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늘의 여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늘의 여왕은 고대 수메르, 셈족, 이집트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숭배된 여신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수메르 신화의 이난나, 서아시아 지역의 아스타르테, 이집트의 이시스 등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사랑, 전쟁, 풍요, 다산, 그리고 때로는 하늘과 관련된 속성을 지닌다. 히브리 성경에서는 "하늘의 여왕" 숭배가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전 고대의 신 - 인테르프레타티오 그라이카
    인테르프레타티오 그라이카는 고대 로마인들이 타 문화권의 신들을 로마 신들과 연결하여 이해하려던 현상으로, 로마 제국의 종교적, 문화적 융합 정책의 일환이었다.
  • 고전 고대의 신 - 알지못하는 신
    알지 못하는 신은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인간의 언어와 지식으로 완전히 파악할 수 없는 초월적인 존재를 의미하며, 바울의 아테네 설교, 로마 시대의 제단, 신플라톤주의의 '하나'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현대 사회에서는 불안과 희망을 투영하는 매개체로 활용된다.
  • 하늘의 여왕 - 아세라
    아세라는 고대 근동에서 숭배된 여신으로,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며 나무와 연관되어 숭배되었고,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역할로 해석되며, 히브리인들에 의해 숭배되기도 했으나 이교의 우상신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 하늘의 여왕 - 이슈타르
    이슈타르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숭배받던 강력한 여신으로, 수메르 문명에서는 이난나로 불렸으며 사랑, 풍요, 전쟁, 정의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고 금성과 동일시되었으며, 여덟 개의 뾰족한 별, 로제트 매듭, 사자 등으로 상징된다.
  • 예레미야서 - 바빌론 유수
    기원전 6세기 초 신바빌로니아 제국에 의해 유다 왕국이 멸망하면서 유대인들이 바빌론으로 강제 이주된 바빌론 유수는 유대인들이 바빌로니아 문화에 영향을 받는 동시에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유대교를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유대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예레미야서 - 에벳멜렉
    에벳멜렉은 성경에 등장하는 구스 출신 환관으로, 예레미야를 구덩이에서 구해내어 불의에 맞서는 정의로운 인물로 묘사되며, 예레미야서의 핵심 주제인 하나님께 대한 순종을 실천한 사례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하늘의 여왕
개요
다른 이름하늘 여신
하늘 어머니
설명고대 지중해와 근동의 종교에서 숭배된 다양한 고대 하늘 여신들에게 주어진 칭호
역할모성
자비
보호

2. 이난나 (Inanna)

이난나는 수메르 신화에서 사랑과 전쟁의 여신으로, 하늘의 여왕으로 불렸다.[31][40] 인간과 동물의 짝짓기와 다산에 영향을 미쳤지만,[1] 어머니 여신은 아니었으며 출산과는 거의 관련이 없었다.[31] 이난나는 비와 폭풍,[32] 그리고 행성 금성과도 관련이 있었다.[2] 기원전 17세기 중반경에 편찬된 아미사두카의 금성 점토판은 금성을 "하늘의 밝은 여왕"으로 언급했다.[3][4][5][6][7][8][9]

아카드어 원통형 인장으로 사자 등에 발을 얹고 있는 여신 이난나와 그 앞에서 경의를 표하는 닌슈부르, 기원전 2334-2154년경 묘사


'하늘의 여왕'이라는 칭호는 고대 시대에 여러 여신들에게 종종 적용되었지만, 이난나는 이 칭호가 가장 많이 부여된 여신이다.[40] 이난나의 이름은 고대 수메르어로 "하늘의 여왕"을 의미하는 ''닌-안나''에서 유래되었다.[10]

