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스 모건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모건소는 1904년 독일에서 태어난 정치학자로, 국제 관계 현실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독일, 스위스에서 법학 및 정치학을 공부하고, 나치의 박해를 피해 1937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학문적 경력을 쌓았다. 시카고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정치학 분야에서 명성을 얻었으며, 말년에는 뉴욕 시립 대학교에서 가르쳤다. 모건소는 주요 저서인 《국가 간의 정치》를 통해 국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20세기 현실주의 학파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그는 핵무기가 국제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며, 베트남 전쟁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 시립 대학교 교수 - 데이비드 하비
    데이비드 하비는 마르크스주의 지리학의 선구자로, 자본주의, 도시화,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제시하며 사회 불평등과 환경 문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는 영국의 지리학자이자 사회비평가이다.
  • 뉴욕 시립 대학교 교수 - 벨 훅스
    벨 훅스는 미국의 저술가, 페미니스트 이론가, 사회 비평가, 교수로서 인종, 계급, 성별의 교차성에 대한 혁신적인 분석을 통해 페미니즘, 교육,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끼쳤다.
  • 항공 사고 생존자 - 야세르 아라파트
    야세르 아라파트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의장이자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초대 대통령으로서, 팔레스타인 독립 운동을 이끌었으며 오슬로 협정을 통해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립에 기여,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테러 지원 혐의로 비판받고 사망 원인에 대한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항공 사고 생존자 - 릭 플레어
    미국 프로레슬링의 전설 릭 플레어는 "네이처 보이"라는 별명과 "Wooooo!" 외침으로 유명하며 NWA, WCW, WWE 챔피언십을 석권하고 명예의 전당에 두 번 헌액된 인물이다.
  • 미국의 정치학자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정치학자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한스 모건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3년의 한스 모겐소
1963년의 모겐소
출생 이름한스 요아힘 모겐소
출생1904년 2월 17일
출생지코부르크,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 독일 제국 (현재 독일)
사망1980년 7월 19일
사망지미국 뉴욕
국적독일, 미국
교육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뮌헨 대학교, 제네바 고등 국제정치연구대학원
알려진 업적고전적 현실주의
주요 저서국가 간의 정치
학문 분야
직업정치학자, 국제 관계학자
참고 문헌
전기Specter, Matthew (2022). 대서양 현실주의자: 독일과 미국의 제국 및 국제 정치 사상. 스탠포드 대학교 출판부. ISBN 978-1-5036-0312-7. (영어)
추가 자료Scheuerman, William E. (2006년 9월 22일). "Carl Schmitt and Hans Morgenthau: Realism and Beyond". (영어)
Rösch, Felix (2013년 11월 1일). "Realism as social criticism: The thinking partnership of Hannah Arendt and Hans Morgenthau". International Politics. 50 (6): 815–829. doi:10.1057/ip.2013.32. S2CID 143185901. ISSN 1384-5748. (영어)
Zambernardi, L. (2011). "The Impotence of Power: Morgenthau's Critique of American Intervention in Vietnam".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37 (3): 1335–1356. doi:10.1017/S0260210510001531. S2CID 145583770. (영어)

2. 생애와 학문적 배경

독일 제국 작센코부르크고타 코부르크의 아슈케나지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0] 베를린 대학교,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뮌헨 대학교 등에서 법학정치학을 공부했으며, 1929년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스위스 제네바 고등 국제 연구소에서 박사후 과정을 밟았다.

독일에서 법학을 가르치기도 했으나, 나치의 박해를 피해 1937년 미국으로 이주했다.[107] 미국에서는 브루클린 칼리지, 캔자스시티, 시카고 대학교, 뉴욕 시립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학문 활동을 이어갔다. 특히 시카고 대학교에서는 1943년부터 1973년까지 오랜 기간 몸담았다.

