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학조미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학 조미료는 음식의 감칠맛을 더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 1907년 일본의 화학자 이케다 기쿠나에에 의해 우마미의 개념이 제안된 후 글루탐산 나트륨을 정제하여 1909년 '아지노모토'라는 상품명으로 세계 최초로 판매되었다. 이후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나, 1968년 중국집 증후군 논란으로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현재는 국제기구 및 각국 정부에서 안전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유럽 연합에서는 글루탐산 나트륨 등을 식품 첨가물로 분류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대상(주)의 미원 출시를 시작으로 다양한 감칠맛 조미료가 생산, 판매되고 있으며, '화학 조미료' 대신 '감칠맛 조미료'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미료 - 향신료
    향신료는 식물의 다양한 부분에서 얻어지는 천연 재료로, 음식의 풍미를 더하고 보존 기간을 늘리는 데 사용되었으며, 고대부터 귀하게 여겨져 무역과 식민지 경쟁을 촉발했고, 현대에는 전 세계 음식 문화에 기여하고 있다.
  • 조미료 - 소금
    소금은 염화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며, 조미료, 식품 보존, 산업, 종교 의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를 제공하지만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암염 채굴, 천일염 생산, 해수 증발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 일본의 조미료 - 고추
    고추는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가지과 고추속 식물과 그 열매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한국에는 임진왜란 시기에 일본을 통해 전래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음식의 조미료, 특히 한국 요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일본의 조미료 - 소금
    소금은 염화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며, 조미료, 식품 보존, 산업, 종교 의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를 제공하지만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암염 채굴, 천일염 생산, 해수 증발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화학조미료
화학 조미료
아지노모토 우마미 조미료
아지노모토 우마미 조미료
개요
유형조미료
식품 첨가물
주성분글루탐산 나트륨
이노신산 나트륨
구아닐산 나트륨
호박산 나트륨
용도맛 강화
명칭
명칭화학 조미료
맛내기문화어
영어Flavour enhancer (플레이버 인핸서)
일본어うま味調味料 (우마미 쵸미료)
성분 및 제조
주 성분글루탐산 나트륨
이노신산 나트륨
구아닐산 나트륨
호박산 나트륨
제조 방법미생물 발효
안전성 논란
주요 내용중국 음식점 증후군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 가능성 (두통, 메스꺼움 등)
알레르기 반응 가능성
과학적 근거대부분의 연구에서 안전하다고 결론 내림.
규제
식품 첨가물 규제각 국가별 식품 안전 규정에 따름
오해와 진실
오해'화학'이라는 용어에서 오는 부정적 인식
건강에 해롭다는 잘못된 믿음
진실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성분 (글루탐산 등)을 발효하여 제조
적정량 섭취 시 안전
관련 정보
관련 용어MSG (글루탐산 나트륨)
감칠맛 (우마미)
관련 단체아지노모토
기타
참고 자료「화학조미료」의 오해를 풀고 싶다 아지노모토 사장 세계를 순회 - 닛케이

2. 역사

1907년 이케다 기쿠나에가 인간의 미각에는 '신맛, 단맛, 짠맛, 쓴맛'의 4가지 외에 '우마미(旨味)'가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다시마에서 '우마미'의 주성분인 '글루탐산'을 발견했다. 1909년 글루탐산을 나트륨염으로 정제한 상품 '아지노모토'가 발매되어, 세계 최초로 우마미 조미료가 판매되었다.

1920년대 아지노모토는 미국에 수출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미국 육군 레이션(통조림)의 맛 개선에 사용되면서 가공 식품 및 외식 산업에 널리 퍼졌다.

1968년 미국에서 중국집에서 식사한 사람들 중 일부가 두통, 피로감 등을 겪은 중국집 증후군(Chinese Restaurant Syndrome, '''CRS'''영어)이 보고되었고, 원인이 글루탐산 나트륨으로 여겨져 우마미 조미료 안전성 논쟁이 시작되었다[2].

