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포아염소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포아염소산(HClO)은 염소(Cl₂)를 물에 용해하여 생성되는 약산으로, 표백, 살균, 소독제로 사용된다. 1834년 앙투안 제롬 발라르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빛이나 열에 의해 분해되어 강한 산화성을 가진 발생기 산소를 생성한다. 하이포아염소산은 유기 합성, 생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소독제 및 살균제로서의 효능이 뛰어나다. 하이포아염소산염으로는 차아염소산 칼슘과 차아염소산 나트륨이 있으며, 상업적으로도 생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기 염소 화합물 - 삼플루오린화 염소
삼플루오린화 염소는 염소의 불소화 반응으로 생성되며 강력한 산화력을 가져 대부분의 물질과 격렬하게 반응하고 반도체 산업에서 사용되며, 생체 조직에 심각한 화상을 입힐 수 있다. - 무기 염소 화합물 - 삼염화 질소
삼염화 질소(NCl₃)는 질소 원자에 세 개의 염소 원자가 결합된 무기 화합물로, 수돗물 소독 과정이나 수영장 물 속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폭발성과 유해성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환경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산소 화합물 - 하이드로늄 이온
하이드로늄 이온(H₃O⁺ )은 수용액에서 자체 이온화되거나 강산 첨가 시 생성되는 이온으로, 삼각뿔 형태의 분자 구조를 가지며 수용액의 산성도 pH 결정 및 성간 매질 분자 구름 내 화학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산소 화합물 - 과염소산염
과염소산염은 로켓 추진제나 불꽃놀이의 산화제로 사용되는 염소의 산소산 음이온 화학 물질로, 과거 갑상선 질환 치료에도 사용되었으나 환경 오염과 갑상선 기능 저하 등의 건강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 소독제 -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은 살균 및 소독 효과가 있어 소독제, 화장품, 의약품에 사용되지만, 구강 청결제로 사용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유발할 수도 있다. - 소독제 - 에탄올
에탄올은 두 개의 탄소로 된 알코올로, 음료의 주성분, 살균제, 용매, 연료 등으로 쓰이며 에틸렌 수화 반응이나 당 발효를 거쳐 생산되고, 인화성이 높으며 섭취 시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이포아염소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IUPAC 이름 | 하이포아염소산 |
다른 이름 | 클로라놀 염소산(I) 염소 수산화물 클로로옥시다인 하이포염소산 수소 차아염소산 하이드록시도클로린 |
식별 정보 | |
ChEBI | CHEBI:24757 |
SMILES | OCl |
ChemSpider ID | 22757 |
PubChem | 24341 |
UNII | 712K4CDC10 |
InChI | 1/ClHO/c1-2/h2H |
InChIKey | QWPPOHNGKGFGJK-UHFFFAOYAT |
표준 InChI | 1S/ClHO/c1-2/h2H |
표준 InChIKey | QWPPOHNGKGFGJK-UHFFFAOYSA-N |
CAS 등록번호 | 7790-92-3 |
EINECS | 232-232-5 |
RTECS | 해당 없음 |
특성 | |
화학식 | HOCl |
몰 질량 | 52.46 g/mol |
외형 | 무색 수용액 |
밀도 | 가변적 |
용해도 | 용해됨 |
녹는점 | 해당 없음 |
끓는점 | 해당 없음 |
짝염기 | 차아염소산 |
pKa | 7.53 |
구조 | |
쌍극자 모멘트 | 해당 없음 |
위험성 | |
주요 위험 | 부식성, 산화제 |
NFPA 704 | 건강: 3 화재: 0 반응성: 4 기타: OX |
H 문구 | H320, H335 |
P 문구 | P301+330+331, P302+352, P304+340, P305+351+338 |
물질안전보건자료 (SDS) | chemfresh.com |
관련 화합물 | |
다른 음이온 | 하이포플루오르산 하이포브롬산 하이포아이오딘산 |
다른 양이온 | 해당 없음 |
기타 화합물 | 일산화 이염소 일산화 염소 차아염소산염 차아염소산 리튬 차아염소산 나트륨 차아염소산 칼륨 차아염소산 칼슘 차아염소산 바륨 차아염소산 은 차아염소산 메틸 tert-부틸 차아염소산 아세틸 하이포아염소산 염소 |
