메르퀴르 드 프랑스. 1930-1936년 시 일기.
1949『살아있는 무덤』Tombeau vivant파리, Daragnès 인쇄. 장-세바스티앙 갈라니스 무덤 관련.
1949『수공예』'Main dœuvre''파리, 메르퀴르 드 프랑스. 기간행된 『그랜드 네이처』, 『튀어오르는 공』, 『바람의 샘』, 『하얀 돌』, 『고철』, 『만석』, 『죽은 자들의 노래』에 미간행 『드라이 독(Cale sèche)』과 『녹색 숲(Bois vert)』을 수록.
1950『체계적 모험』Une aventure méthodique파리, 무를로. 조르주 브라크 석판화 38점 포함.
1950『시정이라고 불리는 감정』Cette émotion appelée poésie파리, 메르퀴르 드 프랑스. 1945-1947년 솔렘에서 쓰여진 시와 산문.
1953『금의 고리』 (가사)Cercle doré파리, 무를로. 조르주 브라크 석판화 1점 포함.
1955『천장의 태양에게』Au soleil du plafond파리, Tériade Éditeur. 후안 그리스 석판화 11점 포함.
1956『어지럽게』En vrac모나코, Éditions du Rocher.
1959『바다의 자유』La Liberté des mers파리, Maeght éditeur. 조르주 브라크 삽화 포함.
1962『르네 샤에게』À René Char알레스, P. A. Benoit. 서간시 (4부 한정판).
1966『유사』Sable mouvant파리, Louis Broder. 파블로 피카소 아쿼틴트 10점 포함. (사후 출간)
1973『현재에 대한 영원한 메모 ― 예술론 (1923-1960)』'Note éternelle du présent: écrits sur lart''파리, Flammarion. (사후 출간)
1989『시화집』Anthologie파리, La Différence, Collection « Orphée ». 클로드 미셸 클뤼니 편. (사후 출간)
2010『전집』 (전 2권)Œuvres complètes파리, Flammarion. (사후 출간)


4. 평가 및 영향

프랭크 오하라는 자신의 시 "그들로부터의 한 걸음"에서 "파파야 주스 한 잔 그리고 다시 일터로. 내 마음은 내 주머니 속에, 그것은 피에르 르베르디의 시집이다."라고 쓰며 르베르디에 대한 애정을 표현했다.

폴 오스터는 르베르디의 시 세계를 다음과 같이 평했다:

> "르베르디의 기묘한 풍경들은 강렬한 내면성과 감각적 데이터의 증식을 결합하여, 불가능한 전체성을 향한 끊임없는 탐구의 징후를 담고 있다. 거의 신비로운 효과를 지닌 그의 시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상 세계의 미세한 부분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조용하고 때로는 단조로운 음악 속에서 시인은 자신이 창조한 유령의 나라 속으로 증발하고 사라지는 듯하다. 그 결과는 르베르디가 독자가 거주할 수 있도록 시의 공간을 비운 것처럼 아름다움과 불안감을 동시에 자아낸다."

루이 아라공은 르베르디 사후 "'''솔렘에 검은 태양이 졌다'''"라는 제목의 추도문을 통해, 20대의 필리프 수포, 앙드레 브르통, 폴 엘뤼아르, 그리고 자신에게 르베르디는 "세계의 순수 그 자체", "'''모범적인 시인'''"이었으며, 시간이 흘러도 "우리 젊은 시절의 이 이미지, 이 검은 의식, 이 거절, 이 그림자의 목소리를 흐리게 한 적은 결코 없었다"고 회고했다.[72]

재즈 평론가 위그 파나시에는 르베르디를 존경하는 시인으로 언급하며 그의 시를 "'''어느 시대에도 일류의, 밀도 있고 끊임없는, 진정한 시'''"라고 평가했다. 그는 종전 직후인 1946년에 발표한 《재즈의 12년간》의 26개 장 모두에 르베르디의 시구를 에피그래프로 인용하기도 했다.[73]

작곡가 앙드레 졸리베[74], 앙리 바로[75], 르네 레이보비츠[76] 등은 르베르디의 시에 곡을 붙여 발표했다.

트리스탕 차라는 르베르디의 초기 작품 《타랑의 도둑》과 《지붕의 슬레이트》에 나타나는 '''닫힌 방, 어디에도 통하지 않는 계단, 창문도 문도 없는 집 등 침묵과 부동, 정지의 상태'''를 "정신의 순수한 창조물"인 회화적 이미지로 제시하는 큐비즘의 시라고 평가했다. 차라는 르베르디가 이 작품들에서 '''우주적 정신의 균형 상태'''에 도달했으며, 차기작 《미채복의 기수》에서는 더욱 '''명확하고 자유로우며 우주적인 "확실성"'''을 향해 나아갔다고 보았다.[77]

5. 한국과의 관계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 부재)

