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플 파워 혁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플 파워 혁명은 1986년 필리핀에서 일어난 비폭력 시위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의 부정 선거에 항의하며 시작되었다. 마르코스의 장기 집권과 부패, 경제난 속에 베니그노 아키노 2세 암살 사건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군부의 지지 철회와 시민들의 대규모 시위로 마르코스는 하와이로 망명하고, 코라손 아키노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 혁명은 민주주의 회복과 정치 개혁을 가져왔으나, 이후에도 정치적 혼란과 마르코스 가문의 정치적 부활 시도, 역사 왜곡 논란 등의 과제를 남겼다.

2. 배경

1965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상원 의원은 디오스다도 마카파갈을 52% 대 43%로 꺾고 대통령이 되었다. 마르코스는 공공 사업과 세금 징수를 강화했다. 마르코스 정부는 "모든 전임자들이 합쳐 건설한 것보다 더 많은 도로, 이전 행정부보다 더 많은 학교를 건설했다"고 주장했다.[13] 1969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마르코스는 세르지오 오스메냐 주니어를 61% 대 39%로 꺾고 재선되었다.

마르코스의 두 번째 임기는 자유당의 부정부패 혐의, 빈부 격차 심화로 인한 사회 불안으로 얼룩졌다. 좌익 정치 운동가들은 제1사분기 폭풍 동안 폭동을 일으켰고, 신인민군(NPA)과 모로 민족 해방 전선 같은 무장 단체들이 등장했다.[14][15] 마르코스는 이러한 사회 불안을 계엄령 선포의 정당성으로 이용했다.

2. 1. 마르코스 독재와 계엄령

1965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상원 의원이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초기에는 공공 사업과 세금 징수를 강화하며 경제 발전에 힘썼다. 그러나 1969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된 후, 마르코스 정권은 부정부패 혐의와 빈부 격차 심화로 인한 사회 불안에 직면했다. 좌익 정치 운동가들은 제1사분기 폭풍 동안 폭동을 일으켰고, 신인민군(NPA)과 모로 민족 해방 전선과 같은 무장 단체들이 등장했다.

마르코스는 이러한 사회 불안을 이용하여 1972년 9월 23일, 선포령 제1081호를 통해 계엄령을 선포했다.[16] 이는 1973년 대통령 3선 연임 제한을 없애기 위한 조치였다.[19] 계엄령 하에서 마르코스는 군대를 장악하고 언론의 자유, 출판의 자유 등 시민의 기본권을 억압했다. 필리핀 의회를 해산하고 자신을 비판하는 언론사를 폐쇄했으며,[19] 호비토 살롱가, 호세 W. 디오크노, 니노이 아키노 등 정적들을 체포했다.[17]

1935년 필리핀 헌법을 대체하기 위해 소집된 헌법 제정 회의는 계엄령 선포 이후 새 헌법을 만들었고, 1973년 헌법 국민투표에서 95%의 찬성으로 통과되었다. 이 헌법은 대통령 중심제를 의원 내각제로 바꾸고 마르코스가 1973년 이후에도 권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마르코스는 냉전 상황에서 미국의 지지를 유지하기 위해 필리핀 내 군사 및 해군 기지 사용을 보장했다.[19] 그러나 마르코스 행정부의 과도한 부채 의존은 1980년대 초 미국의 경기 침체와 맞물려 필리핀 경제를 악화시켰다.[22] 1983년 베니그노 아키노 주니어 암살 이후 경제는 더욱 위축되었고,[23] 1984년과 1985년에는 2년 연속 -7.3%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다.[24][25][22][26][27]

마르코스는 계엄령을 선포하면서, 정부에 대한 비판을 억압하고 자신의 권력을 더욱 강화했다.

2. 2. 베니그노 아키노 2세 암살 사건

1980년 미국에 망명했다가 1983년 조국인 필리핀으로 돌아온 야당 지도자 베니그노 아키노 2세는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머리에 총탄 세례를 받고 사망하였다. 많은 국민들은 마르코스 대통령 부부가 암살의 배후에 있다고 의심했다.[29] 이 사건은 정부에 대한 더 많은 의혹을 낳았고, 필리핀인들 사이의 불협조를 촉발하여 결국 노골적인 시민 불복종으로 이어졌다.[30]

영부인 이멜다 마르코스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니노이 아키노는 "필리핀인은 죽을 가치가 있다"라고 말하며 귀국을 결심했다. 워싱턴과 뉴욕에서 여권 신청에 실패한 니노이는 라시드 루크만의 도움으로 두 개의 여권을 얻었는데, 하나는 그의 본명이고 다른 하나는 '마르시알 보니파시오'라는 가명을 사용했다.

1983년 8월 21일, 아키노는 중화항공 비행기에서 마닐라 국제공항 (나중에 아키노의 이름을 따서 개명됨)에서 내리자마자 군부에 의해 암살되었다.[29] 그의 암살은 대부분의 필리핀인들에게 충격과 분노를 안겨주었다. 이 사건은 마르코스의 노골적인 질병 (치명적인 루푸스로 밝혀짐)으로 인해 악화되던 마르코스 행정부를 뒤흔들었다.

이 암살 사건은 세계적으로 마르코스 대통령에 대한 비난을 불러일으켰으며, 국내에서 잠재되어 있던 반 마르코스 기운을 폭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실제로, 그동안 산발적인 행동에 그쳤던 반 마르코스 운동이 하룻밤 사이에 필리핀 전역을 뒤덮게 되었고, 마르코스 대통령의 독재 체제뿐만 아니라 이멜다 부인의 호화로운 생활 방식과 일족의 부패에까지 비난이 집중되었다.

1984년, 마르코스는 아키노 암살 사건에 대한 조사를 시작하기 위해 위원회를 임명했다. 위원회의 결론에도 불구하고, 마닐라 대주교인 하이에메 신 추기경은 위원회 참여 제안을 거절하고 암살에 대한 정부의 견해를 거부했다.

