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성궁은 나무, 뿔, 힘줄 등 여러 재료를 접착하여 만든 활로, 기원전 3~4천 년경 메소포타미아와 엘람 지역에서 처음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유목민들에 의해 개량되어 기마 궁술의 주 무기로 사용되었으며, 고대 이집트, 중국, 아시리아 등 다양한 문명으로 전파되었다. 합성궁은 단궁에 비해 작고 강력하여 기동성이 뛰어나지만, 제작 과정이 복잡하고 습기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스키타이 활, 훈족 활, 터키 활, 한국의 각궁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현대에는 스포츠나 전통 문화 보존을 위해 사용되거나, 유리 섬유나 탄소 섬유를 사용하여 복제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궁시 - 반곡궁
반곡궁은 곡선 형태의 팔을 가진 활로, 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첨단 소재를 사용하여 올림픽 양궁의 주요 종목으로 발전했지만, 전통 활쏘기 문화와의 단절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 궁시 - 장궁
장궁은 궁수의 키만큼 긴 활로, 강력한 위력을 위해 시위를 강하게 당길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보병 무기로 널리 쓰였고 일본에서는 무사의 기승사 무술에 활용되었으며 잉글랜드 롱보우의 활약, 동아시아 와궁 등으로 발전하여 전쟁, 사냥, 현대 레크리에이션과 궁술 경기에 사용되고 기원은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연구가 있다.
합성궁 | |
---|---|
개요 | |
![]() | |
종류 | 활 |
재료 | 나무 뿔 힘줄 |
역사적 사용 | 전쟁 사냥 |
구조 및 제작 | |
특징 | 복합 구조로 제작되어 일반 활보다 강력하고 효율적임 |
재료 | 나무: 활의 몸체를 형성 뿔: 압축력을 강화 힘줄: 장력을 강화 |
제작 방법 | 여러 재료를 접착하여 층층이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제작 |
역사 | |
기원 | 고대 문명 (기원전 2천 년경) |
주요 사용 국가 | 아시아 (중앙 아시아, 중국, 한국, 몽골, 일본) 중동 유럽 (동유럽) |
문화적 의미 | |
상징성 | 권력, 위엄, 무력 |
관련 문화 | 궁술 기마술 |
종류 | |
아시아 | 고구려의 맥궁 각궁 몽골 활 만주 활 중국 활 터키 활 페르시아 활 인도 활 |
참고 자료 | |
관련 용어 | 활 화살 궁술 국궁 |
기타 | |
관련 정보 | 복합궁은 활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여러 재료를 결합하여 만든 활이다. 각 재료는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전체적인 활의 강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
2. 역사
합성궁은 기원전 3천 년에서 4천 년경 메소포타미아와 엘람에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다.[7] 고대 이집트에서는 힉소스가 합성궁을 도입하여 군사적 우위를 점했다. 유라시아 대초원의 유목민족들(스키타이, 파르티아, 흉노, 훈족, 마자르족, 셀주크, 몽골 등)은 합성궁을 개량하고 기마 궁술에 활용하여 군사적 강세를 보였다.
중국에서도 상나라 시대부터 합성궁이 사용되었으며, 한나라 시대에는 쇠뇌와 함께 보병 전술에 활용되었다. 동로마 제국은 유목 민족의 영향을 받아 합성궁을 군대에 도입했다. 15~16세기 이후 소총이 발달하면서 합성궁의 군사적 중요성은 감소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사용되었다.
2. 1. 한국의 합성궁 (각궁)
한국에서는 고대부터 각궁()이라는 합성궁을 사용해 왔다. 각궁은 물소 뿔, 대나무, 소 힘줄, 민어 부레풀 등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작지만 매우 효율적이다.[39] 한국 궁사들은 보통 145m 거리에서 연습한다.[39]3. 구조 및 제작
합성궁은 나무로 된 심재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진다. 활의 배 부분(궁수를 향하는 쪽)에는 압축에 강한 뿔을, 등 부분(궁수의 반대쪽)에는 인장에 강한 힘줄을 붙인다.[1][2][3] 나무 심재는 여러 조각으로 만들어 동물성 접착제로 연결하며, 단풍나무, 대나무, 뽕나무 등이 사용된다.[1][2]
뿔은 주로 물소 뿔이 사용되지만, 겜스복, 오릭스, 아이벡스, 헝가리 회색 소 등의 뿔도 사용된다.[3] 힘줄은 야생 사슴이나 가축의 뒷다리와 등에서 얻으며, 동물성 접착제에 담가 활의 뒷면에 층층이 덮는다. 이때, 소 힘줄은 지방이 많아 부패하기 쉬우므로 야생 동물 힘줄보다 질이 떨어진다고 여겨졌다.[1]
힘줄 층과 뿔 배를 나무 심재에 부착하는 데에는 가죽 풀이나 어교(생선 부레로 만든 젤라틴)가 사용된다.[2] 일부 합성궁은 가문비나무 등으로 만든 뻣뻣한 끝부분('siyahs')을 가지기도 한다.[2] 완성된 활은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얇은 가죽이나 방수 나무 껍질로 덮거나, 화려하게 장식하기도 한다.