그러나 이후 이중 맹검법 실험을 통해 글루탐산 나트륨이 중국집 증후군의 원인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3][4][5]. 1987년 FAO/WHO 합동 식품 첨가물 전문가 회의 (JECFA)는 글루탐산 나트륨을 '안전'하다고 평가했고, 유럽 의약품청, 미국 식품의약국, 식품 안전 위원회 등도 같은 결론을 내렸다. 앤드루 지머른(Andrew Zimmern) 등 유명 요리사들도 우마미 조미료 사용을 공개적으로 밝히고 있다.

일본에서는 중국집 증후군 소동과 '화학 조미료'라는 명칭으로 인한 '화학' 혐오 풍조, 마우스 대상 실험[6] 등으로 위험론이 횡행했다. 요리 연구가 유튜버 류지가 우마미 조미료 사용을 권장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7].

2. 1. 감칠맛의 발견과 아지노모토의 탄생

1907년 이케다 기쿠나에는 인간의 미각에는 '신맛, 단맛, 짠맛, 쓴맛'의 4가지 외에 '우마미(旨味)'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 후 다시마에서 유래하는 '우마미'의 주성분이 '글루탐산'임을 발견했다. 1909년 이 글루탐산을 나트륨염으로 정제한 상품인 '아지노모토'가 발매되었다. 이것이 세계 최초로 판매된 우마미 조미료이다.[2]

2. 2. 감칠맛 조미료의 세계적 확산

1920년대에 아지노모토는 미국으로 수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육군은 군인들에게 지급하는 레이션(통조림)의 맛에 대한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개선책을 찾던 중, 아지노모토를 사용하면 맛이 좋아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계기로 아지노모토는 시판되는 가공 식품이나 외식 산업에도 사용되면서 미국 사회에 빠르게 퍼져나갔다.[2]

2. 3. 중국집 증후군 논란과 안전성 논쟁

1968년 미국에서 중국 음식점에서 식사한 사람들 중 일부가 두통, 피로감 등 다양한 증상을 겪었다고 보고되면서, 이 증상은 '중국집 증후군(Chinese Restaurant Syndrome, '''CRS'''영어)'으로 불리게 되었다. 중국집 증후군의 원인으로 글루탐산 나트륨이 지목되면서, 이후 글루탐산나트륨, 즉 우마미 조미료의 안전성을 둘러싼 논쟁이 시작되었다[2].

그러나 이후 수많은 이중 맹검법 실험을 통해 중국집 증후군 증상이 글루탐산 나트륨 섭취로 인해 발생한다는 주장은 부정되었다[3][4][5]. 1987년 FAO/WHO 합동 식품 첨가물 전문가 회의 (JECFA)는 글루탐산 나트륨이 '안전'하다고 인정했으며, 유럽 의약품청, 미국 식품의약국, 식품 안전 위원회 등도 마찬가지로 '안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앤드루 지머른(Andrew Zimmern)과 같은 미국의 유명 요리사들도 우마미 조미료를 사용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히고 있다.

2. 4. 국제기구 및 각국 정부의 안전성 인정

1987년 FAO/WHO 합동 식품 첨가물 전문가 회의 (JECFA)는 글루탐산 나트륨의 일일 섭취 허용량을 별도로 정하지 않고 '안전'하다고 평가했다.[3] 유럽 의약품청, 미국 식품의약국, 식품 안전 위원회 등도 글루탐산 나트륨이 '안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4][5]

2. 5. 한국에서의 감칠맛 조미료

주어진 원문 소스에는 한국에서의 감칠맛 조미료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어진 요약과 원문 소스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는 내용을 출력합니다.

3. 감칠맛 성분

1907년 일본의 화학자 이케다 기쿠나에는 다시마에서 감칠맛(우마미)의 주성분인 글루탐산을 발견했다.[2]

글루탐산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다시마, 치즈, 간장, 된장, 채소류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노신산은 육류와 어패류에, 구아닐산은 버섯류에 많이 들어있는 핵산 성분이다. 특히 구아닐산은 표고버섯에 많이 들어 있다.[1]

3. 1. 글루탐산

글루탐산은 다시마, 치즈, 간장, 된장, 채소류 등에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의 일종이다.

