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염방사전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염방사전차는 화염방사기를 장착한 전차로, 제1차 세계 대전부터 냉전 시대를 거쳐 현대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가에서 개발 및 운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 추축국과 미국, 영국, 소련 등 연합국 모두 화염방사전차를 실전에 투입했으며, 특히 벙커와 같은 적의 방어 시설을 파괴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냉전 시대에는 미국과 소련이 화염방사전차를 운용했으며, 이후 열압력 무기 등으로 대체되었다. 화염방사전차는 적에게 심리적 공포감을 주어 항복을 유도하는 효과도 있었지만, 대전차 무기의 발달로 인해 취약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염방사전차 - OT-34
    OT-34는 T-34 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1942년부터 1944년까지 1,170대 생산된 소련의 화염방사전차로, OTA-41 화염방사기를 탑재하여 76mm 전차포를 그대로 사용했으며, 이후 OTA-42 화염방사기로 개량되고 T-34-85 기반의 OT-34-85가 등장하면서 T-26 화염방사전차를 대체했다.
  • 화염방사기 - ROKS 화염방사기
    ROKS 화염방사기는 1930년대 소련에서 개발되어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대에 사용된 휴대용 화염방사기로, ROKS-2에서 ROKS-3로 개량되어 최대 사거리 50미터, 10리터 연료 탱크를 갖추고 벙커나 참호 속의 적을 제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북한군도 한국 전쟁에서 사용했다.
  • 화염방사기 - 맹화유궤
    맹화유궤는 고대 중국에서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된 화공 무기로, 석유를 기반으로 한 맹화유를 담는 통이었으며, 송나라 시대에 전투에서 널리 사용되어 전쟁의 양상을 변화시켰으나, 시대 변화에 따라 쇠퇴하였다.
화염방사전차
개요
OT-34 화염방사 전차
OT-34 화염방사 전차
유형화염방사 전차
개발 국가소련, 러시아, 일본
역사
사용된 전쟁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소련 화염방사 전차
OT-26T-26 기반
OT-130T-26 기반
OT-133T-26 기반
OT-34T-34 기반
OT-34-85T-34-85 기반
TO-55T-55 기반
MTU-20 교량전차화염방사 장비 장착
BMO-T화염방사 장비 장착
일본 화염방사 전차
97식 중전차 치하 기반시제 차량
3식 중전차 치누 기반시제 차량
74식 전차 기반시제 차량

2.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중 여러 국가에서 화염방사기를 장착한 차량을 시험했지만, 실제 전투에 사용된 사례는 없었다. 예시로는 증기 전차와 제너럴 잭슨의 페드레일 프로토타입 등이 있다.

3. 전간기 (1918년 ~ 1939년)

1930년대 초, 소련은 T-26 경전차를 기반으로 한 KhT-26 등 다양한 화염방사전차를 개발했다.[7][8] 이탈리아는 CV3 LF를 개발하여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스페인 내전에 투입했다.[8][9] 소련군은 하산 호 전투 및 할힌골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화염방사전차를 사용했다.[8]

1931년, 제헌 혁명에서 상파울루 공공군은 Caterpillar Twenty Two 트랙터로 제작된 화염 탱크를 사용했다. 이 전차는 리벳 강철판으로 제작되었으며, 회전식 화염 방사기 포탑과 차체에 4개의 7mm Hotchkiss 기관총을 장착했다. 화염 방사기의 유효 사거리는 100미터였다.[10]

소련은 다음과 같은 화염방사 전차들을 개발했다.