참조

[1] 웹사이트 Poetry Foundation www.poetryfoundation[...]
[2] 서적 Sleeping With The Enemy, Coco Chanel's Secret War Alfred A. Knopf
[3] 웹사이트 Pierre Reverdy http://www.kickacan.[...] 2012-08-02
[4] 서적 Sleeping With The Enemy, Coco Chanel's Secret War Alfred A. Knopf
[5] 웹사이트 Pierre Reverdy https://www.poetryfo[...] 2012-08-02
[6] 서적 Selected Poems Bloodaxe Books
[7] 웹사이트 Pierre Reverdy http://www.killacan.[...] 2012-08-02
[8] 서적 Sleeping With The Enemy, Coco Chanel's Secret War Alfred A. Knopf
[9] 서적 Sleeping With The Enemy, Coco Chanel's Secret War Alfred A. Knopf
[10] 서적 Sleeping With The Enemy, Coco Chanel's Secret War Alfred A. Knopf
[11] 서적 Sleeping With The Enemy, Coco Chanel's Secret War Alfred A. Knopf
[12] 서적 Sleeping With The Enemy, Coco Chanel's Secret War Alfred A. Knopf
[13] 서적 Chanel and her World Hachette-Vendome
[14] 서적 Sleeping With The Enemy, Coco Chanel's Secret War Alfred A. Knopf
[15] 웹사이트 A Step Away From Them - A poem by Frank O'Hara - American Poems http://www.americanp[...]
[16] 웹사이트 Bloodaxe Books: Title Page > Pierre Reverdy: Selected Poems http://www.bloodaxeb[...] 2011-05-27
[17] 논문 Le Nom Effacé https://www.euppubli[...] 1989-09-00
[18] 웹사이트 Pierre Reverdy 1/5 https://rcf.fr/cultu[...] RCF Radio 2019-12-12
[19] 웹사이트 Reverdy, poète verni. Questions essentielles sur un destin chanceux. «Un siècle d'écrivains: Pierre Reverdy» https://www.liberati[...] 2019-12-12
[20] 웹사이트 La chambre de Pierre https://cahiercritiq[...] Cahier critique de poésie (CCP) 2019-12-12
[21] 웹사이트 Pierre Reverdy (1889-1960) http://philo-lettres[...] Philo-lettres 2019-12-12
[22] 논문 ワイン産地としてのラングドック・ルーシヨンの形成 ― 逆境を覆した力 https://hdl.handle.n[...] 明治学院大学法律科学研究所 2016-07-31
[23] 논문 ピエール・ルヴェルディは転回したか ― 詩集 "Ferraille" について https://koara.lib.ke[...] 慶應義塾大学法学部 1983-10-00
[24] 웹사이트 REVERDY PIERRE (1889-1960) http://www.universal[...] 2019-12-12
[25] 웹사이트 Le Bateau Lavoir à deux pas du Musée de Montmartre https://museedemontm[...] 2019-12-12
[26] 웹사이트 le Bateau-Lavoir https://www.larousse[...] Éditions Larousse - Encyclopédie Larousse en ligne 2019-12-12
[27] 웹사이트 La Ruche - Historique https://laruche-arti[...] Fondation La Ruche 2019-12-12
[28] 웹사이트 ピカソ作「アヴィニヨンの娘たち」100周年、特別展示会が開催 - 米国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9-12-12
[29] 웹사이트 Pierre Reverdy et ''Nord-Sud'' https://www.entrevue[...] 2019-12-12
[30] 서적 Misia Sert & Coco Chanel Odile Jacob
[31] 웹사이트 N° 4 - Coco Chanel: La double vie de la Grande Mademoiselle https://www.lexpress[...] 2019-12-12
[32] 웹사이트 Nord-Sud (REVUE) : Revue littéraire / dir. Pierre Reverdy http://bibliothequek[...] Centre Pompidou. Bibliothèque Kandinsky 2019-12-12
[33] 웹사이트 Nord-Sud (1917-1918) http://www.revues-li[...] 2019-12-12
[34] 웹사이트 Fonds Destribats P 77 - Nord-Sud revue littéraire http://bibliothequek[...] Centre Pompidou. Bibliothèque Kandinsky 2019-12-12
[35] 논문 (所蔵作品調査レポート)パブロ・ピカソの『流砂』(1966年刊) について 徳島県立近代美術館 2012-03-31
[36] 웹사이트 ブルトンの芸術論とルヴェルディのリリスム概念 https://doi.org/10.1[...] 同志社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 2019-12-12
[37] 웹사이트 Pierre Reverdy https://www.larousse[...] Éditions Larousse - Encyclopédie Larousse en ligne 2019-12-12
[38] 웹사이트 Manifeste du surréalisme (Fiche de lecture) https://www.lepetitl[...] lePetitLittéraire.fr 2019-12-12
[39] 서적 イマージュ 思潮社 1981
[40] 간행물 アンドレ・ブルトンにおけるシュルレアリスムの一点のスピノザ的解釈 http://www.shitennoj[...] 2016-03-31
[41] 웹사이트 Printemps des poètes « Le Grand XXe - cent ans de poésie » 2015/2016 - Pierre REVERDY http://eac76.spip.ac[...] Educ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DSDEN 76) 2019-12-12