4. 장점과 단점
합성궁은 하나의 재료로 만들어진 Self bow|셀프 보우영어에 비해 크기가 작으면서도 높은 위력을 낼 수 있어 다루기 쉽고, 말 위나 마차에서도 쏠 수 있으며, 대개 반곡궁(리커브 보우) 형태를 띤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제작에 많은 수고와 시간이 필요하고, 재료를 접착하는 아교가 습기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습도가 높거나 비가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셀프 보우를 선호한 반면, 합성궁은 온대나 건조한 지역에서 선호되었다.[1] 6세기 Byzantine army|비잔티움 제국군영어의 매뉴얼인 Strategikon of Maurice|마우리키우스의 스트라테기콘영어에는 "복합궁을 가죽 케이스에 넣어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기재되어 있다.[2]
4. 1. 장점
단궁(나무 한 조각으로 만든 활)에 비해 크기가 작으면서도 높은 성능을 결합한 것이 합성궁의 주요 장점이다. 따라서 궁수가 말이나 전차와 같이 이동 중일 때 단궁보다 더 편리하다. 거의 모든 합성궁은 궁수로부터 멀어지는 곡선을 가진 반곡궁이기도 하다. 이러한 디자인은 궁수의 당기는 초기 단계에서 더 높은 인장력을 제공하여 주어진 최종 인장력에 대해 약간 더 많은 총 에너지를 저장한다. 전통적인 합성궁과 동일한 모양, 길이 및 인장력을 가진 나무 활을 만들 수 있지만 에너지를 저장할 수 없고 완전히 당기기 전에 부러질 것이다.[2]Self bow|셀프 보우영어에 비해 소형이면서도 고위력을 낼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하다. 말 위나 마차에서도 쏠 수 있다. 대개 리커브 보우 형태를 띤다.
4. 2. 단점
합성궁은 제작에 각궁보다 훨씬 많은 시간과 다양한 재료가 필요하며, 사용되는 동물성 접착제는 습기에 약해 습한 환경에서는 강도를 잃을 수 있다.[1] 이러한 이유로 습하거나 비가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역사적으로 각궁을 선호했고, 온화하고 건조한 지역에서는 합성궁을 선호했다.중세 유럽사에서는 손으로 사용하는 활은 각궁을, 쇠뇌의 현(prod)은 복합궁으로 만들었다. 고대 지중해 문명은 동방 궁술의 영향을 받아 복합 반궁이를 선호했으며, 로마인들은 이를 제조하여 브리타니아 북부 지역까지 사용했다.[5]
인도 문명은 각궁과 복합궁을 모두 사용했다. 무굴 제국은 튀르크-몽골계 영향으로 복합궁으로 유명했다. 인도의 덥고 습한 아열대 기후와 많은 강수량 때문에 복합궁의 방수 처리와 보관이 중요했다.[6]
중국 문명 또한 각궁, 복합 반궁이 활, 적층 반사 활을 조합하여 사용했다. 중국 남부 지역은 매우 습하고 비가 많이 오는 아열대 기후 때문에 초기에는 각궁과 적층 활을 선호했다.[6]
일본의 화궁을 제외한 일반적인 복합궁은 말 위에서도 다루기 쉽도록 길게 만들지 않았다. 소재 자체를 개량했기 때문에 크기에 비해 강력했지만, 사용하기는 어려웠다.
유라시아 대륙 중앙부의 유목민은 소재뿐만 아니라 구조에도 개량을 가했다. 궁장이 제조 비밀이 새는 것을 우려하여 자세한 제조법은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대부분의 합성궁은 먼저 축이 되는 목재 활을 준비하고, 바깥쪽에 실처럼 푼 동물의 힘줄, 안쪽에 동물의 뿔이나 뼈를 아교로 붙여 제작했다. 힘줄을 실처럼 꼬는 작업과 아교로 재료를 붙이는 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고, 경우에 따라 몇 달이 걸리기도 했기 때문에 크고 강력한 합성궁은 매우 비쌌다.