모건소는 국제 정치를 권력 투쟁으로 파악하는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의 대표적인 학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외교 정책의 핵심 목표로 '힘(power)으로 정의된 이익'으로서의 국익(national interest)을 강조했으며, 세력 균형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대소련 정책, 대중국 정책의 실패를 지적하고 베트남 전쟁 개입을 비판하는 등[108], 당시 미국의 외교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그는 외교 정책이 도덕적 이상이나 감상적 관념이 아닌, 현실적인 힘의 관계와 국익에 기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0][111]

1979년 비행기 사고에서 생존했으나[15], 1980년 7월 19일 천공성 궤양으로 뉴욕에서 사망했다.[16]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한스 모건소는 1904년 독일 제국 작센코부르크고타 코부르크의 아슈케나지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카시미리아눔 코부르크에서 학교를 다닌 후, 베를린 대학교,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뮌헨 대학교에서 법학정치학을 공부했다.

1929년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국제 사법권: 본질과 한계'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논문은 같은 해 그의 첫 저서인 『국제 사법 행정, 본질과 한계』로 출판되었다.[19] 당시 베를린 대학교에서 가르치던 법학자 카를 슈미트가 이 책을 서평했는데, 모건소는 훗날 슈미트와의 만남이 불쾌했으며 그에게서 "악마적 존재"를 느꼈다고 회고했다.[20] 슈미트가 이후 나치 운동의 주요 법학자가 되면서, 모건소는 그의 입장과 타협할 수 없다고 여겼다.[21]

박사 학위를 마친 후, 모건소는 교수 자격 논문(하빌리타치온)을 마치기 위해 독일을 떠나 스위스 제네바로 갔다. 그는 제네바 고등 국제 연구소에서 박사후 과정을 밟았고, 프랑스어로 La Réalité des normes en particulier des normes du droit international: Fondements d'une théorie des normes프랑스어('규범의 현실, 특히 국제법 규범: 규범 이론의 기초')라는 제목의 교수 자격 논문을 출판했다. 이 논문은 아직 영어로 번역되지 않았다.[22] 제네바에서 그의 논문 지도교수는 법학자 한스 켈젠이었다. 켈젠은 카를 슈미트에 대한 가장 강력한 비판자 중 한 명이었으며,[23] 모건소는 켈젠과 평생 동안 학문적 동료 관계를 유지했다.[24][25]

2. 2. 유럽에서의 활동과 망명

한스 모건소는 1904년 독일 제국 작센코부르크고타 코부르크에서 아슈케나지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카시미리아눔 코부르크에서 학교를 다닌 후, 베를린 대학교,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뮌헨 대학교에서 법학정치학을 공부했다. 1929년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국제 사법권: 본질과 한계''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스위스제네바 고등 국제 연구소에서 박사후 과정을 밟았다.

박사 학위 논문을 마친 후 독일을 떠나 제네바에서 교수 자격 논문(대학에서 가르칠 수 있는 자격)을 준비했다. 이 논문은 프랑스어로 『규범의 현실, 특히 국제법 규범: 규범 이론의 기초』로 출판되었다.[22] 당시 제네바에 교수로 부임한 법학자 한스 켈젠이 그의 논문 지도교수였으며, 켈젠과는 이후 미국으로 이주한 뒤에도 평생 동료 관계를 유지했다.[24][25] 반면, 1920년대 후반 베를린 방문 중 만났던 법학자 카를 슈미트와는 좋지 않은 만남을 가졌고, 이후 슈미트가 나치 운동의 주요 법학자가 되면서 모건소는 그와 사상적으로 결별하게 되었다.[20][21]

모건소는 프랑크푸르트에서 법학을 가르치고 실무를 경험했으며, 이후 스위스 제네바와 스페인 마드리드의 대학에서도 정치학과 국제법을 강의했다.[107] 그러나 독일에서 나치의 세력이 커지면서 유대인이었던 모건소는 박해를 우려하여 1937년 미국으로 망명했다.

2. 3. 미국에서의 학문 활동

1937년 스위스스페인에서 몇 년을 보낸 후 미국으로 이주했다. 미국에서의 첫 직업 중 하나는 브루클린 칼리지에서 야간 학교를 가르치는 것이었다. 1939년부터 1943년까지는 캔자스시티에서 강의했으며, 그곳의 케네세스 이스라엘 샬롬 회중에서도 가르쳤다.[10]