추가 정보 | |
관련 항목 | 차아염소산 나트륨 (염소계 표백제의 주성분) |
2. 역사
1834년 프랑스 화학자 앙투안 제롬 발라르(1802–1876)는 염소 가스가 담긴 플라스크에 물에 희석된 산화 수은(II) 현탁액을 첨가하여 하이포아염소산을 발견했다.[10] 그는 또한 이 산과 그 화합물의 이름을 명명했다.[11]
하이포아염소산은 수용액으로만 존재하며, 빛이나 열에 의해 분해되어 산소 라디칼을 발생시킨다. 이 산소 라디칼은 강한 산화성을 가지며, 이 때문에 표백, 살균, 소독 작용을 한다. 진한 용액은 담황색을 띠며, 자극적인 냄새가 난다.[10][11]
염소를 물에 녹이면 염산(HCl)과 하이포아염소산(HClO)이 생성된다.[23]
비교적 쉽게 만들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하이포아염소산 용액을 유지하는 것은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 기술 발전으로 안정적인 상업적 사용을 위해 비용 효율적으로 하이포아염소산수를 생산하고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하이포아염소산은 발견 이후 오랫동안 상업적 살균 적용이 어려웠는데, 이는 수용액에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활성 화합물은 빠르게 염수로 분해되어 살균 능력을 잃어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위해 운송하기가 어렵게 만든다. 더 강력한 살균 능력에도 불구하고, 비용 때문에 표백제 및 알코올에 비해 소독제로서 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기술 개발로 제조 비용이 감소했으며 가정 및 상업용 하이포아염소산수의 제조 및 병입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하이포아염소산수는 유통 기한이 짧다. 열과 직사광선을 피하여 보관하면 분해를 늦출 수 있다. 연속 흐름 전기화학 전지의 추가 개발은 새로운 제품에 구현되어 살균 목적으로 하이포아염소산을 현장에서 생성하기 위한 가정용 및 산업용 연속 흐름 장치의 상업화를 가능하게 했다.[69]
3. 성질
수용액 중에서도 불안정하여, 불균등화 반응을 통해 염화 수소와 산소를 생성하거나, 염화수소와 염소산을 생성한다.
:
:
구리, 니켈, 코발트의 빛 또는 전이 금속 산화물이 존재하면 분해가 가속화된다.[24]
하이포아염소산은 약산(pKa = 7.53)이며,[71] 차아염소산 나트륨 등의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은 강한 염기성을 나타낸다.
염소를 물에 녹이면, 일부가 염산과 하이포아염소산이 된다.[72]
:
알칼리성 조건에서는 이 반응이 더 잘 일어나 차아염소산염 제조 방법 중 하나로 사용된다.
과산화 수소수와 반응시키면 산소가 생성된다.
:
4. 제법
:
산화수은(II)이나 산화비스무트(III) 수용액에 염소를 통과시켜 얻을 수도 있다. 1834년 프랑스 화학자 앙투안 제롬 발라르는 염소 기체가 담긴 플라스크에 물에 희석된 산화 수은(II) 현탁액을 첨가하여 하이포아염소산을 발견했다.[10]
일산화 이염소(Cl2O)를 물에 용해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친환경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75]
4. 1. 주의 사항
하이포아염소산이 포함된 소독제와 염산이 포함된 약품을 함께 사용하면 역반응에 의해 유독한 염소 기체가 발생하므로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된다.[1]
5. 반응
하이포아염소산은 다양한 화학 반응에 참여한다.
실험실에서는 수산화 칼륨 수용액 등에 염소를 통과시키거나,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을 황산으로 중화하고 수증기 증류하여 하이포아염소산 수용액을 얻는다. 산화 수은(II)의 사염화 탄소 현탁액에 염소를 통과시킨 후 물로 추출하거나, 산화 비스무트(III)를 물 현탁액 중에 염소를 통과시켜 수용액을 얻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71]
묽은 하이포아염소산 수용액은 존재하지만, 25% 이상의 농도에서는 이산화 이염소로 변하므로 순수한 하이포아염소산을 분리할 수 없다. 농후 수용액은 엷은 황색을 띤다. 하이포아염소산은 약산(pKa = 7.53)이므로, 차아염소산 나트륨 등의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은 강한 염기성을 나타낸다.
하이포아염소산 수용액은 불안정하여, 불균등화 반응에 의해 염화 수소를 방출하며 서서히 분해된다. 특히 산성 물질 수용액과 만나면 분해가 촉진된다.