전차명설명
OT-27T-27 소형전차에 화염방사기를 장착
OT-26T-26 경전차주포 대신 화염방사기를 장착
OT-37T-37 부양전차에 화염방사기를 장착
OT-130T-26 경전차 45mm포 탑재형의 주포 대신 화염방사기를 장착
OT-133T-26 경전차의 경사 장갑 타입 주포 대신 화염방사기를 장착


4. 제2차 세계 대전

화염 전차는 휴대용 화염 방사기보다 훨씬 더 많은 연료를 탑재하고 더 먼 거리에서 발사할 수 있었다. 적의 진지에 비교적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어 강력한 보병 요새를 몰아내는 데 매우 유용했다. 예를 들어, 미군 전차의 주포는 타라와이오지마 전투와 같은 섬에서 일본군 방어병들이 건설한 두꺼운 벙커를[1] 관통하는 데 실패했기 때문에, 화염 방사 전차가 대신 사용되었고 보병은 투입 시 필요한 안전을 제공했다. 이오지마 전투에서 해병대는 기존의 화기가 일본군 방어병에게 상대적으로 효과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터널에 있는 일본군을 몰아내기 위해 화염 방사기와 수류탄을 효과적으로 사용했다. 이오지마 전투에서 화염 방사기를 장착한 8대의 셔먼 M4A3R3 중형 전차 ("론슨" 또는 "지포" 전차)는 일본군의 진지를 제거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2] 셔먼 전차는 무력화시키기 어려웠기 때문에, 방어병들은 종종 개활지에서 공격할 수밖에 없었고, 그곳에서 해병대 소총과 기관총의 모든 화력에 직면해야 했다.[2]

화염 방사기의 최대 사거리는 일반적으로 150m 미만이었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화염 방사기는 개방된 전장에서는 거의 쓸모가 없었다. 그러나 요새화된 병력에게는 강력한 심리적 무기로 입증되었다. 많은 경우, 병사들은 화염 전차가 사격하는 것을 보고 불에 타 죽을 위험에 처하느니 항복하거나 도망쳤다.

화염 방사 전차의 전투 사용 경험은 엇갈렸다. 독일의 Panzer II와 Panzer III의 화염 방사기 변형은 만족스럽지 못한 성능으로 인해 모두 생산이 중단되었고 돌격포 또는 구축전차로 개조되었다. Panzer IV는 다른 많은 역할에 맞게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화염 변형으로 개조되지 않았다.

이러한 혼합된 결과는 부분적으로 보병 대전차 무기의 개발 때문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무렵 대부분의 보병 부대는 대전차 소총과 같이 30m~50m 거리에서 장갑 표적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무기를 가지고 있었다. 전쟁 말기에는 바주카, 판처슈렉, PIAT와 같이 전차의 화염 방사기가 도달할 수 있는 거리보다 더 먼 거리에서 전차를 치명적으로 만들 수 있는 더욱 강력한 대전차 무기가 도입되었다.

영국의 처칠 크로커다일은 1944년 여름 노르망디 헤지 또는 "보카주" 지역을 둘러싼 전투에서 미 육군을 지원했으며, 브레스트 전투에서 부대를 사용했는데, 특히 1944년 9월 16일 몽바레이 요새 포위 공격에서 강하엽병 수비대의 패배를 도왔다. 미 육군은 1944년 9월 같은 달에 M4 셔먼 전차에 탑재된 더 작은 미국 설계의 화염 방사기를 받았으며, 미 육군 제70 전차 대대에 배속되었다. 화염 방사 전차는 1944년 9월 18일에 작전에 투입되었는데, 이 무기가 영국 ''크로커다일''에 비해 사거리가 매우 짧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미군 사이에서 그다지 인기가 없었다.[3]

캐나다네덜란드 군대는 와스프 변형의 유니버설 캐리어를 화염 방사기로 장착하여 가장 활발하게 사용한 두 군대가 되었다. 유럽에서의 전투에서 와스프는 독일군을 방어선에서 떼어내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기계식 화염 방사기는 자체로는 인상적이지 않았지만, 다른 어떤 기존 무기보다 더 두려워하는 독일군에게 공포를 안겨주었다.[4] 캐나다군은 셸데 전투에서 이들을 사용했다.