이후 1943년부터 1973년까지 시카고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50년대 초에는 하버드에서 방문 교수로 대학원 세미나를 가르쳤는데, 이때 논문을 쓰던 헨리 키신저를 만났다.[11] 또한 1950년대에 모건소는 시카고 대학교의 미국 외교 및 군사 정책 연구 센터를 이끌었다. 특히 제2차 적색 공포 기간 동안 위축되었던 중국학 연구를 재건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중국 이민자이자 정치학자인 추탕에게 미국과 중국 자료를 모두 사용하여 중미 관계를 탐구하도록 지원했다. 모건소는 추탕의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 지도교수였으며, 추탕의 1963년 저서 ''중국에서의 미국의 실패, 1941-50''은 이 시기 연구를 바탕으로 저술되었다.[49]

1973년 시카고 대학교에서 퇴임한 후 뉴욕 시립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다. 모건소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와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12][13]

3. 주요 이론 및 사상

국제 정치를 권력 투쟁으로 파악하는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는 외교 정책의 핵심 원칙으로 '힘(power)으로 정의된 이익'으로서의 국익(national interest)을 강조했으며, 세력 균형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모겐소는 외교 정책을 "미덕 대 악덕의 싸움이며, 선이 반드시 승리한다는 감상적 관념"으로 보거나, "사악한 국가들의 무조건 항복 후에는, 권력 정치가 없는 멋진 신세계가 나타난다는 유토피아적인 관념"으로 보는 것을 비판했다.[110] 그는 "힘 없는 외교는 취약하며, 외교 없는 힘은 파괴적"이라고 지적하며, 국가가 타국과의 관계에서 따라야 할 것은 정치적 필요성뿐만 아니라 도덕적 의무로서의 국익이라고 강조했다.[111] 현실주의자(리얼리스트)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군사력에만 의존하는 외교 정책의 위험성을 경고하기도 했다.

3. 1. 현실주의 국제정치 이론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의 대표적인 학자로, 국제 정치를 본질적으로 권력 투쟁으로 간주했다. 그는 외교 정책의 핵심적인 행동 준칙으로 '힘(power)으로 정의된 이익'으로서의 국익(national interest) 개념을 제시했다.

모겐소는 이러한 '국익'과 세력권에 기초한 세력 균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바탕으로 제2차 세계 대전소련과의 협상 실패(미국이 스탈린과의 약속을 과신한 점), 전후 중국 정책의 실패(부패한 국민당 정권 지원으로 중국 대륙과의 관계 악화)[108], 미국베트남 전쟁 개입 등을 비판했다.

그는 세력 균형이 파워 폴리틱스(power politics)의 폭력성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다고 보았으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도 지적했다.[109]

  • 세력 균형의 불확실성: 각국이 힘의 배분 상태를 정확히 측정하고 균형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 세력 균형의 비현실성: 불확실성 때문에 각국이 필요 이상의 힘을 추구하게 되어 군비 경쟁이 격화될 수 있다.
  • 세력 균형의 불충분성: 세력 균형이 제대로 기능하려면 주요 강대국 간에 이를 국제 규칙으로 존중하는 공통 인식이 필요하지만, 냉전 시기 미국소련 사이에는 그러한 인식이 부족했다.


모겐소는 외교 정책을 '미덕 대 악덕의 싸움이며, 선이 반드시 승리한다는 감상적 관념'으로 보는 것을 부정하고, '사악한 국가들의 무조건 항복 후 권력 정치가 없는 멋진 신세계가 나타날 것'이라는 유토피아적 관념을 비판했다.[110] 그는 "힘 없는 외교는 취약하며, 외교 없는 힘은 파괴적"이라고 지적하며, "무한한 힘을 가진 국가는 없으므로 타국의 힘과 국익을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국가가 타국과의 관계에서 따라야 할 것은 정치적 필요성뿐만 아니라 도덕적 의무로서의 국익이라고 강조했다.[111]

초기에는 미국 국무부냉전론에 회의적이었으나, 1970년대 초의 낙관적인 '냉전 종언론'에 대해서는 비판적 입장을 취했다. 그는 냉전의 근본 원인인 독일과 유럽의 지배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으므로 냉전이 끝난 것이 아니라 격렬함만 잃었을 뿐이라고 보았다.[112] 이는 이후 미소 데탕트가 종결되고 제2차 냉전으로 이어지는 상황을 예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현실주의자(리얼리스트)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군사력에만 의존하는 외교 정책의 위험성을 경고하기도 했다.