:
:
하이포아염소산이나 그 염의 수용액은 칼키취라고 불리는 수영장의 소독조와 같은 냄새가 난다.
염소를 물에 녹이면, 일부가 염산과 하이포아염소산으로 변한다.[72]
:
중성 또는 산성 조건에서는 이 반응이 잘 진행되지 않지만, 알칼리성 조건에서는 생성되는 하이포아염소산이 차아염소산염이 되어 평형이 오른쪽으로 치우치므로, 차아염소산염 제조 방법 중 하나로 사용된다.
- 물과 이산화 이염소의 반응
:
- 과산화 수소수와 반응시키면 산소가 생성된다.
:
5. 1. 일반적인 반응
하이포아염소산(HClO)은 다양한 반응에 참여한다.- 산과의 반응: 하이포아염소산 수용액 염(예: 상업용 표백제 용액의 차아염소산 나트륨)에 산을 첨가하면 염소 기체가 생성된다.[24]
- 일산화 이염소와의 평형: 하이포아염소산은 일산화 이염소와 평형을 이룬다.[24] (0 °C에서 ''K'' = 3.55 × 10−3 dm3/mol)
- 분해 반응: 구리, 니켈, 또는 코발트의 빛 또는 전이 금속 산화물의 존재는 염산과 산소로의 분해를 가속화한다.[24]
- 암모니아와의 반응: 하이포아염소산은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모노클로라민을 생성한다.
- 유기 아민과의 반응: 하이포아염소산은 유기 아민과 반응하여 ''N''-클로로아민을 형성한다.
- 과산화 수소와의 반응: 과산화 수소와 반응하여 산소를 생성한다.
- 할로폼 반응: 알칼리성 조건에서 하이포아염소산(염)은 메틸 케톤이나 알코올류를 염소화한다.
- 탄소 이중 결합과의 반응: 탄소 이중 결합에 하이포아염소산이 부가되면 클로로히드린체를 얻는다.
5. 2. 생체 분자와의 반응
하이포아염소산(HClO)은 DNA, RNA,[25][26][27][28] 지방산 그룹, 콜레스테롤,[29][30][31][32][33][34][35][36] 단백질[32][37][38][39][40][41][42]을 포함한 다양한 생체 분자와 반응한다.하이포아염소산은 단백질의 설프히드릴기(-SH)를 산화시켜 이황화 결합(-S-S-)을 형성하게 하고,[43] 이는 단백질의 가교 결합을 유발할 수 있다. 하이포아염소산의 설프히드릴 산화 메커니즘은 모노클로라민과 유사하며, 잔류 염소가 소실되면 일부 설프히드릴 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39] 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의 설프히드릴기는 3개의 하이포아염소산 분자에 의해 총 세 번 산화될 수 있으며, 네 번째 분자는 α-아미노기와 반응한다. 첫 번째 반응은 설펜산()을 생성하고, 그 다음 설핀산(), 마지막으로 을 생성한다. 설펜산은 다른 단백질 설프히드릴기와 이황화물을 형성하여 단백질의 가교 결합 및 응집을 유발한다. 설핀산과 유도체는 하이포아염소산이 몰 농도로 과량일 때만 생성되며, 이황화물은 주로 살균 수준에서 형성된다.[28] 이황화 결합 역시 하이포아염소산에 의해 설핀산으로 산화될 수 있다.[43]
하이포아염소산은 아미노산의 아미노기 측쇄와 반응하여 유기 클로라민을 생성한다.[44] 염소화된 아미노산은 빠르게 분해되지만, 단백질 클로라민은 수명이 더 길고 어느 정도의 산화 능력을 유지한다.[14][42] 대부분의 유기 클로라민은 내부 재배열에 의해 분해되며, 더 적은 수의 NH2기가 펩타이드 결합을 공격하여 단백질의 절단을 초래한다. 10mM 이상의 하이포아염소산은 생체 내에서 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다. 클로라민이 분자 재배열을 거쳐 염산(HCl)과 암모니아를 방출하여 알데히드를 형성하고,[46] 알데히드기는 또 다른 아미노기와 반응하여 쉬프 염기를 형성하여 단백질의 가교결합 및 응집을 일으킬 수 있다.[32]