3. 2. 이노신산

이노신산은 육류, 어패류 등에 많이 함유된 핵산 성분이다.

3. 3. 구아닐산

버섯류에 많이 함유된 핵산 성분이다.[1] 특히 표고버섯에 많이 들어 있다.

4. 감칠맛 조미료의 종류 및 식품 첨가물

1907년, 일본의 화학자 이케다 기쿠나에는 인간의 미각에는 '신맛, 단맛, 짠맛, 쓴맛'의 4가지 외에 '우마미(旨味)'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시마에서 '우마미'의 주성분이 '글루탐산'임을 발견했다. 이를 나트륨염으로 정제한 것이 1909년에 '아지노모토'라는 상품명으로 발매되었는데, 이것이 세계 최초로 판매된 우마미 조미료이다.

1920년대에는 미국에도 수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 육군은 군인들에게 배급하는 레이션(통조림)의 맛에 대한 불만을 개선하기 위해 우마미 조미료를 사용했고, 그 결과 맛이 좋아져 가공 식품이나 외식에서도 널리 사용되면서 미국 사회에 빠르게 보급되었다.

1968년, 미국에서 우마미 조미료를 대량 섭취한 것이 원인으로 중국집에서 식사한 사람들 중 일부가 두통, 피로감 등 광범위한 증상을 겪었다는 이유로 중국집 증후군(Chinese Restaurant Syndrome, '''CRS'''영어)이 제기되었다. 이 때문에 우마미 조미료의 안전성을 둘러싼 논쟁이 시작되었다.[2]

그러나 이후 여러 이중 맹검법 연구를 통해 중국집 증후군 증상이 글루탐산 나트륨 섭취로 인해 발생한다는 것은 부정되었다.[3][4][5] 1987년에는 FAO/WHO 합동 식품 첨가물 전문가 회의 (JECFA)가 글루탐산 나트륨을 '안전'하다고 인정했으며, 유럽 의약품청, 미국 식품의약국, 식품 안전 위원회 등도 '안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앤드루 지머른(Andrew Zimmern) 등 미국의 유명 요리사들도 우마미 조미료 사용을 공개적으로 밝히고 있다.

하지만 발상지인 일본에서는 '화학 조미료'라는 명칭과 공해 문제 시대의 '화학' 혐오 풍조로 인해 비난을 받기도 했다. 에 글루탐산 나트륨을 대량 주사하는 실험을 바탕으로 한 위험론이 퍼지기도 했지만,[6] 최근에는 요리 연구가 유튜버 류지가 우마미 조미료 사용을 권장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7]

4. 1. 유럽 연합(EU)의 식품 첨가물 규정

유럽 연합에서는 감칠맛 조미료를 식품 첨가물(E 번호)로 정의하고 있다.[8]

E 번호이름목적상황
E620글루탐산조미료EU 인가
E621글루탐산 나트륨 (MSG)조미료EU 인가
E622글루탐산 칼륨조미료EU 인가
E623글루탐산 칼슘조미료EU 인가
E624글루탐산 암모늄조미료EU 인가
E625글루탐산 마그네슘조미료EU 인가
E626구아닐산조미료EU 인가
E627구아닐산 나트륨조미료EU 인가
E628구아닐산 칼륨조미료EU 인가
E629구아닐산 칼슘조미료EU 인가
E630이노신산조미료EU 인가
E631이노신산 나트륨조미료EU 인가
E632이노신산 칼륨조미료EU 인가
E633이노신산 칼슘조미료EU 인가
E6345'-리보뉴클레오티드 칼슘조미료EU 인가
E6355'-리보뉴클레오티드 이나트륨조미료EU 인가



그 외에 E640으로 아미노산인 글리신과 그 나트륨 염을 인가하고 있지만, 글리신은 감칠맛보다는 단맛을 낸다.