아키노 암살 사건과 관련하여 많은 필리핀 국민들은 마르코스 대통령이 직접 관여하지는 않았더라도 은폐 공작에는 관여했다고 생각했다. 1985년에 암살 사건의 용의자로 기소된 국군 참모총장 파비안 베르 대장 등의 무죄 판결은 재판의 공정성에 대한 의문과 함께 이러한 생각을 더욱 강하게 만들었다.

2. 3. 1986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국내외 압력에 직면하여 조기 대선을 발표했다.[35][36] 베니그노 아키노 2세의 부인 코라손 아키노는 야당 단일 후보로 나섰으나, 마르코스 정부의 부정선거로 인해 패배하였다.

코라손 아키노가 아들 노이노이와 함께 선거 운동을 하고 있다.


당시 야당은 호세 W. 디오크노를 중심으로 하는 자유 민주주의 세력과 사회 민주주의 세력 등이 연합하여 마르코스 독재에 저항하고 있었다.[31] 이들은 '거리의 의원'으로 불리며 압력 정치를 통해 마르코스 정권에 압박을 가했다.[32]

1985년 11월 3일, 마르코스는 미국 정부의 압박[35] 속에 1986년에 조기 대선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36] 조기 선거는 마르코스가 통제하는 정규 바타상 팜반사에서 통과된 법률에 의해 합법화되었다.[37]

야당 지도자들은 마르코스에 맞설 단일 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노력했다. 로렌조 M. 타냐다 등이 참여한 후보 선출 과정에서, 호세 W. 디오크노, 자비토 살롱가, 살바도르 라우렐 등 여러 인물들이 거론되었다.[39] 최종적으로 코라손 아키노가 야당 단일 후보로 결정되었고, 라우렐은 그녀의 러닝메이트로 부통령 후보에 출마했다. 마르코스는 아르투로 톨렌티노를 러닝메이트로 하여 재선에 도전했다.[37]

선거 운동 기간 동안 마르코스 지지자들은 "마르코스 파 린(아직 마르코스에게 대통령을 계속 해달라)"이라고 외쳤고, 아키노 지지자들은 "타마 나(이제 지겹다)", "소브라 나(너무 심하다)"라고 맞받아쳤다.

코라손 아키노


1986년 2월 7일 선거가 치러졌고,[36] 공식 개표 기관인 선거관리위원회(COMELEC)는 마르코스의 승리를 발표했다. COMELEC의 최종 집계에 따르면 마르코스는 10,807,197표, 아키노는 9,291,761표를 얻었다. 그러나 자유 선거를 위한 국민 운동(NAMFREL)의 집계(70% 투표소 기준[43])에서는 아키노가 7,835,070표, 마르코스가 7,053,068표를 얻어 아키노가 승리한 것으로 나타났다.[44]

선거 과정에서 광범위한 폭력과 부정행위가 자행되었고, COMELEC 컴퓨터 기술자 30명이 마르코스에게 유리하도록 결과를 조작하는 것에 항의하며 퇴장하기도 했다.[45][46] 이는 피플 파워 혁명의 초기 불꽃 중 하나로 여겨진다.

필리핀 가톨릭 주교 회의(CBCP)는 선거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고,[51] 미국 상원도 같은 내용의 결의안을 통과시켰다.[36]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은 부정선거 의혹 보고가 충격적이라고 언급하면서도, 필리핀 선거 양측 모두에서 부정행위가 있었다고 말했다.[47][48]

2월 15일, 마르코스는 COMELEC와 바타상 팜반사에 의해 승리자로 선포되었으나, 야당 의원 50명 전원이 항의하며 퇴장했다. 필리핀 국민들은 아키노가 진정한 승자라고 주장하며 결과에 반발했다. 아키노는 대규모 파업과 보이콧을 촉구했고, 그 결과 마르코스 측근 소유 기업과 미디어는 큰 타격을 입었다.[50]

3. 시위

1986년 대선은 부정선거 의혹으로 얼룩졌다. 공식 개표 기관인 선거관리위원회(COMELEC)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승리했다고 발표했지만, 공인된 참관인인 자유 선거를 위한 국민 운동(NAMFREL)은 코라손 아키노가 승리했다고 발표했다.[44]

이에 선거관리위원회(COMELEC) 컴퓨터 기술자 30명은 마르코스에게 유리하도록 선거 결과를 조작하는 것에 항의하며 퇴장했고,[45][46] 이는 피플 파워 혁명의 초기 불꽃 중 하나로 여겨진다.

리카르도 비달 추기경


필리핀 가톨릭 주교 회의(CBCP)는 리카르도 비달 추기경을 통해 선거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고,[51] 미국 상원도 같은 내용의 결의안을 통과시켰다.[36]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부정선거 의혹 보고가 "충격적"이라고 언급했지만, 필리핀 선거 "양측" 모두에서 부정행위가 있었다고 말했다.[47][48]

2월 13일, 리카르도 비달 추기경은 필리핀 교회 고위 성직자들을 대표하여 "정부가 스스로 국민에게 가한 악을 바로잡지 않을 경우, 국민으로서 이를 바로잡는 것은 심각한 도덕적 의무"라고 선언했다. 또한 "교회의 모든 충실한 신자, 모든 신자 공동체에게 2월 7일 선거에 대해 판단을 내릴 것"을 요청하며, 모든 필리핀인들에게 "이제 목소리를 낼 때입니다. 이제 잘못을 바로잡을 때입니다. 잘못은 조직적으로 계획되었습니다. 따라서 그 수정도 그래야 합니다. 그러나 선거 자체와 마찬가지로, 이는 전적으로 국민에게 달려 있습니다. 그들이 기꺼이 무엇을 하고, 무엇을 할 준비가 되어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라고 말했다.[51]

마르코스의 노골적인 개표 조작은 야당 연합뿐만 아니라 필리핀에 큰 영향력을 가진 가톨릭 교회와 미국 연방 정부로부터 비난을 받았고, 코라손 아키노와 지지자들은 "명백한 부정 선거가 행해졌다"며 항의했다. 많은 국민들이 빈부의 격차를 넘어 동조했고, 사람들은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Ltl (laban, 타갈로그어: 투쟁)의 수어를 내걸고 "싸우자"고 외쳤다. 필리핀 국내 각지에서는 코라손 아키노의 상징색이었던 노란색 셔츠를 입은 사람들에 의한 반 마르코스 시위가 일어났고, 마닐라에서는 100만 명이 EDSA 대로를 메웠다.