3. 2. 기능적 법학

(내용 없음)

3. 3. 권력 균형론

모건소는 국제 정치를 권력 투쟁으로 간주하는 현실주의 학파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는 외교의 행동 준칙으로 "힘(power)으로 정의된 이익"으로서의 국익(national interest) 개념을 제시했으며, 이러한 국익과 세력권에 기초한 세력균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모건소는 세력 균형이 국제정치에서 힘의 정치가 폭력적으로 변질되는 것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다고 보았다. 즉, 숙련된 외교를 통해 힘의 균형을 달성함으로써 국제 사회의 안정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세력 균형이 가진 본질적인 한계점들도 명확히 지적했다.

  • 세력 균형의 불확실성: 세력 균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려면, 각국은 서로의 힘(power) 배분 상황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균형 상태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는 매우 어렵다.
  • 세력 균형의 비현실성: 각국은 단순히 힘의 균형을 맞추는 데 만족하지 않고, 실제로는 균형 이상의 힘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쟁은 결국 군비 경쟁을 격화시켜 오히려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 세력 균형의 불충분성: 세력 균형이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주요 강대국들이 세력 균형 유지를 국제적인 규칙으로 존중하는 공통된 인식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냉전 시대의 미국소련 사이에는 이러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했다.[109]


이러한 분석을 통해 모건소는 군사력에만 의존하는 외교 정책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힘과 외교의 조화로운 운용을 강조했다.

4. 미국 외교 정책 비판

모건소는 국제 정치를 권력 투쟁으로 보는 현실주의 시각에 입각하여 미국의 외교 정책을 지속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외교의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힘(power)으로 정의된 이익'으로서의 국익(national interest)을 강조하며[107], 미국의 정책이 이러한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형성된 냉전 질서 속에서 미국의 대소련 정책, 대중국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했으며[108],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에 대해서도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강하게 비판했다.[108] 그는 외교 정책이 도덕적 이상이나 감상적 믿음에 기반해서는 안 되며[110], 오직 자국의 국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1]

4. 1.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초기

국제 정치를 권력 투쟁으로 간주하는 현실주의 학파의 대표적 인물로서, 외교의 행동 원칙으로 '힘(power)으로 정의된 이익'으로서의 국익(national interest)을 강조했다.[107] 그는 이러한 국익과 세력권에 기반한 세력 균형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부터 미국의 외교 정책을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모건소는 미국이 소련과의 협상에서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세력권에 기반한 현실적 외교를 추구했던 처칠과 달리, 미국은 스탈린과의 테헤란 회담얄타 회담에서의 약속을 지나치게 신뢰했다고 보았다. 이는 전후 냉전 질서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전후 냉전 초기에도 모건소의 비판은 이어졌다. 그는 미국이 소련의 첫 핵실험(1949년) 가능성을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고 대비하지 못한 점을 무책임하다고 비판했다. 또한, 부패한 국민당 정권을 어중간하게 지원함으로써 중국 대륙과의 관계를 악화시킨 미국의 중국 정책 실패를 지적했다.[108] 더 나아가 미국이 주도한 베트ナム 전쟁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모건소는 외교 정책이 "미덕과 악덕의 싸움이며 선이 반드시 승리한다"는 식의 감상적 관념이나, "사악한 국가들의 무조건 항복 이후 권력 정치가 없는 멋진 신세계가 올 것"이라는 유토피아적 관념을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0] 그는 "힘 없는 외교는 취약하고, 외교 없는 힘은 파괴적"이며, "어떤 국가도 무한한 힘을 가질 수 없으므로 타국의 힘과 국익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 국가가 따라야 할 최고의 도덕적 의무는 자국의 국익을 지키는 것이라고 보았다.[111]

초기에는 국무성이 주도하는 냉전론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으나, 1970년대 초반 데탕트 분위기 속에서 등장한 낙관적인 '냉전 종언론'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다. 그는 "냉전이 끝났다는 것은 부정확하고 지나치게 낙관적인 표현"이라며, 냉전의 근본 원인인 독일유럽의 패권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고, 관련 강대국들의 정책 변화에 따라 언제든 갈등이 재점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냉전이 종식된 것이 아니라 단지 격렬함이 줄어들었을 뿐이라고 진단했는데[112], 이는 이후 1979년 데탕트의 종언과 제2차 냉전의 도래를 예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4. 2. 베트남 전쟁 반대

