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라티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라티우스는 기원전 65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고대 로마의 시인이다. 그는 아테네에서 철학과 문학을 공부하고, 브루투스의 군대에 참여했으며, 베르길리우스의 소개로 마이케나스를 만나 후원을 받았다. 호라티우스는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으며, 풍자시, 서정시, 서간시 등을 통해 정치, 사랑, 철학,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그의 작품은 고대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읽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라티우스 - 카르페 디엠
카르페 디엠은 "현재를 잡아라"라는 라틴어 표현으로, 미래에 대한 불안 대신 현재에 충실하며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라는 가르침을 담고 있고, 호라티우스 시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예술 작품과 대중 문화에서 널리 사용된다. - 에피쿠로스 철학자 - 루크레티우스
루크레티우스는 기원전 1세기 로마 공화정 시대의 시인이자 철학자로, 대표작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를 통해 에피쿠로스 철학, 특히 원자론과 유물론적 세계관을 로마 사회에 소개하고 자연 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제시하여 인간을 죽음의 공포로부터 해방시키고자 했다. - 기원전 65년 출생 - 살로메 1세
살로메 1세는 헤로데 대왕의 누이로서 헤로데 왕조 내 궁정 암투에 관여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고, 세 번의 결혼과 헤로데 대왕 사후 토포라키 지역을 통치했으며, 사후 해당 영지는 로마 황후 리비아에게 상속되었다. - 기원전 65년 출생 - 공광
공광은 공자의 14대 손으로, 전한 시대에 승상, 대사도, 태사 등을 역임했으며, 왕망의 권력 장악 과정에서 견제를 받아 태부로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지 못하고 사망하여 간열후의 시호를 받았다.
호라티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퀸투스 호라티우스 플라쿠스 |
출생일 | 기원전 65년 12월 8일 |
출생지 | 베노사, 이탈리아, 로마 공화국 |
사망일 | 기원전 8년 11월 27일 (향년 56세) |
사망지 | 로마 |
안장지 | 로마 |
직업 | 군인 퀘스토르 서기 시인 원로원 의원 |
언어 | 라틴어 |
장르 | 서정시 |
대표작 | 《송가》 시의 기술 |
로마자 표기 | |
라틴어 발음 (고전) | /ˈkʷiːntʊs (h)ɔˈraːtiʊs ˈfɫakːʊs/ |
영어 발음 | /ˈhɒrɪs/ |
라틴어 표기 | Quintus Horatius Flaccus |
2. 생애
호라티우스의 가문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의 아버지는 노예에서 해방된 자유민(libertinus)으로 로마 시민권을 가진 여인과 결혼한 것으로 보인다. 호라티우스는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에게 세심한 교육을 받았으며, 기원전 45년 아테네로 유학하여 철학과 문학을 공부했다. 이 시기에 마르쿠스 브루투스와 친분을 쌓아 소아시아 지방에서 여러 전투에 참가하기도 했다.[25][26][27]
기원전 40년 전후, 로마로 돌아온 호라티우스는 베르길리우스의 주선으로 마이케나스를 만나 평생의 우정을 쌓았다. 기원전 32년에는 마이케나스로부터 사비나 농장을 선물받아 경제적 어려움에서 벗어나 창작에 전념할 수 있게 되었다.[36] 호라티우스의 별장 유적은 리첸차 근처에 있다.
호라티우스는 세계 최초의 자서전 작가로 여겨질 만큼, 자신의 작품에 자신, 성격, 발전, 삶의 방식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담았다.[7] 그의 작품에 담긴 전기적 자료는 수에토니우스의 "호라티우스의 생애"에서 보충할 수 있다.[8]
2. 1. 어린 시절
호라티우스의 가문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아버지는 노예에서 해방된 자유신분(libertinus)으로 로마 시민권을 가진 여인과 결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호라티우스는 기원전 65년 12월 8일[9] 이탈리아 남부 아풀리아(Apulia) 지역에서 태어났다.[10] 그의 고향 베누시아(Venosa)는 아풀리아와 루카니아(Lucania)(현 바실리카타(Basilicata)) 경계의 무역로에 있었다. 이 지역은 다양한 이탈리아 방언이 사용되어 그의 언어 감각을 풍부하게 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그리스어 단어에 익숙했으며, 훗날 이웃 도시 카누시움(Canusium)에서 사용되는 그리스어와 오스칸어가 혼합된 전문 용어를 비꼬기도 했다.[11]호라티우스의 아버지는 사회 전쟁에서 로마군에게 포로로 잡힌 베누시아 출신이거나, 삼니움 전쟁에서 포로로 잡힌 사비니아(Sabine) 출신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다. 어느 쪽이든 그는 인생의 적어도 일부는 노예였다. 그러나 그는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이었고, 자유를 얻어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켰다. 호라티우스는 번영한 '코악토르(coactor)'의 자유민 아들이라고 주장했다.[20] '코악토르'는 세금 징수원 등 다양한 직책을 의미할 수 있지만, 호라티우스가 사용한 것은[21] 주석(scholia)에서 '코악토르 아르겐타리우스(coactor argentarius)', 즉 은행가의 일부 기능을 가진 경매인으로 설명되었다. 그는 자신의 자금으로 판매자에게 지불하고 나중에 이자와 함께 구매자에게서 그 금액을 회수했다.[22]
아버지는 아들의 교육에 많은 돈을 썼고, 결국 아들의 교육과 도덕적 발달을 감독하기 위해 그와 함께 로마로 갔다. 호라티우스는 훗날 한 편의 시[23]에서 아버지를 기렸는데, 한 현대 학자는 이것을 아들이 아버지를 기리는 최고의 기념물이라고 평가한다.[24] 그는 시에서 어머니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으며, 어머니에 대해 잘 알지 못했을 수도 있다. 어머니 또한 노예였을 가능성이 있다.[20]
호라티우스는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에게 세심한 교육을 받았으며, 기원전 45년에는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인 고대 그리스 아테네에 유학하여 고대 그리스 철학과 문학을 공부했다.
2. 2. 성년기
호라티우스는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의 세심한 교육을 받았으며, 기원전 45년에는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였던 아테네로 유학하여 철학과 문학을 공부했다. 이 시기에 마르쿠스 브루투스와 친분을 쌓고 소아시아 지방에서 여러 전투에 참가하기도 했다.[25][26][27]플라톤이 설립한 아카데미아에서 에피쿠로스 학파와 스토아 학파의 철학을 접하며 깊은 인상을 받았다. 또한, 키케로의 아들 마르쿠스, 폼페이우스 등 로마 젊은 엘리트들과 교류하며, 고대 그리스 서정시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28][29]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후,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가 아테네에서 공화정 지지자들을 모으는 과정에 참여하여 군단장(tribunus militum)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42년 필립피 전투에서 옥타비아누스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연합군에 패배하고, 방패를 버리고 도망치는 굴욕을 겪기도 했다. 그는 이 경험을 통해 알카이오스와 아르킬로코스 등 과거 방패를 버린 시인들과 자신을 동일시하며 자기 비하적인 유머를 발전시켰다.[30][31][32]
옥타비아누스의 사면을 받고 로마로 돌아왔으나, 아버지의 재산이 몰수되어 빈곤에 시달렸다. 이 시기에 ''scriba quaestorius''라는 한직을 얻어 국고에서 일하며, ''사티라''와 ''에포도스''를 쓰기 시작했다.[33][34][35]
기원전 40년 전후, 베르길리우스의 주선으로 가이우스 마이케나스를 만나 평생의 우정을 쌓았다. 기원전 32년에는 마이케나스로부터 사비나 농장을 선물받아 경제적 어려움에서 벗어나 창작에 전념할 수 있게 되었다.[36] 호라티우스의 별장 유적은 리첸차의 강 위쪽 나무가 우거진 언덕에 있으며, 이 강은 아니에네 강과 합류하여 티볼리로 흘러간다.