3. 1. 시민 불복종 운동

코라손 아키노는 1986년 2월 7일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광범위한 부정행위가 있었다고 주장하며, 2월 16일 루네타 공원에서 "타굼파이 낭 바얀"(인민의 승리) 집회를 열었다.[52] 이 집회에는 약 200만 명의 인파가 모였으며,[53] 아키노는 마르코스 측근 소유 기업에 대한 불매 운동을 촉구하는 등 시민 불복종 운동을 선언했다.[52]

이에 따라 마르코스 측근 소유 은행, 기업, 언론 매체는 큰 타격을 입었고, 주식 시장에서 주가가 폭락하는 결과를 가져왔다.[50] 수백만 명의 필리핀 시민들이 아키노의 시민 불복종 운동에 참여하여 마르코스 정권에 대한 압력을 가했다.

필리핀 가톨릭 주교 회의(CBCP)는 리카르도 비달 추기경을 통해 선거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했으며,[51] 미국 상원도 같은 내용의 결의안을 통과시켰다.[36]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부정선거 의혹 보고가 "충격적"이라고 언급했지만, 필리핀 선거 "양측" 모두에서 부정행위가 있었다고 말했다.[47][48]

2월 22일에는 후안 폰세 엔릴레 국방 장관과 피델 라모스 참모총장 등이 선거 결과에 반대하며 "마르코스를 더 이상 대통령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아기날도 기지에 농성했다. 냉전 시기 반공주의를 내세운 마르코스의 후견인 역할을 했던 미국 정부도 이 시점에서 마르코스를 완전히 버렸다.

4. 군부의 이탈과 혁명의 전개

쿠데타 시도 실패 후, 후안 폰세 엔릴레 국방장관과 피델 라모스 참모총장은 필리핀군 부참모총장 및 필리핀 헌병대(현 필리핀 경찰청) 수장직에서 사임하고 마르코스 정부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62] 이들은 캠프 아기날도 국방부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를 발표했다.[64]

하이메 신 마닐라 추기경 대주교는 라디오 베리타스를 통해 시민들에게 캠프 크라메와 캠프 아기날도 사이의 EDSA로 가서 반군 지도자들을 지원할 것을 호소했다.[64] 많은 시민, 사제, 수녀들이 이에 호응하여 EDSA로 모여들었다.[64] 라디오 베리타스는 대중 봉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정부군이 주 송신기를 파괴했지만, 방송국은 대기 송신기를 이용해 반군 지원에 필요한 정보를 계속 제공했다.[65]

라디오 베리타스


EDSA에는 수십만 명의 비무장 시민들이 모여 축제 분위기 속에서 시위를 벌였다. 사람들은 ''바얀 코(Bayan Ko)'' (나의 조국)를 부르고 'LABAN' 표시를 하며 연대감을 표시했다.[67]

필리핀 해병대 부대가 탱크와 장갑차를 동원해 진압을 시도했지만, 묵주를 든 수녀들과 시민들이 막아서자 발포 없이 후퇴했다.[64] 2월 24일 새벽, 안토니오 소텔로 대령이 이끄는 필리핀 공군 필리핀 공군 제15 타격 비행단 소속 헬리콥터들이 캠프 크라메로 향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이미 반군에 합류한 상태였다.[71][72] 이들은 캠프 크라메에 착륙하여 군중들의 환영을 받았다.[64] 이는 "소텔로 착륙"으로 불리며, 군사적 상황이 마르코스에게 불리하게 돌아선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50]

피델 V. 라모스


같은 날, 벨 214 헬리콥터와 시코르스키 S-76 건쉽도 반군에 합류하여 엔릴레와 라모스의 사기를 북돋았다.[64] 필리핀 해병대는 캠프 크라메 공격을 준비했지만, 브라울리오 발바스 대령은 육군의 공격 명령을 여러 차례 거부하며 시간을 끌었다.[75]

2월 24일 늦은 오후, 소텔로가 지휘하는 제15 공격 비행단 소속 헬리콥터가 빌라모르 공군 기지를 공격하여 대통령 소유 항공기를 파괴하고, 말라카냥에 로켓을 발사했다.[71][72] 이후, 필리핀 육군 사관학교 (PMA) 출신 장교 대부분이 탈주하는 등 대다수의 군대가 시민들 편으로 돌아섰다.[64]

4. 1. 군부 내 개혁파의 쿠데타 시도

후안 폰세 엔릴레 국방장관과 피델 라모스 참모총장 등 군부 내 개혁파 인사들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부정부패와 권위주의 통치에 반발하여 쿠데타를 계획했다.[56] 이들은 정실주의 정치필리핀군 내 부패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쿠데타 계획은 말라카냥 궁전을 습격하여 마르코스를 체포하고, 주요 전략 시설을 장악하여 마르코스 충성 부대의 반격을 제한하는 것이었다.[57] 그러나 마르코스가 이들의 음모를 알게 되면서 체포 명령을 내렸고,[60] 이로 인해 엔릴레와 라모스는 캠프 아기날도와 캠프 크라메에 갇히게 되었다.[63]

4. 2. 시민들의 군부 지지

신 추기경은 라디오 베리타스 방송을 통해 시민들에게 군부 개혁파를 지지하고 보호해 줄 것을 호소했다.[64] 많은 시민들이 이 호소에 응답하여 EDSA 대로로 몰려들었다.

