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독립유공자는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에 기여한 자로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로 구분된다. 이들은 건국훈장, 건국포장 또는 대통령 표창을 받으며, 국가로부터 다양한 예우와 지원을 받는다. 독립유공자는 대한민국장, 대통령장,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 등급으로 나뉘며, 관련 법률에 따라 그 자격이 결정된다. 독립유공자와 그 후손들은 보상금, 연금,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혜택을 받으며, 3대까지 후손에 대한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2. 적용 대상

대한민국 독립유공자는 크게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로 나뉜다.

'''순국선열'''은 일제의 국권침탈 전후로부터 1945년 8월 14일까지 국내외에서 일제의 국권침탈을 반대하거나 독립운동을 위하여 일제에 항거하다가 그 반대나 항거로 인하여 순국한 자로서, 그 공로로 건국훈장, 건국포장 또는 대통령 표창을 받은 자이다.[2]

'''애국지사'''는 일제의 국권침탈 전후로부터 1945년 8월 14일까지 국내외에서 일제의 국권침탈을 반대하거나 독립운동을 위하여 일제에 항거한 사실이 있는 자로서, 그 공로로 건국훈장, 건국포장 또는 대통령 표창을 받은 자이다.[2]

2. 1. 순국선열

순국선열은 일제의 국권침탈 전후로부터 1945년 8월 14일까지 국내외에서 일제의 국권침탈을 반대하거나 독립운동을 위하여 일제에 항거하다가 그 반대나 항거로 인하여 순국한 자로서, 그 공로로 건국훈장, 건국포장 또는 대통령 표창을 받은 자이다.[2]

2. 2. 애국지사

애국지사는 일제의 국권침탈 전후로부터 1945년 8월 14일까지 국내외에서 일제의 국권침탈을 반대하거나 독립운동을 위하여 일제에 항거한 사실이 있는 자로서, 그 공로로 건국훈장, 건국포장 또는 대통령 표창을 받은 자이다.[2]

3. 독립유공자 명단

3. 1. 독립유공자 1급: 대한민국장 (31명)

3. 2. 독립유공자 2급: 대통령장 (93명)

강기동(姜基東), 구춘선(具春先), 권동진(權東鎭), 권병덕(權秉悳), 김경천(金擎天), 김동삼(金東三), 김병조(金秉祚), 김붕준(金朋濬), 김상옥(金尙玉), 김성수(金性洙), 김완규(金完奎), 김익상(金益相), 김지섭(金祉燮), 김하락(金河洛), 나석주(羅錫疇), 나용환(羅龍煥), 나인협(羅仁協), 남상덕(南相悳), 남자현(南慈賢), 노백린(盧伯麟), 당계요/唐繼堯중국어(중국인), 문창범(文昌範), 문태수(文泰洙), 민종식(閔宗植), 박동완(朴東完), 박렬(朴烈), 박승환(朴昇煥), 박용만(朴容萬), 박은식(朴殷植), 박준승(朴準承), 배설(裵說)(영국인), 백용성(白龍城), 손과/孫科중국어(중국인), 송교인/宋敎仁중국어(중국인), 신규식(申圭植), 신돌석(申乭石), 신석구(申錫九), 신채호(申采浩), 신홍식(申洪植), 안재홍(安在鴻), 양기탁(梁起鐸), 양전백(梁甸伯), 양한묵(梁漢默), 여천민/呂天民중국어(중국인), 연기우(延基羽), 오세창(吳世昌), 오화영(吳華英), 우빈/于斌중국어(중국인), 유동열(柳東說), 유여대(劉如大), 유인석(柳麟錫), 윤기섭(尹琦燮), 이동녕(李東寧), 이동휘(李東輝), 이명룡(李明龍), 이범석(李範奭), 이범윤(李範允), 이봉창(李奉昌), 이상재(李商在), 이승희(李承熙), 이위종(白瑋鍾), 이은찬(李殷瓚), 이인영(李麟榮), 이재명(李在明), 이종일(李鍾一), 이종훈(李鍾勳), 이필주(李弼柱), 임삼/林森중국어, 임예환(林禮煥), 장건상(張建相), 장인환(張仁煥), 전명운(田明雲), 전해산(全海山), 정환직(鄭煥直), 조성환(曺成煥), 조완구(趙琬九), 주가화/朱家驊중국어(중국인), 주시경(周時經), 지청천(池靑天), 진성/陳誠중국어(중국인), 채상덕(蔡相悳), 최석순(崔碩淳), 최성모(崔聖模), 호한민/胡漢民중국어(중국인), 홍기조(洪基兆), 홍범도(洪範圖), 홍병기(洪秉箕), 황흥/黃興중국어(중국인)[4]