[42] 간행물 アラゴンの『現代文学史草案』について http://ritsumeikeiza[...]
[43] 웹사이트 Sic No. 31 http://sdrc.lib.uiow[...] The University of Iowa Libraries 2019-12-12
[44] 웹사이트 Sic No. 32 http://sdrc.lib.uiow[...] The University of Iowa Libraries 2019-12-12
[45] 웹사이트 Sic No. 33 http://sdrc.lib.uiow[...] The University of Iowa Libraries 2019-12-12
[46] 웹사이트 Sic No. 34 http://sdrc.lib.uiow[...] The University of Iowa Libraries 2019-12-12
[47] 웹사이트 Sic No. 37-38-39 http://sdrc.lib.uiow[...] The University of Iowa Libraries 2019-12-12
[48] 웹사이트 Sic No. 40-41 http://sdrc.lib.uiow[...] The University of Iowa Libraries 2019-12-12
[49] 웹사이트 Sic No. 42-43 http://sdrc.lib.uiow[...] The University of Iowa Libraries 2019-12-12
[50] 웹사이트 Sic No. 45-46 http://sdrc.lib.uiow[...] The University of Iowa Libraries 2019-12-12
[51] 웹사이트 Sic No. 47-48 http://sdrc.lib.uiow[...] The University of Iowa Libraries 2019-12-12
[52] 웹사이트 Sic No. 49-50 http://sdrc.lib.uiow[...] The University of Iowa Libraries 2019-12-12
[53] 웹사이트 Littérature (REVUE) / dir. Louis Aragon, André Breton, Philippe Soupault http://bibliothequek[...] Centre Pompidou. Bibliothèque Kandinsky 2019-12-12
[54] 간행물 Trente-deux lettres inédites à André Breton https://www.erudit.o[...] 1970-01-01
[55] 뉴스 Picabia et Breton, duo scandaleux de l'après-guerre https://www.lemonde.[...] 2019-12-12
[56] 뉴스 Le "Manifeste" de Breton https://www.lemonde.[...] 2019-12-12
[57] 웹사이트 Surréalisme (1924) http://www.revues-li[...] 2019-12-12
[58] 웹사이트 《シュルレアリスム革命》 https://kotobank.jp/[...] 2019-12-12
[59] 웹사이트 La Révolution surréaliste - « Le rêveur parmi les murailles » https://gallica.bnf.[...]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2019-12-12
[60] 웹사이트 Chroniques / Le Roseau d’Or (1925-1931) http://www.revues-li[...] 2019-12-12
[61] 웹사이트 Les Cahiers libres (Toulouse) https://data.bnf.fr/[...]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2019-12-12
[62] 간행물 Tensions entre les avant-gardes : le surréalisme et le Parti communiste http://journals.open[...] 2011-12-01
[63] 웹사이트 《革命に奉仕するシュルレアリスム》 https://kotobank.jp/[...] 2019-12-12
[64] 웹사이트 アルベール スキラ https://kotobank.jp/[...] 2019-12-12
[65] 웹사이트 Minotaure (REVUE) : revue artistique et littéraire / dir. Albert Skira ; dir. artistique E. Tériade http://bibliothequek[...] Centre Pompidou. Bibliothèque Kandinsky 2019-12-12
[66] 웹사이트 Minotaure: Surrealist Magazine from the 1930s https://www.guggenhe[...] 2019-12-12
[67] 웹사이트 MINOTAURE, revue surréaliste http://www.universal[...] 2019-12-12
[68] 웹사이트 Le Collège de Sociologie http://www.gallimard[...] Éditions Gallimard 2019-12-12
[69] 웹사이트 Note éternelle - 7. Écrits sur l’art (1923-1960) https://editions.fla[...] Editions Flammarion 2019-12-12
[70] 간행물 ピエール・ルヴェルディと「レアリテのリリスム」 https://doi.org/10.2[...] 日本フランス語フランス文学会
[71] 학술지 « Cette émotion appelée poésie » (Pierre Reverdy) https://www.fabula.o[...] 2014-06-04
[72] 뉴스 Reverdy, dans l'inouï du réel https://www.lemonde.[...] 2003-01-23
[73] 학술지 ジャズの記しの下に ― 両大戦間のフランス文学に見る異文化受容史 http://www.waseda.jp[...] 早稲田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
[74] 웹사이트 ジョリヴェ:歌曲全集(マリレー/イムラー/パーラー/ファリネッリ) http://ml.naxos.jp/a[...] 2019-12-12
[75] 웹사이트 バロー:10の即興曲/セヴィニェ夫人の3通の手紙/子供のための8つの歌物語/3つの詩(クリューガー) http://ml.naxos.jp/a[...] 2019-12-12
[76] 웹사이트 レイボヴィッツ:室内楽作品集/ヴァイオリン協奏曲(スコラ・ハイデルベルク/ライチョフ/アンサンブル・アイステーシス/ヌスバウム) http://ml.naxos.jp/a[...] 2019-12-12
[77] 서적 ランプの営み 書肆山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