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젝 노비의 레오폴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폴도 만디치는 현재 몬테네그로에 속한 헤르체그 노비에서 태어난 이탈리아의 가톨릭 사제이자 카푸친 작은형제회 수사이다. 그는 고해 사제로서 헌신적인 삶을 살았으며, 1906년부터 파도바의 산타 크로체 수도원에서 여생을 보냈다. 1942년 사망했으며, 1976년 복자, 1983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는 동방 교회와 가톨릭 교회의 일치를 위해 헌신하여 "일치의 사도"로 칭송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르젝 노비의 레오폴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존칭 접두사 | 성 |
| 이름 | 레오폴도 만딕 |
| 존칭 접미사 | OFMCap (작은 형제회 카푸친회) |
| 출생일 | 1866년 5월 12일 |
| 사망일 | 1942년 7월 30일 |
| 축일 | 5월 12일 (로마 순교록에서는 7월 30일) |
| 숭배 대상 | 로마 가톨릭교회 |
| 출생명 | 보그단 이반 만딕 |
| 출생지 | 헤르체그노비, 달마티아 왕국, 오스트리아 제국 |
| 사망지 | 파도바, 이탈리아 왕국 |
| 시복일 | 1976년 5월 2일 |
| 시복 장소 | 성 베드로 대성당 |
| 시복자 | 교황 바오로 6세 |
| 시성일 | 1983년 10월 16일 |
| 시성 장소 | 성 베드로 대성당 |
| 시성자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 주요 성지 | 성 레오폴도 만딕 성지, 파도바, 이탈리아 |
| 수호 성인 | 암 환자 |
2. 유년기와 사제 서품
몬테네그로 헤르체그 노비에서 태어난 레오폴도 만디치는 어린 시절부터 카푸친 작은형제회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했다. 그는 선천적으로 몸이 약했지만, 수도자가 되기를 열망하여 16세에 이탈리아로 건너가 카푸친회에 입회했다. 소신학교와 수련원 과정을 거쳐 수도서원을 한 후, 파도바와 베네치아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1890년, 24세의 나이로 베네치아에서 사제 성품을 받았다. 비록 건강 문제로 인해 선교 활동의 꿈을 직접 이루기는 어려웠지만, 그는 주로 고해성사를 통해 사목 활동을 시작하며 사제로서의 첫발을 내디뎠다.
2. 1. 출생과 가계
레오폴도 만디치는 본명 '''보그단 이반 만디치'''(Bogdan Ivan Mandić|보그단 이반 만디치hr)로,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 영토였으나 현재는 몬테네그로에 속하는 코토르만의 해안 도시 헤르체그 노비에서 태어났다. 그는 드라기차 자레비치(Dragica Zarević|드라기차 자레비치hr)와 페타르 안툰 만디치(Petar Antun Mandić|페타르 안툰 만디치hr) 사이에서 태어난 열두 번째 자녀였다.[3] 아버지 페타르 안툰 만디치는 아드리아해 어선 소유주였으며, 오미시에서 28km 떨어진 스플리트 내륙의 자쿠차크 출신이었다.그의 가문은 보스니아 귀족 가문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으며,[4] 보스니아에서 달마티아를 거쳐 코토르만에 정착했다.[4] 그의 부모는 나중에 대부분의 재산을 잃었는데, 이는 그가 비슷한 처지의 사람들에게 더 공감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만디치는 베네치아 공화국 통치 시절부터 그의 고향에서 두 세기 동안 활동해 온 베네치아 주의 카푸친 작은형제회 공동체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했다. 그는 어릴 때부터 신체적으로 약하여 키가 1.35m에 불과했고, 걸음걸이도 부자연스러웠으며 말더듬이 증상과 위장병을 앓았다.[3]
2. 2. 카푸친회 입회
만디치는 베네치아 공화국 시절부터 그의 고향 헤르체그 노비에서 봉사해 온 베네치아 주의 카푸친 작은형제회 공동체의 영향을 받으며 성장했다.[4] 그는 선천적으로 신체적 약점을 가지고 태어나 키는 1.35m에 불과했고 걸음걸이가 부자연스러웠으며, 말더듬 증상과 위장병도 앓았다.[3]1882년 11월, 16세가 된 만디치는 카푸친회의 삶을 따르고자 하는 마음으로 이탈리아 우디네로 가서 카푸친 소신학교에 입학했다.[3] 2년 후인 1884년에는 바사노 델 그라파에 있는 수도회 수련원에 입회하여 카푸친 수도복을 입고 '레오폴도'라는 수도명을 받았다.[3] 1885년 5월 3일 첫 서원을 했고,[3] 이후 서품을 받기 위한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파도바와 베네치아에 있는 카푸친 수도원으로 보내졌다.[3] 1888년 10월 28일에는 종신서원을 하였다.
