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혈관조영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혈관조영술은 혈관의 이상을 진단하기 위해 X선과 조영제를 사용하는 의료 기술이다. 1927년 이가스 모니즈가 개발하여 뇌종양, 동맥 질환, 동정맥 기형 등의 진단에 활용되었으며, 이후 셀딩거 법 도입과 기술 발전을 통해 안전성과 정확성이 향상되었다. 현재는 관상동맥, 뇌, 폐, 말초 혈관 등 다양한 부위에 적용되며, 협착, 동맥류, 폐색전증 등 여러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된다. 시술에는 조영제 주입, X선 촬영,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DSA) 등의 기술이 사용되며, 드물게 출혈, 알레르기 반응, 혈관 손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사선학 -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는 이온화 방사선을 사용하여 암세포를 파괴하거나 암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하는 의료 기술로, 근치적 및 완화적 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암종에 적용되며, 고정밀 방사선 치료 기술을 통해 정상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지만 피로,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치료법과 병행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 방사선학 - 방사성 추적자
    방사성 추적자는 화합물 내 원자를 방사성 동위 원소로 대체하여 화학 반응 연구나 생체 내 분포 영상화에 사용되는 물질로, 핵반응을 통해 인공 생산되며 의학, 생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혈관조영술
일반 정보
뇌혈관 조영술, 좌측 척추동맥 주입
뇌혈관 조영술, 좌측 척추동맥 주입
진단의학 영상 촬영 기법
기타 이름혈관 사진, 혈관 X선 촬영
설명
목적혈관 내부를 시각화
방법X선, CT 스캔, MRI를 사용하여 혈관을 시각화
위험성
역사
최초 사용1920년대

2. 역사

콩팥 동맥 혈관조영술 영상


혈관조영술은 1927년 포르투갈의 의사이자 신경과 전문의인 이가스 모니즈가 리스본 대학교에서 처음 개발했다. 이 기술은 뇌종양, 동맥 질환, 동정맥 기형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신경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조영된 X선을 이용한 뇌 혈관조영술이다. 모니즈는 이 분야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3] 1927년 리스본에서 최초의 뇌 혈관조영술이 시행되었고, 1929년에는 헤이날도 도스 산토스가 같은 도시에서 최초의 대동맥 조영술을 시행했다. 로포 드 카르발류는 1932년에 상지 정맥 천자를 통해 최초의 폐 혈관조영술을, 소자 페레이라는 1948년에 최초의 하대 정맥 조영술을 시행하는 등, 현재 사용되는 많은 혈관조영술 기술이 리스본 대학교의 포르투갈인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1953년 젤딩거 법이 도입되면서 시술의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1989년에는 루시앙 캄포가 요골 동맥을 이용한 카테터 삽입법을 개발했다.[4]

2. 1. 초기 역사

이 기술은 1927년 포르투갈 의사 겸 신경과 전문의 이가스 모니즈가 리스본 대학교에서 개발하여 종양, 동맥 질환, 동정맥 기형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신경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조영된 X선 뇌 혈관조영술을 제공했다. 모니즈는 이 분야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3] 그는 1927년 리스본에서 최초의 뇌 혈관조영술을 시행했으며, 헤이날도 도스 산토스는 1929년 같은 도시에서 최초의 대동맥 조영술을 시행했다. 실제로 많은 현재 혈관조영술 기술이 리스본 대학교의 포르투갈인에 의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1932년 로포 드 카르발류는 상지 정맥 천자를 통해 최초의 폐 혈관조영술을 시행했다. 1948년에는 소자 페레이라가 최초의 하대 정맥 조영술을 시행했다. 1953년 젤딩거 법의 도입으로, 날카로운 도입 장치가 혈관 내강 내에 남아 있을 필요가 없어지면서 시술이 현저히 안전해졌다.

2. 2. 셀딩거법 도입과 발전

1953년 셀딩거법의 도입으로 날카로운 도입 장치가 혈관 내강 내에 남아 있을 필요가 없어지면서 시술이 현저히 안전해졌다. 혈관조영술을 위한 요골 접근 기술은 1989년 루시앙 캄포가 관상 동맥 혈관조영술을 수행하기 위해 처음 요골 동맥을 카테터 삽입하면서 시작되었다.[4]

3. 기술

혈관조영술은 셀딩거법을 이용하여 가이드 와이어와 카테터를 혈관에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X선 촬영을 통해 혈관 영상을 얻는 기술이다. 촬영된 X선 이미지는 정지 영상, 이미지 증폭기 또는 필름에 표시되거나 동영상으로 기록될 수 있다.[5]