하이포아염소산은 시험관 내에서 DNA와 RNA, 그리고 모든 뉴클레오타이드와 느리게 반응한다.[26][47] GMP는 하이포아염소산이 헤테로고리 NH 그룹과 아미노 그룹 모두와 반응하기 때문에 가장 반응성이 높다. 헤테로고리 NH 그룹만 있는 TMP가 두 번째로 반응성이 높다. 반응성이 느린 아미노 그룹만 가지고 있는 AMP와 CMP는 하이포아염소산과 반응성이 떨어진다.[47] UMP는 매우 느린 속도로만 반응한다.[25][26] 헤테로고리 NH 그룹은 아미노 그룹보다 반응성이 더 높으며, 이들의 2차 클로라민은 염소를 기증할 수 있다.[28] 이러한 반응은 DNA 염기쌍 형성을 방해할 수 있으며, 하이포아염소산에 노출된 DNA의 점도가 열 변성과 유사하게 감소한다. 당 부분은 비반응성이며 DNA 골격은 파괴되지 않는다.[47] NADH는 염소화된 TMP 및 UMP뿐만 아니라 하이포아염소산과도 반응할 수 있다. 이 반응은 UMP와 TMP를 재생할 수 있으며 NADH의 5-히드록시 유도체가 생성된다. TMP 또는 UMP와의 반응은 하이포아염소산을 재생하기 위해 서서히 가역적이다. 과량의 하이포아염소산이 존재할 때 피리딘 고리의 분해를 초래하는 두 번째로 느린 반응이 발생한다. 는 하이포아염소산에 불활성이다.[28][47]
하이포아염소산은 지질의 불포화 결합과는 반응하지만, 포화 결합과는 반응하지 않으며, 이온은 이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다. 이 반응은 한쪽 탄소에 염소가 부가되고 다른 쪽에 수산기가 부가되는 가수분해에 의해 일어난다. 생성된 화합물은 클로로하이드린이다.[29] 극성 염소는 지질 이중층을 파괴하며 투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30] 클로로하이드린 형성이 적혈구의 지질 이중층에서 발생하면 투과성이 증가한다. 충분한 양의 클로로하이드린이 형성되면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29][35] 콜레스테롤 클로로하이드린도 관찰되었지만,[30][33] 투과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가 이 반응의 원인으로 여겨진다.[33] 하이포아염소산은 플라스마로겐이라고 불리는 글리세로인산지질의 하위 부류와 반응하여 염소화된 지방족 알데히드를 생성하며, 이 알데히드는 단백질 변형을 일으킬 수 있고 혈소판 응집 및 호중구 세포외 덫 형성과 같은 염증 과정에 관여할 수 있다.[48][49][50]
6. 소독 작용 메커니즘
대장균은 하이포아염소산에 노출되면 여러 생명 유지 시스템이 비활성화되어 0.1초 이내에 생존력을 잃는다.[23][51][52][53][54] 하이포아염소산은 0.0104–0.156 ppm의 LD50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55] 2.6 ppm 농도에서는 5분 만에 100%의 성장 억제를 보였다.[45] 그러나 살균 활성에 필요한 농도는 세균 농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40]
하이포아염소산은 세포막에서 다양한 반응을 일으켜 세균을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기작으로는 포도당 산화 억제, 호흡 억제, 아데닌 뉴클레오타이드 고갈, DNA 복제 억제, 단백질 응집 유도 등이 있다.