수십만 명의 비무장 시민들이 EDSA에 모여 인간 바리케이드를 형성하여 군부 개혁파를 보호했다. 거리 분위기는 매우 축제적이었으며, 온 가족을 데리고 온 사람들도 많았다. 공연자들이 군중을 즐겁게 했고, 수녀와 사제들이 기도회를 이끌었으며, 사람들은 EDSA와 산토란, 오르티가스 애비뉴 교차로 등 여러 곳에 바리케이드와 임시 모래주머니, 나무, 차량을 설치했다.[64]

4. 3. 군부의 마르코스 정권 이탈

캠프 아기날도


선거 후 부정 의혹이 드러나자 후안 폰세 엔릴레 국방장관과 피델 V. 라모스 중장 등은 개혁군 무브먼트(RAM)를 조직해 쿠데타를 계획했다.[56] 그러나 마르코스가 이들의 음모를 알게 되면서 체포 위기에 놓이자, 엔릴레와 라모스는 필리핀군 부참모총장 및 필리핀 헌병대(현 필리핀 경찰청) 수장직에서 사임하고 마르코스 정부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62] 이들은 캠프 아기날도 국방부 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를 발표했다.[64]

하이메 신 추기경


하이메 신 마닐라 추기경 대주교는 라디오 베리타스를 통해 시민들에게 캠프 크라메와 캠프 아기날도 사이의 EDSA로 가서 반군 지도자들을 지원할 것을 호소했다.[64] 많은 시민, 사제, 수녀들이 이에 호응하여 EDSA로 모여들었다.[64]

라디오 베리타스는 대중 봉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정부군이 주 송신기를 파괴했지만, 방송국은 대기 송신기를 이용해 반군 지원에 필요한 정보를 계속 제공했다.[65]

EDSA에는 수십만 명의 비무장 시민들이 모여 축제 분위기 속에서 시위를 벌였다. 사람들은 ''바얀 코(Bayan Ko)'' (나의 조국)를 부르고 'LABAN' 표시를 하며 연대감을 표시했다.[67]

2017년 아기날도 진영의 게이트 2.


필리핀 해병대 부대가 탱크와 장갑차를 동원해 진압을 시도했지만, 묵주를 든 수녀들과 시민들이 막아서자 발포 없이 후퇴했다.[64]

2월 24일 새벽, 안토니오 소텔로 대령이 이끄는 필리핀 공군 필리핀 공군 제15 타격 비행단 소속 헬리콥터들이 캠프 크라메로 향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이미 반군에 합류한 상태였다.[71][72] 이들은 캠프 크라메에 착륙하여 군중들의 환영을 받았다.[64] 이는 "소텔로 착륙"으로 불리며, 군사적 상황이 마르코스에게 불리하게 돌아선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50]

같은 날, 벨 214 헬리콥터와 시코르스키 S-76 건쉽도 반군에 합류하여 엔릴레와 라모스의 사기를 북돋았다.[64]

필리핀 해병대는 캠프 크라메 공격을 준비했지만, 브라울리오 발바스 대령은 육군의 공격 명령을 여러 차례 거부하며 시간을 끌었다.[75] 역사가들은 이 순간을 마르코스가 필리핀 해병대에 대한 통제력을 잃은 시점으로 본다.[50]

2월 24일 늦은 오후, 소텔로가 지휘하는 제15 공격 비행단 소속 헬리콥터가 빌라모르 공군 기지를 공격하여 대통령 소유 항공기를 파괴하고, 말라카냥에 로켓을 발사했다.[71][72] 이후, 필리핀 육군 사관학교 (PMA) 출신 장교 대부분이 탈주하는 등 대다수의 군대가 시민들 편으로 돌아섰다.[64]

5. 결말

1985년 11월 3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미국 정부의 압박[35]으로 정기 대통령 선거보다 1년 앞당긴 조기 대통령 선거를 발표했다.[36] 이는 정규 바타상 팜반사에서 통과된 국가법 제883호로 합법화되었다.[37]

야당은 마르코스에 대항할 단일 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호세 W. 디오크노가 제안하고 편집한 기본 원칙에 동의했다.[38] 로렌조 M. 타냐다의 말처럼, 이는 단일 후보 합의를 신속하게 이끌었다. 대통령 후보로는 호세 W. 디오크노, 부츠 아키노, 자비토 살롱가, 에바 에스트라다-칼라우, 살바도르 라우렐, 암브로시오 파디야, 아킬리노 피멘텔 주니어, 라울 망글라푸스, 라몬 미트라 등 전 상원 의원들이 거론되었다.[39]

자비토 살롱가 (자유당 살롱가 파 지도자): 대통령 후보 지명 전 보이콧 운동 주도


국민 민주 연합(UNIDO) 소속 에바 에스트라다-칼라우와 살바도르 라우렐을 제외한 후보들은 단결 선언과 기본 원칙에 서명했다. 에바 에스트라다-칼라우는 이후 사퇴하고 부통령 후보로 나섰다.[41] 치노 로세스 등은 자비토 살롱가와 살바도르 라우렐의 대중성에 의문을 제기했다.[42]

결국 UNIDO와 다른 연합은 코라손 아키노를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고, 로세스 등이 주도하는 '대통령 후보 코리 아키노 운동(CAPM)'이 시작되었다. 니노이 아키노의 친구였던 살바도르 라우렐만이 유일하게 반대했지만, UNIDO는 그를 설득하여 코라손 아키노의 러닝메이트로 부통령 후보에 출마하게 했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아르투로 톨렌티노를 킬루상 바고 리푸난(KBL) 정당의 러닝메이트로 지명했다.[37]

선거 후 부정 의혹 속에서 개혁군 무브먼트(RAM)는 쿠데타를 계획했다.[56] 이들은 말라카냥 궁전을 습격, 마르코스를 체포하고 주요 시설을 장악하려 했다.[57] 2월 20일, RAM은 코라손 아키노에게 쿠데타 계획을 알리고 엔릴레, 라모스, 신 추기경 등이 이끄는 섭정을 구성할 것이라 알렸지만, 코라손 아키노는 거절했다.[58]