4. 2. 한국의 식품 첨가물 규정

한국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식품 첨가물 공전을 통해 감칠맛 조미료를 관리하고 있다. 글루탐산 나트륨(MSG), 5'-리보뉴클레오타이드이나트륨 등이 식품 첨가물로 허용되어 있다.[8]

5. 제조법

당밀(원료 식물에서 짜낸 액체에서 설탕을 추출한 후 남은 액체 잔류물)에 미생물(균)을 더하여 글루탐산을 생성시키고, 이를 수산화 나트륨과 반응시켜 나트륨 염으로 만드는 방법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주류를 이룬다.[9] 옥수수 등의 전분을 효모에 주어 원료인 당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6. 비판 및 논란

1968년, 미국에서 우마미 조미료를 대량으로 섭취한 것이 원인으로, 중국집에서 식사한 사람들 중 일부가 두통, 피로감 등 광범위한 증상을 겪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중국집 증후군(CRS)이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이 증후군의 원인이 글루탐산 나트륨으로 여겨지면서 우마미 조미료의 안전성을 둘러싼 논쟁이 시작되었다[2].

그러나 이후 중국집 증후군 증상이 글루탐산 나트륨 섭취로 인해 발생한다는 주장은 수많은 이중 맹검법 연구를 통해 부정되었다[3][4][5]. 1987년 FAO/WHO 합동 식품 첨가물 전문가 회의 (JECFA)는 글루탐산 나트륨을 '안전'하다고 인정했으며, 유럽 의약품청, 미국 식품의약국, 식품 안전 위원회 등도 '안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일본에서는 '화학 조미료'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면서 공해 문제와 관련된 '화학' 혐오 풍조가 비난을 부추겼고, 에 글루탐산 나트륨을 대량으로 주사하는 실험을 바탕으로 한 위험론이 퍼지기도 했다[6].

6. 1. 건강 문제 관련 논란

일부 연구에서 글루탐산나트륨의 과다 섭취가 비만, 고트리글리세리드혈증, 고인슐린혈증, 인슐린 저항성, 지방간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1][12]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결과는 표본 크기, 실험 설계, 인과 관계 입증 등에서 한계가 있으며, 반대되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 아지노모토 연구소에서는 '''"장기간의 글루탐산나트륨 섭취는 병적인 비만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13]

1968년 글루탐산나트륨 섭취로 두통, 안면 홍조, 발한, 피로감, 얼굴이나 입술의 압박감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고 하는 "중국 음식점 증후군"이 권위 있는 의학 논문 잡지인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되었다. 그러나 이 증후군은 수많은 이중 맹검법에 의해 시험된 논문으로 부정되었다.[14][15][16]

2002년 히로사키 대학 연구 그룹은 글루탐산나트륨의 과다 섭취와 녹내장의 인과 관계 가능성에 대해 보고했다.[17][18]

6. 2. 중국집 증후군 논란 (재조명)

1968년, 글루탐산나트륨 섭취로 두통, 안면 홍조, 발한, 피로감, 얼굴이나 입술의 압박감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고 하는 "중국 음식점 증후군"이 권위 있는 의학 논문 잡지인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되었다.[14][15][16] 그러나 이 증후군은 수많은 이중 맹검법에 의해 시험된 논문으로 부정되었다.

6. 3. 기타 논란

2002년 히로사키 대학 연구팀은 글루탐산나트륨 과다 섭취와 녹내장의 인과 관계 가능성에 대해 보고했다.[17][18] 그러나 이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7. '화학 조미료'와 '감칠맛 조미료'

1907년 일본의 화학자 이케다 기쿠나에는 인간의 미각에 기존 4가지 맛(단맛, 짠맛, 신맛, 쓴맛) 외에 '우마미(旨味)'가 존재함을 주장하고, 다시마에서 이 맛의 주성분인 글루탐산을 발견했다. 1909년 글루탐산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미료 '아지노모토'가 발매되면서, 이것이 세계 최초의 감칠맛 조미료가 되었다.