캐나다 제4 장갑 사단의 일원들이 1944년 10월 말데겜에서 운하를 건너 화염 방사기를 시연하고 있다.


총알과 파편에 취약하여 조작자에게 매우 위험한 휴대용 화염 방사기와 달리, 화염 전차는 전차의 주 차체 내부의 탄약과 엔진 연료에 도달하는 장갑 관통탄이나 폭발물에 맞지 않는 한 불이 붙거나 폭발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처칠 크로커다일과 같이 전차 뒤에 화염 방사기 액체 용기를 견인하는 전차는 표준 전차보다 화재의 위험이 더 크지 않았다. 견인 용기 자체는 쉽게 표적이 될 수 있었지만, 전차와 승무원은 잘 보호되었다. 처칠 크로커다일의 장갑 트레일러와 장갑 커플링은 필요에 따라 전차 내부에서 분리할 수 있었다.

화염 전차 승무원은 표준형 전차보다 반드시 더 취약한 것은 아니었지만, 화염 방사 전차 승무원은 생포될 경우 다르게 취급되었다고 한다. 무기 자체의 비인간성 때문에, 그러한 전차의 포로 승무원은 일반 전차의 승무원보다 훨씬 비인도적으로 취급되었다고 한다. 연합군은 화염 전차병이 생포되면 독일군에 의해 처형된 사례가 있었다고 의심했지만, 단 하나의 구체적인 사례도 문서화된 것으로 알려진 바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 전차 승무원은 임의 처형의 위협으로 인해 하루에 식스펜스의 추가 "위험 수당"을 받았다.[5] 화염 전차는 또한 화염 방사기로 무장한 병력과 함께 사거리에 있는 모든 적이 무기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일반적으로 화염 전차를 향해 사격한다는 사실에서 고통을 받았다.[5]

4. 1. 추축국 (Axis)

독일1호 전차, 2호 전차, 3호 전차, 헤처, 노획한 프랑스제 Char B1 전차 등을 개조하여 다양한 화염방사전차를 개발 및 운용했다.[21]

  • '''''Flammpanzer'' I''': 북아프리카 전쟁 동안 잠시 사용된 1호 전차의 야전 개조형이다. 기관총만 탑재한 1호 전차의 화력 향상을 위해 시험적으로 화염 방사기가 장착되었다.
  • '''2호 전차 Flamm''': 2호 전차 Ausf D/E형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포탑에서 기관포를 제거하고 빈 공간에 연료 탱크를 설치했으며, 차체 전방 양쪽에 회전식 방사탑을 탑재했다.
  • '''Panzerkampfwagen B2 (F)''': 프랑스에서 노획한 르노 B1 bis 전차를 개조한 것으로, 차체에 장비된 75mm 포를 화염 방사기로 대체했다.
  • '''Flammpanzer III Ausf. M/3호 전차 (Fl)''': 3호 전차 M형의 주포 대신 화염 방사기를 장비하여 360도 전 방향으로 방사가 가능하게 했다.
  • '''StuG III (Flamm)''': 3호 돌격포의 주포 대신 화염 방사기를 장비한 것이다. 수리를 위해 후송된 돌격포를 개조하여 제작되었다.
  • '''''Flammpanzer'' 38''': 구축전차 38을 개조하여 주포 대신 화염 방사기를 탑재한 형식이다.


이탈리아는 L3/35 경전차 기반의 L3 Lf, L6/40 경전차 기반의 L6 Lf 화염방사전차를 개발 및 운용했다.

일본95식 경전차 기반 화염방사전차, 장갑 작업차, 시제 화염 발사 전차 카호차(97식 중전차 기반) 등을 개발 및 운용했다.

  • '''95식 경전차''': 화염 방사기를 탑재한 파생형이 존재했다.[23]
  • '''장갑 작업차''' 무형[21]
  • '''화염 작업차 (시제 화염 발사 전차 카호차)''': 97식 중전차의 차체를 기반으로 한 공병 차량이다. "각종 고정 목표 및 이동 목표의 화염에 의한 제압"을 임무로 하며, 제3육군기술연구소가 개발했다. 차체 상부의 좌우 소매부 전면에 화염 방사기를 총 2기 장비한다.