2. 3. 사제 서품과 초기 활동
1890년 9월 20일, 레오폴도 만디치는 24세의 나이로 이탈리아 베네치아에 있는 산타 마리아 델라 살루테 바실리카에서 사제 성품을 받았다. 서품식은 베네치아 대주교이자 추기경인 도메니코 아고스티니가 집전했다.사제품을 받은 레오폴도는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가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교회의 일치를 위해 설교하며 선교 활동을 펼치기를 간절히 원했다. 그러나 그는 말을 더듬는 언어 장애가 있었고, 키가 작고 건강이 좋지 않았으며 위장병과 신경통으로 자주 고통받았다. 이러한 이유로 카푸친 작은형제회 장상들은 그가 설교나 선교 활동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5]
대신 레오폴도는 주로 고해성사를 집전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비록 자신의 원래 희망과는 다른 길이었지만, 그는 이 임명을 기꺼이 받아들였다. 서품 이후 그는 베네치아 지역과 크로아티아에 있는 여러 카푸친 수도원에 배치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신학생들을 가르치거나 수도원 문지기와 같은 수도원의 여러 잡무를 수행했으며, 꾸준히 고해 신부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 이러한 초기 활동은 그가 여러 지역의 수도원을 거치며 이어졌다.
3. 고해 사제로서의 삶
사제 서품을 받은 레오폴도는 자신의 고향으로 파견되어 설교 활동을 하기를 원했다.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와 다른 동방 정교회와의 일치를 목표로 삼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는 언어 장애가 있었고 말을 더듬었으며, 작은 키에 건강도 좋지 않아 위장병과 신경통에 자주 시달렸다. 이러한 이유로 카푸친 작은형제회 장상들은 레오폴도가 설교나 선교 활동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대신 장상들은 그를 고해성사 전담 사제로 임명했다. 비록 자신이 원했던 길은 아니었지만, 레오폴도는 이 임명을 기꺼이 받아들였다. 이후 그는 매일 12시간에서 15시간 동안 고해성사를 주며 지냈다. 그는 고해성사를 청하는 많은 참회자들을 항상 반갑게 맞이했으며, 조용하고 자비로운 성품으로 그들을 대했다고 전해진다.
레오폴도는 참회자들에게는 작은 보속만을 주고, 그들이 받아야 할 나머지 보속은 밤늦게 자신이 직접 실천했다. 그는 참회자들에게 “안심하세요. 제 어깨에 모든 것을 지우십시오. 제가 떠맡을 것입니다.”라고 말하며 위로하곤 했다고 한다. 한 증언에 따르면, 오랫동안 성사를 받지 않았던 어떤 신사가 고해소에 들어가 당황한 나머지 사제가 앉는 자리에 앉아버렸는데, 레오폴도는 아무 말 없이 참회자가 무릎 꿇는 자리에서 그의 고백을 들어주었다고 한다.
4. 죽음과 시성
1942년 7월 30일, 식도암을 앓던 레오폴도는 파도바에서 선종하였다. 그의 유해 중 고해성사 때 사용했던 오른손은 부패하지 않고 보존되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도바의 카푸친회 수도원이 공습으로 파괴되었을 때, 레오폴도가 사용하던 고해소는 기적적으로 피해를 입지 않았다. 이는 그가 생전에 했던 예언과 관련이 있다고 전해진다.
1976년 5월 2일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복자로 선포되었으며,[3] 1983년 10월 16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는 동방 교회와 가톨릭 교회의 일치를 위해 노력한 공로로 "일치의 사도"로 불린다.
4. 1. 죽음
식도암을 앓고 있던 레오폴도는 1942년 7월 30일, 미사를 봉헌하기 위해 제의를 입다가 바닥에 쓰러져 혼절하였다. 그는 자신의 방으로 옮겨져 병자성사를 받았고, 그곳에 모인 수사들과 함께 살베 레지나를 낭송하였다. "너그러우시고, 자애로우시며, 오! 아름다우신 동정 마리아님."(다른 기록에는 "오, 자비로우신 분, 오, 사랑스러운 분, 오, 달콤한 동정녀 마리아") 부분을 노래하던 중 향년 76세의 나이로 선종했다.레오폴도의 유해는 대부분 부패했지만, 고해성사 때 사죄경을 주었던 그의 오른손만큼은 오늘날까지 썩지 않고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4. 2. 시성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레오폴도가 머물던 파도바의 카푸친회 수도원이 미국 공군의 공습으로 크게 파괴되었다. 하지만 그가 고해성사를 주던 작은 방과 그가 아꼈던 성모상은 기적적으로 아무런 피해 없이 보존되었다. 레오폴도는 생전에 "교회와 수도원은 폭탄을 맞겠지만, 이 작은 방은 맞지 않을 것이다. 바로 여기에서 하느님께서 영혼들에게 그토록 큰 자비를 베푸셨기 때문에 이곳은 당신의 선하심에 대한 기념물로 남아야 한다."라고 예언했다고 전해진다. 현재 이 고해소를 보존하기 위해 레오폴도 만디치 성소가 건립되었다.한편, 그의 유해 중 고해성사 때 사죄경을 주었던 오른손은 부패하지 않고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있다.
1976년 5월 2일 교황 바오로 6세는 레오폴도를 복자로 선포하였다.[3] 이후 1983년 10월 16일, 주교 시노드에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레오폴도는 "일치의 사도"로 칭송받고 있다.