몇몇 신화에서 이난나는 달의 신 난나의 딸로 묘사되지만,[11] 다른 텍스트에서는 엔키 또는 안의 딸로 묘사되기도 한다.[12][13][14] 수메르에서 이난나는 기원전 3천 년기에 "하늘의 여왕"으로 칭송받았다.[45] 북쪽의 아카드 제국에서는 이슈타르로 숭배되었다. 수메르의 ''이난나의 저승 하강''에서 이난나는 저승의 가장 바깥쪽 문에서 도전을 받을 때, "나는 이난나, 하늘의 여왕, 동쪽으로 가는 길에 있다"라고 대답한다.[17]

2. 1. 수메르 신화에서의 이난나

이난나는 수메르 신화에서 사랑과 전쟁의 여신으로, 하늘의 여왕으로 불렸다.[31][40] 인간과 동물의 짝짓기와 다산에 영향을 미쳤지만,[1] 어머니 여신은 아니었으며 출산과는 거의 관련이 없었다.[31] 이난나는 비와 폭풍,[32] 그리고 행성 금성과도 관련이 있었다.[2] 기원전 17세기 중반경에 편찬된 아미사두카의 금성 점토판은 금성을 "하늘의 밝은 여왕"으로 언급했다.[3][4][5][6][7][8][9]

'하늘의 여왕'이라는 칭호는 고대 시대에 여러 여신들에게 종종 적용되었지만, 이난나는 이 칭호가 가장 많이 부여된 여신이다.[40] 이난나의 이름은 고대 수메르어로 "하늘의 여왕"을 의미하는 ''닌-안나''에서 유래되었다.[10]

몇몇 신화에서 이난나는 달의 신 난나의 딸로 묘사되지만,[11] 다른 텍스트에서는 엔키 또는 안의 딸로 묘사되기도 한다.[12][13][14] 수메르에서 이난나는 기원전 3천 년기에 "하늘의 여왕"으로 칭송받았다.[45] 북쪽의 아카드 제국에서는 이슈타르로 숭배되었다. 수메르의 ''이난나의 저승 하강''에서 이난나는 저승의 가장 바깥쪽 문에서 도전을 받을 때, "나는 이난나, 하늘의 여왕, 동쪽으로 가는 길에 있다"라고 대답한다.[17]

2. 2. 이슈타르 (Ishtar) 숭배

이난나는 수메르 신화에서 사랑과 전쟁의 여신으로, 인간과 동물의 교미와 번식에 관여했지만, 어머니 신은 아니며 출산에 관여하는 경우는 드물었다.[31] 이난나는 , 폭풍금성과도 관련이 있었다.[32] Venus tablet of Ammisaduqa영어은 기원전 17세기 중반경에 편찬된 것으로, 금성을 "빛나는 하늘의 여왕"이라고 불렀다.[33][34][35][36][37][38][39]

하늘의 여왕이라는 칭호는 고대 시대에 걸쳐 여러 여신에게 사용되었지만, 이난나는 이 칭호를 가장 많이 받은 인물이다. 이난나의 이름은 고대 수메르어로 "하늘의 여주인"을 의미하는 "Nin-anna"(닌 안나)에서 유래했다.[40] (NIN은 귀부인, AN은 "하늘"을 의미한다.) 일부 신화에서 이난나는 고대 수메르의 달의 신 난나의 딸로, 다른 문헌에서는 엔키나 안의 딸로 그려지기도 한다.[42][43][44]

수메르에서 이난나는 기원전 3000년경 "하늘의 여왕"으로 불렸다. 북부 아카드에서는 이슈타르로 숭배되었다. 수메르인의 서사시 『이난나의 저승 하강』에서 이난나는 저승의 가장 바깥쪽 문에서 도전을 받았을 때 "나는 이난나, 하늘의 여주인입니다. 나는 동쪽으로 가는 길입니다."라고 대답했다.[45]

3. 아스타르테 (Astarte)

예레미야가 그토록 격렬하게 반대했던, 하늘의 여왕으로 불린 여신은 아스타르테였을 가능성이 있다. 아스타르테는 북서부 셈어 지역에서 알려진 여신의 이름으로, 메소포타미아 문서에 등장하는 여신 이쉬타르와 이름, 기원 및 기능이 유사하다. 다른 음역으로는 ''‘아쉬타르트’''가 있으며, 이 여신에 대한 다른 이름으로는 히브리어 עשתרת(음역: ''아슈토레트''), 우가리트어 ''‘ṯtrt'' (''‘아타르트'' 또는 ''‘아타르트''라고도 함), 아카드어 D''아스-타르-투''(''아스타르투''라고도 함) 및 에트루리아어 ''유니-아스트레''(피르기 정제)가 있다.