4. 2. 연합국 (Allied)

한국에서 훈련 중인 M4A3R3형 셔먼 전차


이오지마 전투 (1945년 3월) 당시 미국 해병대의 M4A3R5 전차


미국은 M3 경전차M4 중형전차를 기반으로 다양한 화염방사전차를 개발하여 운용했다. 미군 전차의 주포는 타라와이오지마 전투와 같은 섬에서 일본군 방어병들이 건설한 두꺼운 벙커를[1] 관통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화염방사전차가 대신 사용되었고, 보병은 투입 시 필요한 안전을 제공했다. 특히 이오지마 전투에서 화염방사기를 장착한 8대의 셔먼 M4A3R3 중형 전차 ("론슨" 또는 "지포" 전차)는 일본군 진지를 제거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2] 셔먼 전차는 무력화시키기 어려웠기 때문에, 방어병들은 종종 개활지에서 공격할 수밖에 없었고, 그곳에서 해병대 소총과 기관총의 화력을 마주해야 했다.[2]

화염 방사기를 장착한 M3 스튜어트가 부건빌 전투 (1944년 4월) 동안 일본 벙커를 공격하고 있다.

  • '''M3 사탄''': 캐나다산 "론슨"을 주 무장으로 장착하여 개조한 M3 경전차[12]
  • M4 A2: 차체에 E4-5 화염 방사기를 장착
  • 미 육군 CWS-POA-H1 및 H2, 미 해병대 M4 A3R5, ''마크-1''
  • 미 육군 CWS-POA-H5, 미 해병대 M4 A3R8: 동축 H1A-5A 화염 방사기 장착
  • M42-B1E9[13]
  • '''M4 크로커다일''': 영국군이 북서 유럽에서 미 제2기갑사단을 위해 개조한 4대의 M4 전차. 처칠 크로커다일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장갑 연료 트레일러를 사용했지만 연료 라인은 차체를 넘어가게 설치했다.


처칠 크로커다일 화염 방사 전차


영국은 처칠 보병전차를 기반으로 처칠 오케 및 처칠 크로커다일 화염방사전차를 개발하여 운용했다.

  • '''처칠 오케''': 고정식 "론슨" 화염 방사기를 장착한 처칠 Mk II. 1942년 디에프 습격에 3대가 투입되었으나 장비를 사용하기 전에 작전 불능 상태가 되었다.
  • '''처칠 크로커다일''': 압축 질소를 사용하여 압력을 가하는 장갑 연료 트레일러를 포함한 키트를 장착한 처칠 Mk VII. 화염 방사기는 차체 기관총을 대체하여 주 무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800개의 개조 키트가 생산되었다. 제79 기갑 사단의 지휘하에 다른 특수 차량과 마찬가지로 194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북서 유럽과 이탈리아 전역에 투입되었다. 재급유 전에 약 109.73m 밖으로 80회의 1초간 발사를 할 수 있었다.


캐나다는 램 순항전차를 기반으로 램 배저, 셔먼 전차를 기반으로 셔먼 배저를 개발하여 운용했다.

  • '''셔먼 배저''': 캐나다가 램 배저를 대체하기 위해 만든 셔먼 배저는 포탑이 없는 M4A2 HVSS 셔먼으로, 차체 기관총 대신 Wasp IIC 화염 방사기를 장착했다. 1945년부터 1949년 사이에 개발되었다. 250psi에서 150gal의 화염을 약 114.30m까지 발사할 수 있었으며, 상하 각도는 +30도에서 -10도, 좌우 회전은 왼쪽 30도, 오른쪽 23도였다. 이는 미국의 T68에 영감을 주었다.[14]
  • '''셔먼 애더''': 셔먼 전차에 장착하기 위한 개조 키트로, 인도에서 셔먼 III 및 셔먼 V에 사용되었다.
  • '''램 배저''': 캐나다 램 순항전차에 화염방사기를 장착한 형태


오스트레일리아는 마틸다 II 보병전차를 기반으로 마틸다 프로그, 마틸다 머레이를 개발하여 운용했다.