2. 3. 시인으로서의 삶
호라티우스의 출신 가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아마 그의 아버지는 노예에서 해방된 자유신분(libertinus)으로서 로마 자유시민권을 가진 여인과 결혼한 것으로 보인다. 호라티우스는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로부터 세심한 교육을 받았으며, 기원전 45년에 당시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인 고대 그리스의 아테네에 유학하여 고대 그리스 철학과 문학을 공부하였다. 이 시기에 그는 역시 고대 그리스 문화를 사랑하는 마르쿠스 브루투스와 친교를 맺게 되어 그를 따라 소아시아 지방에서 여러 전투에 참가한다. 기원전 약 40년을 전후로 호라티우스는 로마로 돌아와 젊은 문학자와 사귀면서, 특히 베르길리우스의 주선으로 당시의 로마의 문학 애호가이자 부호인 가이우스 마이케나스(Gaius Maecenas)에게 소개된다. 이 만남은 호라티우스가 사망할 때까지 깊은 우정관계로 발전한다. 특히 마이케나스는 호라티우스에게 기원전 32년 사비나 농장을 선물함으로써, 여기서 호라티우스는 경제적 어려움에서 완전히 해방되어 시 창작에 열중하게 된다.[25][26][27]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 후,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가 공화정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찾아 아테네에 왔다. 브루투스는 성대한 환영회를 받았고, 학술 강연에도 참석하며 호라티우스를 포함한 그곳에서 공부하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지지자를 모았다.[28] 교육받은 젊은 로마인은 군에서 높은 계급으로 복무를 시작할 수 있었고, 호라티우스는 군단장(tribunus militum) (전형적인 군단의 6명의 고위 장교 중 한 명)이 되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원로원 의원이나 기사 계급 출신에게 주어지는 자리였으며, 그의 귀족 동료들 사이에서 질투를 불러일으킨 것 같다.[29][30] 그는 행군 중, 특히 그리스 북부의 황량한 지역에서 군 생활의 기본을 배웠고, 그곳의 험준한 풍경은 그의 후기 시의 배경이 되었다.[31] 기원전 42년 옥타비아누스 (후일의 아우구스투스)와 그의 동료 마르쿠스 안토니우스가 필립피 전투에서 공화파 군대를 격파했다. 호라티우스는 나중에 자신이 방패를 버리고 도망친 수치스러운 날이었다고 기록했지만,[32] 그의 자기 비하적인 유머를 고려해야 한다. 게다가 이 사건은 그가 오래전 전투에서 방패를 버린 유명한 시인들, 특히 그의 영웅 알카이오스와 아르킬로코스와 자신을 동일시할 수 있게 해주었다. 아르킬로코스는 필립피 근처 트라키아에서 방패를 잃었고, 호라티우스의 완고한 동지들이 마지막으로 항복한 타소스의 그리스 식민지 건설에 깊이 관여했다.[30]
옥타비아누스는 반대자들에게 조기 사면을 제공했고, 호라티우스는 곧 그것을 받아들였다. 이탈리아로 돌아온 그는 아버지의 베누시아에 있는 재산이 몰수되는 손실에 직면했다. 호라티우스는 나중에 자신이 빈곤에 빠졌다고 주장했고, 이것이 그를 시에 손을 대도록 이끌었다고 했다.[33] 실제로 운문으로 돈을 벌 수는 없었다. 기껏해야 다른 시인들과 그들의 부유한 후원자들과의 접촉을 통해 미래의 전망을 제시했다.[34] 한편 그는 ''scriba quaestorius''라는 한직을 얻었다. 이것은 국고인 ''aerarium''에서의 공무원 직책으로, ''ordo equester'' 회원들도 구입할 수 있을 만큼 수익성이 좋았고, 업무를 ''scribae'' 또는 상근 서기에게 위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업무량이 많지 않았다.[35] 그는 이 무렵 그의 ''사티라''와 ''에포도스''를 쓰기 시작했다.
그의 후원자 마이케나스가 그의 친구 퀸티우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호라티우스가 준 시골 별장을 묘사하였다.[36] 호라티우스의 별장 유적은 리첸차의 강 위쪽 나무가 우거진 언덕에 있으며, 이 강은 아니에네 강과 합류하여 티볼리로 흘러간다.
《에포데(Epodes)》는 이암부 시(iambic poetry)에 속한다. 이암부 시는 모욕적이고 음란한 언어를 특징으로 하며, 때로는 "비난 시(blame poetry)"라고도 불린다.[37][38][39] "비난 시" 또는 "수치 시"는 동료 시민들에게 사회적 의무감을 일깨워주기 위해 비난하고 수치심을 주는 목적으로 쓰인 시다. 호라티우스는 이러한 시들을 아르킬로코스(Archilochus)의 시를 본떠 만들었다. 100년 조금 전 카르타고(Carthage) 멸망 이후 로마의 사회적 유대는 약탈과 부패로 얻을 수 있는 막대한 부 때문에 쇠퇴해왔다.[40] 이러한 사회적 병폐는 율리우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그리고 섹스투스 폼페이우스(Sextus Pompey)와 같은 동맹자들 사이의 경쟁으로 더욱 커졌으며, 그들은 모두 더 많은 전리품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었다. 한 현대 학자는 호라티우스가 태어나기 8년 전 스파르타쿠스(Spartacus)의 지휘 아래 일어난 제3차 노예 전쟁(Third Servile War)을 포함하여 기원전 31년까지 100년 동안 12차례의 내전이 있었다고 계산했다.[41] 헬레니즘 문화의 계승자였던 호라티우스와 그의 로마 동료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호라티우스의 헬레니즘적 배경은 그 장르가 라틴 문학에서 독특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풍자시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그는 로마가 직면한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적합한 스타일과 관점을 가져왔지만, 공공의 사회적 참여에서 사적인 명상으로 그 역할을 바꿨다.[43] 한편, 그는 옥타비아누스의 지지자들에게 관심을 갖기 시작했는데, 이는 그의 풍자시 중 하나에서 그가 묘사한 점진적인 과정이다.