3. 3. 독립유공자 3급: 독립장 (820명)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중 독립장(3급) 수훈자는 총 820명이다.

  • 강경선(康景善)
  • 강기덕(康基德)
  • 강기운(姜基云)
  • 강윤희(姜允熙)
  • 강명규(姜明奎)
  • 강무경(姜武景)
  • 강상모(姜尙模)
  • 강순필(姜順必)
  • 강원형(姜遠馨)
  • 강인수(姜人壽)
  • 강제하(康濟河)
  • 강진원(姜震遠)
  • 강창제(姜昌濟)
  • 강철구(姜鐵求)
  • 계봉우(桂奉瑀)
  • 계화(桂和)
  • 고광순(高光洵)
  • 고두환(高斗煥)
  • 고운기(高雲起)
  • 고이허(高而虛)
  • 고인덕(高仁德)
  • 고제량(高濟亮)
  • 고창일(高昌一)
  • 고평(高平)
  • 곽재기(郭在驥)
  • 곽중규(郭重奎)
  • 곽태기(郭泰棋)
  • 구연영(具然英)
  • 구예선(具禮善)
  • 권기옥(權基玉)
  • 권석도(權錫燾)
  • 권순명(權順明)
  • 권영만(權寧萬)
  • 권용일(權用佾)
  • 권인규(權仁圭)
  • 권준(權晙)(임시정부)
  • 권준(權俊)(의병)
  • 권쾌복(權快福)
  • 금기철(琴基哲)
  • 금달연(琴達淵)
  • 기산도(奇山度)
  • 기삼연(奇參衍)
  • 기우만(奇宇萬)
  • 김갑(金甲)
  • 김강(金剛)
  • 김경운(金景云)
  • 김경태(金敬泰)
  • 김관보(金官寶)
  • 김관오(金冠五)
  • 김광진(金光振)
  • 김교헌(金敎獻)
  • 김규식(金圭植)
  • 김기한(金起漢)
  • 김기형(金基瀅)
  • 김낙용(金洛用)
  • 김난섭(金蘭燮)
  • 김대규(金大圭)
  • 김대지(金大池)
  • 김덕순(金德順)
  • 김덕제(金德濟)
  • 김덕흥(金德興)
  • 김도원(金道源)
  • 김도현 (金燾鉉)
  • 김동수(金東洙)(광복군)
  • 김동수(金東洙)(의병)
  • 김동식(金東植)
  • 김동신(金東臣)
  • 김두만(金斗萬)
  • 김마리아(金瑪利亞)
  • 김만수(金萬秀)
  • 김명권(金明權)
  • 김문희(金文熙)
  • 김범이(金範伊)
  • 김법린(金法麟)
  • 김병로(金炳魯)
  • 김병록(金丙錄)
  • 김병조(金炳朝)
  • 김병태(金餠泰)
  • 김보형(金寶炯)
  • 김복한(金福漢)
  • 김봉규(金奉奎)
  • 김봉수(金鳳秀)
  • 김봉식(金鳳植)
  • 김봉원(金鳳源)
  • 김봉학(金奉學)
  • 김상길(金相吉)
  • 김상덕(金尙德)
  • 김상옥(金尙沃)
  • 김상태(金尙台)
  • 김석(金晳)
  • 김석진(金奭鎭)
  • 김석창(金錫昌)
  • 김석황(金錫璜)
  • 김선여(金善汝)
  • 김성근(金聲根)
  • 김성범(金成範)
  • 김성수(金聖壽)
  • 김성숙(金星淑)
  • 김성엽(金聖燁)
  • 김성택(金聖擇)
  • 김성호(金聖灝)