모건소는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의 관점에서 미국베트남 전쟁 개입을 비판했다.[108] 그는 국제 정치를 권력 투쟁으로 파악하고, 모든 국가는 '힘(power)으로 정의된 이익'으로서의 국익(national interest)을 추구해야 한다고 보았다.[108] 이러한 시각에 기초하여, 모건소는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이 미국의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또한 그는 "힘 없는 외교는 취약하며, 외교 없는 힘은 파괴적"이라고 주장하며[111], 군사력에만 의존하는 외교 정책의 위험성을 경고했는데, 이는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방식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졌다.

5. 말년의 활동 및 평가

현실주의자로 유명하지만, 한편으로는 군사력에만 의존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보았다.

초기에는 미국 국무부냉전론에 회의적이었으나, 1970년대 초에 나타난 낙관적인 "냉전 종언론"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그는 "냉전이 끝났다는 것은 부정확하고 지나치게 낙관적인 언사를 읊는 것이다. 냉전의 원인이 된 문제, 즉, 누가 독일을, 그리고 독일을 통해 유럽을 지배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중략), 이해 관계를 가진 여러 대국의 정책 변화에 좌우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실 냉전은 끝난 것이 아니라, 과거에 큰 위기 때마다 전쟁의 위협을 느끼게 했던 격렬함을 잃었을 뿐이다"라고 지적했다[112]. 이는 미국소련 간의 데탕트가 1979년까지 끝나고 제2차 냉전으로 이어질 것을 시사하는 분석이었다.

1973년 여름에는 한나 아렌트와 함께 그리스 로도스 섬으로 여행을 갔고, 그곳에서 아렌트에게 청혼했으나 거절당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좋은 친구 관계를 유지했으며, 아렌트는 모겐소를 "남자다운 사람"이라고 평가했다[113].

1979년 10월 8일, 그리스에서 발생한 스위스 항공 316편 착륙 실패 사고에 휘말렸으나, 154명의 승객과 승무원 중 14명이 사망한 사고에서 생존했다.

6. 비판

모건소의 저서 《국가 간의 정치》(Politics Among Nations)는 국제 정치 및 국제법 분야의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지만, 그의 견해는 여러 측면에서 도전을 받았다. 비판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뉜다. 한편으로는 모건소의 현실주의적 관점의 기본적인 전제 자체를 거부하는 비판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주의 틀 내에서 그의 기본적인 가정을 공유하면서도 접근 방식의 일부 측면에 이의를 제기하는 비판이 있다.[89]

현실주의 내부의 주요 비판자로는 케네스 월츠와 존 미어셰이머 등이 있다.


  • '''케네스 월츠의 비판''': 월츠는 그의 저서 《국제 정치 이론》(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1979)에서 모건소의 고전적 현실주의와 구별되는 신현실주의(Neorealism)를 제시했다. 월츠는 국가 간의 역량 배분과 같은 국제 시스템의 순수한 "구조적" 요소에 더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90] 그는 모건소의 현실주의보다 더 의식적으로 과학적인 접근을 추구했으며,[91] 국가들이 의도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세력 균형은 반복적으로 형성된다고 보았다.[92] 월츠는 모건소가 세력 균형 유지를 국가의 동기와 의식적인 목표에 의존한다고 본 점을 비판하며, 이것이 세력 균형 이론을 "왜곡"한다고 지적했다.[93]

  • '''존 미어셰이머의 비판''': 월츠의 "방어적" 현실주의와 대조적으로, 미어셰이머는 《강대국 정치의 비극》(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2001)에서 "공격적 현실주의"(Offensive Realism) 이론을 제시했다. 미어셰이머는 국가가 상대적 힘을 극대화하려 한다는 점에서는 모건소와 의견을 같이했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는 다른 설명을 제시했다. 모건소는 국가의 행동 원인을 "모든 국가에 내재된 권력 의지"에서 찾았다고 미어셰이머는 해석했지만, 미어셰이머 자신은 국제 시스템의 "무정부적" 성격 자체가 국가들로 하여금 생존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힘을 추구하도록 만든다고 주장했다.[94]