[23] 그의 친구이자 시인인 버질(Virgil)이 그의 《전원시(Eclogues)》의 성공에 이어 옥타비아누스의 부관인 마이케나스(Maecenas) 주변의 특권층에 들어간 것을 계기로 그에게 길이 열렸다. 곧 소개가 이루어졌고, 신중한 시간이 지난 후 호라티우스도 받아들여졌다. 그는 이 과정을 공적이고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명예로운 것으로 묘사했고, 결국 진정한 우정으로 이어졌으며, 마이케나스뿐만 아니라 나중에 아우구스투스와도 진정으로 우호적인 관계였다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다.[44] 반면에, 한 학자는 이 시인을 "기회를 잘 포착하는 날카롭고 야심찬 젊은이"라고 비판적으로 묘사했다.[45] 양측 모두에게 이점이 있었다. 호라티우스는 격려와 물질적 지원을 얻었고, 정치가들은 잠재적 반체제 인사를 장악했다.[46] 그의 공화정에 대한 동정심과 필립피 전투에서의 그의 역할은 그의 새로운 지위에 대한 약간의 후회를 가져왔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로마인들은 내전을 도시의 가장 중요한 가문들 사이의 ''컨텐티오 디그니타티스(contentio dignitatis)'' 즉, 경쟁의 결과로 여겼고, 그 역시 프린키파투스(principate)를 로마가 절실히 필요로 하는 평화를 위한 마지막 희망으로 받아들인 것 같다.[47]
기원전 37년, 호라티우스는 마이케나스와 함께 브룬디시움(Brundisium)으로 여행을 떠났는데, 이는 버질과 같은 다른 친구들과의 재미있는 사건들과 매력적인 만남들의 연속이었다. 사실 이 여행은 정치적인 동기가 있었는데, 마이케나스는 안토니우스와 타렌툼 조약(Treaty of Tarentum)을 협상하기 위해 가는 길이었고, 호라티우스는 교묘하게 독자들에게 이 사실을 감추고 있다.[46] 호라티우스는 기원전 36년 팔리누루스(Palinurus) 앞바다에서 발생한 끔찍한 폭풍으로 거의 익사할 뻔한 일을 간략히 언급하면서, 해적 섹스투스 폼페이우스에 대항하는 옥타비아누스의 해군 원정 중 하나에 마이케나스와 함께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49][50] 그의 시에는 기원전 31년 옥타비아누스가 그의 라이벌 안토니우스를 물리친 악티움 해전(Battle of Actium)에서 마이케나스와 함께 있었다는 암시도 있다.[51][52] 그때쯤 호라티우스는 마이케나스로부터 그의 사비네 농장을 선물로 받았는데, 아마도 《풍자시》 제1권이 출판된 직후일 것이다. 5명의 소작농으로부터의 수입을 포함한 이 선물은 재무부에서의 그의 경력을 끝냈거나, 적어도 그에게 덜 시간과 에너지를 할애할 수 있게 했을 것이다.[53] 이것은 그가 옥타비아누스 정권과 동일시되었음을 나타내지만, 그 후 곧 출판된 《풍자시》 제2권에서 그는 제1권의 비정치적 입장을 계속 유지했다. 이때쯤 그는 아마도 재무부에서의 그의 업무 결과로 에쿠에스 로마누스(eques Romanus) (로마 '기병', '기사')의 지위를 얻었다.[54][55]
2. 4. 기사 계급
호라티우스는 ''scriba quaestorius''라는 한직을 얻었다. 이것은 국고인 ''aerarium''에서의 공무원 직책으로, ''ordo equester'' 회원들도 구입할 수 있을 만큼 수익성이 좋았고, 업무를 ''scribae'' 또는 상근 서기에게 위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업무량이 많지 않았다.[35] 그는 이 무렵 그의 ''사티라''와 ''에포도스''를 쓰기 시작했다.3. 작품
호라티우스 작품의 정확한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학자들은 작품들이 처음 출판된 정확한 순서에 대해 논쟁을 벌이기도 한다.[70]
3. 1. 주요 작품 목록
호라티우스 작품의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며, 학자들은 종종 작품들이 처음 '출판'된 정확한 순서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70] 다음 연대순이 설득력 있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풍자시 1 (기원전 35~34년경)[71]
- 풍자시 2 (기원전 30년경)
- 에포데스 (기원전 30년경)
- 서정시 1-3 (기원전 23년경)[72]
- 서간시 1 (기원전 21년경)
- 세기의 노래 (기원전 17년)
- 서간시 2 (기원전 11년경)[73][74]
- 서정시 4 (기원전 11년경)[75]
- 시예술론 (기원전 10~8년경)[76]
3. 2. 작품의 특징
호라티우스의 작품은 크게 풍자시, 서정시, 서간시로 나눌 수 있다.- 풍자시 (Satires)
이암부 시(iambic poetry)에 속하는 《에포데(Epodes)》는 모욕적이고 음란한 언어를 특징으로 하며, 때로는 "비난 시(blame poetry)"라고도 불린다.[37][38][39] 호라티우스는 아르킬로코스(Archilochus)의 시를 본떠 이러한 시들을 만들었다. 그는 로마가 직면한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적합한 스타일과 관점을 가져왔지만, 공공의 사회적 참여에서 사적인 명상으로 그 역할을 바꿨다.[43]
《풍자시(Satires)》는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목 | 출판 연도 |
---|---|
Satires 1 | 기원전 35–34년경 |
Satires 2 | 기원전 30년경 |
- 서정시 (Odes)
호라티우스는 서정시 ''오드(Odes)'' 1~3권에서 기원전 7세기와 6세기 그리스 서정시의 형식과 주제를 각색했다. 그의 서정시가 공적인 문제를 다루더라도 사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4]
《카르미나》 서정시집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en:Carmen Saeculare'' (기원전 17년경)
- 서간시 (Epistles)
서정시에 대한 실망 때문에 서간시를 쓰기 시작한 호라티우스는 그의 첫 번째 서간시집을 다양한 친구와 지인들에게 보냈는데, 그것은 에쿠에스 로마누스(eques Romanus) (로마 '기병', '기사')라는 그의 새로운 사회적 지위를 반영하는 세련된 스타일이었다.