2월 21일, 필리핀 해병대는 엔릴레의 쿠데타 및 암살 시도 정보를 입수하고 조사했다. 그 결과, 쿠데타 당일 해병대 지휘권을 무력화하려는 음모가 확인되었다.[58][59] 다음 날, 엔릴레는 경호원 행방 관련 전화를 받고 연루를 우려했다. 캠프 아기날도의 호나산 대령 등은 누에바 에시자에서 제1 보병대대 이동 등 이례적 병력 배치를 확인, 베르 장군이 이미 말라카냥 궁전 보호 조치를 취한 것으로 판단했다.[58]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음모를 탐지하고 지도자 체포를 명령,[60] 체포된 이들을 언론에 공개했다.[61] 후안 폰세 엔릴레와 쿠데타 공모자들은 피델 V. 라모스에게 도움을 요청, 라모스는 지원을 결정하고 신 추기경에게도 지지를 구했다.[62] 2월 22일 오후 6시 30분, 엔릴레라모스는 캠프 아기날도에서 기자 회견을 통해 사임 및 지지 철회를 발표했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항복을 촉구하는 기자 회견을 열었다.[64]

신 추기경은 2월 22일 오후 9시경 라디오 베리타스를 통해 캠프 크라메와 캠프 아기날도 사이 EDSA로 가서 반군을 도울 것을 촉구했다.[64] 라디오 베리타스는 대중 봉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프란시스코 네멘조 전 필리핀 대학교 총장은 "라디오 베리타스 없이는 수백만 명 동원이 어려웠을 것"이라고 평가했다.[65]

5. 1. 마르코스의 하와이 망명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코라손 아키노를 지지하는 민중들과 미국 정부의 압력으로 1986년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하고, 1986년 2월 25일 하와이로 망명했다.[83] 마르코스는 미국 공군 헬리콥터를 통해 클라크 공군 기지로 이동한 뒤, C-9A 나이팅게일과 C-141B 스타리프터 비행기를 타고 을 거쳐 하와이 히캄 공군 기지에 도착했다.[10][64][83] 미국 정부는 마르코스 일가가 수백만 달러 상당의 보석, 금, 주식, 현금을 가지고 입국했다고 기록했다.[10][64]

마르코스 가족의 망명 소식이 알려지자, 멘디올라의 시위대는 말라카냥 궁전을 습격하기도 하였다.[64] 마르코스 망명 이후, 필리핀 임시 정부는 말라카냥 궁전을 장악하고 마르코스 일가의 불법 축재를 회수하기 위한 빅 버드 작전을 시작했다.[85][86]

CBS 앵커 밥 시몬은 "우리 미국인들은 우리가 필리핀인들에게 민주주의를 가르쳤다고 생각하고 싶어합니다. 글쎄요, 오늘 밤 그들이 세계를 가르치고 있습니다."라고 보도하며 필리핀 국민들의 용기를 칭찬했다.[64]

5. 2.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 취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하와이로 망명하고 코라손 아키노가 6년 단임의 새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35] 1986년 2월 25일, 코라손 아키노는 캠프 크라메에서 약 1km 떨어진 그린힐스의 클럽 필리피노에서 간단한 취임식을 갖고 필리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그녀는 대법관 클라우디오 티한키에게 대통령 선서를 했고, 로렐은 대법관 빈센테 아바드 산토스에게 부통령 선서를 했다. 아키노가 선서할 때 사용한 성경은 니노이 아키노의 어머니이자 시어머니인 아우로라 아키노가 들고 있었다. 취임식에는 당시 장군으로 진급한 라모스와 엔릴레, 그리고 많은 정치인들이 참석했다.[64]

1986년 2월 25일, 제11대 필리핀 대통령으로 취임한 코라손 아키노, 삼파기타 홀(현재의 칼라얀 홀)에서


클럽 필리피노 밖, EDSA까지 수백 명의 사람들이 환호하며 축하했다. 아키노의 취임 후에는 ''바얀 코''(애국가, 시위의 비공식 국가)가 불려졌다. 많은 사람들이 아키노의 대통령 선거 운동 색깔인 노란색 옷을 입었다.

취임 직후, 아키노는 임시 헌법인 포고령 제3호를 발표하여 필리핀 혁명 정부를 수립했다. 이 법령은 1986년 자유 헌법을 공포했는데, 이는 그 시점까지 유효했던 1973년 헌법의 다양한 조항을 유지하거나 대체했다. 이를 통해 아키노는 행정 및 입법 권한을 모두 행사할 수 있었고, 그녀의 첫 번째 조치 중 하나는 보다 영구적인 헌법 제정을 위한 국민투표와 1987년까지 새로운 의회 설립을 보류한 채 바타상 팜반사(1984년에 정식으로 선출된 단원제 입법부)를 일방적으로 폐지한 것이었다.[90]

6. 혁명 이후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취임 직후 임시 헌법인 포고령 제3호를 발표하여 필리핀 혁명 정부를 수립하고, 1986년 자유 헌법을 공포했다.[90] 이를 통해 아키노는 행정 및 입법 권한을 모두 행사하며 바타상 팜반사(1984년에 정식으로 선출된 단원제 입법부)를 폐지했다.[90]

피플 파워 혁명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군 개혁 운동 지도자들을 포함하여 아키노의 집권에 불만을 품은 세력이 있었고, 이들은 아키노 임기 동안 코라손 아키노에 대한 쿠데타 시도를 여러 차례 감행했다.[91]

이 혁명은 대만, 대한민국 등 다른 국가의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1989년 혁명을 통해 소련 블록의 공산주의 몰락과 냉전 종식에 간접적으로 기여했다. 또한 언론의 자유 회복, 이전 정권에 의해 시행된 억압적인 법률 폐지, 1987년 헌법 채택, 군의 민간 통제 하에 종속 등의 결과로 이어졌다.[92]

6. 1. 제2차, 제3차 에드사 혁명

1986년 대선 이후, 조지프 에스트라다가 대통령이 되었으나 부정부패로 인해 국민들의 반감을 사면서 제2차 에드사 혁명이 일어났다.[95] 2001년 4월 30일에는 제3차 EDSA 혁명이 일어났다.[95] 결국 에스트라다는 축출되고 글로리아 마카파갈아로요가 대통령이 되었다.[95] 이 혁명을 통해 필리핀에서는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으며, 필리핀 대중의 힘 정권은 막을 내리고 자유당 정권이 다시 들어섰다.

