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운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운대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운 최치원이 동백섬의 바위에 "해운대(海雲臺)"라는 글자를 새긴 것에서 유래했다. 조선 팔경 중 하나로 꼽히는 명승지이며, 신라 진성여왕이 온천욕을 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온천으로도 유명하다. 1994년 관광특구로 지정되면서 대규모 재개발이 이루어졌으며, 해운대 해변, 동백섬, 누리마루 APEC 하우스, 영화의 전당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해운대 신시가지, 센텀시티, 마린시티 등 신흥 부촌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해선, 도로 등 교통망이 발달했다. 해안가 고급 주거지를 일컫는 해운대 3구는 부산의 부촌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해운대구 - 우동항
    우동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어항으로, 방파제와 물양장이 설치되어 도다리, 삼치 등이 잡히며, 해양관광복합형 어항으로 정비될 예정이다.
  • 부산 해운대구 - 센텀시티
    센텀시티는 부산 해운대구에 위치한 수영비행장 부지에 조성된 업무, 주거, 상업, 문화 시설을 갖춘 복합단지로, 랜드마크 시설과 기업 유치를 통해 부산의 새로운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센텀2지구 개발과 편리한 교통망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 부산광역시 - KNN
    KNN은 1995년에 개국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과 경상남도를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민영방송이며, TV 방송과 KNN 파워FM, KNN 러브FM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고, KNN타워를 신사옥으로 사용하며 지역밀착형 뉴스와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문화에 관한 - 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70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 근대화, 소득 증대, 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권위주의 정권의 통치 수단 활용, 전통문화 탄압 등의 비판도 있으며, 현재는 생명살림운동으로 변화를 모색 중이다.
  • 대한민국의 문화에 관한 - 부산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동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국으로, 1959년 한국문화방송 부산방송국으로 개국하여 TV 방송을 개국했으며, 언론 통폐합을 거쳐 현재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본사를 두고 있다.
해운대
위치 정보
일반 정보
해운대
해운대
한글 표기해운대
한자 표기海雲臺
일본어 표기 (히라가나)かいうんだい
일본어 표기 (가타카나)ヘウンデ
영어 표기Haeundae
추가 정보
관련 항목해운대구

2. 지명의 유래

해운대는 조선팔경 중 하나로 꼽히는 오래된 명승지이다. 온천으로도 유명하며, 신라 진성여왕이 온천욕을 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1897년 해운대온천이 개발되면서 근대 온천지로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94년 관광특구로 지정되면서 대규모 재개발이 이루어졌다.

해운대 해변은 수영만 동쪽에 있으며, 수영강 하구를 사이에 두고 같은 만의 서쪽에 광안리 해변이 있다. 해운대 석각과 동백섬은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2019년에는 한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건물을 포함한 초고층빌딩 군인 해운대 LCT The Sharp가 완공되었다.

2. 1. 최치원과 해운대

해운대는 고운 최치원의 자인 해운(海雲)에서 비롯된 지명이다. 고운 최치원이 낙향하여 절로 들어가는 길에 우연히 해운대에 들렀는데, 주변이 무척 아름다워 동백섬에 '''海雲臺'''(해운대)라는 글을 음각으로 새겼다고 한다. 여기서 해운대의 이름이 유래되었다.[1]

신라의 문인 최치원동백섬을 방문하여 경관을 감상하고 바위에 "해운대(海雲台)"라고 새겼다(Haeundae Seokgak|해운대 석각영어).[3] 이것이 지명의 유래로 여겨진다.[3] 해운대해수욕장 서쪽 끝에 위치한 동백섬(동백공원)에는 최치원의 동상이 있다.[3]

해운대 동백섬에는 통일신라시대 유학자인 최치원의 동상과 시비가 있다.[2] 통일신라시대 진성여왕 재위때 최치원은 '학문을 쓸 곳이 없음'을 한탄하면서 유랑길에 올랐다고 한다.[2]

동백섬

3. 역사



조선팔경 중 하나로 꼽히는 오래된 명승지이다. 신라의 문인 최치원(호·해운)이 동백섬을 방문하여 경관을 감상하고 바위에 "해운대(海雲台)"라고 새겼다(해운대 석각). 이것이 지명의 유래로 여겨진다. 해운대해수욕장 서쪽 끝에 위치한 동백섬(동백공원)에는 최치원의 동상이 있다.