  • 김세환(金世煥)
  • 김수곡(金水谷)
  • 김수민(金秀敏)
  • 김순애(金淳愛)
  • 김승곤(金勝坤)
  • 김승만(金承萬)
  • 김승학(金承學)
  • 김시중(金時中)
  • 김약연(金躍淵)
  • 김영란(金永蘭)
  • 김영렬(金泳烈)
  • 김영숙(金永肅)
  • 김영철(金榮哲)
  • 김영현(金寧炫)
  • 김예진(金禮鎭)
  • 김용구(金容球)
  • 김용대(金容大)
  • 김용성(金容成)
  • 김용재(金容宰)
  • 김우근(金宇根)
  • 김원국(金元國)(만주방면)
  • 김원국(金元國)(의병)
  • 김원범(金元範)
  • 김원벽(金元璧)
  • 김원식(金元植)(정의부)
  • 김원식(金元植)(의병)
  • 김원조(金遠祚)
  • 김율(金聿)
  • 김응백(金應伯)
  • 김의한(金毅漢)
  • 김이섭(金利燮)
  • 김이직(金理直)
  • 김인전(金仁全)
  • 김일곤(金逸坤)
  • 김일봉(金一鳳)
  • 김일원(金日元)
  • 김재근(金載根)
  • 김정련(金正連)
  • 김정수(金晶壽)
  • 김정원(金正元)
  • 김정익(金貞益)
  • 김종철(金鍾鐵)
  • 김준승(金俊承)
  • 김준택(金俊澤)
  • 김중건(金中建)
  • 김지환(金智煥)
  • 김진만(金鎭萬)
  • 김진묵(金溱默)
  • 김진성(金振聲)
  • 김진준(金珍俊)
  • 김찬수(金燦洙)
  • 김창곤(金昌坤)
  • 김창균(金昌均)
  • 김창근(金昌根)
  • 김창환(金昌煥)
  • 김천성(金天成)
  • 김천익(金天益)
  • 김철(金澈)
  • 김철남(金鐵男)
  • 김최명(金最明)
  • 김춘배(金春培)
  • 김치보(金致寶)
  • 김치홍(金致洪)
  • 김태연(金泰淵)(정의부)
  • 김태연(金泰淵)(중국방면)
  • 김태오(金泰午)
  • 김태원(金泰元)(의병)(62)
  • 김태원(金泰元)(의병)(93)
  • 김태원(金泰元)(벽창의용대(63))
  • 김평식(金平植)
  • 김학규(金學奎)
  • 김학무(金學武)
  • 김학섭(金學燮)
  • 김한종(金漢鍾)
  • 김혁(金赫)
  • 김형빈(金亨彬)
  • 김호(金乎)
  • 김홍량(金鴻亮)
  • 김홍서(金弘敍)
  • 김홍일(金弘壹)
  • 김훈(金勳)
  • 나병삼(羅炳三)
  • 나시운(羅時雲)
  • 나월환(羅月煥)
  • 나정구(羅正龜)
  • 나중소(羅仲昭)
  • 나창헌(羅昌憲)
  • 나철(羅喆)
  • 나태섭(羅泰燮)
  • 남공선(南公善)
  • 남궁억(南宮檍)
  • 남석인(南錫仁)
  • 남정각(南廷珏)
  • 노기용(盧企容)
  • 노병대(盧炳大)
  • 노복선(盧福善)
  • 노원섭(盧元燮)
  • 노을룡(盧乙龍)
  • 노응규(盧應奎)
  • 노임수(盧琳壽)
  • 노종균(盧鍾均)
  • 노태준(盧泰俊)
  • 대립(戴笠)(중국인)
  • 마수례(馬樹禮)(중국인)
  • 마진(馬晋)