6. 1. 포도당 산화 억제
초기 연구에서는 하이포아염소산이 해당 작용의 핵심 효소를 억제하여 포도당 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40] 그러나 이후 연구에 따르면, 살균 수준에서 세포질 성분은 하이포아염소산과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56] 알돌라아제가 하이포아염소산에 의해 생체 내에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고,[57] 설프히드릴의 손실과 비활성화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도 밝혀졌다.[39]이후, 하이포아염소산이 수송 단백질을 비활성화시켜 영양소 흡수를 차단함으로써 포도당 산화를 억제한다는 가설이 제시되었다.[38][56][57][59] 또한, 하이포아염소산이 사이토크롬과 철-황 클러스터를 파괴하여 전자 전달계를 붕괴시키고, 아데닌 뉴클레오타이드 고갈을 유발하여 대사 기능 부전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었다.[25][37][58] ATP 합성 효소가 하이포아염소산에 의해 손상되는 단백질 중 하나라는 사실도 밝혀졌다.[38]
최근 연구에서는 하이포아염소산이 DNA 복제를 억제하여 세균을 불활성화시킨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5][63] 하이포아염소산 처리는 복제 기점과 세포막 단백질 간의 결합을 약화시켜 DNA 복제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4]
또한, 하이포아염소산은 단백질 응집을 유도하는 강력한 물질로 밝혀졌다.[65] 샤페론 단백질 Hsp33은 홀다제 역할을 하여 단백질 응집을 막고 세균을 하이포아염소산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2. 호흡 억제
하이포아염소산은 사이토크롬과 철-황 클러스터를 파괴하여 전자 전달계를 억제하고, 산소 흡수를 차단한다.[25] 또한 숙신산 탈수소 효소를 억제하여 전자가 산소로 흐르는 것을 막는다.[54] 로젠 등[54]은 하이포아염소산으로 처리된 세포에서 환원 가능한 사이토크롬의 수준은 정상이었지만, 이 세포들은 이를 환원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후 연구[52]에 따르면 유비퀴놀 산화 효소 활성이 먼저 중단되고, 여전히 활성인 사이토크롬이 나머지 퀴논을 환원시킨다. 그런 다음 사이토크롬은 전자를 산소로 전달하는데, 이는 사이토크롬이 재산화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한다.6. 3. 아데닌 뉴클레오타이드 고갈
하이포아염소산은 세포 내 아데닌 뉴클레오타이드 고갈을 일으켜 대사 기능 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37] 바렛 등(Barrette et al.)은 하이포아염소산에 노출된 세포의 에너지 전하를 연구하여 아데닌 뉴클레오타이드 손실을 확인했으며, 영양분을 첨가해도 에너지 전하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58]이러한 발견은 대사 물질 섭취가 하이포아염소산 노출 후 45% 감소하고, 하이포아염소산이 세포 내 ATP 가수 분해를 유발한다는 관찰에 기반한다. 노출된 세포는 아데닐산 풀 조절 능력을 상실하며, 세포질 성분은 하이포아염소산의 살균 수준에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부 막 결합 단백질 변형이 광범위한 ATP 가수 분해를 유발하고, 세포가 세포질에서 AMP를 제거하지 못해 대사 기능이 저하된다고 제안되었다. ATP 재생산 능력 상실에 관여하는 단백질 중 하나는 ATP 합성 효소로 밝혀졌다.[38] 이러한 연구들은 살균 반응이 세포막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준다.[38][58][62]
6. 4. DNA 복제 억제
최근에 하이포아염소산(HClO)에 의한 세균 불활성화가 DNA 복제 억제의 결과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세균이 HClO에 노출되면 DNA 합성이 급격히 감소하는데, 이는 단백질 합성이 억제되기 전이며 생존력 상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45][63] 세균 게놈 복제 과정에서 복제 기점(E. coli의 oriC)은 세포막과 관련된 단백질에 결합하며, HClO 처리가 oriC에 대한 추출된 막의 친화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관찰되었고, 이러한 친화력 감소 역시 생존력 상실과 관련이 있다. Rosen 등[64]의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복제 기점을 가진 플라스미드의 HClO에 의한 DNA 복제 억제 속도를 비교했으며, 특정 플라스미드는 oriC를 포함하는 플라스미드에 비해 복제 억제가 지연되는 것을 발견했다. Rosen 그룹은 DNA 복제에 관여하는 막 단백질의 불활성화가 HClO의 작용 기전이라고 제안했다.6. 5. 단백질 응집
하이포아염소산(HClO)은 단백질에 번역 후 변형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시스테인과 메티오닌 산화가 두드러진다. 최근 HClO의 살균 역할에 대한 연구에서 강력한 단백질 응집 유도제로 밝혀졌다.[65] 산화 열 스트레스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진 샤페론 단백질 Hsp33은 홀다제 역할을 하여 단백질 응집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세균을 HClO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한다. Hsp33이 없는 ''대장균'' 및 ''콜레라균'' 균주는 HClO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했다. Hsp33은 HClO로 인한 응집 및 불활성화로부터 많은 필수 단백질을 보호했으며, 이는 HClO의 살균 효과를 중재하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7. 용도