  • '''마틸다 프로그''': 1944년 말 호주군이 마틸다 II 전차 25대를 화염 방사 전차로 개조한 것
  • '''마틸다 머레이''': 프로그를 개선한 호주군 모델로 1945년에 생산됨


소련은 T-26 경전차, T-34 중형전차, KV-1 중전차를 기반으로 다양한 화염방사전차를 개발하여 운용했다.

  • '''OT-34 (OT-34-76)''': T-34-76의 다양한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차체 기관총을 대체하는 ATO-41(나중에 ATO-42) 화염방사기를 내부에 장착했다.
  • '''OT-34-85''': T-34-85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차체 기관총을 대체하는 ATO-42 화염방사기를 내부에 장착했다.
  • '''KV-8''': KV-1 차체에 포탑에 ATO-41 화염 방사기를 장착한 형태이며, 기관총이 함께 탑재되었다. 새로운 무기를 장착하기 위해 76.2 mm 주포는 더 작은 45 mm M1932 주포로 교체되었지만, 표준 76 mm 주포처럼 보이도록 위장되었다.
  • '''KhT-26 (OT-26)''': 1933년에 개발되었다. 2개의 포탑을 가진 T-26 1931년형 전차를 기반으로 했지만, 화염 방사기를 장착한 단일 포탑을 사용했으며, 두 번째 포탑은 제거되었다.
  • '''KhT-130 (OT-130)''': 1933년형의 화염 방사 전차 변형으로, 더 큰 45 mm 주포 포탑을 사용했다(주포는 화염 방사기로 교체되었다).
  • '''KhT-133 (OT-133)''': 1939년형의 화염 방사 전차 변형(주포는 화염 방사기로 교체되었다).
  • '''KhT-134 (OT-134)''': 45 mm 주포를 장착한 1939년형 화염 방사 전차 변형.

5. 냉전 시대

M4-A3E8영어 M4 셔먼 105mm 곡사포와 동축 H1A-H5A 화염방사기를 장착한 화염방사전차이다. M67 "지포(Zippo)"는 미국 M48 패튼 전차의 변형이다. TO-55는 널리 사용된 소련 T-55 전차의 변형이며, TO-62는 소련 T-62 주력 전차의 변형이다. M132 장갑 화염방사기는 1964년에 처음 배치되었으며, 실제로는 전차가 아닌 M113 장갑차를 기반으로 한 장갑 화염방사기이다. 이 차량은 베트남 전쟁 동안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16] PM-1은 ST-I를 기반으로 한 체코슬로바키아 시제품이다.[17]

베트남 전쟁에서 M113 장갑차를 기반으로 한 M132 자주 화염방사기와 함께 M48 패튼을 기반으로 한 M67 화염방사전차가 사용되었다.

6. 냉전 이후

1978년 이후, 미국은 화염방사기와 마지막 화염 전차였던 M132 장갑 화염 방사기를 퇴역시키고,[18] 열압력 무기와 같은 다른 종류의 무기들로 대체했다.[19][20]

6. 1. 21세기

러시아T-72 전차 차체에 다연장 열압력 로켓 발사기를 장착한 TOS-1을 개발, 운용하고 있다. TOS-1은 엄밀히 말하면 로켓포 전차(또는 자주 로켓 발사기)이지만, 열압력탄 이외의 장비를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중(重)화염 방사 시스템으로 분류된다.[20]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사용되었다.[19][20] 또한, 러시아는 BMP-2, T-72 기반의 화염방사기 부대용 장갑차인 BMO-1, BMO-T를 개발/운용하고 있다.[22] BMO-1은 BMP-2 차체를 기반으로 화염방사기 부대 전용으로 개조한 장갑 수송차이며, BMO-T는 T-72 차체를 화염방사기 부대용으로 개조한 중(重)장갑 수송차이다. 이들 차량 자체에는 화염방사 기능이 없지만, 화염방사기 부대에 보급과 지원을 담당한다.