4. 3. 일치의 사도
동방 교회와 가톨릭 교회의 일치를 위해 평생을 헌신한 공로로 "일치의 사도"라는 칭호를 받았다. 교황 바오로 6세는 1976년 5월 2일에 레오폴도를 복자로 선포했으며,[3] 1983년 10월 16일 주교 시노드 총회에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으로 파도바의 교회와 수도원 건물이 파괴되었을 때, 그가 사용하던 작은 방과 고해소는 기적적으로 손상되지 않았다. 그는 생전에 이곳이 하느님의 자비가 많이 베풀어진 곳이므로 파괴되지 않고 하느님의 선하심을 기리는 기념물로 남을 것이라고 예언한 바 있다. 현재 레오폴도 만디치 성소는 이 고해소를 보존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이어진 자비의 특별 희년 기간에는 교황 프란치스코의 개인적인 요청에 따라 그의 유해가 로마로 옮겨져 신자들의 경배를 받았다. 레오폴도 만디치는 같은 카푸친 수도회 소속인 피오 신부와 더불어, 사람들이 고해성사를 통해 교회 및 하느님과 화해하도록 영감을 주는 '성인 고해자'로 지정되었다.[6] 그의 유해는 로마의 성 밖의 성 로렌스 대성전과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차례로 공개되었다.[7]
5. 레오폴도 만디치 성인 관련 장소
'''성당 및 본당'''
- 성 레오폴드 만디치 크로아티아 가톨릭 본당, 빅토리아[8]
- 성 레오폴드 보그단 만디치 성당 및 본당, 드라군야 도냐[9]
- 성 레오폴드 보그단 만디치 본당, 코프리브니차[10]
- 성 레오폴드 만디치 본당 및 본당 성당, 오레호비차[11]
- 성 레오폴드 만디치 본당, 오시예크[12]
- 성 레오폴드 만디치 본당, 포제가[13]
- 성 레오폴드 만디치 본당, 슬라본스키 브로드[14]
- 성 레오폴드 만디치 본당, 비로비티차[15]
- 성 레오폴드 만디치 본당, 자그레브 류블랴니차-볼티노[16]
'''수도원'''
'''성지'''
- 성 레오폴드 보그단 만디치 성지, 마글라이[19]
- 레오폴드 만디치 성지, 파도바
참조
[1]
웹사이트
St. Leopold Mandić, patron of those suffering from cancer
https://www.ofmcap.o[...]
2018-11-23
[2]
웹사이트
Veliki svetac i rodoljub, Bogdan Leopold Mandić
http://www.hkv.hr/iz[...]
2010-08-23
[3]
웹사이트
Leopold of Castelnuovo
https://miraculousme[...]
[4]
뉴스
Intervju biskup Ivan Štironja: Dio smo jedne Crkve i to je snaga koja povezuje
https://radio-medjug[...]
2021-05-22
[5]
웹사이트
Saint Leopold Mandic
https://www.francisc[...]
[6]
웹사이트
Two great confessors chosen for the Jubilee of Mercy: Saint Pio and Saint Leopold
http://www.romerepor[...]
2015-10-03
[7]
웹사이트
Roma se prepara para recibir los restos del Padre Pío en ocasión del Jubileo
https://www.aciprens[...]
2016-01-04
[8]
간행물
Odluka o dodjeli priznanja Povelja Republike Hrvatske za nesebičan i izniman doprinos u pružanju socijalne i duhovne skrbi te za dugogodišnju pastoralnu djelatnost mađu hrvatskim iseljenicima u Kanadi
https://narodne-novi[...]
[9]
웹사이트
Proslavljen patron Župe Dragunja
https://www.ktabkbih[...]
KTA BK BiH
2024-01-30
[10]
웹사이트
Sveti Leopold Bogdan Mandić, Web stranice župe iz Koprivnice
https://www.zupa-leo[...]
2024-01-30
[11]
웹사이트
Župa svetog Leopolda Bogdana Mandića, Orehovica
https://www.facebook[...]
Facebook
2024-01-30
[12]
웹사이트
Župa Sv.Leopolda Mandića
https://leopoldmandi[...]
2024-01-30
[13]
웹사이트
Župe
https://pozeska-bisk[...]
Roman Catholic Diocese of Požega
2024-01-30
[14]
웹사이트
Župa sv. Leopolda Mandića Slavonski Brod
https://www.facebook[...]
Facebook
[15]
웹사이트
Župa sv. Leopolda Mandića
https://www.zupa-sv-[...]
2024-01-30
[16]
웹사이트
Župa sv. Leopold Mandić, Zagreb Ljubljanica - Voltino
https://www.zupa-leo[...]
2024-01-30
[17]
웹사이트
Naše zajednice
https://kblj.hr/o-na[...]
Daughters of Divine Charity in Croatia
2024-01-30
[18]
웹사이트
Samostan i župa sv. Leopolda Bogdana Mandića Zagreb - Dubrava
https://www.kapucini[...]
2024-01-30
[19]
웹사이트
Svetište svetog Leopolda Mandića Maglaj
https://leopoldmagla[...]
2024-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