일반적으로 심장을 제외한 부위의 이미지는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DSA) 기술을 사용하여 촬영된다. DSA는 초당 2-3 프레임으로 촬영하며, 뼈와 다른 장기를 "감산"하여 조영제가 채워진 혈관만 보이게 하므로 중재적 방사선 전문의가 혈류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심장 이미지는 초당 15-30 프레임으로 촬영하며, DSA 기술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 두 가지 기술 모두 중재적 방사선 전문의 또는 심장 전문의가 혈관 내 협착을 발견하는 데 유용하다.[5]

시술이 완료된 후, 대퇴동맥 접근법을 사용한 경우 동맥 접근 부위는 수동으로 압박하거나, 스테이플로 봉합하거나, 봉합하여 합병증을 예방한다.[5]

3. 1. 접근 경로

혈관조영술에서 혈관에 접근하는 경로는 혈관조영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주로 대퇴동맥을 통해 접근하여 심장 좌측과 동맥 계통을 관찰한다. 경정맥 또는 대퇴정맥을 통해서는 심장 우측과 정맥 계통을 관찰한다. 셀딩거법의 가이드 와이어와 카테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조영제를 혈액에 주입하면, 조영제가 X선을 흡수하여 X선 이미지에서 혈관을 볼 수 있게 된다.[5]

조영 목적에 따라 조영제를 주입하는 혈관이 달라진다. 심장 좌측이나 동맥계를 볼 때는 대퇴동맥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심장 우측이나 정맥계를 볼 때는 내경정맥이나 대퇴정맥이 사용된다. 혈관에 가이드 와이어나 카테터를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한다. X선을 조사하면 조영제가 X선을 흡수하여, 혈관을 X선 사진 위에 그림자로 나타낸다.[5]

3. 2. 조영제

셀딩거법의 가이드 와이어와 카테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조영제(X선을 흡수하여 나타나는 물질)를 혈액에 주입하여 X선 이미지에서 혈관을 볼 수 있게 한다.[5] 조영 목적에 따라 조영제를 주입하는 혈관은 다르다. 심장의 좌측이나 동맥계를 볼 경우에는 대퇴동맥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며, 심장의 우측이나 정맥계를 볼 경우에는 내경정맥이나 대퇴정맥이 사용된다. 혈관에 가이드 와이어나 카테터를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한다. X선을 조사하면 조영제는 X선을 흡수하여, 그대로는 인식하기 어려운 혈관을 그림자로 X선 사진 위에 나타낸다.[5]

3. 3. 영상 촬영 기법

혈관조영술에는 여러 가지 영상 촬영 기법이 사용된다. 셀딩거법을 통해 가이드 와이어와 카테터를 삽입하고, 조영제를 주입한 후 X선 촬영을 통해 혈관 영상을 얻는다.[5]

  • 정지 영상: X선 이미지를 이미지 증폭기나 필름에 정지된 형태로 기록한다.
  • 동영상: 영상을 동영상 형태로 기록한다. 심장 촬영에는 초당 15-30 프레임의 속도로 촬영한다.
  •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DSA): 심장을 제외한 다른 신체 부위 촬영에 주로 사용된다. 초당 2-3 프레임으로 촬영하며, 뼈나 다른 장기의 영상을 "감산"하여 조영제가 채워진 혈관만 선명하게 보여준다. DSA는 환자가 움직이지 않아야 하므로 심장 촬영에는 사용할 수 없다.[5]


이러한 촬영 기법들은 중재적 방사선 전문의나 심장 전문의가 혈관 내 협착을 발견하고 혈류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준다.[5]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 컬러화(DSA): 혈류량의 동적인 평가, 병세 경과의 비교, 외과 수술 계획, 수술 후 경과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3차원 혈관조영술: 혈관의 입체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혈관들이 체내에서 공간적으로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외과 수술 계획에 도움이 된다.