아스타르테는 비옥함, 성 및 전쟁과 관련이 있었다. 그녀의 상징은 사자, , 스핑크스, 비둘기, 그리고 금성을 나타내는 원 안의 별이었다. 그림 묘사에서는 종종 그녀가 나체로 묘사된다. 아스타르테는 그리스인들에 의해 아프로디테라는 이름으로 받아들여졌다. 아스타르테의 가장 큰 신앙 중심지 중 하나인 키프로스 섬은 아프로디테의 가장 흔한 별명인 키프리스라는 이름을 제공했다.

수레를 탄 아스타르테, 수레 지붕에서 뻗어 나온 네 개의 가지, 시돈에서 발행된 율리아 마이아사의 주화 뒷면


3. 1. 아스타르테 숭배와 상징

아스타르테는 북서부 셈어 지역에서 알려진 여신의 이름으로, 메소포타미아 문서에 등장하는 여신 이쉬타르와 이름, 기원 및 기능이 유사하다. 다른 음역으로는 ''‘아쉬타르트’''가 있으며, 히브리어 עשתרת(음역: ''아슈토레트''), 우가리트어 ''‘ṯtrt'' (''‘아타르트'' 또는 ''‘아타르트''라고도 함), 아카드어 D''아스-타르-투''(''아스타르투''라고도 함) 및 에트루리아어 ''유니-아스트레''(피르기 정제)등으로 불렸다. 예레미야가 격렬하게 반대했던, 하늘의 여왕은 아스타르테였을 가능성이 있다.

아스타르테는 비옥함, 성 및 전쟁과 관련이 있었다. 그녀의 상징은 사자, , 스핑크스, 비둘기, 그리고 금성을 나타내는 원 안의 별이었다. 그림 묘사에서는 종종 그녀가 나체로 묘사된다. 아스타르테는 그리스인들에 의해 아프로디테라는 이름으로 받아들여졌다. 아스타르테의 가장 큰 신앙 중심지 중 하나인 키프로스 섬은 아프로디테의 가장 흔한 별명인 키프리스라는 이름을 제공했다.

3. 2. 히브리 성경에서의 언급

"하늘의 여왕"은 히브리 성경에 언급되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아나트, 아스타르테 또는 이슈타르, 아스토레트 등 다양한 여신 또는 복합적인 인물과 연관되어 왔다.[19] "하늘의 여왕" (מלכת השמיםhe, ''Malkath haShamayim'')에 대한 숭배는 예언자가 그러한 종교적 숭배를 비난하고, 이것이 야훼가 그의 백성을 그 땅에서 제거하겠다고 선언하는 원인이라고 언급한 예레미야서에 기록되어 있다.[20][21]

예레미야는 이스라엘 백성이 유다 성읍들과 예루살렘 거리에서 하늘의 여왕을 숭배하는 것을 강하게 비판했다.[49] 그는 아들들이 나무를 줍고, 아비들이 불을 피우며, 부녀들이 가루를 반죽하여 하늘의 여왕을 위한 과자를 만들고, 다른 신들에게 전제를 부어 야훼를 격노케 한다고 묘사했다.[22][23]

이에 대해, 자기 아내가 다른 신에게 분향하는 것을 아는 모든 남자와, 큰 무리를 이룬 모든 여자, 그리고 이집트와 상 이집트에 살고 있는 모든 백성은 예레미야에게 자신들은 하늘의 여왕에게 분향하고 전제를 바칠 것이라고 반박했다.[50][51] 그들은 과거에 하늘의 여왕을 숭배했을 때 음식이 풍족하고 아무런 해를 입지 않았지만, 숭배를 멈춘 이후로 모든 것을 잃고 칼과 기근으로 죽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52]