《서간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기타
- 『시에 대하여』(Ars poetica) (기원전 10–8년경)[179]
- 『에포데스(Epodes)』 (기원전 30년경)
3. 3. 역사적 맥락
호라티우스는 세계 최초의 자서전 작가로 여겨질 수 있다.[7] 그의 저술에는 고대의 다른 어떤 위대한 시인보다도 자신, 그의 성격, 그의 발전, 그리고 그의 삶의 방식에 대해 훨씬 더 많은 이야기가 담겨 있다. 그의 작품에 담긴 전기적 자료 중 일부는 수에토니우스(그의 ''시인들의 생애''에서)의 짧지만 귀중한 "호라티우스의 생애"에서 보충할 수 있다.[8]기원전 65년 12월 8일,[9] 이탈리아 남부 아풀리아(Apulia) 지역에서 태어났다.[10] 그의 고향인 베누시아(Venosa, Venusia)는 아풀리아 지역과 루카니아(Lucania)(현 바실리카타(Basilicata))의 경계에 있는 무역로에 위치해 있었다. 이 지역에서는 다양한 이탈리아 방언이 사용되었고, 이는 그의 언어 감각을 풍부하게 했을 것이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그리스어 단어에 익숙했을 수 있으며, 후에 이웃 도시 카누시움(Canusium)에서 사용되는 그리스어와 오스칸어가 혼합된 전문 용어를 비꼬기도 했다.[11] 그가 학교에서 공부했을 가능성이 높은 작품 중 하나는 리비우스 안드로니쿠스(Livius Andronicus)의 ''오디세이아''이며, 그의 시에 언급된 '오르빌리우스(Orbilius)'와 같은 교사들에게서 가르침을 받았을 것이다.[12] 사회 전쟁(기원전 91~88년)[13]에서 로마의 처벌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은 지역 주민들의 땅에 로마군 베테랑들이 정착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국가 주도의 이주는 이 지역에 더욱 다양한 언어적 요소를 추가했을 것이다. 호라티우스가 전하는 지역 전승에 따르면,[14] 3세기 초 삼니움인들이 몰락한 후 베누시아에 로마인 또는 라틴인들의 식민지가 설립되었다고 한다. 이 경우 젊은 호라티우스는 자신을 로마인으로 여겼을 수 있다.[15][16] 하지만 그가 자신을 삼니움인(Samnite) 또는 사벨리움인(Sabellus)으로 여겼다는 암시도 있다.[17][18] 현대와 고대 이탈리아인들은 외부 세계에서 성공을 거둔 후에도 고향에 대한 애정을 늘 간직해왔으며, 호라티우스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의 시 전반에 걸쳐 그의 어린 시절 환경과 그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19]
호라티우스의 아버지는 사회 전쟁에서 로마인들에게 포로로 잡힌 베누시아 출신이거나, 삼니움 전쟁(Samnite Wars)에서 포로로 잡힌 사비니아(Sabine) 출신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다. 어느 쪽이든 그는 인생의 적어도 일부 기간 동안 노예였다. 그러나 그는 분명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이었고, 자유를 얻고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켰다. 따라서 호라티우스는 번영한 '코악토르(coactor)'의 자유민 아들이라고 주장했다.[20] '코악토르'라는 용어는 세금 징수원과 같은 다양한 직책을 의미할 수 있지만, 호라티우스[21]가 사용한 것은 주석(scholia)에서 '코악토르 아르겐타리우스(coactor argentarius)', 즉 은행가의 일부 기능을 가진 경매인으로 설명되었는데, 그는 자신의 자금으로 판매자에게 지불하고 나중에 이자와 함께 구매자에게서 그 금액을 회수했다.[22]
아버지는 아들의 교육에 많은 돈을 썼고, 결국 아들의 교육과 도덕적 발달을 감독하기 위해 그와 함께 로마(Rome)로 갔다. 시인은 후에 한 편의 시[23]에서 그를 기리는데, 한 현대 학자는 이것을 아들이 아버지를 기리는 최고의 기념물이라고 여긴다.[24] 그는 자신의 시에서 어머니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으며, 어머니에 대해 잘 알지 못했을 수도 있다. 어머니 또한 노예였을 가능성이 있다.[20]
3. 4. 주제
호라티우스는 정치, 사랑, 철학, 윤리, 자신의 사회적 역할, 그리고 시 자체를 포함하는 여러 상호 연관된 주제들을 발전시켰다. 그의 《에포데스》와 《사티라》는 '비난 시'의 형태이며, 키니시즘의 도덕적 설교 및 격렬한 비판과 자연스러운 친화성을 지닌다.[93] 그러나 《서간》을 쓸 무렵에는 키니시즘을 비판하는 입장이었다.[94][95]《사티라》에는 에피쿠로스주의 요소도 포함되어 있으며,[96] "카르페 디엠"은 《사티라》 2.6에서 호라티우스 자신의 이름(Horatius ~ hora)에 대한 반복되는 말장난의 영감이 된다.[97] 《사티라》에는 또한 스토아학파, 페리파토스 학파, 플라톤의 요소들이 등장한다.[98]
《오데》는 광범위한 주제를 보여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는 자신의 정치적 목소리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간다.[99] 그는 종종 지나치게 지적인 연인으로 여겨지지만, 열정을 표현하는 데는 기발하다.[100] 《오데》 1~3권의 약 1/3에 암시와 교리 진술이 존재하며, 에피쿠로스주의가 지배적인 영향력이다. 일부 오데는 스토아적 기력과 공적 의무에 대한 헌신을 칭찬하면서도 친구들 사이의 사적인 즐거움을 옹호하는 등 긴장된 관계 속에서 이 두 가지 영향을 결합한다. 일반적으로 에피쿠로스식 삶의 방식을 선호하지만, 《오데》 2.10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황금률을 로마의 정치적 어려움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하기도 한다.[101]
호라티우스의 많은 시에는 장르, 서정 전통, 시의 기능에 대한 많은 성찰이 담겨 있다.[102] 황제의 요청으로 작곡된 것으로 여겨지는 《오데》 4권은 "오데"의 앞 세 권의 주제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린다. 여기서 호라티우스는 황제 아우구스투스에게 더 큰 자신감으로 직접 이야기하고 칭찬하는 사람들에게 시적 불멸을 부여할 수 있는 그의 힘을 선언한다. 12번째 오데를 제외하면, 그의 시 중에서 가장 철학적이지 않은 작품이다.[103]
《서간》의 첫 번째 시는 나머지 작품 전체의 철학적 분위기를 설정한다. 철학을 위해 시를 포기하는 그의 시적 포기는 모호하게 의도된 것이다. 모호성은 《서간》의 특징이다. 자기 조롱하는 시인 철학자에게 말하는 사람들이 존경을 받고 있는지 비판을 받고 있는지 불확실하다. 그는 에피쿠로스주의자로 등장하지만, 정치적, 사회적 선택과 마찬가지로 철학적 선호도는 개인의 취향 문제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대부분의 철학자들보다 철학적 삶의 기복을 더 현실적으로 묘사한다.[104]
4. 영향
호라티우스의 작품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그의 생전에도 평가가 엇갈렸는데, 서정시 1~3권은 초기에 큰 호응을 얻지 못했지만 아우구스투스가 기원전 17년 백년기념 경기를 위한 서정시를 의뢰하고 서정시 4권 출판을 장려하면서 로마 최고의 서정 시인으로 명성을 굳혔다. 고대에는 그의 서정시가 최고로 평가받았고, 4세기 동안 그에 필적하는 서정시인이 없을 정도였다.[105] 17~18세기 영국에서는 서정시 작법이 유행하며 많은 시인들이 그를 모방했다.[107]
기원전 12년, 아우구스투스에게 보낸 서간시 2.1에서 호라티우스는 베르길리우스 등 당대 시인들과 함께 자신도 고전적 지위를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08] 그는 서정시 3권 마지막 시에서 "청동보다 오래가는 기념비를 세웠다"(카르미나 3.30.1)고 자부했지만, 한 현대 학자는 그의 업적보다 인간적인 면모가 더 주목할 만하다고 평한다.
제1차 세계 대전을 겪은 윌프리드 오웬 같은 이들에게 호라티우스의 시는 낡은 가치를 상징했다. 그러나 프루덴티우스 같은 초기 기독교 시인들은 조국을 위해 죽는 것은 달콤하고 영광스럽다는 구절을 순교 정신에 적용하기도 했다.[111]
옥타비아누스와 동시대 라틴 문학 황금기 시인인 호라티우스는 베르길리우스와 함께 높이 평가받는다. 그의 서간시 『시에 대하여』(Ars poetica)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더불어 고전주의 시론의 중요한 문헌이다. "시는 그림처럼"(ut pictura poesis)이라는 구절은 회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는 "정복당한 그리스는 사나운 로마를 정복했다 (Graecia capta ferum victorem cepit)"라는 명언을 남기기도 했다.
