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명조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명조훈은 명나라 태조 홍무제가 자손에게 남긴 훈계서이다. 이 문서에는 황제가 되는 과정, 자손에 대한 훈계, 신체 훼손 형벌 금지, 명나라의 승상 설치 금지, 황족 처벌 규정, 주변 국가에 대한 불정(不征) 방침 등이 담겨 있다. 또한 황실 가족 간의 관계와 의례, 황족의 봉록, 친왕의 병력 규모 등 다양한 내용과 함께, 정벌하지 말아야 할 15개 국가 목록을 제시하여 후손들이 함부로 전쟁을 일으키는 것을 경계했다. 하지만, 환관의 정치 간섭을 금지하는 조항이 없어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문학 - 영락대전
    영락대전은 명나라 영락제의 명으로 편찬된 방대한 백과사전으로, 경사자집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서적을 운자 순서에 따라 배열한 것이 특징이며, 대부분 소실되어 현재는 약 400권 정도만 남아 세계 각지에 분산되어 있다.
  • 명나라의 문학 - 당시선
    《당시선》은 명나라 이반룡이 편찬한 당나라 시 선집으로, 성당 시기의 시를 중심으로 두보, 이백, 왕유 등의 작품을 수록하고 동아시아 시문학에 영향을 미쳤으나, 위작 논란이 제기되었다.
황명조훈
황명조훈
한자 표기간체:
번체:
로마자 표기병음: Huáng Míng Zǔ Xùn
웨이드-자일스: Huang-Ming-Tsu-Hsün
IPA:
다른 이름조훈록 ()
상세 정보
내용(경계)
(지켜야 할 것)
(엄격한 제사)
(신중한 출입)
(신중한 국정)
분야(예의)
(법률)
(내령)
(내관)
(직제)
(병위)
(영선)
(공용)

2. 내용

《황명조훈》은 명나라를 건국한 태조 주원장이 자손들에게 남긴 훈계로, 황제가 지켜야 할 규범과 통치 원칙을 담고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잠계(箴戒): 신체 훼손 형벌 금지, 승상 설치 금지, 황족 범죄 처벌 규정, 주변국(조선, 일본 등) 불정(不征) 방침, 황제 신분 경계 등을 다룬다.
  • 지속(持守): 정궁(正宮)과 후궁(後宮)의 언행 제한.
  • 엄제사(厳祭祀): 천지, 종묘, 사직, 역대 제왕, 공자에 대한 제사 시기와 방법.
  • 근출입(謹出入): 황제 외출 시 위험과 대책.
  • 신국정(慎国政): 황제가 특정 인물만 편애하지 않고, 백관(百官)의 말을 경청해야 함을 강조하며, 왕망한나라 찬탈과 같은 사태를 경계한다.[1]
  • 예의(禮儀): 친왕과의 관계 및 의례, 황제의 적통과 여러 왕가의 20개 글자에 대한 내용.
  • 법률(法律): 황족의 과실 처벌 규정.
  • 내령(内令): 후비 지출 장부 기록, 후비의 정치 간섭 금지, 궁정 사용 인원 제한.
  • 내관(内官): 환관의 관직과 직제표 (알려진 바 없음).
  • 직제(職制): 봉작 시 하사 물품, 황족 남자 봉호 명칭, 종인부 설치, 친왕가 관료 및 파견, 왕부 관직 및 등급, 지휘사사 관직 규정.
  • 병위(兵衛): 친왕의 병력 지휘 규모와 훈련 시기 규정.
  • 영선(営繕): 제왕 궁전 건설 격식, 이궁(離宮) 체류 금지.[1]
  • 공용(供用): 친왕 봉록 지급 규정 (표 참고).


친왕 봉록
항목내용
정은(正銀)10000냥
미(米)10000섬
초(鈔)20000관
견(絹)40필
나(羅)5필
사(紗)100필
능(綾)10필
포(布)1000필
면(綿)2000근
사(絲)300근
마(麻)300근
유(油)240근
밀(蜜)120근
염(鹽)200인
차(茶)2000근
장(場)매년 세은(歲銀) 10000냥




2. 1. 서문

태조가 빈곤한 환경에서 몸을 일으켜 황제가 되기까지의 경위와, 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손에 대한 훈계로 이루어져 있다.

2. 2. 잠계 (箴戒)

箴戒중국어는 후에 祖訓首章중국어으로 개명되었다.

  • 먹물 문신형, 육형(肉刑) 등 신체를 훼손하는 형벌을 금지하였다.
  • 명나라에서의 승상 설치를 금지하였다.
  • 황족이 죄를 범했을 때의 처벌 규정을 두었다.
  • 명을 둘러싼 사방의 국가(조선, 일본, 류큐, 대만, 안남)에 대한 불정(不征) 방침을 세웠다.
  • 황제는 몸가짐을 신중히 하고 국정을 수행하며, 자신의 신분을 엿보는 자에 대한 경계를 게을리하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 친왕(親王)은 조법(祖法)을 지키고, 황제와의 부자(父子)의 의리를 잃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2. 3. 지속 (持守)

정궁(正宮)과 후궁(後宮)의 각 후(后)에 대해서는, 특정 언행만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

2. 4. 엄제사 (厳祭祀)

천지, 종묘, 사직, 역대 제왕, 공자에 대한 제사 시기와 방법에 대해 서술되어 있다.

2. 5. 근출입 (謹出入)

황제가 외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그에 대한 대책에 관하여 논한다.