기원전 6~7세기경 당시 이집트에는 엘레판틴에 있는 유대인 공동체의 중심이었던 야훼의 성전이 있었는데, 그곳에서는 여신 아나트(성전 파피루스에는 아나트-베델과 아나트-이아후로도 불림)와 함께 야훼를 숭배했다.[24]

여신 아세라, 아나트, 아스타르테는 우가릿 (현대 시리아 라스 샴라) 도서관 폐허에서 발견된 점토판에서 뚜렷하고 분리된 신으로 나타난다.[25][26] 그러나 일부 성경 학자들은[46] 특히 "하늘의 여왕"이라는 칭호 아래 이 여신들을 하나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존 데이는 기원전 1000년의 텍스트에서 아세라 한 명만을 '하늘의 여왕'으로 지칭하거나, 특히 그녀를 하늘과 연관시키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54]

4. 이시스 (Isis)

태양관을 쓴 이시스의 청동 부조 (기원전 2세기)


이시스가 아들을 돌보는 조각상. 루브르 박물관 소장.


아풀레이우스가 쓴 하늘의 여왕은 이시스를 말한다.


이시스는 이집트에서 처음으로 숭배되었다.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가 기원전 5세기에 쓴 것처럼, 이시스는 모든 이집트인이 숭배했던 유일한 여신이었으며[56], 그녀의 광범위한 영향력은 그리스 여신 데메테르와 동일시된다[57].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이집트 정복 이후, 그리고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가 시작한 이집트 문화의 헬레니즘화를 거쳐 그녀는 결국 '하늘의 여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9]

아풀레이우스는 그의 소설 ''황금 당나귀''의 11권 47장에서 이를 확인하는데, 그의 등장인물이 "하늘의 여왕"에게 기도한다. 여신은 그의 기도에 응답하여, 자신이 하늘의 여왕이자 이시스임을 명시적으로 밝히는 긴 독백을 한다.

그러자 눈물을 흘리며 나는 이 강력한 여신에게 기도를 올렸다. "오, 복되신 하늘의 여왕이시여..."

그리하여, 아라비아의 비옥한 향기를 내뿜는 신성한 모습이, 그녀의 신성한 목소리로 나에게 이러한 말씀을 하시니, "보라, 루키우스여, 내가 왔노라. 너의 눈물과 기도가 나를 감동시켜 너를 돕게 하였노라. 나는 만물의 어머니이며, 모든 요소의 여주인이자 지배자이며, 세상의 시초요, 신성한 힘의 우두머리, 하늘의 여왕이니... 고대 학문에 뛰어난 이집트인들은 그들의 고유한 의식으로 나를 숭배하며, 나를 이시스 여왕이라 부르느니라."[30]

4. 1. 이시스 숭배의 확산

이시스는 처음에는 이집트에서 숭배받았다. 기원전 5세기에 글을 쓴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이시스가 모든 이집트인들이 숭배하는 유일한 여신이었으며,[27] 그 영향력이 매우 널리 퍼져 혼합주의로 그리스 여신 데메테르와 동일시되었다고 기록했다.[28]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이집트 정복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가 시작한 이집트 문화의 헬레니즘화를 거쳐 이시스는 '하늘의 여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9] 아풀레이우스는 그의 소설 ''황금 당나귀''에서 "하늘의 여왕"에게 기도하는 등장인물의 기도를 통해 이시스가 하늘의 여왕임을 확인했다.[30]

4. 2. 하늘의 여왕으로서의 이시스

이시스는 처음에는 이집트에서 숭배받았다. 기원전 5세기에 글을 쓴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이시스가 모든 이집트인들이 숭배하는 유일한 여신이며, 그 영향력이 매우 널리 퍼져 혼합주의로 그리스 여신 데메테르와 동일시되었다고 기록했다.[27][28][56][57]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이집트 정복과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가 시작한 이집트 문화의 헬레니즘화를 거쳐 이시스는 '하늘의 여왕'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9]