하이포아염소산은 강력한 산화력과 살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7. 1. 살균 및 소독
하이포아염소산은 대한민국에서 상수도 정수 과정에서 살균을 위해 사용된다. 하이포아염소산은 오존보다는 살균력이 약하지만, 하이포아염소산 이온(OCl-)이나 클로라민보다는 살균력이 뛰어나다.[76]의료 분야에서 하이포아염소산수는 소독제 및 살균제로 사용되어 왔다.[6][9][5]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하이포아염소산수는 사무실, 병원 및 의료 클리닉과 같은 실내 환경 소독에도 적합하다.[18]
식품 서비스 및 물 공급 분야에서는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물과 소금을 섞어 하이포아염소산(HClO)의 약한 용액을 만든다. 이는 식품 준비 표면 및 물 공급을 처리하기 위한 안전한 소독제로 사용된다.[19][20]
수처리 분야에서 하이포아염소산은 수영장에서 사용되는 하이포아염소산염 기반 제품의 활성 살균제이다.[21]
선박 및 요트의 해양 위생 장치는 전기를 사용하여 해수를 하이포아염소산으로 전환하여 분쇄된 분변 폐기물을 소독한다.[22]
7. 2. 의료
상처 치료에서, 2016년 초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하이포아염소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을 인간과 애완동물의 상처 및 다양한 감염 치료에 사용하도록 승인했다.[15][16][17] 또한 FDA는 식염수 보존제로도 승인했다.임상 시험 결과, 하이포아염소산수는 눈과 피부에 무독성이며 자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67]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순수 하이포아염소산으로 보존된 생리식염수 위생 용액은 눈꺼풀의 세균 종류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세균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20분 치료 후 ''포도상구균'' 박테리아가 99% 이상 감소했다.[68]
7. 3. 기타
유기 합성에서 하이포아염소산은 알켄을 클로로하이드린으로 전환한다.[12] 하이포아염소산은 쓰레기, 썩은 고기, 화장실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최대 99%까지 제거하는 것으로 시험되었다.8. 안전성
미국 환경 보호국(EPA)은 하이포아염소산을 유해하지 않은 물질로 분류한다. 농도와 pH에 따라 부식성이 있거나 자극적일 수 있다.
임상 시험 결과, 하이포아염소산수는 눈과 피부에 무독성이며 자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67]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순수 하이포아염소산으로 보존된 생리식염수 위생 용액은 눈꺼풀의 세균 종 다양성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세균 부하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20분 치료 후 ''포도상구균'' 박테리아가 99% 이상 감소했다.[68]
9. 하이포아염소산염
하이포아염소산염은 하이포아염소산의 염이며, 상업적으로 중요한 하이포아염소산염으로는 차아염소산 칼슘과 차아염소산 나트륨이 있다.
하이포아염소산염 용액은 배치 공정 및 유동 공정 모두에서 수성 염화 나트륨 용액의 전기 분해를 통해 현장에서 생산될 수 있다.[66] 생성된 용액의 조성은 양극의 pH에 따라 달라진다. 산성 조건에서는 생성된 용액에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이 포함되지만, 부식성이 있을 수 있는 용해된 기체 염소도 포함된다. 중성 pH에서는 용액이 약 75%의 차아염소산과 25%의 차아염소산염을 띠게 된다. 생성된 염소 가스의 일부는 용해되어 차아염소산염 이온을 형성한다. 차아염소산염은 알칼리 용액에서 염소 가스의 불균등화 반응에 의해서도 생성된다.
- 차아염소산 칼슘 (표백분)
- 차아염소산 나트륨
- 차아염소산 칼륨
10. 상업화
하이포아염소산은 비교적 쉽게 만들 수 있지만, 안정적인 용액 상태를 유지하기는 어려웠다. 최근에 이르러서야 과학자들은 안정적인 상업적 사용을 위해 비용 효율적으로 하이포아염소산수를 생산하고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11]
하이포아염소산이 발견된 이후 오랫동안 상업적 살균 적용은 어려웠는데, 이는 수용액에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활성 화합물은 빠르게 염수로 분해되어 살균 능력을 잃어,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위한 운송이 어려웠다. 더 강력한 살균 능력에도 불구하고, 비용 때문에 표백제나 알코올에 비해 소독제로 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기술 개발로 제조 비용이 감소하면서 가정 및 상업용 하이포아염소산수 제조 및 병입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하이포아염소산수는 유통 기한이 짧으므로, 열과 직사광선을 피하여 보관하면 분해를 늦출 수 있다. 연속 흐름 전기 화학 전지의 추가 개발은 새로운 제품에 구현되어, 살균 목적으로 하이포아염소산을 현장에서 생성하기 위한 가정용 및 산업용 연속 흐름 장치의 상업화를 가능하게 했다.[69]
참조
[1]
서적
Exploring Chemical Analysis
[2]
웹사이트
Hypochlorous acid
https://commonchemis[...]