4. 1. 고대
호라티우스의 《에포데(Epodes)》는 이암부 시(iambic poetry)에 속한다. 이암부 시는 모욕적이고 음란한 언어를 특징으로 하며, 때로는 "비난 시(blame poetry)"라고도 불린다.[37][38][39] "비난 시" 또는 "수치 시"는 동료 시민들에게 사회적 의무감을 일깨워주기 위해 비난하고 수치심을 주는 목적으로 쓰였다. 각 시는 일반적으로 호라티우스가 수치심을 주거나 교훈을 주기로 결정한 원형 인물을 가지고 있다. 호라티우스는 이러한 시들을 아르킬로코스(Archilochus)의 시를 본떠 만들었다. 100년 조금 전 카르타고(Carthage) 멸망 이후 로마의 사회적 유대는 약탈과 부패로 얻을 수 있는 막대한 부 때문에 쇠퇴해왔다.[40] 이러한 사회적 병폐는 율리우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그리고 섹스투스 폼페이우스(Sextus Pompey)와 같은 동맹자들 사이의 경쟁으로 더욱 커졌으며, 그들은 모두 더 많은 전리품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었다. 한 현대 학자는 호라티우스가 태어나기 8년 전 스파르타쿠스(Spartacus)의 지휘 아래 일어난 제3차 노예 전쟁(Third Servile War)을 포함하여 기원전 31년까지 100년 동안 12차례의 내전이 있었다고 계산했다.[41] 헬레니즘 문화의 계승자였던 호라티우스와 그의 로마 동료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결국 그 시대가 불러일으킨 모든 문제는 사회적인 성격의 것이었고, 헬레니즘 사상가들은 이를 해결할 자격이 부족했다. 그들 중 일부는 부자들에 의한 가난한 자들의 억압을 비난했지만, 선량한 통치자들이 그렇게 하기를 바랐을지라도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철학은 자기 몰입으로 치우쳐 개인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었는데, 이는 자제와 억제를 통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었고, 붕괴되는 공동체의 운명에는 별로 신경 쓰지 않았다.|V. G. 키어넌(V. G. Kiernan)영어[42]
4. 2. 중세와 르네상스
6세기 중반부터 카롤링거 부흥 시기까지 고전 텍스트의 사본 제작은 거의 중단되었다. 호라티우스의 작품은 아마도 이탈리아에서 북유럽으로 수입된 2~3권의 책에만 남아 있었을 것이며, 이것들이 9세기에 작성된 6개의 현존하는 사본의 원형이 되었다. 그 6개의 사본 중 2개는 프랑스 출신이고, 하나는 알자스에서 제작되었으며, 나머지 3개는 아일랜드의 영향을 받았지만 대륙 수도원(예: 롬바르디아)에서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123] 9세기 후반에는 문맹이 아닌 사람들도 호라티우스의 시에 직접 접할 수 있었다. 카롤링거 르네상스에 대한 그의 영향은 오세르의 헤이릭의 시[124]와, 그의 서정적 운율의 암기와 논의에 도움이 되었을지 모르는 신비로운 표기인 네움이 표시된 일부 사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오드'' 4.11은 세파이크 연으로 작곡된 세례자 요한에 대한 찬가 ''Ut queant laxis''의 선율로 네움이 표시되어 있다. 이 찬가는 나중에 솔페지 시스템(''도, 레, 미...'')의 기초가 되었는데, 이는 찬가의 언어가 주로 프루덴티우스의 것이지만[125] 호라티우스와 같은 서정시인에게는 서양 음악과 매우 적절한 연관성을 지닌다. 라이온스[126]는 문제의 선율이 귀도 아레초가 Ut queant laxis를 적용하기 훨씬 전부터 호라티우스의 오드와 연결되어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오비디우스[127]가 호라티우스가 그의 오드를 연주하는 동안 리라를 사용했다는 것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선율이 고대 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것일 가능성은 낮다.독일 학자 루트비히 트라우베는 10세기와 11세기를 ''호라티우스 시대''(''aetas Horatiana'')라고 불렀고, 이를 8세기와 9세기의 ''베르길리우스 시대''(''aetas Vergiliana'')와 12세기와 13세기의 ''오비디우스 시대''(''aetas Ovidiana'') 사이에 위치시켰는데, 이는 당시의 지배적인 고전 라틴어의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호라티우스는 9세기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은 지나치게 단순화된 것이다. 트라우베는 호라티우스의 ''사티라''에 너무 집중했다.[128] 호라티우스의 작품 거의 모두가 중세 시대에 호평을 받았다. 중세 학자들은 호라티우스의 서로 다른 장르를 인간의 삶의 네 시대와 연관시키는 지나치게 단순화된 이론을 제시하기도 했다. 12세기의 한 학자는 그 이론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호라티우스는 네 시대에 따라 네 가지 종류의 시를 썼다. ''오드''는 소년을 위해, ''시예술''은 젊은이를 위해, ''사티라''는 성숙한 남자를 위해, ''서간''은 늙고 완성된 남자를 위해."[129] 심지어 호라티우스가 그의 작품을 고대 학자들이 배열한 순서대로 작곡했다고 생각하기도 했다.[130] 그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체계는 호라티우스의 작품을 하나의 전체로서 인식하는 것을 포함했으며, ''시예술'', ''사티라'', ''서간''이 ''오드''뿐만 아니라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후기 중세는 ''사티라''와 ''서간''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는데, 이는 호라티우스의 성숙한 작품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단테는 호라티우스를 ''오라치오 사티로''라고 언급했고, 그를 호머, 오비디우스, 루칸과 함께 지옥의 첫 번째 원에 특권적인 위치를 부여했다.[131]