6. 2. 민주주의의 회복과 발전

에드사 혁명은 1987년 필리핀 헌법 채택을 통해 필리핀의 민주주의 제도 회복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 혁명은 13년간 이어진 권위주의 통치를 종식시키고, 다양한 집단이 뿌리 깊은 정치 가문에 도전하며 필리핀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93]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취임 직후 임시 헌법인 포고령 제3호를 발표, 필리핀 혁명 정부를 수립했다.[90] 아키노 대통령은 행정 및 입법 권한을 모두 행사하며 바타상 팜반사를 폐지했다.[90]

에드사 혁명은 대한민국대만 등 다른 국가의 민주화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언론의 자유 회복, 억압적인 법률 폐지, 군의 민간 통제 종속 등에도 기여했다.[92]

6. 3. 마르코스 가문의 정치적 부활 시도와 역사 왜곡 논란

마르코스 가족은 망명 이후에도 필리핀 정치에 복귀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 이멜다 마르코스와 그녀의 자녀들인 봉봉 마르코스와 이메 마르코스는 1990년대에 정부 직책을 다시 얻었다.[96][97] 봉봉 마르코스는 2016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레니 로브레도에게 패배했지만, 2022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여 마르코스 가문은 36년 만에 말라카냥으로 복귀했다.[98][99][100][101]

이와 더불어 마르코스 독재 시절의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미화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논란이 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이를 체계적인 거짓말과 허위 정보의 확산으로 보고 있다.[96][97] 2024년 2월 25일, EDSA 혁명 38주년 기념식에서 헌장 개정 반대 투쟁이 이어졌으며, "우리는 EDSA-pwera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피플 파워는 EDSA만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라고 마르코스 및 계엄령 복귀 반대 운동(CARMMA)은 말했다.[102][103]

7. 영향 및 유산

에드사 혁명은 비폭력 시민 저항을 통해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주의를 회복한 성공적인 사례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 혁명은 전 세계의 민주화 운동에 영감을 주었으며, 특히 한국의 1987년 6월 민주항쟁과 유사한 점이 많아 한국 사회에서도 큰 관심을 받았다.

피플 파워 혁명은 유혈 사태가 아닌 평화로운 시위를 통한 정부 교체를 촉구하는 데 영감을 주었다. 그 이후 필리핀의 비폭력 정권 교체 사례를 따라 동독구 소련 블록 국가들에서 유사한 혁명들이 많이 일어났으며, 이들 대부분은 1989년 냉전 종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94]

조셉 에스트라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만연한 부패는 2001년 EDSA 혁명으로 이어져 그의 대통령직 사임을 이끌었다. 1월 20일 정오 무렵, 다비데는 에스트라다의 헌법적 후임자인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부통령에게 취임 선서를 했다. 몇 시간 후, 에스트라다와 그의 가족은 말라카냥을 탈출했다.[95]

혁명이 마르코스 독재 정권을 부인했음에도 불구하고, 마르코스 가족은 대부분 연구자들이 체계적인 거짓말과 허위 정보의 확산이라고 여기는 것을 통해 필리핀에서 정치적 입지를 서서히 회복했다.[96][97] 이멜다 마르코스와 그녀의 자녀 봉봉 마르코스와 이메 마르코스는 1990년대에 정부에서 직책을 다시 얻었다. 봉봉 마르코스는 2022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에서 필리핀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마르코스 가문이 36년 만에 말라카냥으로 복귀했음을 알렸다.[100][101]

EDSA 혁명 기념일은 필리핀의 특별한 공휴일이다. 2002년부터 이 휴일은 특별한 비근무일로 지정되었다.[104][105] 하지만, 봉봉 마르코스 대통령이 발표한 2024년 공휴일 목록에는 포함되지 않았는데, 이는 "일요일에 해당"하며[106] 대부분의 근로자에게 휴식일로 간주되기 때문이며, 기념일에 대한 존중을 유지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107][108]

EDSA를 따라 세 곳의 기념 장소가 피플 파워 혁명을 기념하며, 다양한 단체들이 피플 파워 혁명의 여러 측면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109]


  • 평화의 여왕, EDSA의 성모 마리아 성지, EDSA 성지로 더 잘 알려져 있음
  •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
  • 피플 파워 기념비


1986년 2월 몇 달 후, 여러 예술가들이 출연하는 뮤직 비디오 "''Handog ng Pilipino Sa Mundo''"가 발표되었다. 이 곡은 아포 하이킹 소사이어티의 가수 짐 파레데스가 작사했으며 수많은 예술가들이 공연했고, 계엄령 시대의 영웅들의 모습을 담았다.[110]

2003년에는 ''필리핀 피플 파워 혁명의 라디오 방송''이 유네스코(UNESCO)(유엔 교육 과학 문화 기구) 세계 기록 유산에 등재되었으며, 이는 유엔(UN)의 교육 및 과학 기구의 공식 기록 유산 목록이다.[111] 혁명을 지원하기 위해 방송된 라디오 녹음 음성 및 원고 등이 세계의 기억에 등록되어 있다.[113]