Chemical Abstracts Service, a division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n.d.
2022-04-12
[3]
웹사이트
hypochlorous acid
https://www.ebi.ac.u[...]
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
2022-04-12
[4]
간행물
Page 262 in Food Safety: A Practical and Case Study Approach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
논문
Hypochlorous Acid: A Review
2020-09
[6]
웹사이트
Treating Chronic Wounds With Hypochlorous Acid Disrupts Biofilm
https://www.todayswo[...]
2021-02-08
[7]
논문
A novel sensor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hypochlorous (HOCl) toxicity in 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and dyslipidemia
2016-07
[8]
웹사이트
List N: Disinfectants for Coronavirus (COVID-19)
https://www.epa.gov/[...]
2020-03-13
[9]
웹사이트
Pure Hypochlorous Acid: A Primer on pH and Wound Solutions
http://www.woundsour[...]
2020-11-05
[10]
논문
Elements of Chemistry
https://books.google[...]
H. Baillière
1840
[11]
간행물
[12]
간행물
Hypochlorous Acid
J. Wiley & Sons
[13]
논문
Studies on the chlorinating activity of myeloperoxidase
[14]
논문
Myeloperoxidase, hydrogen peroxide, chloride antimicrobial system: Nitrogen-chlorine derivatives of bacterial components in bactericidal action against ''Escherichia coli''
[15]
논문
Hypochlorous acid as a potential wound care agent. Part I Stabilized hypochlorous acid: a component of the inorganic armamentarium of innate immunity
[16]
논문
Hypochlorous acid as a potential wound care agent. Part II Stabilized hypochlorous acid: its role in decreasing tissue bacterial bioburden and overcoming the inhibition of infection on wound healing
https://www.research[...]
[17]
논문
Evaluation of hypochlorous acid washes in the treatment of venous leg ulcers
[18]
논문
The Potential Use of Hypochlorous Acid and a Smart Prefabricated Sanitising Chamber to Reduce Occupation-Related COVID-19 Exposure
2021-01-22
[19]
웹사이트
Disinfection of Facility H2O
http://www.h2oxide.c[...]
[20]
뉴스
Water Works: Hyatt's New Disinfectant/Cleaner Comes from the Tap
https://www.bloomber[...]
Bloomberg Businessweek
[21]
서적
The cartoon guide to chemistry
HarperResource
2005-05-03
[22]
문서
e.g. Raritan Electro Scan device
http://raritaneng.co[...]
[23]
논문
The behavior of chlorine as a water disinfectant
[24]
간행물
Inorganic chemistry
[25]
논문
Biological reactivity of hypochlorous acid: Implications for microbicidal mechanisms of leukocyte myeloperoxidase
[26]
논문
The reaction of nucleotides with aqueous hypochlorous acid
[27]
간행물
Aspects of the mode of action of monochloramine
Lewis Publishers, Inc.
[28]
논문
Interactions of hypochlorous acid with pyrimidine nucleotides, and secondary reactions of chlorinated pyrimidines with GSH, NADH, and other substrates.