4. 종류 및 활용

혈관조영술은 그 목적과 적응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종류설명
관상동맥 혈관조영술관상동맥을 시각화하는 가장 흔한 방법이다. 동맥경화증이나 죽종에 의한 협착증을 진단하고, 스텐트 삽입술 등의 치료에 활용된다.[5][6]
뇌 혈관조영술뇌와 주변 혈관의 이상, 특히 동정맥 기형이나 동맥류를 진단하고, 동맥류 색전술과 같은 치료에도 사용된다.[7]
폐 혈관조영술폐 혈관의 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하고, 폐 동정맥 기형의 색전술이나 폐색전증 치료에 사용된다.[10][11]
말초 혈관조영술다리 파행이나 신동맥 협착증 환자의 혈관 좁아짐을 확인하고, 뇌졸중의 진단 및 치료에도 사용된다.[1] 죽상반 절제술 등의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2]
복부 혈관조영술위장관 출혈 등 내부 출혈을 평가하고 치료 지침을 제공하며, 치질 치료에도 사용된다.[12][13]
형광 안저 혈관 조영술안과 질환, 특히 당뇨병 망막증이나 황반 변성과 같은 망막 혈관 장애를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14]
OCT 혈관조영술OCT 기술을 이용하여 망막 혈관 건강을 평가한다.[15]
미세 혈관조영술작은 혈관을 시각화하는 데 사용된다.
사후 CT 혈관조영술가상 부검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유성 용액과 수용성 용액이 사용된다.[16][17]


4. 1. 관상동맥 혈관조영술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은 관상동맥을 시각화하는 가장 흔하게 시행되는 혈관조영술 중 하나이다. 카테터라고 하는 길고 가늘고 유연한 튜브를 사용하여 시각화하려는 원하는 부위에 X선 조영제를 투여한다. 카테터는 팔뚝의 동맥에 삽입되고, 팁은 동맥계를 통해 주요 관상동맥으로 전진한다. 관상동맥 내부를 흐르는 혈액 내의 일시적인 방사선 조영제 분포에 대한 X선 이미지를 통해 동맥 개구부의 크기를 시각화할 수 있다. 동맥경화증 또는 죽종동맥 벽 내에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지는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5]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은 관상동맥의 협착증, 즉 혈관의 좁아짐을 시각화할 수 있다. 협착 정도는 좁아진 혈관 분절의 내강 너비를 인접한 혈관의 더 넓은 분절과 비교하여 결정한다.

관상동맥 혈관조영술은 국소 마취 하에 수행되며, 시술 동안 환자는 깨어 있다. 사타구니, 손목 또는 팔에 절개를 가하고 이를 통해 카테터를 동맥에 삽입한다. X선을 사용하여 카테터를 막힌 부위로 안내한다. 막힌 부위를 볼 수 있도록 카테터를 통해 조영제를 삽입한다.

카테터가 제 위치에 있으면 풍선이 있는 얇은 와이어를 막힌 부위로 안내한다. 풍선을 부풀려 동맥을 넓혀 혈액이 자유롭게 흐르도록 한다. 종종 스텐트를 사용하며, 풍선을 부풀리면 제자리에 있는 스텐트가 팽창하여 동맥을 열어둡니다. 그런 다음 풍선의 공기를 빼고 제거하여 스텐트를 제자리에 둔다.

시술 완료 후 카테터를 제거하고, 꽂힌 부위를 혈관 봉합 장치를 사용하여 봉합니다. 시술은 약 2시간 정도 소요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하룻밤 병원에 입원한 후 퇴원할 수 있다.[6]

4. 2. 뇌 혈관조영술

뇌 혈관조영술은 동정맥 기형 및 동맥류를 포함한 뇌와 그 주변 혈관의 이미지를 제공하여 이상을 감지한다.[7] 흔한 뇌 혈관조영술 절차 중 하나는 신경혈관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이다.[8][9]

신경혈관조영술은 최근 일반화되고 있는 기법으로, 뇌에 연결된 동맥과 정맥을 시각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시에 코일을 이용한 동맥류 색전술, AVM에 대한 혈관 내 색전술과 같은 치료 처치도 가능하다.

뇌혈관조영술에서 중증 합병증은 드물지만, 마취제, 조영제, 기타 의약품에 대한 알레르기뇌경색, 혈관 손상, 폐색, 혈전증, 색전증의 위험이 있다. 경미한 합병증으로는 조영제가 주입된 부위의 출혈, 이 있을 수 있다. 지연성 출혈도 드물게 발생할 수 있다.

4. 3. 폐 혈관조영술

폐 혈관조영술은 폐 혈관의 해부학적 구조를 시각화하는 데 사용된다. 폐 혈관조영술은 폐 동정맥 기형의 색전술 중에 사용될 수 있으며,[10] 폐색전증 치료 중에도 수행될 수 있다.[11]

4. 4. 말초 혈관조영술

말초 혈관조영술은 다리 파행 또는 다리의 혈류 감소로 인한 "경련"이 있는 환자, 신동맥 협착증(흔히 고혈압을 유발함)이 있는 환자에서 혈관 좁아짐을 식별하기 위해 흔히 수행되며, 뇌졸중을 찾아 치료하기 위해 머리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1] 이 시술은 일반적으로 대퇴동맥을 통해 수행되지만, 상완 또는 액와(팔) 동맥을 통해서도 수행할 수 있다.[1] 발견된 협착은 풍선 혈관 성형술, 스텐트 삽입 또는 죽상동맥 절제술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1]