또 다른 주요 비판 영역은 모건소의 국익(National Interest) 개념과 관련이 있다. 일부 비평가들은 모건소가 "국가 이익의 '합리적인 핵심'은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파악될 수 있다"고 가정한 점이 오류라고 주장했다.[95] 이러한 비판에 따르면, "국가 이익이라는 개념은 모건소가 부여한 무게를 감당할 만큼 명확하거나 객관적이지 않다."[96] 즉, 국가 이익 개념의 모호성과 객관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7. 저서


  • La Réalité des Normes, En Particulier des Normes du Droit International: Fondements d'une Théorie des Normes프랑스어 (규범의 현실, 특히 국제법 규범: 규범 이론의 기초), (Félix Alcan, 1934).
  • 과학적 인간 대 권력 정치 (Scientific Man versus Power Politics영어),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1946).
  • 국가 간의 정치: 권력과 평화를 위한 투쟁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영어), (Alfred A. Knopf, 1948, 이후 판).
  • 국가 이익의 옹호: 미국 외교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In Defense of the National Interest: A Critical Examination of American Foreign Policy영어), (Alfred A. Knopf, 1951).
  • 미국 외교 정책: 비판적 고찰 (American Foreign Policy: A Critical Examination영어), (Methuen, 1952).
  • 정치의 딜레마 (Dilemmas of Politics영어),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1958).
  • 미국 정치의 목적 (The Purpose of American Politics영어), (Alfred A. Knopf, 1960).
  • 20세기의 정치 (Politics in the 20th Century영어) (3권),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1962).
  • 교차로 논문: 미국 미래를 들여다보다 (Crossroad Papers: A Look Into the American Future영어) (편), (Norton, 1965).
  • 베트남과 미국 (Vietnam and the United States영어), (Public Affairs Press, 1965).
  • 미국을 위한 새로운 외교 정책 (A New Foreign Policy for the United States영어), (F. A. Praeger, 1969).
  • 진실과 권력: 10년간의 에세이, 1960–70 (Truth and Power: Essays of a Decade, 1960–70영어), (Praeger, 1970).
  • 과학: 하인인가 주인인가? (Science: Servant or Master?영어), (World Publishing, 1972).
  • 링컨의 신념과 정치에 관한 에세이 (Essays on Lincoln's Faith and Politics영어),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3). 데이비드 헤인(David Hein)의 별도 텍스트와 공동 출판.
  • 정치적 개념 (The Concept of the Political영어), (Palgrave Macmillan, 2012; 원본 1933). H. 베어(H. Behr)와 F. 뢰쉬(F. Roesch) 서문. M. 비달(M. Vidal) 번역.