요약하자면, 합성궁은 제작에 많은 수고와 시간이 소요되며, 재료를 접착하는 膠(교)가 습기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5. 종류
스키타이 활은 기원전 1세기경까지 아시아에서 지배적인 형태였다. 이 활은 짧은 무기로, 현을 건 상태에서 119cm 길이였고, 화살은 아마 50cm 에서 60cm 길이였을 것이다. 유연하고 "작동하는" 끝부분을 가지고 있었으며, 나무 심은 중심에서 끝까지 이어져 있었다.[17]
기원전 4세기경부터는 합성궁에 뻣뻣한 끝부분(시야)을 사용하는 것이 널리 퍼졌다. 뻣뻣한 끝부분은 سية|시야ar(아랍어), سية|시야fa(페르시아어),[18] szarv|사르브hu(헝가리어), sarvi|사르비fi('sarvi'와 'szarv' 둘 다 '뿔'을 의미) 또는 kasan|카산tr(터키어)이라고 불렸으며, 구부러지는 부분은 دستار|두스타르ar(아랍어), lapa|라파fi(핀란드어) 또는 sal|살tr(터키어)이라고 불렸다. 이 뻣뻣함은 뼈 또는 사슴 뿔 조각을 활의 양 끝에 부착하여 만들었다. 이러한 뼈 조각은 기원전 "4세기 또는 3세기의 무덤"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19] 유목민과 관련이 깊다.
훈족/흉노 활은 활의 손잡이와 활시위를 뼈로 보강한 것으로, 기원전 3세기에서 2세기 사이에 중앙아시아에서 개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24][25][26] 가장 초기의 유물은 바이칼 호수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손잡이와 시위가 모두 보강된 이러한 활은 "훈족", "훈족의", 또는 "흉노" 복합궁이라고 불렸다.[21][25] 훈족 외에도 많은 민족이 이 활을 사용했다. 이러한 활은 종종 비대칭으로, 아래쪽 활 시위가 위쪽보다 짧았다.[19][28][29]
아바르족 활은 쿰다리아 활에서 발전된 형태로, 헝가리에서 더 많고 모양이 다른 덧대(lath)를 가졌다. 손잡이 덧대는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었지만, 손잡이 뒤쪽에 네 번째 조각을 접착하여 네 면 모두 뼈로 감싸는 경우도 있었다. 시야 덧대는 노크 위쪽에서 단면이 훨씬 넓어지고 덜 둥글어져 구근 모양을 보였다. 추가 덧대는 보통 시야의 배 부분과 등 부분에 추가되어, 활대의 양쪽 끝을 네 면에서 감쌌다. 이것은 뻣뻣하고 뒤로 젖혀진 손잡이가 있는 비대칭 활에서 최대 12개의 덧대를 만들었다. 현장에서 측정된 예시의 활 길이는 120cm 에서 140cm였다. 현을 매지 않았을 때, 시야는 50~60도의 각도로 앞으로 날카롭게 반전되었다.[27]
페르소-파르티안 활은 시위에 걸었을 때 고도로 긴장된 대칭형 반전궁이다. 활의 "팔"은 시위를 풀었을 때 서로 교차할 정도로 충분히 반전되어야 한다. 완성된 활은 수분을 막기 위해 나무껍질, 고운 가죽, 또는 어떤 경우에는 상어 가죽으로 덮여 있다.[2] 페르소-파르티안 활은 페르시아(고대 이란)에서 1820년대까지 사용되었으며, 이후 머스킷 총으로 대체되었다.
터키식 활은 복합궁의 오스만 제국 시대 발전형으로, 아마도 최고의 전통 비행용 활로 진화했다. 장식은 종종 금색을 사용한 섬세하고 아름다운 다색 디자인을 포함했다.[1][32]
중국 활은 수천 년 동안 다양한 형태가 존재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른 디자인이 사용되었다.[40][41]
몽골 활 제작 전통은 청나라 시대에 궁술 연습을 심하게 제한하면서 사라졌으나, 1921년 독립 이후 만주족 유형의 활을 기반으로 부활했다.[44][45] 기마 궁술은 한동안 사용되지 않다가 21세기에 부활했다. 합성궁을 이용한 궁술은 "나담"이라고 불리는 세 가지 남성 스포츠 (씨름, 승마, 궁술) 연례 축제의 일부이다.
헝가리 활은 뼈 보강재가 있는 비교적 길고 대략 대칭적인 복합 반사궁이다. 그 모양은 뼈 판의 위치를 재구성할 수 있는 두 개의 무덤에서 알려져 있다.[46] 현대 헝가리인들은 조상들의 복합 활을 재현하려 시도했으며, 기마 궁술을 경쟁 스포츠로 부활시켰다.