이곳은 온천으로도 유명하며, 신라 진성여왕이 온천욕을 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3. 1. 현대



조선팔경 중 하나로 꼽히는 오래된 명승지이다. 신라의 문인 최치원(호·해운)이 동백섬을 방문하여 경관을 감상하고 바위에 "해운대(海雲台)"라고 새겼다(해운대 석각Haeundae Seokgak||영어). 이것이 지명의 유래로 여겨진다. 해운대해수욕장 서쪽 끝에 위치한 동백섬(동백공원)에는 최치원의 동상이 있다.

이곳은 온천으로도 유명하며, 신라 진성여왕이 온천욕을 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1897년 해운대온천이 개발되면서 근대 온천지로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오랫동안 한적한 관광지였으나, 1994년 관광특구로 지정되면서 대규모 재개발이 이루어졌다.

해운대 해변은 수영만 동쪽에 있으며, 수영강 하구를 사이에 두고 같은 만의 서쪽에는 광안리 해변이 있다.

해운대 석각과 동백섬은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2019년에는 한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건물을 포함한 초고층빌딩 군, 해운대 LCT The Sharp가 완공되었다.

4. 관광 명소

해운대는 부산광역시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로,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 '''해운대 해수욕장:''' 대한민국 대표 해수욕장으로, 넓은 백사장과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 '''광안리 해수욕장:''' 광안대교 야경과 다양한 음식점, 카페로 유명하다. 부산세계불꽃축제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결승전이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
  • '''동백섬:''' 최치원의 발자취와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간직한 곳으로, 산책로와 누리마루 APEC하우스가 있다.
  • '''영화의 전당:'''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으로, 독특한 건축 디자인과 다양한 영화 관련 시설을 갖추고 있다.


1897년해운대온천이 개발되면서 근대 온천지로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오랫동안 한적한 관광지였으나, 1994년에 관광특구로 지정되면서 대규모 재개발이 이루어졌다. 2019년에는 한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건물을 포함한 초고층빌딩 군, 해운대 LCT The Sharp가 완공되었다.

이 외에도 해운대에는 해운대시장, 해운대온천, 동백공원, 부산아쿠아리움, 이비스 버짓 앰배서더 부산 해운대, 신라스테이 해운대, 동횡인 부산해운대2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4. 1. 해운대 해수욕장

해운대 해수욕장 야경


해운대해수욕장은 해운대 중심에 있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해수욕장으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과 중1동에 걸쳐 있다. 고운 모래로 이루어진 해변의 총 면적은 58400m2이며 길이는 1.5km, 폭은 30m~50m이다. 가까운 지역에는 조선비치호텔 등 300여 개의 편의 시설 및 숙박 시설이 있다. 2011년부터 개장 기간은 6월 초부터 9월 말까지다.

1994년 여름에는 해운대 리베라 백화점에서 부산을 대표하여 고구려 고분벽화 특별전을 열기도 하였다.

4. 2. 광안리 해수욕장

광안리해수욕장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2동에 있는 해수욕장이다. 모래사장의 총면적은 82000m2, 길이는 1.4km, 폭은 25~110m이다. 이곳에는 300여 개의 고급 레스토랑, 카페, 횟집 등이 있고 활어시장과 수변공원이 해수욕장 바로 옆(민락동 방면)에 있다. 해수욕장 해안에는 광안대교가 건설되어 있어 밤에는 LED 조명이 형형색색으로 비춰지는 곳이며, 부산세계불꽃축제가 개최되면 100만 명 이상의 엄청난 인파가 몰리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의 결승전이 일 년에 한 차례씩 열리는 까닭에 ‘E-스포츠의 성지’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다.[1]