로마 시대 작가 아풀레이우스는 그의 소설 ''황금 당나귀'' 11권에서 주인공이 "하늘의 여왕"에게 기도하자, 이시스가 직접 나타나 자신이 하늘의 여왕이라고 밝히는 장면을 묘사했다.[30]

5. 한국의 관점

5. 1. 여성성과 권력

5. 2. 종교와 문화의 다양성

5. 3. 우상 숭배와 비판적 사고

"하늘의 여왕"은 히브리 성경에 언급된 존재로, 여러 학자들은 "하늘의 여왕"을 아나트, 아스타르테 또는 이슈타르, 아스토레트 등 다양한 여신, 혹은 이들이 혼합된 복합적인 인물과 연관 짓는다.[19] 예레미야서에는 "하늘의 여왕" (Malkath haShamayim/מלכת השמיםhe)에 대한 숭배가 기록되어 있는데, 예언자는 이러한 종교적 숭배를 야훼의 분노를 일으키는 우상 숭배로 비판하며, 야훼가 그의 백성을 그 땅에서 제거하겠다고 선언하는 원인이라고 언급한다.[20][21]

예레미야는 유다 성읍들과 예루살렘 거리에서 벌어지는 하늘의 여왕 숭배 행위를 지적하며, 백성들이 나무를 줍고 불을 피우며 가루를 반죽하여 하늘의 여왕을 위한 과자를 만들고 다른 신들에게 전제를 붓는다고 기록했다.[22][23]

이에 대해 백성들은 예레미야에게 자신들은 하늘의 여왕에게 분향하고 전제를 바치는 것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한다. 그들은 과거 하늘의 여왕을 숭배했을 때에는 풍족하고 평안했으나, 숭배를 멈춘 이후로는 모든 것을 잃고 칼과 기근으로 죽어가고 있다고 주장했다.[22][23]

기원전 6~7세기경 엘레판틴의 유대인 공동체는 야훼의 성전을 중심으로 아나트(성전 파피루스에는 아나트-베델과 아나트-이아후로도 불림)와 함께 야훼를 숭배했다.[24] 우가릿 (현대 시리아 라스 샴라)에서 발견된 점토판에는 여신 아세라, 아나트, 아스타르테가 뚜렷하게 분리된 신으로 나타나지만,[25][26] 대부분의 성경 학자들은 이 여신들을, 특히 "하늘의 여왕"이라는 칭호 아래 하나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참조