모겐소의 저작물 전체 목록은 한스 J. 모겐소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Atlantic Realists: Empire and International Political Thought Betwee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2
[2] 서적 Politics Among Nations Knopf 1967
[3] 서적 Reinhold Niebuhr and His Circle of Influence Cambridge Univ. Press 2013
[4] 서적 Reinhold Niebuhr and His Circle of Influence
[5] 웹사이트 Carl Schmitt and Hans Morgenthau: Realism and Beyond https://scholarworks[...] 2006-09-22
[6] 간행물 "Beyond Tragedy: Hannah Arendt and Hans Morgenthau on Responsibility, Evil and Political Ethics," 2009
[7] 논문 Realism as social criticism: The thinking partnership of Hannah Arendt and Hans Morgenthau https://pure.coventr[...] 2013-11-01
[8] 논문 The Impotence of Power: Morgenthau's Critique of American Intervention in Vietnam
[9] 서적 In Defense of the National Interest: A Critical Examination of American Foreign Policy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2
[10] 서적 The Concept of the Political Palgrave Macmillan 2012
[11] 서적 The Inevitability of Tragedy: Henry Kissinger and His World W.W. Norton 2020
[12] 웹사이트 Hans Joachim Morgenthau https://www.amacad.o[...] 2022-11-21
[13]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11-21
[14] 서적 One Hundred Year Commemoration to the Life of Hans Morgenthau Semenenko 2004
[15] 뉴스 Small amount of plutonium missing from crashed jet https://news.google.[...]
[16] 뉴스 Hans Morgenthau dies; noted political scientist https://news.google.[...] The Telegraph 1980-07-21
[17] 웹사이트 Research Results https://www.chabad.o[...]
[18] 웹사이트 "Diamonds of the Rebbe" by Mordechai Staiman https://www.torah4bl[...]
[19] 서적 Die internationale Rechtspflege, ihr Wesen und ihre Grenzen Universitätsverlag Noske 1929
[20] 문서 "Fragment of an Intellectual Autobiography: 1904–1932" Transaction Books 1984
[21] 문서 The Concept of the Political
[22] 서적 La Réalité des normes en particulier des normes du droit international: Fondements d'une théorie des normes Alcan 1934
[23] 서적 The Guardian of the Constitution: Hans Kelsen and Carl Schmitt on the Limits of Constitution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24] 서적 Hans Kelsen. Biographie eines Rechtswissenschaftlers Mohr Siebeck
[25] 논문 Kelsen and Morgenthau in America: Between Legal Philosophy and International Politics
[26] 논문 Review of La notion du "politique" et la theorie des differends internationaux. https://www.jstor.or[...] 1935
[27] 서적 The Concept of the Political Palgrave Macmillan 2012
[28] 간행물 "Freudian Roots of Political Realism: The Importance of Sigmund Freud to Hans J. Morgenthau's Theory of International Power Politics." 2007
[29] 간행물 "Positivism, Functionalism, and International Law" 1940
[30] 서적 World Politics and International Law
[31] 문서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Politics: An Easy Partnership" 1974
[32] 논문 Elder Abuse: How the Moderns Mistreat Classical Realism
[33] 서적 Hans Morgenthau: Realism and Beyond Polity Press
[34] 논문 Toward IR's "Fifth Debate": Racial Justice and the National Interest in Classical Realism 2024-04-17
[35] 뉴스 "We Are Deluding Ourselves in Viet-Nam" New York Times Magazine 1965-04-18
[36] 서적 Realist Thought from Weber to Kissinger LSU Press 1986
[37] 서적 Realist Thought from Weber to Kissinger
[38] 논문 "Hans Morgenthau, Realism, and the Scientific Study of International Politics," 1994-01-01
[39] 웹사이트 Politics Among Nations: The Struggle for Power and Peace http://www.mtholyoke[...] Alfred A. Knopf 1978
[40] 서적 Hans J. Morgenthau and the Ethics of American Statecraft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990
[41] 간행물 Macht und Ohnmacht des Menschen in technischen Zeitalter Verlag Styria 1974
[42] 논문 Pouvoir, puissance, and politics: Hans Morgenthau's dualistic concept of power? https://www.cambridg[...] 2014
[43] 논문 "Reclaiming the Critical Dimension of Realism: Hans J. Morgenthau on the Ethics of Scholarship." 2008
[44] 논문 "The Moral Politics of Hans Morgenthau." 1996
[45] 서적 Politics Among Nations Smith
[46] 서적 Politics Among Nations Knopf 1967
[47] 서적 Politics Among Nations
[48] 서적 Politics Among Nations
[49] 논문 To Be an Apolitical Political Scientist: A Chinese Immigrant Scholar and (Geo)politicized American Higher Education 2020-05-01
[50] 논문 The Impact of the Loyalty-Security Measures on the State Department https://doi.org/10.1[...] 1955-04-01