4. 3. 동백섬



섬 전체를 붉게 물들이는 동백나무가 섬의 이름이 된 동백섬은 해운대해수욕장에서 바다 방향을 향해 서서 오른쪽을 볼 때, 백사장 끝에서 연결된 육계도다.[1] 원래는 섬이었는데 바로 옆으로 흐르는 춘천천의 영향으로 퇴적작용을 하여 육지와 연결되었지만, 지금도 옛날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동백섬 주위로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서 그 길을 따라 바다와 숲이 만드는 절경과 함께 멀리 광안대교, 오륙도, 달맞이 고개 등을 보면서 동시에 섬 곳곳에 있는 최치원의 해운대석각, 황옥공주 전설이 깃든 인어상, 누리마루 APEC하우스 등도 볼 수 있다.[2] 조선팔경 중 하나로 꼽히는 오래된 명승지이다. 신라의 문인 최치원(호·해운)이 동백섬을 방문하여 경관을 감상하고 바위에 "해운대(海雲台)"라고 새겼다(해운대 석각||ko영어). 이것이 지명의 유래로 여겨진다. 해운대해수욕장 서쪽 끝에 위치한 동백섬(동백공원)에는 최치원의 동상이 있다.

이곳은 온천으로도 유명하며, 신라의 진성여왕이 온천욕을 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해운대 석각과 동백섬은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4. 4. 누리마루 APEC 하우스

동백섬 끝자락에 있는 2005년 APEC 정상회의 장소로, 한때 출입이 통제되었으나 지금은 시민에게 개방되어 있다. 해운대 해수욕장과 함께 해운대의 명소이며, 2005년 APEC 회의장으로 사용되었다.[1]

4. 5. 영화의 전당

'''영화의전당'''(映畵의殿堂, Busan Cinema Center)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시티에 있는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이다. 아시아 최고를 넘어 세계적인 영화제로 성장한 부산국제영화제의 전용관 건립을 바라던 영화인들의 열망과, 아시아의 대표적인 영화·영상 도시를 지향하는 부산시의 의지가 뒷받침되어 2011년 9월 29일에 탄생하였다.[1] 2005년 국제 지명 현상 설계 공모에 쿱 힘멜브라우, 버나드 츄미, MVRDV, 스티븐 홀, 에릭 반 에게라트, 하이키넨-코모넨, 텐 아키텍토스가 참여하였으며, 이 중 오스트리아 쿱 힘멜브라우의 디자인이 선정되었다.[1] 쿱 힘멜브라우가 기본 설계를, 희림건축이 실시 설계를 하였고 한진중공업이 시공했다.[1] "함께 모여 영화를 즐기는 자리"라는 뜻의 '두레라움(Dureraum)'이라는 애칭으로도 불린다.[1]

4. 6. 기타 관광 명소

해운대시장, 해운대온천, 동백공원, 부산아쿠아리움, 누리마루 APEC하우스(2005년 APEC 회의장), 이비스 버짓 앰배서더 부산 해운대, 신라스테이 해운대, 동횡인 부산해운대2 등이 있다. 부산광역시 남구에 있는 광안대교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과 해운대구 우동 센텀시티를 잇는 대한민국 최대 해상 복층 교량이다.[1] 수영사적공원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있는 역사 공원으로, 조선시대 경상좌도수군절도사영이 있던 곳이다.[2]

5. 신시가지 및 경제

해운대는 해운대 신시가지, 센텀시티, 마린시티와 같은 주요 지역으로 구성된다. 이 중 마린시티는 과거 수영만 매립지에 조성된 초고층 주상복합건물 단지로, 부산의 신흥 부촌이다. 해운대구 우동에 위치하며,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백역벡스코역이 가깝다. 주변 경관은 아름답지만, 대중교통 접근성은 다소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편의 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새로운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3]

동백섬광안대교에서 바라보는 마린시티의 스카이라인은 장관을 이루어, 사진 애호가들이 즐겨 찾는 촬영 명소이다.

조선팔경 중 하나인 동백섬은 신라 시대 문인 최치원이 경치를 감상하고 '해운대'라는 글자를 바위에 새겨, 해운대 지명의 유래가 된 곳이다. 해운대해수욕장 서쪽 끝에 있는 동백섬(동백공원)에는 최치원의 동상이 있다.

해운대는 온천으로도 유명하며, 신라 진성여왕이 온천욕을 즐겼다는 전설이 있다. 1897년 해운대온천이 개발되면서 근대 온천의 역사가 시작되었고, 1994년 관광특구로 지정된 후 대규모 재개발이 이루어졌다.

해운대 해변은 수영만 동쪽에 있으며, 수영강 하구를 사이에 두고 서쪽에는 광안리 해변이 있다. 해운대 석각과 동백섬은 부산광역시 기념물이다.