혈관조영술 검사는 하지의 혈류 부족으로 파행이나 다리 경련을 일으키는 환자, 신혈관성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신동맥 협착증 환자에게도 자주 시행된다.[2] 또한, 뇌경색의 진단과 치료에도 사용된다.[2] 이러한 시술은 대퇴동맥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때로는 상완동맥이나 액와동맥에서 카테터를 삽입하기도 한다.[2] 협착이 발견될 경우, 죽상반 절제술을 통해 치료될 수도 있다.[2]

혈관조영술로 확인된 손가락 혈관종

4. 5. 복부 혈관조영술



혈관조영술은 위장관 출혈 등 내부 출혈을 평가하고 치료 지침을 제공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2] 또한 증상이 있는 치질 치료를 위한 치질 동맥 색전술에도 사용될 수 있다.[13]

4. 6. 형광안저 혈관조영술

형광 안저 혈관 조영술은 형광 염료를 혈류에 주입하는 의료 절차이다. 이 염료는 눈 뒤쪽의 혈관을 강조하여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해준다. 이 검사는 안과 질환을 관리하는 데 종종 사용된다.[14]

형광 안저 혈관 조영술은 당뇨병 망막증이나 황반 변성 등의 망막 혈관 장애 진단에도 사용된다.

4. 7. OCT 혈관조영술

광학 단층 촬영술(OCT)은 근적외선 빛을 이용하여 눈, 특히 망막 표면 뒤의 미세 구조를 영상화하는 기술이다. 안구 OCT 혈관조영술(OCTA)은 OCT 기술을 활용하여 망막의 혈관 건강을 평가하는 방법이다.[15]

4. 8. 미세 혈관조영술



미세 혈관 조영술은 작은 혈관을 시각화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4. 9. 사후 CT 혈관조영술



사법 의학 사례를 위한 사후 CT 혈관조영술은 가상 부검 그룹에서 처음 개발한 방법이다.[16][17]

유성 용액[17]은 폐수 수집을 위한 특수 침전 장비가 필요하지만, 수용성[16] 용액은 덜 문제가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수용성 용액은 또한 사후 CT 조직 분화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유성 용액은 그렇지 않았다. 반대로, 유성 용액은 후속 독성학적 분석을 최소한으로 방해하는 것으로 보이며, 수용성 용액은 독성학적 분석을 상당히 방해하여 사후 CT 혈관조영술 전에 혈액 샘플 보존이 필요할 수 있다.[18]

5. 합병증

혈관조영술은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지만, 경미한 합병증이나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시술 부위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지만, 심근 경색이나 뇌졸중 발생은 드물다. 시술 전 컴퓨터 단층 촬영(CT)을 통해 혈관 내 혈전 정보를 확인하면 합병증 위험을 줄일 수 있다.[19][20]

관상동맥 조영술과 뇌혈관조영술 모두 부정맥, 신부전, 혈전, 저혈압, 심낭 삼출, 뇌경색, 혈관 손상 등 심각한 합병증은 드물다. 조영제 주입 부위 출혈, , 알레르기 반응 등은 경미한 합병증에 속한다.

5. 1. 일반적인 합병증

혈관조영술은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지만, 몇 가지 경미한 합병증과 매우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시술 부위에 갑작스러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지만, 심근 경색이나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19][20]

관상동맥 조영술의 경우, 심각한 합병증은 드물지만 부정맥, 신부전, 혈전, 저혈압, 심낭 삼출이 발생할 수 있다. 경미한 합병증으로는 조영제 주입 부위의 출혈, , 조영제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 카테터 삽입 부위에서 심장까지의 혈관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5. 2. 뇌 혈관조영술 합병증

혈관조영술은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지만, 몇 가지 경미한 합병증과 매우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혈관조영술 후 시술 부위에 갑작스러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지만, 관상동맥 우회술과 같이 심근 경색이나 뇌졸중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혈관조영술로 인한 합병증의 위험은 시술 전에 컴퓨터 단층 촬영(CT)을 통해 혈관 내 혈전의 개수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의사에게 제공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19][20]

뇌혈관조영술의 주요 합병증은 드물지만, 뇌졸중, 알레르기 반응, 마취제나 다른 약물 또는 조영제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다리 접근 정맥의 막힘 또는 손상, 천자 부위의 가성 동맥류, 혈전증색전증 형성이 포함된다.[21] 조영제가 주입된 부위의 출혈 또는 은 경미한 합병증이며, 지연성 출혈도 발생할 수 있지만 드물다.