한국 활(각궁)은 작지만 매우 효율적인 뿔-대나무-힘줄 복합 활이다. 한국 궁사들은 보통 약 145m 거리에서 연습한다.[39]
유미는 여러 겹의 대나무와 나무를 접합하여 제작한다. 일본의 화궁 외의 복합궁은 말 위에서도 다루기 쉽도록 그다지 길게 만들어지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아랍의 활에는 손으로 쏘는 활(حجازي|Hijāziar)과 발을 사용하는 활이 있다. 복합궁은 مصنوعة|maṣnū‘ahar 혹은 مركبة|murakkabahar 라고 불린다. Hijāzi에는 3종류가 있으며, 하나의 판으로 만들어진 활(قضيب|qaḍībar), 1종류 또는 2종류의 길이가 다른 판을 접합한 활, 동물의 힘줄이나 뿔을 사용하여 강화된 활 3종류가 있다. 이 세 번째가 복합궁에 해당한다. 사용되는 목재는 동일한 목재이지만, 산정상, 산복, 산기슭에서 채취한 것으로 용도를 구분한다[48]。
6. 현대적 응용
현대에는 전통적인 합성궁을 복제한 제품들이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복제품은 대량 생산이 쉽고 관리가 용이하도록 뱃살과 등쪽에 유리 섬유나 탄소 섬유를 사용한다.
활의 뱃살(사격 시 궁사 쪽을 향하는 부분)에는 뼈, 사슴 뿔, 오렌지 오세이지, 서양 물푸레나무, 주목과 같이 압축에 강한 나무가 뿔을 대체하는 재료로 사용되었다. 활의 등(사격 시 궁사 반대쪽을 향하는 부분)에는 실크와 같이 인장 강도가 강하거나 히코리와 같이 질긴 나무가 사용되었다.[2]
7. 추가 정보
합성궁의 후기 발전에는 궁의 나무 심에 V-접합[35]으로 부착된 별도의 나무 조각으로 만들어진 시야(siyahs)가 포함되었으며, 외부 보강으로 강화된 것은 아니었다.[1] 중세 및 현대의 궁은 일반적으로 일체형 나무 시야를 가지고 있으며, 뻣뻣한 덧판은 없다.
현(絃) "브리지" 또는 "런"은 뿔이나 나무로 만든 부착물로, 시야의 기저부에서 현을 활의 시위에서 약간 더 멀리 떨어뜨려 놓는 데 사용되며, 시야가 현의 앞쪽으로 각도를 이루며 놓이도록 한다. 이 부착물은 무게를 더할 수 있지만, 초기 현의 각도를 증가시켜 초기 단계에서 당기는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화살의 속도를 약간 증가시킬 수 있다. 큰 현 브리지는 만주족(청나라, 1644–1911) 활과 후기 몽골 활의 특징이며, 작은 현 브리지는 한국, 크림 타타르 및 일부 명나라 (1368–1644) 활의 특징이다.[36][37][38] 현 브리지는 칭기즈 칸 시대 또는 그 이전의 미술 작품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Ottoman Turkish bows, manufacture & design.
http://www.ottoman-t[...]
2009-10-26
[2]
서적
The Traditional Bowyers Bible Volume 1
The Lyons Press
[3]
웹사이트
A BRIEF HISTORICAL OVERVIEW OF HUNGARIAN ARCHERY, PART I. Chris Szabó
http://www.atarn.org[...]
2008-04-01
[4]
간행물
An Approach to the Study of Ancient Archery using Mathematical Modelling.
https://web.archive.[...]
2007-10-28
[5]
문서
Roman Archery Equipment.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Roman Military Equipment
B.A.R. International Series
[6]
웹사이트
World Average Yearly Annual Precipitation
https://www.eldorado[...]
2019-04-01
[7]
학위논문
Origins and Comparative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Bow
https://core.ac.uk/d[...]
University of South Africa
2019-12-01
[8]
간행물
The Two-Wood Bow
http://taylorandfran[...]
[9]
서적
THE SINTASHTA BOW OF THE BRONZE AGE OF THE SOUTH TRANS-URALS, RUSSIA
https://www.academia[...]
Archaeopress, publishers of British Archaeological Reports, Gordon House 276 Banbury Road Oxford OX2 7ED England
2016-03-20
[10]
서적
THE SINTASHTA BOW OF THE BRONZE AGE OF THE SOUTH TRANS-URALS, RUSSIA
https://www.academia[...]