참조

[1] 뉴스 It was a convergence of various forces https://news.google.[...] 2014-08-04
[2] 뉴스 Left was at Edsa and long before https://news.google.[...] 2014-08-04
[3] 뉴스 Marcos' last days filled with errors and humiliation https://news.google.[...] 2014-08-04
[4] 웹사이트 G.R. No. 88211 https://www.lawphil.[...] 2021-02-26
[5] 간행물 The 'Unfinished Revolution' in Philippine Political Discourse http://hdl.handle.ne[...] 2022-09-29
[6] 웹사이트 G.R. No. L-82380 April 29, 1988 – Ayer Production Pty. Ltd., Et Al. v. Ignacio M. Capulong, Et Al.: April 1988 – Philippine Supreme Court Decisions https://www.chanrobl[...]
[7] 웹사이트 Speech of President Corazon Aquino on the EDSA Flag Raising, February 25, 1987 | GOVPH https://www.official[...] 2021-02-26
[8] 간행물 The 'Yellow Revolution': Its Mixed Historical Legacy http://www.jstor.org[...]
[9] 웹사이트 The Original People Power Revolution http://www.stuartxch[...] QUARTET p. 77 2008-02-28
[10] 서적 Mahatma Gandhi at the Close of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Anmol Publications PVT. LTD. 2007-12-02
[11] 뉴스 The Rosary Miracle of the Philippines https://www.ncregist[...] 2024-10-22
[12] 웹사이트 Edsa people Power 1 Philippines http://www.stuartxch[...] Angela Stuart-Santiago 2007-12-03
[13] 문서 Lacsamana 1990
[14]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15] 웹사이트 Moro National Liberation Front https://web.stanford[...] Mapping Militant Organizations – Stanford university 2015-08-14
[16] 웹사이트 Declaration of Martial Law https://www.official[...] 2022-02-16
[17] 뉴스 Ninoy linked up with the Left to aid presidential ambition http://www.gmanetwor[...] 2010-08-18
[18] 웹사이트 JOSUE JAVELLANA, petitioner, vs. THE EXECUTIVE SECRETARY, THE SECRETARY OF NATIONAL DEFENSE, THE SECRETARY OF JUSTICE AND THE SECRETARY OF FINANCE, respondents. https://lawphil.net/[...] 1973-03-31
[19] 문서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 뉴스 Max Soliven recalls Ninoy Aquino: Unbroken http://asianjournalu[...] 2008-10-10
[21] 웹사이트 Heart-to-heart talks with Ninoy https://newsinfo.inq[...] 2011-08-21
[22] 문서 The best of times? Data debunk Marcos' economic 'golden years' https://news.abs-cbn[...]
[23] 웹사이트 Lakas Ng Bayan: The People's Power/EDSA Revolution 1986 https://www.ualberta[...] University of Alberta, Canada 2007-12-10
[24] 뉴스 Marcos plundered to 'protect' the economy? Makes no economic sense https://www.rappler.[...] 2017-09-11
[25]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26] 뉴스 The economic decline that led to Marcos' fall https://www.gmanetwo[...] 2019-02-18
[27] 뉴스 Martial law: costly lessons in economic development http://www.gmanetwor[...] 2009-09-21
[28] 웹사이트 Look Back: The Aquino assassination https://www.rappler.[...] 2021-07-06
[29] 문서 Dictatorship and Revolution: Roots of People's Power https://books.google[...] Conspectus Foundation Inc. 1988
[30] 서적 Unarmed Insurrections: People Power Movements in Nondemocraci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1] 웹사이트 Appendix: A History of the Philippine Political Protest | GOVPH https://mirror.offic[...]
[32] 웹사이트 'Government is always and only an instrument of the people.' – Jose W. Diokno https://www.esquirem[...] 2018-02-26
[33] 웹사이트 Martial Law and the Realignment of Political Parties in the Philippines (September 1972-February 1986): With a Case in the Province of Batangas https://kyoto-seas.o[...] 2019
[34] 웹사이트 The Urban Mass Movement in the Philippines, 1983-87 https://openresearch[...] 1990
[35] 뉴스 Election developments in the Philippines – President Reagan's statement – transcript http://findarticles.[...] US Department of State Bulletin, April 1986 2007-12-03
[36] 서적 Nonviolent Social Movements: A Geograph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1999
[37] 서적 The Philippines: Colonialism, collaboration, and resistance Basic Books
[38] 웹사이트 Pepe Diokno, when comes such another? https://philippinefo[...] 1987-03-02
[39] 뉴스 Aquino's Widow Seeks to Unite Marcos Foes https://www.nytimes.[...] 1984-12-16
[40] 웹사이트 Looking Beyond. Marcos https://www.nytimes.[...] 1984-01-08
[41] 웹사이트 Marcos Foes Announce Unity Platform https://www.nytimes.[...] 1984-12-27
[42] 웹사이트 Marcos Foes Striving for United Front https://www.latimes.[...] 1985-11-09
[43] 서적 A Force More Powerful: A Century of Non-Violent Conflict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1-10-05
[44] 서적 A Force More Powerful: A Century of Nonviolent Conflict https://books.google[...] Macmillan
[45] 웹사이트 iReport EDSA 20th Anniversary Special Issue | Dr. William Castro http://www.pcij.org/[...] Philippine Center for Investigative Journalism 2006-02
[46] 뉴스 1986 Comelec walkout not about Cory or Marcos http://www.rappler.c[...] 2013-02-26
[47] 뉴스 In Crucial Call, Laxalt Told Marcos: 'Cut Cleanly' https://www.washingt[...] 1986-02-26
[48] 뉴스 President's Statement, Feb. 11, 1986 http://findarticles.[...] US Department of State Bulletin, April 1986
[49] 서적 Unarmed Insurrections: People Power Movements in Nondemocracies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50] 웹사이트 The Fall of Dictatorship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Philippines) 2022-07-08
[51] 웹사이트 Post-Election Statement http://www.cbcponlin[...]
[52] 웹사이트 Speech of President Aquino at the anniversary of Tagumpay ng Bayan, February 16, 2012 (English translation) https://www.official[...] 2021-05-18
[53] 간행물 People Power and Political Opportunities: Social Movement Mobilization and Outcomes in the Philippines and Burma 1999
[54] 웹사이트 The road to EDSA https://www.philstar[...] 2021-05-18
[55] 뉴스 Transfer power to the people https://newsinfo.inq[...] 2015-02-23
[56] 웹사이트 The 3-Day Revolution: How Marcos Was Toppled https://www.latimes.[...] 1986-02-27
[57] 웹사이트 10 things to know about Gringo Honasan https://www.rappler.[...] 2015-10-12