2019년에는 한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건물을 포함한 초고층 빌딩 단지인 해운대 LCT The Sharp가 완공되었다.

5. 1. 해운대 신시가지

해운대해수욕장의 동북쪽, 장산의 남쪽에 있는 신시가지로 많은 아파트와 상가들이 밀집한 지역이다. 부산광역시 최초의 계획도시이며 장산역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동그란 형태로 시가지가 늘어서 있다.

초기에는 대규모 주거단지이나 부산광역시의 기존 도심과 떨어져 있어 교통 측면의 문제가 있었다. 도시철도 2호선이 완공되기 전에는 부산광역시 각지에 임시승강장을 짓고 월내역부터 동래역, 부전역, 사상역, 구포역, 부산역 등을 지나는 동해남부선 경부선에 통근열차를 운행하여 도심으로의 이동을 빠르게 하였다. 현재는 도시철도 2호선 장산역중동역, 동해선 신해운대역의 역세권이기도 하다.

이 지역에는 많은 영화관이 몰려 있어서 부산국제영화제의 일부 상영관이 들어서 있다. 또한 예전에는 이곳이 군부대 지역이었는데, 최근에도 일부 지역은 군사 지역으로 남아 있다.

5. 2. 센텀시티

해운대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있다.

  • 해운대시장
  • 해운대온천
  • 동백공원
  • 부산아쿠아리움
  • 누리마루 APEC하우스 - 2005년 APEC 회의장
  • 이비스 버짓 앰배서더 부산 해운대
  • 신라스테이 해운대
  • 동횡인 부산해운대2

5. 3. 마린시티

'''마린시티'''(Marine City)는 과거 수영만 매립지였던 곳에 조성된 초고층 주상복합건물 단지로서 부산의 신흥 부촌이다. 해운대구 우동에 있으며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백역벡스코역의 역세권이다. 주변 경치가 좋으나 대중교통 접근성이 매우 떨어진다. 편의 시설이 잘 갖추어져 새로운 명소가 되었다.[3]

또한 동백섬광안대교에서 마린시티를 바라볼 때 형성되는 스카이라인이 장관이어서 많은 사진 애호가들이 찾아오는 촬영 명소이기도 하다.

  • 해운대시장
  • 해운대온천
  • 동백공원
  • 부산아쿠아리움
  • 누리마루 APEC하우스 - 2005년 APEC 회의장
  • 이비스 버짓 앰배서더 부산 해운대(Ibis Budget Ambassador Busan Haeundae)
  • 신라스테이 해운대(신라호텔#신라스테이|신라스테이 해운대)
  • 동횡인 부산해운대2(동횡INN 부산해운대2)

6. 교통

해운대 주변 지도(영문)


해운대에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해운대역KORAIL 동해선 신해운대역이 있다.

6. 1. 철도

7. 해운대 3구 (부산의 강남)

해운대 3구는 해안가 근처에 밀집한 고급 주거지를 뜻하며, 여름 휴양 문화가 발달하고 여러 관광지와 번화가가 위치한 부산의 부촌 지역이다. 전통적으로 부산의 중산층 이상 계층이 많이 거주하는 곳으로, 해운대구 우동센텀시티마린시티, 수영구 남천동의 남천 삼익비치 아파트(재건축 진행 중), 남구 용호동의 고급 아파트 단지 등이 대표적이다. 서울의 강남 3구(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에 비견되는 부산의 강남으로 불린다.

2018년 9월 부산광역시 통계에 따르면, 부산 소득 상위 5개 지역은 모두 해운대 3구였다.

순위지역주요 시설
1해운대구 우3동마린시티, 대우마리나, 엑소디움
2해운대구 우2동센텀시티 일부
3해운대구 재송1동더샵 센텀파크, 더샵 센텀스타
4남구 용호1동LG메트로시티, GS하이츠자이, W
5수영구 남천2동코오롱하늘채, 삼익비치


참조

[1] 웹사이트 해운대동백섬 http://www.cha.go.kr[...] 문화재청
[2] 웹사이트 관광명소 해운대동백섬 http://tour.busan.go[...] 해운대구청
[3] 뉴스 부산의 또다른 명소 `마린시티` http://news.mk.co.kr[...] 매일경제신문 2011-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