[1] 서적 Voices From the Clay: the development of Assyro-Babylonian Literatur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65
[2] 서적 The Treasures of Darkness: a History of Mesopotamian Religion. Yale University Press 1976
[3] 학위논문 The Exact Transmission of Texts in the First Millennium B.C.E. http://ses.library.u[...] University of Sydney, Department of Hebrew, Biblical and Jewish Studies 2009
[4] 서적 Science awakening II: the birth of astronom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1-01-10
[5] 서적 Worlds Fantastic, Worlds Familiar: A Guided Tour of the Solar Syste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4-22
[6] 서적 Scientists confront Velikovsky Cornell University Press 1977
[7] 서적 The Transits of Venus University of Michigan 2004
[8] 서적 The Dawn of Astrology: The ancient and classical world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8
[9] 서적 Dilmun Culture https://books.google[...] National Council of Culture and the Arts 2020-04-25
[10] 문서 Inanna: Queen of Heaven and Earth - a modern, poetic reinterpretation of Inanna myths
[11] 서적 Inanna: Queen of Heaven and Earth: Her Stories and Hymns from Sumer Harper &Row, Publishers 1983
[12] 웹사이트 Inana's descent to the nether world: Translation http://etcsl.orinst.[...]
[13] 웹사이트 Inana and Enki: Translation http://etcsl.orinst.[...]
[14] 웹사이트 Inana and Ebih: Translation http://etcsl.orinst.[...]
[15] 간행물 Inanna-Ishtar as Paradox and a Coincidence of Opposites 1991-02
[16] 간행물 On the Alleged "Pre-Sumerian Substratum" 1999
[17] 서적 Inanna: Queen of Heaven and Earth: Her Stories and Hymns from Sumer Harper and Row, Publishers 1983
[18] 간행물 Babylon and Rome 1941-10-15
[19] 서적 Jeremiah 26-52, Volume 27 https://books.google[...] Zondervan Academic 2018-05-29
[20] 웹사이트 Biblegateway, Jeremiah 7, 17 http://www.biblegate[...]
[21] 서적 A Book of Jeremiah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80-09-12
[22] 웹사이트 Biblegateway, Jeremiah 44 http://www.biblegate[...]
[23] 서적 The Hebrew Bible: A Comparative Approach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09-09-01
[24] 서적 The Hebrew Goddess Duke University Press
[25] 서적 The early history of God : Yahweh and the other deities in ancient Israel William B. Eerdmans Pub. Co. 2002-08-03
[26] 서적 Did God Have a Wife? Eerdmans 2005
[27] 문서 Histories 2.42
[28] 문서 Histories 2.156
[29] 서적 Isis in the Ancient World 1997
[30] 웹사이트 The Golden Asse of Apuleius: The Eleventh Booke: The Forty-seventh Chapter http://www.sacred-te[...] Sacred-texts.com 2014-02-13
[31] 서적 Voices From the Clay: the development of Assyro-Babylonian Literatur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65
[32] 서적 The Treasures of Darkness: a History of Mesopotamian Religion. Yale University Press 1976
[33] 학위논문 The Exact Transmission of Texts in the First Millennium B.C.E. http://ses.library.u[...] University of Sydney, Department of Hebrew, Biblical and Jewish Studies 2009
[34] 서적 Science awakening II: the birth of astronom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1-01-10
[35] 서적 Worlds Fantastic, Worlds Familiar: A Guided Tour of the Solar Syste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4-22
[36] 서적 Scientists confront Velikovsky Cornell University Press 1977
[37] 서적 The Transits of Venus University of Michigan 2004
[38] 서적 The Dawn of Astrology: The ancient and classical worlds Continuum 2008
[39] 서적 Dilmun Culture https://books.google[...] National Council of Culture and the Arts 2020-04-25
[40] 문서 "Inanna: Queen of Heaven and Earth" - a modern, poetic reinterpretation of Inanna myths
[41] 서적 "Inanna: Queen of Heaven and Earth: Her Stories and Hymns from Sumer" Harper &Row, Publishers, 1983, New York
[42] 웹사이트 http://etcsl.orinst.[...]
[43] 웹사이트 http://etcsl.orinst.[...]
[44] 웹사이트 http://etcsl.orinst.[...]
[45] 서적 "Inanna: Queen of Heaven and Earth: Her Stories and Hymns from Sumer" Harper and Row, Publishers, 1983, New York
[46] 서적 Jeremiah 26-52, Volume 27 https://books.google[...] Zondervan Academic 2018-05-29
[47] 웹사이트 Biblegateway, Jeremiah 7, 17 http://www.biblegate[...]
[48] 서적 A Book of Jeremiah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80-09-12
[49] 서적 聖書 日本聖書協会 1988
[50] 웹사이트 Biblegateway, Jeremiah 44 http://www.biblegate[...]
[51] 서적 The Hebrew Bible: A Comparative Approach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09-09-01
[52] 서적 聖書 日本聖書協会 1988
[53] 서적 "The Hebrew Goddess" Duke University Press
[54] 서적 Yahweh and the gods and goddesses of Canaan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 Sheffie 2002-12-26
[55] 간행물 "Babylon and Rome" 1941-10-15
[56] 문서 Histories 2.42
[57] 문서 Histories 2.15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