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수제승법수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94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수제승법수(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94호)는 숫자가 포함된 불교 용어를 설명하는 간이 사전으로, 당나라 승려 현수(賢首)가 편찬한 것으로 전해진다. 용천사본은 1572년에 간행되었으며, 1500년 봉서사본과 달리 여러 자료가 증보되어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특히, 용천사본에는 「장승법수초록」이 부록으로 포함되어 있고, 「팔식심왕제문요간」의 내용 또한 다른 판본과 차이를 보인다. 현재 경기도, 충청북도, 울산광역시 등에서 1500년 봉서사본을 유형문화재로 지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72년 책 - 묘법연화경 권1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1호)
묘법연화경 권1은 1572년 대승사에서 간행된 목판본으로, 조선 전기 국어사 연구 자료이며, 성달생 서체 계통에 1443년 화암사본을 번각했고, 묵서 구결, 시주자 명단, 왕실 안녕 기원 내용 등이 담겨있는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1호이다. - 1572년 책 - 선종영가집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52호)
선종영가집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52호)은 영가 현각이 저술하고 1572년에 김론번 가에서 판각된 불교 서적으로, 묵서된 구결과 간기 등을 통해 희귀성과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법장사 - 고봉화상선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2호)
고봉화상선요는 지눌의 선 사상을 담은 선종 지침서로, 1573년 월정사에서 간행되었으며 선의 가르침을 담은 29편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국어학 및 불교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법장사 - 옥추경
《옥추경》은 도교의 중요한 경전으로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의 설법을 담고 있으며, 악귀를 쫓고 질병을 치료하는 영험한 경전으로 여겨져 한국 무속 신앙의 굿 의식에 널리 사용되었고, 송나라 시대 두광정 또는 원말 명초의 장사성이 저술했다는 설이 있으며, 안심사본, 반룡사본 등 여러 판본이 존재한다. - 불경 - 명진
명진은 1975년 해인사에서 출가한 조계종 승려이자, 불교계 민주화 운동과 사회 비판적 활동을 펼쳐온 사회 운동가이다. - 불경 - 숫타니파타
숫타니파타는 초기 불교 경전 중 하나로, 부처의 설법을 모아 놓았으며, 석가모니 부처를 역사적 인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하고 출가 수행자의 삶과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강조한다.
현수제승법수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94호)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문화재 정보 | |
이름 | 현수제승법수 |
한자 이름 | 賢首諸乘法數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서울특별시 |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394 |
지정일 | 2016년 10월 6일 |
시대 | 조선 시대 (1572년) |
참고 사항 | 규격(cm) : 25.7×17.5 |
수량 | 1책 |
주소 | 서울특별시 중랑구 숙선옹주로 69, 법장사 |
2. 편찬 배경 및 목적
『현수제승법수』는 당나라의 승려 현수(賢首, 643년~712년)가 편찬한 것으로 알려진 책으로,[1] 숫자가 포함된 불교의 중요한 용어(要語)를 모아 설명하는 일종의 간이 사전(辭典)과 같은 성격을 지닌다.[1]