7. 전투 효율성

화염방사전차는 휴대용 화염방사기보다 더 많은 연료를 탑재하고 더 멀리 발사할 수 있어 강력한 보병 요새를 공격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예를 들어, 미군은 타라와이오지마와 같은 태평양 전선에서 일본군의 벙커를 공격하는 데 화염방사전차를 효과적으로 활용했다.[1][2]

화염방사전차는 적군에게 심리적 공포감을 조성하여 항복을 유도하는 효과도 있었다. 많은 병사들은 화염방사전차를 보면 불에 타 죽는 것보다 항복하는 것을 선택했다.[4]

하지만, 화염방사전차의 전투 효율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바주카, 판처슈렉, PIAT와 같은 강력한 대전차 무기가 등장하면서 화염방사전차는 더 쉽게 파괴될 수 있게 되었다.[3]

또한, 화염방사전차 승무원은 생포될 경우 일반 전차 승무원보다 더 가혹하게 취급될 위험이 있었다. 연합군은 화염방사전차 승무원이 독일군에게 처형된 사례가 있다고 의심했다.[5] 영국 전차 승무원은 이러한 위협 때문에 추가 "위험 수당"을 받기도 했다.[5]

참조

[1] 문서 Zaloga (M3/M5 Stuart)
[2] 서적 The First Battalion of the 28th Marines on Iwo Jima: A Day-by-Day History from Personal Accounts and Official Reports, with Complete Muster Rolls McFarland & Company
[3] 문서 Zaloga (Armored Thunderbolt)
[4] 문서 Zaloga (Armored Thunderbolt)
[5] 서적 The Universal Tank: British Armour in the Second World War Pt.2 https://books.google[...] Stationery Office Books 1993
[6] 웹사이트 General Jackson's Pedrail https://tanks-encycl[...] 2023-03-30
[7] 웹사이트 ХТ-26 http://www.aviarmor.[...] 2023-03-30
[8] 문서 Flamethrower tanks of World War II M .: Armor collection, special issue No. 8
[9] 문서 Flamethrower tanks of World War II M .: Armor collection, special issue No. 8
[10] 웹사이트 Blindados em 1932 http://netleland.net[...] 2023-07-14
[11] 서적 Blindados Argentinos, de Uruguay y Paraguay Ayer y Hoy
[12] 문서 Bishop
[13] 웹사이트 https://www.flickr.c[...]
[14] 문서 Sherman: A History of the American Medium Tank Presidio Press
[15] 문서 Bishop
[16] 간행물 U.S Army Flamethrower Vehicles (Part Three of a Three-Part Series) http://www.wood.army[...] Wood.army.mil 2008
[17] 웹사이트 PM-1 Flame Tank https://tanks-encycl[...] 2023-03-30
[18] 웹사이트 A Vietnam War veteran explains the tactical case for the flamethrower https://www.business[...] 2023-02-12
[19] 뉴스 U.S. Denies Incendiary Weapon Use in Afghanistan https://www.wired.co[...] 2009-05-15
[20] 웹사이트 Russian troops wipe out four command posts in Ukraine operation — top brass https://tass.com/pol[...] 2022-11-21
[21] 간행물 火炎放射器-豪華を放つ地獄の近接兵器 学習研究社 2006-12
[22] 웹사이트 BMO-1 http://jedsite.info/[...]
[23] 서적 帝国陸軍 戦車と砲戦車 学習研究社
[24] 웹인용 Russian troops wipe out four command posts in Ukraine operation — top brass https://tass.com/pol[...] 2022-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