호라티우스의 인기는 중세 문학의 거의 모든 장르에서 발견되는 그의 모든 작품에서 인용된 많은 수의 인용구와, 양적 라틴 운율에서 그를 모방한 시인들의 수에서 드러난다. 그의 ''오드''를 가장 많이 모방한 사람은 바이에른의 수도승 테게른제의 메텔루스였는데, 그는 1170년경 테게른제 수도원의 수호성인 성 키리누스에게 그의 작품을 헌정했다. 그는 호라티우스의 모든 서정적 운율을 모방한 다음 프루덴티우스와 보에티우스가 사용한 다른 운율을 모방했는데, 이는 호라티우스가 처음으로 모델링한 것처럼 다양성이 서정 장르의 기본적인 측면으로 간주되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그의 시의 내용은 단순한 경건함으로 제한되었다.[132] ''사티라''와 ''서간''을 가장 성공적으로 모방한 사람 중에는 자신을 섹스투스 아마르키우스라고 부르는 또 다른 게르만 작가가 있는데, 그는 약 1100년경 네 권의 책을 작곡했으며, 첫 두 권은 악덕을, 나머지 두 권은 주로 미덕을 보여준다.[133]
페트라르카는 강세 운율에서 호라티우스의 모방에 있어서 핵심 인물이다. 그의 라틴어 운문 편지는 ''서간''을 모델로 했고, 그는 오드 형식으로 호라티우스에게 편지를 썼다. 그는 이탈리아 소네트를 작곡할 때도 호라티우스에게서 영감을 얻었다. 한 현대 학자는 강세 운율(강세 라틴어와 구어를 포함)로 호라티우스를 모방한 작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호라티우스의 운율적 다양성의 자연스러운 연속으로 간주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134] 프랑스에서는 호라티우스와 핀다로스가 플레야드라고 불리는 구어 작가 그룹(예: 피에르 드 롱사르와 조아킴 뒤 벨레 포함)의 시적 모델이었다. 몽테뉴는 호라티우스의 인용구를 끊임없이 창의적으로 사용했다.[135] 16세기 카스티야와 포르투갈에서는 구어가 우세했는데, 그곳에서 호라티우스의 영향은 가르실라소 데 라 베가, 후안 보스칸, 사 데 미란다, 안토니우 페헤이라 및 프레이 루이스 데 레온과 같은 작가들의 작품에서 두드러지며, 마지막 작가는 호라티우스의 주제 ''beatus ille''(''행복한 사람'')에 관한 오드를 썼다.[136] 서유럽의 16세기는 또한 번역의 시대였지만(독일은 예외인데, 호라티우스는 17세기 후반까지 구어로 번역되지 않았다), 첫 번째 영어 번역가는 토마스 드랜트였는데, 그는 1566년 ''Medicinable Morall''에서 예레미야와 호라티우스의 번역을 나란히 배치했다. 스코틀랜드인 조지 부캐넌이 호라티우스의 스타일로 시편을 각색한 해이기도 하다. 벤 존슨은 1601년 ''포에타스터''에서 다른 고전 라틴 작가들과 함께 호라티우스를 무대에 올려 그들에게 번역된 자신의 구절을 말하게 했다. 호라티우스의 역할은 많은 독자가 그의 시에서 찾는 독립적인 정신, 도덕적 진지함, 비판적 통찰력을 보여준다.[137]
4. 3. 계몽주의 시대
17세기와 18세기, 즉 계몽주의 시대에는 신고전주의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다. 그 시대 중반의 영국 문학은 어거스턴 문학으로 불린다. 그러한 세기 동안 호라티우스의 영향을 구분하기는 항상 쉽지 않은데, 예를 들어 한 시인의 필명인 "호라티우스 유베날리스"에서 영향의 혼합이 보여진다.[138] 그러나 독자와 저자 등 그의 작품에 관심 있는 다양한 사람들 사이에서 그의 영향의 정도를 알 수 있다.[139]그의 작품의 새로운 판본이 거의 매년 출판되었다. 1612년에 세 가지 새로운 판본(두 개는 라이덴, 하나는 프랑크푸르트)이 있었고, 1699년에도 다시 (유트레흐트, 바르셀로나, 캠브리지) 출판되었다. 저렴한 판본이 풍부했고, 존 파인이 구리판화로 전체 텍스트를 새긴 판본을 포함하여 고급 판본도 제작되었다. 시인 제임스 톰슨은 호라티우스의 작품 다섯 가지 판본을 소장했고, 의사 제임스 더글러스는 호라티우스 관련 제목의 책 500권을 가지고 있었다. 호라티우스는 관찰자와 같은 정기 간행물에서 훌륭한 판단력, 절제력 및 남성다움의 특징으로, 도덕적인 초점으로 자주 칭찬을 받았다.[140] 그의 시구는 "simplex munditiis"(단순함 속의 우아함), "splendide mendax"(고귀하게 비진실적인), "sapere aude"(감히 알라), "nunc est bibendum"(이제 마실 시간이다), "carpe diem"(오늘을 잡아라, 아마도 오늘날에도 여전히 널리 사용되는 유일한 것일 것이다)와 같은 모토의 원천을 제공했다.[121] 이것들은 에드먼드 퀸시의 "삼마 재배 논문"(1765)과 같은 평범한 작품에서도 인용되었다. 허구의 영웅 톰 존스는 그의 시구를 감정적으로 낭송했다.[141] 그의 작품은 또한 1736년 옥스퍼드 대학교 자료집에서 제임스 패리의 영어 구절에서와 같이 애국적인 순종과 같은 평범한 주제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142]
호라티우스 스타일의 가사는 이 시대의 옥스퍼드와 캠브리지 시 자료집에서 점점 더 일반적이었으며, 대부분 라틴어였지만 앞의 송가와 같은 영어도 있었다. 존 밀턴의 라이시다스는 그러한 자료집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그것은 호라티우스의 잔향이 거의 없다.[143] 그러나 밀턴의 호라티우스와의 연관성은 평생 지속되었다. 그는 "오드" 1.5의 논란이 되는 버전을 작곡했고, 실낙원에는 호라티우스의 '로마' "오드" 3.1-6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7권은 "오드" 3.4의 잔향으로 시작됨).[144] 그러나 호라티우스의 가사는 도덕가뿐만 아니라 방탕한 사람들에게도 영감을 줄 수 있었고, 신라틴어는 때때로 위험한 것을 위한 일종의 은밀한 베일 역할을 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벤자민 러블링은 사피크 연으로 드러리 레인과 코벤트 가든 매춘부의 목록과 죽어가는 "음탕한 기억"의 여성을 위한 찬사를 저술했다.[145] 호라티우스의 라틴어 모방 중 일부는 제이커브파의 원기를 불어넣는 구호를 포함한 앤서니 앨소프의 결혼 송가와 같이 정치적으로 파괴적이기도 했다. 반면에 앤드류 마벨은 호라티우스의 "오드" 1.37에서 영감을 받아 영어 걸작 크롬웰의 아일랜드 귀환에 관한 호라티우스 송가를 작곡했는데, 여기서 찰스 1세의 처형에 대한 미묘하게 뉘앙스가 있는 반성이 클레오파트라의 죽음에 대한 호라티우스의 모호한 반응을 반영한다 (마벨의 송가는 그 미묘함에도 불구하고 억압되었고 1776년에야 널리 출판되기 시작했다). 새뮤얼 존슨은 "오드"를 읽는 것을 특히 즐겼다.[146] 알렉산더 포프는 호라티우스의 직접적인 "모방"(원본 라틴어와 함께 출판됨)을 썼고 "수필"과 머리카락의 납치에서도 그를 반영했다. 그는 "일리아드" 번역에서 "꽤 호라티우스적인 호머"로 등장하기도 했다.[147] 호라티우스는 안나 시워드("다양한 주제에 대한 원본 소네트 및 호라티우스에서 각색된 송가", 1799)와 엘리자베스 톨렛과 같은 여성 시인들에게도 호소력이 있었는데, 그녀는 호라티우스의 심포틱 설정의 와인 대신 차와 커피를 대체하여 해외에서 돌아온 형제를 기념하는 사피크 미터로 라틴어 송가를 작곡했다.