[58] 웹사이트 The Final Report of the Fact-Finding Commission: IV: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Philippines: 1986 – 1987 {{!}} GOVPH https://www.official[...] National Printing Office 1990-10-03
[59] 뉴스 The real event that triggered EDSA I People Power https://biznewsasia.[...] BizNewsAsia 2022-02-05
[60] 서적 Militant Labor in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61] 웹사이트 Day One (EDSA: The Original People Power Revolution by Angela Stuart-Santiago) http://www.stuartxch[...]
[62] Youtube BWQHSJJ8OyE https://www.youtube.[...]
[63] 웹사이트 What was Edsa? https://opinion.inqu[...] 2016-02-25
[64] 서적 People Power: The Philippine Revolution of 1986: An Eyewitness History The James B. Reuter, S.J., Foundation
[65] 서적 Media and Politics in Pacific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66] 뉴스 Be a Keeper of the EDSA Flame https://www.inquirer[...] Inquirer.net 2016
[67] 서적 The Idea of Freedom in Asia and Afric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68] 서적 Flower in a Gun Barrel: The Untold Story of the Edsa Revolution https://books.google[...] L.R. Lizano
[69] 서적 The Rift Between America And Old Europe: the distracted eagle https://books.google[...] Routledge
[70] 간행물 Missiology: Some Reflections from Asian Contexts https://www.calvin.e[...] 2009
[71] 뉴스 Sotelo, the unhonored, unsung EDSA hero https://www.pressrea[...] 2013-03-02
[72] 뉴스 Air Force men recall defection from Marcos https://www.philstar[...] 2003-02-25
[73] 웹사이트 15SW History https://15thstrikewi[...] 2022-12-04
[74] 간행물 On the Scene: The Philippine Press Coverage of the 1986 Revolution https://books.google[...] Solar publishing Corp. 1987
[75] 서적 Closer than brothers: manhood at the Philippine Military Academy Anvil Publishing 1999
[76] 문서 Coup! in Veritas Special Edition 1986-10
[77] 뉴스 FM Declares national State of Emergency The Philippine Daily Express 1986-02-25
[78] 뉴스 Rebels, Marcos Contest Control of Philippines https://www.washingt[...] 1986-02-24
[79] 서적 Journal of an Unknown Knight https://books.google[...] Flipside Digital Content Company Inc. 2015-11-24
[80] 간행물 Imelda: Steel Butterfly of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5
[81] 서적 Reagan: the life https://books.google[...] Doubleday
[82] 서적 The Quartet of the Tiger Moon: Scenes from the People-Power Apocalypse Book Stop
[83] 간행물 The Other Side: How Soviets and Americans Perceive Each Other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1987
[84] 뉴스 Reagan and the Philippines: Setting Marcos Adrift https://www.nytimes.[...] 1989-03-19
[85] 웹사이트 The Fall of Marcos – Behind the Presidential Walls – After Marcos Abandons His Palace, Filipinos Shout, 'this is Ours Now!' http://www.nytimes.c[...] 1986-02-26
[86] 웹사이트 How was Palace steel safe opened? Who took missing bags of cash Marcoses brought to Hawaii? https://verafiles.or[...] 2022-07-14
[87] 웹사이트 People Power did not just happen at Edsa https://newsinfo.inq[...] 2022-02-25
[88] 웹사이트 Remembering People Power 1986 https://opinion.inqu[...] 2021-02-22
[89] 웹사이트 Cebu and the days leading to February 25, 1986 https://cebudailynew[...] 2021-02-25
[90] 서적 The Intent of the 1986 Constitution Writers Rex Book Store
[91] 웹사이트 Marcos' Legacy and the Philippine Military http://www.positivel[...] 2021-09-15
[92] 뉴스 People Power at 25: Long road to Philippine democracy https://www.bbc.co.u[...] 2011-02-25
[93] 간행물 Survival of an imperfect democracy in the Philippines 1999
[94] 웹사이트 Comment: Remembering the Philippine's People Power Revolution http://www.sbs.com.a[...]
[95] Youtube Estrada presidency, one of the Philippines' shortest https://www.youtube.[...] 2016-01-20
[96] 뉴스 30 Years After Revolution, Some Filipinos Yearn for 'Golden Age' of Marcos https://www.nytimes.[...] 2016-02-23
[97] 웹사이트 Propaganda web: Pro-Marcos literature, sites, and online disinformation linked https://news.abs-cbn[...] 2020-12-12
[98] 웹사이트 Robredo widens lead over Marcos in recount in 3 pilot provinces https://www.rappler.[...] 2019-10-18
[99] 웹사이트 Marcos declares presidential bid https://manilastanda[...] 2021-10-06
[100] 뉴스 Marcos family once ousted by uprising wins Philippines vote in landslide https://www.washingt[...] 2022-05-10
[101] 뉴스 Ferdinand Marcos Jr triumphs in Philippines presidential election https://www.theguard[...] 2022-05-09
[102] 뉴스 38 years after EDSA, Filipinos commemorate People Power, oppose Cha-cha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24-02-13
[103] 뉴스 On 38th People Power anniversary, NHCP vows to remember EDSA 'holiday or not' https://news.abs-cbn[...] "[[ABS-CBN News and Current Affairs]]" 2024-02-25
[104] PH act Declaring the Regular Holidays, Special (Non-working) Days, and Special Holiday (for All Schools) for the Year 2012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Philippines 2011-11-24
[105] PH act Declaring the Regular Holiday Special (Non-working) Days, and Special Holiday (for All Schools) for the Year 2010 http://www.laborlaw.[...] Philippine Labor Laws 2009-07-21
[106] 웹사이트 Palace explains why Feb. 25 not in 2024 holidays list https://news.abs-cbn[...] ABS-CBN News 2023-10-13
[107] 뉴스 Palace bares list of holidays for 2024 https://www.pna.gov.[...] 2023-10-13
[108] 간행물 Declaring the Regular Holidays and Special (Non-working) Days for the Year 2024 https://pco.gov.ph/w[...] Official Gazette of the Philippines 2023-10-11
[109] 서적 Taming people's power: the EDSA revolutions and their contradictions 2013
[110] 웹사이트 'Handog ng Pilipino sa Mundo' was composed in three minutes https://sg.style.yah[...] 2011-02-26
[111] 웹사이트 Radio Broadcast of the Philippine People Power Revolution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www.unesco.or[...]
[112] Wayback アキノ元比大統領が死去 ピープルパワー革命の中心 http://www.47news.jp[...] 47NEWS 2013-11-11T10:30:28
[113] Youtube Radio Broadcast of the Philippine People Power Revolution http://www.unesco.or[...] UNES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