2. 1. 현수와 제승법수
『현수제승법수』는 숫자가 포함된 불교의 핵심 용어(要語)를 설명하는 일종의 간단한 사전(辭典)이다.[1] 이 책의 제목에 들어간 '현수(賢首)'는 이 책을 처음 편찬했다고 전해지는 당나라 승려 현수(643년~712년)를 가리킨다.[1]'제승(諸乘)'이란 대승(大乘)과 소승(小乘)의 모든 교리, 즉 모든 진리를 의미하는 말이다. '법수(法數)'는 불교의 진리를 뜻하는 법(法)과 숫자가 합쳐진 용어를 말하는데, 예를 들어 삼계(三界), 사체(四諦), 오온(五蘊), 십이인연(十二因緣), 칠십오법(七十五法)과 같은 어휘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러한 법수를 따라 불법을 탐구하면 그 핵심 가르침(宗旨)에 이를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1]
따라서 『현수제승법수』라는 제목은 현수가 편찬한, 모든 경전에서 숫자가 들어간 불교의 진리를 설명하는 중요한 단어들의 해설집이라는 뜻이다. 이 책은 이러한 어휘들을 모아 숫자를 오름차순으로 배열하고, 각 어휘 아래에 간단한 설명이나 도식을 덧붙인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1]
2. 2. 편찬 목적
『현수제승법수』는 숫자가 포함된 불교 용어(要語)를 설명하는 일종의 간이 사전(辭典)이다.[1] 책 제목에서 '제승(諸乘)'은 대승(大乘)과 소승(小乘)의 모든 교리, 즉 모든 진리를 가리킨다. '법수(法數)'는 불교의 진리를 뜻하는 '법(法)'과 숫자가 합쳐진 용어를 말하는데, 예를 들어 삼계(三界), 사체(四諦), 오온(五蘊), 십이인연(十二因緣), 칠십오법(七十五法)과 같은 어휘가 여기에 해당한다.[1]이 책은 이러한 '법수'들을 통해 불교의 진리를 탐구하여 궁극적인 목표인 종지(宗旨)에 이를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편찬되었다.[1] 즉, 『현수제승법수』는 현수(賢首)가 편찬한, 숫자가 들어간 불교의 진리를 설명하는 중요한 단어들의 해설집이라고 할 수 있다. 책의 내용은 이러한 용어들을 모아 숫자를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배열하고, 각 용어 아래에 간단한 설명이나 도식을 덧붙여 이해를 돕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1]
3. 내용 구성
『현수제승법수』는 화엄종의 주요 교리를 숫자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해설한 불교 서적이다. 당나라의 승려 현수(賢首)가 처음 편찬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원본은 전해지지 않는다. 현재 전하는 판본은 명나라 시대에 행심(行深)이 1384년부터 1387년까지 3년에 걸쳐 다시 편찬한 것으로, 1427년에 간행되었다.[1] 조선 시대에 간행된 용천사 판본은 승려 계엄(戒嚴)이 기존 내용에 「장승법수초록(藏乘法數抄錄)」 등을 추가하여 증보한 것이 특징이다. 이 증보된 내용과 일부 판본 간의 차이점은 용천사본의 중요한 서지적 특징으로 꼽힌다.[1]
3. 1. 중국에서의 편찬 및 간행 경위
현수(賢首, 643~712)는 당나라의 승려로, 『현수제승법수』를 처음 편찬했다고 전해진다.[1] 그러나 시간이 흘러 현수가 편찬한 원본 『제승법수』는 실전(失傳)되었다.[1]이 책의 편찬 및 간행 경위는 책에 실린 서문(序文)과 중편서문(重編序文)을 통해 알 수 있다. 본초화상(本初和尙)은 현수가 편찬한 『제승법수』가 사라진 것을 안타까워하다가, 1384년(홍무 17년) 봄에 잠계(潜溪) 심(深)법사에게 새로 편찬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1]
잠계 심법사는 이름이 행심(行深), 자는 백연(伯淵)이며 잠계는 그의 호이다. 중편서문에 따르면 그는 고소(姑蘇, 현재의 장쑤성 쑤저우시 우현(吳縣)) 송릉(松陵)의 잠계에 살았으며, 보각(寶覺) 란(蘭)공에게 화엄종의 종지를 배우고 서림(西林)의 행(行)공에게 나아가 더욱 깊은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1] 행심은 1384년부터 1387년(홍무 20년)까지 3년에 걸쳐 이 책을 다시 편찬하고, 처음 편찬한 현수의 뜻을 잇는다는 의미에서 『현수법수(賢首法數)』라고 이름 붙였다. 1387년에 천태(天台) 범고(梵翶)가 쓴 서문 역시 이러한 이유로 '중편서문'이라 불린다. 책의 권1 앞부분에는 "고소동정사문행심편집(姑蘇洞庭沙門行深編集)"이라는 기록이 남아 있어 편찬 사실을 뒷받침한다.[1]