호라티우스의 "시예술론"은 문학 이론과 비평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이어 두 번째이다. 밀턴은 그의 논문 "교육에 관하여"에서 두 작품 모두를 추천했다.[150] 그러나 호라티우스의 "풍자"와 "서간"도 막대한 영향을 미쳐 존 드라이든과 같은 이론가와 비평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151] 호라티우스의 사피크와 알카익 "오드"로 친숙해진 4행 연의 종류와 한편으로는 핀다로스의 송가와 관련된 느슨하게 구성된 핀다릭과 같이 현대 시인들을 위한 다양한 서정적 형태의 가치에 대한 상당한 논쟁이 있었다. 번역은 때때로 학자들을 검열의 딜레마에 휘말리게 했다. 따라서 크리스토퍼 스마트는 "오드" 4.10을 완전히 생략하고 나머지 송가의 번호를 다시 매겼다. 그는 또한 "오드" 4.1의 끝을 제거했다. 토마스 크리치는 원본 라틴어로 "에포드" 8과 12를 인쇄했지만 영어 번역은 생략했다. 필립 프랜시스는 동일한 두 에포드에 대해 영어와 라틴어 모두를 생략했는데, 번호 매기기의 차이가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유일한 징후이다. 호라티우스의 프랑스어 판본은 영국에서 영향력이 있었고 이것들도 정기적으로 검열되었다.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는 자신만의 '호라티우스'가 있었다. 예를 들어 프리드리히 폰 하게도른은 "독일의 호라티우스"라고 불렸고 마체이 카지미에시 사르비에프스키는 "폴란드의 호라티우스"라고 불렸습니다 (후자는 헨리 보건과 아브라함 카우리와 같은 영국 시인들에게 많이 모방되었습니다). 교황 우르반 8세는 통풍에 관한 송가를 포함하여 호라티우스 미터로 방대한 양을 썼다.[152]
4. 4. 19세기 이후
호라티우스는 1960년대까지 영어권 엘리트 교육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153] 그러나 문학적 감상보다 언어 학습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일부에서는 그를 인기 없게 만들기도 했다.[154]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영향력은 확고했는데, 바이런은 『워즈워스는 『서정 발라드]』의 서정 발라드 서문을 포함한 성숙한 시에서 허식을 거부하는 호라티우스의 영향을 보여주었으며,[156] "호라티우스의 그림자를 만나기를 바랐다..."고 말하기도 했다.[157] 키츠는 『
19세기에는 호라티우스가 영국의 명예 귀족으로 소개되었다. 서커리는 『오드』 1.38의 한 작품에서 호라티우스의 '소년'을 '루시'로 바꾸었고, 홉킨스는 그 소년을 순진하게 '아이'로 번역했다. 마틴 경(알버트 왕자의 전기 작가)은 호라티우스를 번역했지만, 에로틱한 『오드』 1.25와 『에포데스』 8편과 12편과 같이 신사답지 못한 몇몇 구절은 제외했다. 벌워-리턴은 인기 있는 번역본을 만들었고, 글래드스톤도 수상직 마지막 날에 번역 작업을 했다.[159]
피츠제럴드의 『오마르 캬얌의 루바이야트]』는 형식적으로 페르시아의 [[루바이에서 유래했지만, "…그 4행시는 불가피하게 '오드'의 연구를 떠올리게 하고, 세상에 염증을 느끼는 노년의 에피쿠로스적인 오마르 자신이 이야기를 전개하는 1인칭 서술 또한 마찬가지이며, 교류의 권고와 '카르페 디엠'을 훌륭한 도덕적 고찰과 '메멘토 모리' 허무주의와 섞고 있다."는 점에서 호라티우스의 강한 영향을 보여준다.[160] 아놀드는 시를 통해 친구에게 정치를 걱정하지 말라고 조언했는데, 이는 『오드』 2.11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나중에는 빅토리아 시대의 미덕의 모범으로서 그리스 시인들에 비해 호라티우스의 부족함을 비판하며 "만약 인생이 신앙도, 열정도, 활력도 없이 완벽하다면, 호라티우스…는 인생을 완벽하게 해석하는 사람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161] 로세티는 여성이 자신의 죽음을 꾸준히 바라는 소네트를 지었는데, 『오드』 1.19.5–6의 '글리케라'와 『오드』 1.37의 클레오파트라에 대한 호라티우스의 묘사를 활용했다.[162] 하우즈먼은 아르킬로키우스 연구절로 된 『오드』 4.7을 고대시가 중 가장 아름다운 시로 여겼다.[163] 그는 일반적으로 호라티우스의 4행시에 대한 기호를 공유하여 자신의 애가적이고 우울한 경향에 쉽게 적응했다.[164] 다우슨의 가장 유명한 시는 『오드』 4.1의 한 구절인 "Non sum qualis eram bonae sub regno Cynarae"에서 제목과 여주인공의 이름을 따왔으며, 과거 연인에 대한 향수라는 모티프도 따왔다. 키플링은 『오드』의 유명한 패러디를 써서 그 스타일의 특징, 특히 특별한 구문을 풍자했지만, 『스토키와 친구들]』이라는 학교 소설집에 있는 "레굴루스" 이야기에서와 같이 영국 제국주의를 위한 초점으로 호라티우스의 로마 애국심을 사용했는데, 이 이야기는 『오드』 [[:wikisource:la:Carmina (Horatius)/Liber III/Carmen V를 기반으로 한다.[165] 윌프리드 오웬의 유명한 시는 라틴어 운율 규칙을 무시하면서 애국심에 의문을 제기하기 위해 호라티우스의 텍스트를 통합했다. 그러나 전쟁 시대에는 호라티우스의 다른 반향은 거의 없었는데, 아마도 전쟁이 실제로 호라티우스 작품의 주요 주제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166] 스페인 시인 코스타 이 요베라는 라틴 시인 호라티우스에게 헌정하고 사파이어, 알카이어스 등 유사한 유형의 연구를 사용하는 『호라시안네스』라는 유명한 시집을 출판했다.[167]

오든과 맥나이스는 모두 고전 교사로 경력을 시작했고 시인으로서 호라티우스의 영향에 반응했다. 예를 들어 오든은 호라티우스가 친구에게 국경 전쟁에 대한 걱정이 현재의 즐거움을 방해하지 않도록 조언하는 『오드』 2.11.1–4를 반영하는 표현으로 1930년대의 불안정한 세계를 불러일으켰다.
thumb
미국 시인 프로스트는 『사티라』에서 그의 긴 시 중 일부, 예를 들어 『오늘의 교훈』(1941)의 대화적이고 훈계적인 어투를 반영했고, 『히라 브룩』(1916)에서와 같이 농장 생활에 대한 부드러운 옹호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오드』 3.13의 "폰스 반두시아에"를 불러일으켰다. 3천년대 초반에 시인들은 여전히 호라티우스의 영향을 흡수하고 재구성하고 있으며, 때로는 번역을 통해(예: 36명의 시인이 참여한 2002년 영어/미국판 『오드』)[169], 때로는 그들의 작품에 대한 영감으로(예: 2003년 뉴질랜드 시인의 오드 모음집)[170] 나타난다.
호라티우스의 『에포데스』는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 정치적 연관성을 가진 것들을 제외하고는 현대에 대부분 무시되어 왔다. 일부 시의 음란한 특성은 학자들조차도 혐오감을 느끼게 했지만,[171] 최근에는 야유시의 본질에 대한 더 나은 이해가 전체 작품에 대한 재평가로 이어졌다.[172][173] 『에포데스』에 대한 재평가는 최근 시인들의 창작적 각색에서도 나타나는데(예: 고대의 배경을 1950년대 산업 도시로 옮긴 2004년 시 모음집)[174]
옥타비아누스와 같은 시대에 살았던 라틴 문학 황금기의 시인으로, 베르길리우스와 함께 높이 평가받는다.
서간시 『시에 대하여』(Ars poetica)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과 함께 고전주의 시론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다. 이 중 한 구절인 "시는 그림처럼"(ut pictura poesis)은 후에 회화에도 확대되어 근세 시론 및 회화론에 영향을 미쳤다.
5. 한국어 번역본
- ホラティウス全集일본어 스즈키 이치로 역, 타마가와대학 출판부, 2001년
- ホラティウス詩論일본어 오카 미치오 역, 이와나미 문고, 1997년 (와이드판 이와나미 문고, 2012년)
:: 기타는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마쓰모토 진스케·오카 미치오 역
6. 읽어 보기
- D. R. Shackleton Bailey 편집, ''Q. Horatii Flacci Opera'', 1995 Stuttgart.