  • 막덕혜(莫德惠)(중국인)
  • 명제세(明濟世)
  • 모의리(牟義理)(미국인)
  • 문상익(文相翊)
  • 문석봉(文錫鳳)
  • 문양목(文讓穆)
  • 문일민(文一民)
  • 문일평(文一平)
  • 문창숙(文昌淑)
  • 문창학(文昌學)
  • 민강(閔강)
  • 민긍호(閔肯鎬)
  • 민산해(閔山海)(영국인)
  • 민양기(閔良基)
  • 민영구(閔泳玖)
  • 민용호(閔龍鎬)
  • 민필호(閔弼鎬)
  • 민효식(閔孝植)
  • 박건병(朴健秉)
  • 박건웅(朴健雄)
  • 박걸(朴傑)(영국인)
  • 박경순(朴敬淳)
  • 박기성(朴基成)
  • 박기제(朴基濟)
  • 박기한(朴基寒)
  • 박도경(朴道京)
  • 박문용(朴文鎔)
  • 박문용(朴文鎔)
  • 박봉석(朴奉石)
  • 박사화(朴士化)
  • 박상진(朴尙鎭)
  • 박세건(朴世健)
  • 박세화(朴世和)
  • 박승길(朴昇吉)
  • 박시창(朴始昌)
  • 박여성(朴汝成)
  • 박영준(朴英俊)
  • 박영희(朴寧熙)
  • 박응백(朴應伯)
  • 박인항(朴仁恒)
  • 박인호(朴寅浩)
  • 박인화(朴仁和)
  • 박장호(朴長浩)
  • 박재혁(朴載赫)
  • 박중서(朴重緖)
  • 박차정(朴次貞)(女:김원봉의처)
  • 박찬익(朴贊翊)
  • 박춘실(朴春實)
  • 박치의(朴治毅)
  • 박치화(朴致化)
  • 박태열(朴泰烈)
  • 박희광(朴喜光)
  • 반하경(潘夏慶)
  • 방순희(方順熙)(여)
  • 배설(裵說)
  • 백기환(白基煥)
  • 백낙주(白樂疇)
  • 백남규(白南奎)
  • 백삼규(白三圭)
  • 백시찬(白時瓚)
  • 백운한(白雲翰)
  • 백일규(白一圭)
  • 백정기(白貞基)
  • 변춘식(邊春植)
  • 변학기(邊鶴基)
  • 비오생(費吾生)(미국인)
  • 사도덕(司徒德)(중국인)
  • 서병희(徐炳熙)
  • 서상교(徐尙敎)
  • 서상렬(徐相烈)
  • 서상용(徐相庸)
  • 서상한(徐相漢)
  • 서영석(徐永錫)
  • 서원준(徐元俊)
  • 서의배(徐義培)
  • 서일(徐一)
  • 서종채(徐鍾採)
  • 석호필(石虎弼)(영국인)
  • 선우혁(鮮于赫)
  • 설악(薛岳)(중국인)
  • 성익현(成益鉉)
  • 손기업(孫基業)
  • 손기혁(孫琪赫)
  • 손덕오(孫德五)
  • 손승억(孫承億)
  • 손양윤(孫亮尹)
  • 손영각(孫永珏)
  • 손정도(孫貞道)
  • 손창준(孫昌俊)
  • 송계백(宋繼白)
  • 송병선(宋秉璿)
  • 송병순(宋秉珣)
  • 송병조(宋秉祚)
  • 송종익(宋鍾翊)
  • 송주면(宋宙勉)
  • 송진우(宋鎭禹)
  • 송학선(宋學先)
  • 송헌주(宋憲澍)
  • 쇼우(아일랜드)
  • 신건식(申健植)
  • 신공제(辛公濟)
  • 신덕영(申德永)
  • 신석우(申錫雨)
  • 신송식(申松植)
  • 신숙(申肅)
  • 신언성(申彦聖)
  • 신언준(申彦俊)