1427년(선덕 2년)에 작성된 서문에 따르면, 이 책은 행심에 의해 편찬이 완료된 지 40년이 지난 1427년 9월, 그가 난야(蘭若)에 머물 때 비로소 간행되었다.[1]
3. 2. 책의 구성 (용천사본 기준)
용천사에서 간행된 이 판본의 편찬 및 간행 경위와 관련된 서지 정보는 다음과 같다.[1]이름/내역 | 찬자 | 작성시기 | 비고 |
---|---|---|---|
서문 | 누락됨 | 1427년(선덕 정미) | 편찬 및 간행 경위 언급(중국) |
중편서문 | 천태 범고(天台 梵翶) | 1387년(홍무 정묘) | 편찬 사실(중국) |
발 | 계엄(戒嚴) | 간행사실(조선) | |
간기 | 1572년(융경 6년 임신) | 용천사 간기 |
책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각 권에서 시작되는 항목과 끝나는 항목을 표기한 것이다.[1]
목차/내용 | 自 | 至 | 비고 |
---|---|---|---|
현수제승법수서(賢首諸乘法數序) | |||
중편현수법수서(重編賢首法數序) | |||
기교불조(起敎佛祖) | |||
권1 | 일진(一眞) | 삼신본경설(三身本經說) | 권2 표시 누락 |
권3 | 화엄삼성(華嚴三聖) | 지론삼종상(智論三種相) | |
권4 | 불덕사(佛德四) | 사종게(四種偈) | |
권5 | 오승(五乘) | 소승오위(小乘五位) | |
권6 | 박가범육의(薄伽梵六義) | 육진적(六塵賊) | |
권7 | 화엄경제칠자(華嚴經題七字) | 칠난(七難) | |
권8 | 팔해탈(八解脫) | 팔탐(八貪) | |
권9 | 화엄구회설(華嚴九會說) | 천자구사(天子九寺) | |
권10 | 십법계(十法界) | 십화(十化) | |
권11 | 십일지(十一智) | 팔만사천법문(八萬四千法門) | |
사문본승찬법수명(沙門本勝讚法數銘) | |||
팔식심왕제문요간(八識心王諸門料簡) | 삼성(三性) | 오법섭삼신(五法攝三身) | |
견혹팔십팔사(見惑八十八使) | 수혹팔십일품(修惑八十一品) | 여타 본과 다름 | |
장승법수초록(藏乘法數抄錄) | 삼신(三身) | 진여십일명(眞如十一名) | 봉서사본에 없음 |
불사의화상귀적결(不思議和尙歸寂訣) | 이하 동일함. | ||
세단오경간후법(歲旦五更看候法) | |||
취후신광법칠설중구자뉴(取後神光法七說中具子紐) | |||
계엄 발문(戒嚴 跋文) | |||
간기(刊記) |
용천사에서 간행된 이 책은 조선의 승려 계엄(戒嚴)이 중간하면서 여러 자료를 증보한 특징을 가진다. 계엄은 발문에서 증보 이유를 밝혔는데, 기존 『현수제승법수』에 빠진 대장경(장승(藏乘))의 법수를 보충하기 위해 「장승법수초록(藏乘法數抄錄)」을 추가했고, 후세의 귀감이 될 만하다고 판단한 「불사의화상귀적결(不思議和尙歸寂訣)」 등도 함께 수록했다고 언급했다. 따라서 이 용천사본은 중국에서 간행된 판본을 바탕으로 「장승법수초록」 이하의 내용이 부록으로 추가된 증보본이다.[1]
특히 「팔식심왕제문요간(八識心王諸門料簡)」의 마지막 판(판차 56) 내용이 다른 판본들과 다른 점이 주목된다. 봉서사본을 비롯한 다른 판본들에는 이 부분에 육도십팔임지상섭(六度十八任持相攝), 삼전사체십이행법륜(三轉四諦十二行法輪), 오온섭백법(五蘊攝百法)의 세 항목이 수록되어 있으나, 이 용천사본에는 견혹팔십팔사(見惑八十八使)와 수혹팔심일품(修惑八十一品)의 두 항목이 실려 있다. 이는 동일한 용천사 간행본 내에서도 나타나는 차이점으로 매우 특이한 부분이다.[1]
4. 조선 시대 간행본
중국에서 전래된 『현수제승법수』는 조선 시대에 들어와 여러 차례 간행되었다.[1] 이는 불교 경전의 보급과 연구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당시의 목판 인쇄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1] 조선에서는 중국판을 저본으로 삼되, 조선의 승려들이 내용을 추가하거나 보완하여 새롭게 간행하는 경우가 있었다.[1]
대표적인 조선 시대 간행본으로는 1500년(연산군 6) 경상남도 합천 가야산 봉서사에서 간행된 봉서사본(鳳栖寺本)과 1572년(선조 5) 전라도 담양 용천사에서 간행된 용천사본(龍泉寺本) 등이 있다.[1] 이 외에도 황해도 수안 대산 중암, 충청북도 보은 법주사, 전라남도 보성 개흥사, 경상남도 언양 간월사 등 여러 사찰에서 간행된 판본들이 전해진다.[1] 이들 판본은 간행 시기와 장소, 참여 인물, 수록 내용 등에서 차이를 보여 각기 다른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1]