[51] 서적 The Dual State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2
[52] 서적 Government of the Shadows: Parapolitics and Criminal Sovereignty https://doi.org/10.2[...] Pluto Press 2009
[53] 뉴스 Is QAnon a game gone wrong? https://www.ft.com/v[...] 2020-10-16
[54] 논문 "Realism and the Left: The Case of Hans J. Morgenthau." 2008
[55] 간행물 "The Lessons of Vietnam" St Martin's Press 1973
[56] 서적 Lessons in Disaster: McGeorge Bundy and the Path to War in Vietnam 2009
[57] 서적 America's Rasputin: Walt Rostow and the Vietnam War Hill and Wang 2008
[58] 서적 Truth and Power: Essays of a Decade, 1960-70
[59] 서적 Our Vietnam Simon and Schuster 2000
[60] 서적 Our Vietnam
[61] 서적 Politics in th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2
[62] 서적 Hans Morgenthau: Realism and Beyond
[63] 서적 Hans Morgenthau
[64] 서적 Hans Morgenthau
[65] 서적 Hans Morgenthau
[66] 간행물 "Vietnam and Cambodia" 1978-09-01
[67] 서적 Science: Servant or Master? New American Library 1972
[68] 논문 "The Roots of Narcissism" 1978-06-01
[69] 논문 "Public Affairs: Love and Power" 1962-03-01
[70] 논문 "Justice and Power" 1974-03-01
[71] 서적 Political Theory and International Affairs: Hans J. Morgenthau on Aristotle's The Politics Praeger 2004
[72] 논문 Aristotle, Epicurus, Morgenthau and the Political Ethics of the Lesser Evil 2009
[73] 간행물 Review of Book: Soviet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Relations, 1956–1967, by William Zimmerman 1971-12
[74] 간행물 Review of Book: Work, Society and Culture by Yves Simon 1974-01
[75] 간행물 Wild Bunch 1971-02-11
[76] 간행물 Review of Book: Law, the State,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James Brown Scott 1940-06
[77] 간행물 The National Interest and the Pentagon Papers 1972
[78] 간행물 The Geopolitics of Israel's Survival 1973-12-24
[79] 문서 Address Delivered by Professor Hans Morgenthau at the Inauguration Ceremony of the Reuben Hecht Chair of Zionist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Haifa 1975-05-13
[80] 간행물 Facing Mideast Realities 1978-04-24
[81] 간행물 Daniel Berrigan and Hans Morgenthau Discuss the Moral Dilemma in the Middle East 1974-03
[82] 서적 World Politics and the Politics of O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5
[83] 간행물 On Solzhenitsyn, Sakharov 1974-10
[84] 간행물 The Aborted Nixon Revolution: Watergate and the Future of American Politics 1973-08-11
[85] 간행물 Three Paradoxes 1975-10-11
[86] 서적 Terrorism: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McGraw-Hill 1977
[87] 문서 Democracy and Totalitarianism
[88] 간행물 Power and Powerlessness: Decline of Democratic Government 1974-11-09
[89] 문서
[90] 서적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McGraw-Hill 1979
[91] 논문 Misreading in IR Theory and Ideology Critique: Morgenthau, Waltz and Neo-Realism 2009
[92] 서적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93] 서적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94] 서적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W.W. Norton 2001
[95] 서적 Realist Thought from Weber to Kissinger 1986
[96] 서적 Realist Thought from Weber to Kissinger
[97] 논문 Why Ideas Matt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Hans Morgenthau, Classical Realism, and the Mor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2004
[98] 서적 Some Political Aspects of Disarmament Croom Helm 1975
[99] 간행물 Henry Kissinger, Secretary of State 1974-11
[100] 간행물 Superpower Politics 1972-06-26
[101] 서적 Hans J. Morgenthau: An Intellectual Biography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2001
[102] 서적 Hans J. Morgenthau und der weltpolitische Realismus: Die Grundlegung einer realistischen Theorie 2004
[103] 서적 The Heritage, Challenge, and Future of Realism: In Memoriam Hans J. Morgenthau (1904–1980) V&R unipress 2005
[104] 웹사이트 Hans Morgenthau and the Iraq War: Realism Versus Neo-Conservatism 2005
[105] 서적 I limiti della potenza. Etica e politica nella teoria internazionale di Hans J. Morgenthau Il Mulino 2010
[106] 웹사이트 The Hans J. Morgenthau Page https://sites.google[...]
[107] 서적 アメリカ外交政策の刷新 鹿島研究所出版会
[108] 서적 国益を守る 志學社
[109] 서적 日本の国際関係論 勁草書房
[110] 서적 国益を守る 志學社
[111] 서적 国益を守る 志學社
[112] 서적 アメリカ外交政策の刷新 鹿島平和研究所
[113] 문서 『ハンナ・アーレント伝』
[114] 저널 The Impotence of Power: Morgenthau's Critique of American Intervention in Vietnam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