  • 신영삼(申榮三)
  • 신우여(申禹汝)
  • 신우현(申禹鉉)
  • 신정백(申正栢)
  • 신창룡(申昌龍)
  • 신창룡(申昌龍)
  • 신태식(申泰植)
  • 신팔균(申八均)
  • 신현구(申鉉九)
  • 신현규(申鉉圭)
  • 심남일(沈南一)
  • 심용준(沈龍俊)
  • 안경근(安敬根)
  • 안경신(安敬信)
  • 안공근(安恭根)
  • 안광조(安光祚)
  • 안국형(安國亨)
  • 안규홍(安圭洪)
  • 안명근(安明根)
  • 안무(安武)
  • 안병무(安炳武)
  • 안병찬(安秉瓚)
  • 안상익(安相益)
  • 안세환(安世桓)
  • 안승우(安承禹)
  • 안원규(安元奎)
  • 안재환(安載煥)
  • 안정근(安定根)
  • 안지호(安知鎬)
  • 안춘생(安椿生)
  • 안태국(安泰國)
  • 안현경(安顯景)
  • 안희제(安熙濟)
  • 양경학(梁景學)
  • 양근환(梁槿煥)
  • 양진여(梁振汝)
  • 양기하(梁基瑕)
  • 양세봉(梁世奉)
  • 양승우(楊承雨)
  • 양우조(楊宇朝)
  • 양윤숙(楊允淑)
  • 양한규(梁漢奎)
  • 엄순봉(嚴舜奉)
  • 엄주필(嚴柱弼)
  • 엄항섭(嚴恒燮)
  • 엄해윤(嚴海潤)
  • 여순근(呂淳根)
  • 여준(呂準)
  • 여행열(呂行烈)
  • 연병호(延秉昊)
  • 염온동(廉溫東)
  • 염인서(廉仁瑞)
  • 오강표(吳剛杓)
  • 오광선(吳光鮮)
  • 오광심(吳光心)
  • 오기호(吳基鎬)
  • 오면직(吳冕稙)
  • 오복원(吳復元)
  • 오상서(吳祥瑞)
  • 오상원(吳相元)
  • 오성술(吳成述)
  • 오영선(吳永善)
  • 오운흥(吳雲興)
  • 오의선(吳義善)
  • 왕광연(王光演)
  • 왕죽일(汪竹一)(중국인)
  • 왕회종(王會鍾)
  • 우덕순(禹德淳)
  • 우동선(禹東鮮)
  • 우승창(禹承昌)
  • 우재룡(禹在龍)
  • 원세훈(元世勳)
  • 원심창(元心昌)
  • 유광흘(劉光屹)
  • 유근(柳瑾)
  • 유기동(柳基東)
  • 유도발(柳道發)
  • 유동하(劉東夏)
  • 유득신(劉得信)
  • 유림(柳林)
  • 유명규(劉明奎)
  • 유민식(兪民植)
  • 유병기(劉秉淇)
  • 유상근(柳相根)
  • 유상렬(柳相烈)
  • 유석현(劉錫鉉)
  • 유성삼(劉成三)
  • 유시연(柳時淵)
  • 유영요(劉詠堯)
  • 유인식(柳寅植)
  • 유일한(柳一韓)
  • 유장렬(柳장烈)
  • 유지명(柳志明)
  • 유창순(庾昌淳)
  • 유택수(柳澤秀)
  • 유해준(兪海濬)
  • 유흥수(柳興洙)
  • 윤덕보(尹德甫)
  • 윤동주(尹東柱)
  • 윤세복(尹世復)
  • 윤병구(尹炳球)(미주방면)
  • 윤병구(尹炳球)(의열단)
  • 윤산온(尹山溫)
  • 윤상열(尹相悅)
  • 윤세용(尹世茸)
  • 윤세주(尹世胄)
  • 윤이병(尹履炳)
  • 윤익선(尹益善)
  • 윤인순(尹仁