4. 1. 용천사본 (1572년)
당나라 승려 현수(賢首, 643~712)가 처음 편찬했다고 전해지는 『현수제승법수』는 숫자가 포함된 불교 용어들을 모아 설명한 일종의 간이 사전이다.[1] '제승(諸乘)'은 대승과 소승의 모든 교리, 즉 모든 진리를 의미하며, '법수(法數)'는 삼계(三界), 사체(四諦)처럼 불교의 진리를 나타내는 숫자가 포함된 핵심 어휘를 뜻한다. 이 책은 이런 어휘들을 숫자의 오름차순으로 배열하고 간단한 설명이나 도식을 덧붙인 형태이다.[1]이 용천사본(龍泉寺本)은 1572년(선조 5년, 명나라 융경 6년 임신) 전라도 담양의 용천사에서 간행된 판본이다.[1] 책에 포함된 서문과 발문 등을 통해 편찬 및 간행 경위를 알 수 있다.[1]
이름/내역 | 찬자 | 작성시기 | 비고 |
---|---|---|---|
서문 | 누락됨 | 1427년(선덕 정미) | 중국에서의 편찬 및 간행 경위 언급 |
중편서문 | 天台 梵翶 | 1387년(홍무 정묘) | 중국에서의 중편 사실 |
발문 | 戒嚴 | 조선에서의 증보 및 간행 사실 | |
간기 | 1572년(융경 6년 임신) | 용천사 간행 기록 |
중국에서의 편찬 경위는 다음과 같다. 현수가 편찬한 원본이 사라진 것을 안타까워한 본초화상(本初和尙)의 부탁으로, 1384년부터 1387년까지 잠계(潜溪) 행심(行深) 법사가 새롭게 편찬하여 『현수법수(賢首法數)』라고 이름 붙였다. 이는 현수의 뜻을 잇는다는 의미이며, 범고(梵翶)의 서문 역시 '중편(重編)'이라 하였다. 이 책은 편찬 40년 후인 1427년 중국에서 간행되었다.[1]
조선 시대 승려 계엄(戒嚴)은 이 중국판 『현수법수』를 발견하고 내용을 추가하여 중간(重刊)했는데, 이것이 바로 용천사본이다. 계엄은 발문에서 증보 이유를 밝혔는데, 기존 판본에 빠진 대장경 속 법수를 보충하기 위해 「장승법수초록(藏乘法數抄錄)」을 추가하고, 세상에 간행되지 않았던 「불사의화상귀적결」 등도 후세의 귀감이 될 것이라 여겨 함께 실었다고 하였다. 따라서 용천사본은 중국판을 저본으로 하되, 계엄에 의해 여러 자료가 증보된 판본이다.[1]
용천사본의 주요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1]
목차/내용 | 自 | 至 | 비고 |
---|---|---|---|
賢首諸乘法數序 | |||
重編賢首法數序 | |||
起敎佛祖 | |||
一眞 | 三身本經說 | 권2 표시 누락 | |
권3 | 華嚴三聖 | 智論三種相 | |
권4 | 佛德四 | 四種偈 | |
권5 | 五乘 | 小乘五位 | |
권6 | 薄伽梵六義 | 六塵賊 | |
권7 | 華嚴經題七字 | 七難 | |
권8 | 八解脫 | 八貪 | |
권9 | 華嚴九會說 | 天子九寺 | |
권10 | 十法界 | 十化 | |
권11 | 十一智 | 八萬四千法門 | |
沙門本勝讚法數銘 | |||
八識心王諸門料簡 | 三性 | 五法攝三身 | |
見惑八十八使 | 修惑八十一品 | 다른 판본과 다름 (용천사본 특징) | |
藏乘法數抄錄 | 三身 | 眞如十一名 | 봉서사본에 없음 (용천사본 특징) |
不思議和尙歸寂訣 | 이하 동일함. | ||
歲旦五更看候法 | |||
取後神光法七說中具子紐 | |||
戒嚴 跋文 | |||
刊記 | 용천사 간기 (1572년) |
용천사본은 특히 1500년에 간행된 봉서사본(鳳栖寺本) 등 다른 판본에는 없는 「장승법수초록」 이하의 내용이 부록으로 실려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또한 「팔식심왕제문요간(八識心王諸門料簡)」 마지막 판(56판)의 내용이 다른 판본들과 확연히 다르다. 대부분의 판본에는 '육도십팔임지상섭(六度十八任持相攝)', '삼전사체십이행법륜(三轉四諦十二行法輪)', '오온섭백법(五蘊攝百法)'의 세 항목이 실려 있지만, 용천사본에는 '견혹팔십팔사(見惑八十八使)'와 '수혹팔심일품(修惑八十一品)' 두 항목만 수록되어 있다. 이는 용천사본만의 매우 특이한 점이다.[1]
조선에서 간행된 주요 『현수제승법수』 판본은 다음과 같다.[1]
구분/내역 | 간행지 | 간행시기 | 수록내용 특징 | 소장처 (일부) |
---|---|---|---|---|
봉서사본 (鳳栖寺本) | 경상남도 합천 가야산 봉서사 | 등곡(燈谷) 발문, 1500년(연산군 6) | 「팔식심왕제문요간」까지 수록 | 하버드 옌칭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