뇌혈관조영술에서 중증 합병증은 드물지만, 마취제, 조영제, 기타 의약품에 대한 알레르기뇌경색, 혈관 손상, 폐색, 혈전증, 색전증의 위험이 있다. 경미한 합병증으로는, 조영제가 주입된 부위의 출혈, 이 있을 수 있다. 지연성 출혈도 드물게 발생할 수 있다.

5. 3. 추가적인 위험

조영제는 보통 몇 초 동안 지속되는 따뜻한 느낌을 유발하지만, 주사 부위에서 더 강하게 느껴질 수 있다. 환자가 조영제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훨씬 더 심각한 부작용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새로운 조영제를 사용하면 심각한 반응의 위험은 8만 번의 검사 중 1회 미만이다.[20] 혈관 손상은 천자/주사 부위와 카테터 통과 중 혈관을 따라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술을 대신 사용하는 경우, 카테터를 혈관 안으로 멀리 삽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위험이 상당히 줄어들어 손상이나 막힘의 가능성이 줄어든다.

5. 4. 감염 예방

항생제 예방은 청결하지 않은 시술이나, 색전술과 같이 경색 또는 괴사 조직을 생성하는 청결한 시술에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인 진단적 혈관조영술은 종종 청결한 시술로 간주된다. 예방은 또한 감염된 공간에서 혈류로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투여된다.[22]

5. 5. 혈전증 예방

동맥 천자 후 혈전증을 유발하는 6가지 위험 요소는 다음과 같다.[23][24]

위험 요소
낮은 혈압
작은 동맥 직경
여러 번의 천자 시도
장기간의 카테터 삽입
혈관 수축제/강심제 투여
측면 구멍이 있는 카테터 사용


참조

[1] 뉴스 Arteriograms, Venograms Are Angiogram Territory https://www.chicagot[...] 1986-01-23
[2] 서적 Concise Medical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3] 저널 The origins of psychosurgery: Shaw, Burckhardt and Moniz 1997-03-01
[4] 저널 Percutaneous radial artery approach for coronary angiography
[5]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 Hill 2012-05-25
[6] 웹사이트 Procedure of Coronary Angioplasty Treatment in India https://www.drmanjin[...]
[7] 서적 A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8] 웹사이트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Radiology Reference Article Radiopaedia.org https://radiopaedia.[...]
[9] 저널 Rapid diagnosis of thoracic aortic transection using intravenous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1990-05-01
[10] 저널 Treatment of Recurrent Pulmonary Arteriovenous Malformations: Comparison of Proximal Versus Distal Embolization Technique http://link.springer[...] 2020-01-01
[11] 저널 Acute Pulmonary Embolism: Imaging Techniques, Findings, Endovascular Treatment and Differential Diagnoses http://www.thieme-co[...] 2020-01-01
[12] 저널 Safety Profile of Particle Embolization for Treatment of Acute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https://linkinghub.e[...] 2022-03-01
[13] 비디오 미디어 Hemorrhoidal Artery Embolization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for Symptomatic Internal Hemorrhoids https://www.youtube.[...] 2024-06-24
[14] 웹사이트 Fluorescein Angiography http://www.empireret[...]
[15] 저널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methods and clinical applications 2017-09-01
[16] 저널 Postmortem whole-body CT angiography: evaluation of two contrast media solutions.
[17] 저널 Postmortem angiography after vascular perfusion with diesel oil and a lipophilic contrast agent
[18] 저널 The effect on toxicology, biochemistry and immunology investigations by the use of targeted post-mortem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19] 저널 Computed Tomography Cardiac Angiography Before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in Patients With Previous Bypass Surgery: The BYPASS-CTCA Trial 2023-10-31
[20] 저널 CT scan reduces the complications of angiography after bypass surgery https://evidence.nih[...] 2024-08-06
[21] 웹사이트 Angiography – Complications http://www.nhs.uk/Co[...] NHS Choices 2009-06-01
[22] 저널 Practice Guideline for Adult Antibiotic Prophylaxis during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Procedures 2010-11-01
[23] 저널 Arterial cannulation: a critical review https://pubmed.ncbi.[...] 2004-08-01
[24] 저널 Impact of side-hole geometry on the performance of hemodialysis catheter tips: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ssessment 2020-08-07
[25] 서적 의사들이 해주지 않는 이야기 http://www.yes24.com[...] 허원 미디어 2017-12-01
[26] 웹인용 영상의학과 http://www.samsungho[...] 2017-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