1920년대 미국에 수출된 아지노모토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군 레이션(통조림)의 맛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면서, 가공 식품 및 외식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었다. 그러나 1968년 미국에서 아지노모토를 다량 섭취한 사람들이 두통, 피로감 등을 호소하는 이른바 중국집 증후군(Chinese Restaurant Syndrome, '''CRS'''영어)이 보고되면서 안전성 논란이 시작되었다[2].

이후 이중 맹검법을 통한 연구에서 중국집 증후군과 글루탐산나트륨 섭취 간의 인과 관계는 부정되었고[3][4][5], 1987년 FAO/WHO 합동 식품 첨가물 전문가 회의 (JECFA)를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 및 각국 정부기관에서 글루탐산나트륨의 안전성을 인정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중국집 증후군 소동과 더불어, '화학 조미료'라는 명칭으로 인한 부정적 인식, 그리고 글루탐산나트륨을 쥐에게 대량 주사한 실험을 바탕으로 한 위험론이 겹쳐져[6] 오랫동안 기피 대상이 되었다.

7. 1. '화학 조미료' 용어의 역사와 문제점

'화학 조미료'라는 용어는 쇼와 시대 초기부터 사용된 사례가 있으나[19][20], 1950년대일본방송협회(NHK)가 특정 상품명(아지노모토)을 방송에서 언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면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21]. 당시 업계 단체였던 일본 감칠맛 조미료 협회도 1967년부터 1985년까지 스스로를 "일본 화학 조미료 공업 협회"라고 칭했다[22][23].

1960년대1970년대에는 일본 사회에 공해 문제 등으로 인해 '화학'이라는 단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팽배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화학 조미료'라는 용어는 인체에 해롭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6].

1980년대에 들어, "화학 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음"을 내세우는 식당들이 늘어나면서, 일본 감칠맛 조미료 협회는 "'화학'이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 이미지를 바꾸기 위해" '''감칠맛 조미료'''라는 용어를 새로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24]. 이후 1990년대부터 일본 표준 상품 분류 등 여러 법령에서 '감칠맛 조미료'라는 표기를 채택하면서 현재는 공식적으로도 '감칠맛 조미료'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고 있다[21].

7. 2. '감칠맛 조미료' 용어의 등장과 확산

1980년대, 미식 붐 속에서 "화학 조미료 불사용"을 내세우는 가게가 늘어나면서, 일본 감칠맛 조미료 협회는 "화학"이라는 단어에서 연상되는 "화학 합성 식품" 또는 "비자연 유래 식품"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바꾸기 위해 "'''감칠맛 조미료'''"라는 용어를 만들고 그 사용을 제창했다.[24] 협회는 미각의 하나로서 감칠맛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았고, 현재는 천연 원료를 발효시켜 제조하기 때문에 "화학"이라는 단어가 제품의 특성을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으며, "화학 조미료"보다 "감칠맛 조미료"가 "요리에 감칠맛을 부여한다"는 제품의 특성을 더 잘 나타낸다고 설명했다.[24]

이후 1990년(헤이세이 2년) 총무청의 일본 표준 상품 분류[25], 1993년(헤이세이 5년) 통상산업성의 계량법[26], 2002년(헤이세이 14년) 총무성의 일본 표준 산업 분류[27]에서 "감칠맛 조미료" 표기를 채택했다. 현재는 각종 법령에서도 이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21] 교도통신사의 『기자 핸드북』, NHK의 『신 용어 용어 사전』 등도 "감칠맛 조미료" 표기를 채택했다. 사전에서는 『다이지센』 증보・신장판이 "화학 조미료", 『다이지린』 제2판과 『고지엔』 제5판이 "감칠맛 조미료"를 표제어로 하고 있다. 일본 가공 식품의 원재료명에는 조미료로서 "조미료 (아미노산 등)"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고, 그 외의 목적(영양 목적 등)에서는 "글루탐산나트륨" 또는 "글루탐산Na"로 표기된다.