2. 6. 신국정 (慎国政)

慎國政중국어은 황제가 특정 인물의 말만 듣지 않고, 백관(百官)의 말을 경청하며, 말만 앞세우는 사람을 편애하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이다.[1] 또한, 특정 대신을 칭송하는 상소(上疏)를 신하에게 제출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경계하였다. 이는 왕망한나라를 찬탈한 것과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함이었다.[1]

2. 7. 예의 (禮儀)

禮儀|예의중국어는 황명조훈에 포함된 내용으로, 친왕과의 관계 및 그 의례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다. 또한 황제의 적통과 여러 왕가의 한 대에 한 글자씩 붙일 수 있는 20개의 글자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2. 8. 법률 (法律)

황족에게 과실이 있었을 경우 처벌하는 규정이 있다.

2. 9. 내령 (内令)


  • 후비에 관한 지출은 장부에 기록해야 한다.
  • 후비가 외부 정치 세력과 연결되어 정치에 간섭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 궁정에서 사용하는 자는 양가의 자녀로 한정하며, 대신이 헌상한 자나 창기 출신을 가까이해서는 안 된다.

2. 10. 내관 (内官)

환관의 관직과 그 직제표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2. 11. 직제 (職制)

직제내용
봉작 시 하사 물품 규정황명조훈에 따르면, 봉작 시 하사해야 할 물품에 대한 규정이 명시되어 있다.
황족 남자 봉호 명칭황족 남자의 봉호 명칭에 관한 내용이 규정되어 있다.
종인부 설치황족을 관리하는 종인부 설치에 관한 내용이 규정되어 있다.
친왕가 관료 및 파견친왕가에서 사용해야 할 관료와 파견에 관한 내용이 규정되어 있다.
왕부 관직 및 등급왕부에서 설치되는 관직과 등급에 관한 내용이 규정되어 있다.
지휘사사 관직지휘사사에 설치해야 할 관직에 관한 내용이 규정되어 있다.


2. 12. 병위 (兵衛)

친왕이 지휘할 수 있는 병력 규모와 훈련 실시에 관한 규정은 다음과 같다.

내용상세
병력 규모친왕은 일정 규모의 병력을 지휘할 수 있다.
훈련 시기정해진 시기에 훈련을 실시해야 한다.



(변경 사항 없음)

2. 13. 영선 (営繕)

영선(営繕)에 관한 규정은 다음과 같다.[1]

  • 제왕의 궁전은 자신의 격식에 맞게 건설해야 하며, 신분을 초월한 궁전에 거주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단, 연왕부는 원나라의 황궁을 사용했으므로 예외로 한다.
  • 황제와 제왕은 이궁(離宮) 등을 만들어 함부로 체류하는 것을 금지한다.

2. 14. 공용 (供用)

친왕에게 지급되어야 할 봉록은 다음과 같다.

항목내용
정은(正銀)10000냥
미(米)10000섬
초(鈔)20000관
견(絹)40필
나(羅)5필
사(紗)100필
능(綾)10필
포(布)1000필
면(綿)2000근
사(絲)300근
마(麻)300근
유(油)240근
밀(蜜)120근
염(鹽)200인
차(茶)2000근
장(場)매년 세은(歲銀) 10000냥




3. 불정지국 (不征之國)

홍무제는 조훈수장|祖訓首章중국어에서 이들 국가와 조공 관계를 유지하고, 국가 간 무역 발전을 장려하기 위해 15개 인접 국가를 정복하지 않겠다는 정책을 천명했다. 홍무제는 "사방의 여러 이민족들은 모두 산과 바다로 막혀 외딴 구석에 자리 잡고 있으니, 그들의 땅을 얻어도 공급하기에 부족하고, 그들의 백성을 얻어도 부릴 만한 가치가 없다."라고 언급하며, 이들 국가를 정벌하는 것의 무익함을 강조했다. 또한, 후세의 자손들이 중국의 부강함을 믿고 일시적인 전공을 탐하여 이유 없이 병력을 일으켜 사람의 생명을 해칠까 염려하여, 이를 절실히 기억하고 절대 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1]

3. 1. 불정지국 목록

침략하지 말아야 할 국가(不征之國)


홍무제는 조훈수장|祖訓首章중국어에서 이들 국가와 조공 관계를 유지하고, 국가 간 무역 발전을 장려하기 위해 15개의 인접 국가를 정복하지 않겠다는 정책을 천명했다.

홍무제가 정벌하지 말아야 할 국가 목록을 만들었으며, 이들 국가는 명나라 수도 난징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방위국가
북동조선
정동 북쪽일본
정동 남쪽류큐 왕국, 대만 인근 섬
남서쩐 왕조, 크메르 제국, 아유타야 왕국, 참파, 수멘달라, 판디아 왕조, 순다 왕국, 올드 파항 왕국, 바탁, 말라유 왕국, 브루나이 술탄국


3. 2. 불정지국 정책의 의의



홍무제는 서문 조훈수장(祖訓首章)중국어에서 이들 국가와 조공 관계를 유지하고, 국가 간 무역 발전을 장려하기 위해 15개 인접 국가를 정복하지 않겠다는 정책을 천명했다.

이에 따라 정벌하지 말아야 할 국가 목록을 만들었으며, 이들 국가의 위치는 명나라 수도 난징을 기준으로 한다.

4. 비판 및 의문점

『황명조훈』은 역사적인 고사를 바탕으로 승상직의 금지, 친왕이나 후궁의 간섭 제한 등을 규정했지만, 역사적으로 수많은 폐해를 가져온 환관의 정치 간섭을 금지하는 항목이 하나도 없다. 이에 관해서는, 원본에는 포함되어 있던 것을 환관이 몰래 해당 조항을 삭제했다는 소문이 있었다고 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