- Eduard Fraenkel, ''Horace'', 1957 Oxford.
- 호라티우스 지음, 김남우 옮김, ''카르페 디엠(제1권)/소박함의 지혜(제2권)'', 민음사, 2016 - 라틴어 원전 번역
참조
[1]
서적
Life of Horace
https://penelope.uch[...]
[2]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3]
서적
Satires
[4]
서적
The Odes of Horace
[5]
서적
The Satires of Horace and Persius
[6]
서적
Discourse Concerning the Original and Progress of Satire
Oxford
1926
[7]
서적
The Romans
Pelican Books
[8]
서적
Horace
http://www.gutenberg[...]
Oxford
1957
[9]
서적
Horace: life and chronology
[10]
서적
Brill's Companion to Horace
https://books.google[...]
Brill
2012
[11]
서적
Satires
[12]
서적
Epistles
[13]
서적
Horace
[14]
서적
Satires
[15]
서적
Catullus and Horace
[16]
서적
Horace: A New Interpretation
[17]
서적
Epistles
[18]
서적
Horace: life and chronology
[19]
서적
Horace
[20]
서적
Horace: Poetics and Politics
[21]
서적
Satires
[22]
서적
Horace
[23]
서적
Satires
[24]
서적
Horace
[25]
서적
Horace: Poetics and Politics
[26]
서적
Odes
[27]
서적
Horace
[28]
서적
Horace
[29]
서적
Satires
[30]
서적
Horace: life and chronology
[31]
서적
Horace
[32]
서적
Odes
[33]
서적
Epistles
[34]
서적
Horace: Poetics and politics
[35]
서적
Horace
[36]
서적
16th Letter of the First Book
[37]
서적
A Companion to the Greek Lyric Poets
Leiden
1997
[38]
서적
Greek Iambic Poetry
Loeb Classical Library
1999
[39]
서적
Horace: Epodes
C.U.P.
[40]
서적
Horace: Epodes
[41]
서적
New Studies of a Great Inheritance
[42]
서적
Horace: Poetics and Politics
[43]
서적
The Satires
[44]
서적
Augustan Poetry and Society
[45]
서적
Horace in the Thirties
[46]
서적
Horace: life and chronology
[47]
서적
Horace: Epodes
[48]
서적
Satires
[49]
서적
Odes
[50]
서적
Odes
[51]
서적
Epodes
[52]
서적
Epodes
[53]
서적
Horace
[54]
서적
Satires
[55]
서적
Horace: life and chronology
[56]
서적
Horace: Poetics and Politics
[57]
서적
Horace: life and chronology
[58]
서적
Epistles
[59]
서적
Epistles
[60]
서적
Horace: Poetics and Politics
[61]
서적
Epistles
[62]
서적
Epistles
[63]
서적
Horace: life and chronology
[64]
서적
Horace
[65]
서적
Epistles
[66]
서적
The Epistles
[67]
서적
Odes
[68]
서적
Horace
[69]
서적
Horace
[70]
서적
Horace: life and chronology
[71]
서적
Gowers (2012) 4 (note 22), citing DuQuesnay (1984) 20–21
2012
[72]
논문
Classical Quarterly
2002
[73]
서적
Horace: life and chronology
[74]
서적
Gowers (2012) 3
2012
[75]
서적
Gowers (2012) 3
2012
[76]
서적
The Augustan Aristocracy
[77]
서적
Style and poetic texture
[78]
서적
Horace
[79]
서적
Goethe
Bondi
1916
[80]
서적
Horace
[81]
서적
Horace
[82]
서적
Horace
[83]
서적
Gods and Religion
[84]
서적
Lyric and Iambic
[85]
서적
Lyric and Iambic
[86]
서적
Horace
[87]
서적
Satire
[88]
서적
Style and poetic texture
[89]
서적
The Satires of Horace and Persius
Penguin Classics
1973
[90]
서적
The Epistles
[91]
서적
Horace
[92]
서적
Horace: Poetics and Politics
[93]
서적
Kindstrand
[94]
서적
Philosophy and ethics
[95]
서적
Philosophy and ethics
[96]
서적
Satires
[97]
서적
Some studies in Horace's odes on love
[98]
서적
Philosophy and ethics
[99]
논문
Unity and Design and Horace's Narrative Odes
[100]
논문
Time and the Erotic
[101]
서적
Philosophy and ethics
[102]
논문
Polyhymnia and Horace's Narrative Odes
[103]
서적
Philosophy and ethics
[104]
서적
Philosophy and ethics
[105]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106]
서적
Horace: Poetics and Politics
[107]
서적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108]
서적
Augustan Poetry and Society
[109]
서적
The Satires of Horace and Persius
[110]
서적
Dulce et decorum est,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111]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112]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113]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Speaking Volumes
[114]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115]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116]
서적
The Knotted Thong
[117]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118]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119]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120]
서적
Epistles, Horace in the Middle Ages
[121]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122]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123]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124]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125]
서적
Ancient receptions of Horace
[126]
서적
Horace's Odes and the Mystery of Do-Re-Mi
[127]
서적
Tristia
[128]
서적
Living with the satirists
[129]
서적
Horace in the Middle Ages
[130]
서적
Horace in the Middle Ages
[131]
서적
Horace in the Middle Ages
[132]
서적
Horace in the Middle Ages
[133]
서적
Horace in the Middle Ages
[134]
서적
Horace in the Middle Ages
[135]
서적
Horace in the Renaissance
[136]
서적
Fray Luis de León: The Original Poems
[137]
서적
Horace in the Renaissance
[138]
서적
Modern manners: a poem
[139]
서적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140]
잡지
Spectator
1712-02-27, 1712-11-28, 1714-11-10
[141]
서적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142]
서적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143]
서적
Milton: Poetical Works
[144]
서적
A Horatian Pun in Paradise Lost
[145]
서적
Latin and English Poems
[146]
서적
The Life of Samuel Johnson
[147]
서적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148]
서적
Poems on Several Occasions
[149]
서적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150]
서적
Literary Criticism: Plato to Dryden
[151]
서적
Roman Satirists in Seventeenth Century England
[152]
서적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153]
서적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154]
서적
Horace: Poetics and Politics
[155]
서적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156]
서적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157]
서적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158]
서적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159]
서적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160]
서적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161]
서적
Selected Prose
[162]
서적
Complete Poems
[163]
서적
Companion to British Poetry, 19th Century
[164]
서적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165]
서적
Kipling's Horace
[166]
서적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167]
서적
Costa i Llobera i el món clàssic (1854-1922)
Lleonard Muntaner Editor
[168]
서적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169]
간행물
Bryn Mawr Classical Review
[170]
서적
The Commonplace Odes
Auckland
[171]
간행물
Horace's Epodes VIII and XII: More than Clever Obscenity?
1975-09
[172]
서적
Horace: Epodes
[173]
서적
Horace
[174]
서적
The Works
Washington
[175]
서적
Oxford Latin Course Part one.
Oxford University Press
[176]
서적
Crucifixion in the Mediterranean World
https://books.google[...]
2018
[177]
간행물
Classical Quarterly
2002
[178]
서적
Horace: life and chronology
[179]
서적
The Augustan Aristocracy
[180]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