Archaeopress, publishers of British Archaeological Reports, Gordon House 276 Banbury Road Oxford OX2 7ED England
2016-03-20
[11]
웹사이트
Central Asia Images
https://web.archive.[...]
Central Asia Images
2011-06-14
[12]
서적
THE SINTASHTA BOW OF THE BRONZE AGE OF THE SOUTH TRANS-URALS, RUSSIA
https://www.academia[...]
Archaeopress, publishers of British Archaeological Reports, Gordon House 276 Banbury Road Oxford OX2 7ED England
2016-03-20
[13]
웹사이트
Tutankhamun: Anatomy of an Excavation
http://www.griffith.[...]
[14]
서적
Shang Civilization
[15]
서적
Composite Bows in Minoan And Mycenaean Warfare
Archaeological Journal "Syndesmoi", University of Catania, Sympozjum Egejskie. Proceedings of the 2nd Students' Conference in Aegean Archaeology: Methods – Researches – Perspective, Institute of Archaeology, University of Warsaw, Poland, 25 April 2014
[16]
서적
Maurice's Strategikon: Handbook of Byzantine Military Strategy
[17]
웹사이트
Scythian-style bows discovered in Xinjiang: From the photographs and drawings of Stephen Selby
http://www.atarn.org[...]
2011-06-07
[18]
문서
In Arabic سِئَة siʾaḧ, سِیَة siyaḧ (pl. سِیَات siyāt), سَأَة saʾaḧ (or سَاءَة sāʾaḧ), سُؤَة suʾaḧ
[19]
서적
The World of the Hu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문서
Roman Archery Equipment
BAR International Series
[21]
간행물
Composite bows at ed-Dur (Umm al-Qaiwain, U.A.E.) Arabian archaeology and epigraphy 2005: 16: 154–160
https://doi.org/10.1[...]
[22]
문서
Roman Archery Equipment
BAR International Series
[23]
웹사이트
Epitoma rei militaris
http://www.intratext[...]
2011-06-07
[24]
간행물
Weapons of the Gorny Altai Nomads in the Hunnu Age
[25]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the bone reinforced composite
[26]
문서
New Evidence about Composite Bows and Their Arrows in Inner Asia
[27]
문서
Roman Archery Equipment
BAR International Series
[28]
서적
Roman Military Equipment from the Punic Wars to the Fall of Rome
Oxbow Books
[29]
서적
A BOOK ON THE EXCELLENCE OF THE BOW AND ARROW AND THE DESCRIPTION THEREOF
http://www.sacred-ar[...]
University of Princeton Press
[30]
간행물
The Strategikon: A Forgotten Military Classic
https://web.archive.[...]
2011-06-07
[31]
서적
A History of Warfare
Pimlico
[32]
서적
Turkish Archery and the Composite Bow
author
[33]
서적
Kitab ghunyat at-tullab fi marifat ramy an-mushshab
[34]
간행물
Composite Bows at Ed-Dur (Umm Al-Qaiwain, U.A.E.)
[35]
웹사이트
http://www.atarn.org[...]
[36]
서적
Archery Traditions of Asia
Hong Kong Museum of Coastal Defence
2003
[37]
웹사이트
Illustration from the Wu Bei Yao Lue ('Outline of Military Preparedness' : The Theory of Archery). Chen Zi-yi. 1638. Translated by Stephen Selby.
http://www.atarn.org[...]
2010-12-26
[38]
웹사이트
The Inheritance of a Turkish Bowyer: A Document from the Ottoman Archive. Şinasi Acar and Murat Özveri.
http://www.turkishcu[...]
2010-12-26
[39]
서적
Korean Traditional Archery
Handong Global University
[40]
서적
Chinese Archery
Hong Kong University
[41]
간행물
The Bows of China
Three-In-One Press
[42]
웹사이트
History of Ju Yuan Hao
http://www.juyuanhao[...]
2011-06-16
[43]
웹사이트
2009 Chinese Traditional Archery Seminar
Folk Archery Feder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09-11-01
[44]
웹사이트
MONGOLIAN ARCHERY IS AS OLD AS HISTORY
http://www.mfa.gov.m[...]
2023-08-28
[45]
웹사이트
Mongolian National Archery
http://www.atarn.org[...]
2000-07-18
[46]
웹사이트
Hungarian Traditional Archery
http://www.atarn.org[...]
ATARN.org
2000-05-01
[47]
서적
American Indian Arche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Oklahoma
[48]
웹사이트
IV. On the different kinds of bows and the most desirable of them
https://www.archeryl[...]
2020-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