한국에서도 '화학 조미료' 대신 '감칠맛 조미료'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8. '화학 조미료 무첨가' 표기의 문제점

「감칠맛 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으면 「화학 조미료 무첨가」, 「무화조」 표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단백질 가수 분해물 등의 인공적인 조미료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은 원료를 염산으로 가수분해 반응을 일으킨 것이 많다.[28]

9. 주요 상품

제조사상품명
아지노모토아지노모토, 하이미, 혼다시
시마야시마야 다시노 모토
다케다제약→다케다 식품 공업→다케다 기린 식품→기린 푸드 테크→기린 교와 푸즈→MC 푸드 스페셜리티즈→미쓰비시 상사 라이프 사이언스이노이치방, 믹, 키퍼, 글루에이스
아사히카세이→일본담배산업(2000년 발매 종료)아사히 아지
아사히카세이→일본담배산업(제이티 푸즈)→후지 쇼쿠힌 공업미타스
야마사 간장닛토 아지노 세이, 후레브
신진미라클 미라쿠
대상아지모토, 미원
미왕미왕미정
미단미단
CJ제일제당다시다, 미풍


참조

[1] 웹사이트 「化学調味料」の誤解解きたい 味の素社長世界を巡る https://reskill.nikk[...] 2019-04-27
[2] 서적 料理の科学 1 素朴な疑問に答えます 楽工社 2012-12-20
[3] 서적 中華料理症候群 同文書院
[4] 논문 The Chinese Restaurant Syndrome: An anecdote revisited https://doi.org/10.1[...]
[5] 논문 Review of alleged reaction to monosodium glutamate and outcome of a multicenter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https://pubmed.ncbi.[...]
[6] 웹사이트 ちまたにあふれる「うま味調味料」のウソを見破る[食の安全と健康:第6回 文・松永和紀] https://oishi-kenko.[...]
[7] 웹사이트 「そんなの無視しなよ」と言われても。料理家・リュウジがTwitterでアンチに反論し続ける理由 https://www.buzzfeed[...]
[8] 웹사이트 https://www.food.gov.uk/policy-advice/additivesbranch/enumberlist#Others http://www.food.gov.[...]
[9] 서적 食品の裏側2 実態編: やっぱり大好き食品添加物 東洋経済新報社 2014-03
[10] 웹사이트 宗教徒食 http://www5.hokkaido[...] 北海道新聞 2014-01-01
[11] 웹사이트 https://www.nytimes.[...]
[12] 웹사이트 http://www.ncbi.nlm.[...]
[13] 웹사이트 http://www.ncbi.nlm.[...]
[14] 서적 中華料理症候群 同文書院
[15] 기타
[16] 논문 Review of alleged reaction to monosodium glutamate and outcome of a multicenter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17] 논문
[18] 뉴스 Too much MSG could cause blindness - 26 October 2002 - New Scientist http://www.newscient[...] New Scientist 2002-10-26
[19] 웹사이트 官報 1937年03月16日 https://dl.ndl.go.jp[...] 大蔵省印刷局 1937-03-16
[20] 웹사이트 伊勢年鑑 昭和23年版 https://dl.ndl.go.jp[...] 伊勢新聞社
[21] 웹사이트 商品についてのQ&A https://www.ajinomot[...] 味の素株式会社
[22] 웹사이트 味の素(株)『味の素株式会社社史. 2』(1972.09) https://shashi.shibu[...] 渋沢社史データベース
[23] 웹사이트 日本うま味調味料協会(トップページ) http://www.umamikyo.[...] 日本うま味調味料協会
[24] 웹사이트 化学調味料無添加表示:協会はこう考えます http://www.umamikyo.[...] 日本うま味調味料協会
[25] 웹사이트 工業統計調査の分類について http://grad.e.u-toky[...]
[26] 웹사이트 特定商品の販売に係る計量に関する政令 http://www.cfqlcs.fa[...]
[27] 웹사이트 日本標準産業分類 http://www.stat.go.j[...]
[28] 웹사이트 食品中のクロロプロパノール類に関する情報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