[29]
논문
The action of hypochlorous acid on phosphatidylcholine liposomes in dependence on the content of double bonds. Stoichiometry and NMR analysis
[30]
논문
Chlorination of cholesterol in cell membranes by hypochlorous acid
[31]
논문
Modification of red cell membrane lipids by hypochlorous acid and haemolysis by preformed lipid chlorohydrins
[32]
논문
Oxi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by hypochlorite causes aggregation that is mediated by modification of lysine residues rather than lipid oxidation
[33]
논문
Molecular chlorine generated by the myeloperoxidase-hydrogen peroxide-chloride system of phagocytes converts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to a family of chlorinated sterols
[34]
논문
Comparison of human red cell lysis by hypochlorous and hypobromous acids: insights into the mechanism of lysis
[35]
논문
Membrane changes associated with lysis of red blood cells by hypochlorous acid
[36]
논문
Chlorohydrin formation from unsaturated fatty acids reacted with hypochlorous acid
[37]
논문
Oxidative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by hypochlorous acid. Rates and differentiation of respiratory from other reaction sites
[38]
논문
General mechanism for the bacterial toxicity of hypochlorous acid: abolition of ATP production
[39]
논문
Oxidation of sulfhydryl groups by monochloramine
[40]
논문
The Inhibition of Sulfhydryl Enzymes as the Basis of the Bactericidal Action of Chlorine
[41]
논문
Oxidative damage to fibronectin. I. The effects of the neutrophil myeloperoxidase system and HOCl
[42]
논문
Comparative reactivities of various biological compounds with myeloperoxidase-hydrogen peroxide-chloride, and similarity of the oxidant to hypochlorite
[43]
논문
Chlorination studies. II. The reaction of aqueous hypochlorous acid with alpha-amino acids and dipeptides
[44]
서적
Chlorine and chlorine compounds
https://books.google[...]
Lea & Febiger, Philadelphia
1991
[45]
논문
The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by hypochlorous acid. Possible role in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phagocytes
[46]
논문
Human neutrophils employ the myeloperoxidase-hydrogen peroxide-chloride system to oxidize alpha-amino acids to a family of reactive aldehydes. Mechanistic studies identifying labile intermediates along the reaction pathway
[47]
논문
Hypochlorous acid interactions with thiols, nucleotides, DNA, and other biological substrates
[48]
논문
Reactive Chlorinating Species Produced by Myeloperoxidase Target the Vinyl Ether Bond of Plasmalogens
2001-06
[49]
논문
Chlorinated Lipids Elicit Inflammatory Responses in vitro and in vivo
2019-01
[50]
논문
2-Chlorofatty acids: lipid mediators of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 formation
2018-08
[51]
논문
Differential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membrane dehydrogenases by a myeloperoxidase-mediated antimicrobial system
[52]
논문
Myeloperoxidase-mediated inhibition of microbial respiration: damage to ''Escherichia coli'' ubiquinol oxidase
[53]
논문
Oxidation of microbial iron-sulfur centers by the myeloperoxidase-H2O2-halide antimicrobial system
[54]
논문
Myeloperoxidase-mediated damage to the succinate oxidase system of ''Escherichia coli''
[55]
논문
Bacterial glutathione: a sacrificial defense against chlorine compounds
[56]
논문
The acid ionization constant of HClO from 5 to 35 °
[57]
서적
Enumeration of indicator bacteria exposed to chlorine
https://archive.org/[...]
[58]
논문
Hypochlorous acid-promoted loss of metabolic energy in ''Escherichia coli''
[59]
논문
Chlorine injury and the enumeration of waterborne coliform bacteria
[60]
논문
Mechanism of disinfection☆
[61]
논문
Hypochlorous acid and myeloperoxidase-catalyzed oxidation of iron-sulfur clusters in bacterial respiratory dehydrogenases
[62]
논문
Oxidation of ''Escherichia coli'' iron centers by the myeloperoxidase-mediated microbicidal system
[63]
논문
Loss of DNA-membrane interactions and cessation of DNA synthesis in myeloperoxidase-treated ''Escherichia coli''
[64]
논문
Differential effects of myeloperoxidase-derived oxidants on ''Escherichia coli'' DNA replication
[65]
논문
Bleach Activates a Redox-Regulated Chaperone by Oxidative Protein Unfolding
[66]
논문
A Modern Approach to Disinfection, as Old as the Evolution of Vertebrates
2014-12
[67]
논문
Hypochlorous Acid as a Potential Wound Care Agent
2007-04-11
[68]
논문
Reduction in bacterial load using hypochlorous acid hygiene solution on ocular skin
[69]
웹사이트
In situ generation: Active substances vs biocidal products
https://www.hse.gov.[...]
2021-07-12
[70]
서적
Exploring Chemical Analysis, Fourth Edition
[71]
서적
次亜塩素酸
岩波書店
1998
[72]
서적
次亜塩素酸
平凡社
1998
[73]
서적
Exploring Chemical Analysis
[74]
웹사이트
참고 사이트
http://new.kcsnet.or[...]
[75]
웹인용
HyGenon 시리즈 , 환경친화형 차명발생장치
http://www.elchemtec[...]
[76]
서적
토목기사 대비 상하수도 공학
한솔아카데미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