대산 중암본 (大山中庵本) | 황해도 수안 대산 중암 | 등곡(燈谷) 발문, 1566년(명종 21) | 「팔식심왕제문요간」까지 수록 | 송광사 성보박물관 |
용천사본 (龍泉寺本) | 전라남도 담양 용천사 | 계엄(戒嚴) 발문, 1572년(선조 5) | 56판 내용 다름, 「장승법수초록」 등 추가 | 국립중앙도서관 |
법주사본 (法住寺本) | 충청북도 보은 법주사 | 1586년(선조 19)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 |
개흥사본 (開興寺本) | 전라남도 보성 개흥사 | 계엄(戒嚴) 발문, 1647년(인조 25) | 용천사본과 동일 | 국립중앙도서관 |
간월사본 (肝月寺本) | 경상남도 언양 간월사 | 1673년(현종 14) | U.C. 버클리 동아시아 도서관 |
이 용천사본은 다른 판본들에 비해 낙장(落張)이나 개장(改裝)된 부분 없이 비교적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1] 현재 문화재로 지정된 『현수제승법수』는 대부분 1500년 봉서사본 계통(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9호, 219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343호,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8호)이다. 따라서 이들과 계통을 달리하며 내용이 증보된 용천사본은 그 자료적 가치가 높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1]
4. 2. 기타 간행본
조선 시대에는 여러 사찰에서 『현수제승법수』를 간행하였다. 주요 간행본은 다음과 같다.[1]구분/내역 | 간행지 | 간행시기 | 수록내용 | 소장처 |
---|---|---|---|---|
봉서사본 | 합천 가야산 봉서사 | 등곡(燈谷) 발문 1500년(연산군) | 팔식심왕제문요간(八識心王諸門料簡) 까지 수록 | 하버드-옌칭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BA古朝21-298-2) |
대산중암본 | 황해도 수안 대산 중암 | 등곡(燈谷) 발문 1566년(명종) | 팔식심왕제문요간(八識心王諸門料簡) 까지 수록 | 송광사 성보박물관 |
용천사본 | 전라도 담양 용천사 | 계엄(戒嚴) 발문 1572년(선조) | 56판 다름 | 국립중앙도서관(BA1703-15) |
법주사본 | 충청도 보은 법주사 | 1586년(선조) | (정보 없음) | 계명대학교 |
개흥사본 | 전남 보성 개흥사 | 계엄(戒嚴) 발문 1647년(인조) | 용천사본과 동일 | 국립중앙도서관(BC古朝21-258) |
간월사본 | 경상도 언양 간월사 | 1673년(현종) | (정보 없음) | U.C. 버클리 |
이들 중 1500년에 간행된 봉서사본은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69호 및 제219호,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343호,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8호로 지정되어 있다.[1] 서울 법장사 소장 용천사본은 봉서사본과 계통을 달리하며, 여러 자료가 증보되어 1572년에 간행된 것으로 자료적 가치가 높다.[1]
5. 문화재 지정 현황
『현수제승법수』는 이미 여러 건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69호 및 219호,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재 343호,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8호로 총 네 건이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1500년에 봉서사에서 간행된 판본이다.[1]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94호로 지정된 서울 법장사 소장 용천사본은 기존에 지정된 봉서사본과는 계통이 다르다. 특히, 봉서사본에는 없는 「장승법수초록」 등의 내용이 추가되어 1572년에 간행되었기 때문에 자료적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