3. 4. 독립유공자 4급: 애국장 (4,338명)

강진석, 김형권, 민충기, 백치서, 안봉순, 양봉식, 이육사, 유진동, 유평파, 정두흠, 한기악 등이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3. 5. 독립유공자 5급: 애족장 (5,763명)

강면하는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김성연(金聖鍊)은 평안남도 개천 출신으로, 독립자금을 조성하다 함흥교도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김미하일 미하일로비치(Ким Михаил Михайлович)와 김인두, 김학이1, 김학이2, 나상준, 문응국(文應國), 민영달, 박재엽, 송여직, 송인집, 송정헌(宋靜軒, 중국인), 송천흠, 송회근, 유성렬, 이경선, 임학규, 최순한, 한봉준이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후세 다쓰지(布施辰治)는 일본인으로서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Popup.do?goTocode=0&mngNo=6285&kwd=%ED%95%9C%ED%95%98%EC%97%B0 한하연](韓何然)은 일본에서 흑우연맹을 결성했다.

3. 6. 건국포장


  • 김기술
  • 김낙현
  • 김덕조
  • 김잠진
  • 김종만
  • 김선암
  • 김순갑
  • 김순영
  • 김양모
  • 김진구
  • 김진선
  • 김진옥
  • 김호직
  • 김회종
  • 문용
  • 박제형
  • 서효격
  • 서효달
  • 서효신
  • 서효원
  • 안국형
  • 안효진
  • 유달영
  • 윤영석
  • 윤철수
  • 이경진
  • 이계성
  • 이광춘
  • 이만성
  • 이우락
  • 임병대
  • 홍목
  • 최태병
  • 현덕신
  • 현영조
  • 현용주
  • 강덕수
  • 김흥봉
  • 박순호
  • 신종규
  • 윤형숙
  • 정일성
  • 정주봉
  • 최원순
  • 현석칠
  • 구승우
  • 권성하
  • 김진의
  • 이봉재
  • 이창서
  • 정진도

3. 7. 대통령표창

김강아지

4. 국가에서 보장하는 예우

2019년 3.1운동 100주년 기념 독립유공자 직계후손 소방인과의 만남 행사(소방청장 정문호)


법률로써 보장하는 독립유공자와 '''독립유공자 후손'''에 대한 예우로는 의전 상의 예우와 보상금, 연금, 사망일시금, 생활조정수당, 교육보호, 취업보호, 의료보호, 대부, 양로보호, 양육보호, 고궁 등의 이용보호, 주택의 우선분양, 국립묘지에의 안장, 정착금 지원 등이 있다.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국가보훈처가 보훈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하고, 또한 동 법률의 규정에 따라 그 자격을 박탈한다. "독립유공자"로 인정되면 본인 및 그 가족이나 유족은 보상금, 연금, 장례지원금, 생활보호, 교육보호, 취업보호, 의료보호, 장기 저금리 대출, 교통(본인만 해당. 다만, 간병이 필요한 경우에는 본인과 간병인 1명도 대상) 및 시설 등의 할인, 주택 우선 분양, 국립묘지 안장(본인만 해당), 해외 거주자에 대한 국내 정착 지원 등 국가 지원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다.[1]

한편, 현행 법률에 따르면 해방 전에 서거한 유공자는 3대까지, 해방 후 서거한 유공자의 후손은 2대까지만 국가에서 보상하고 있기에 이들의 3대손에 대한 혜택을 위한 개정도 요구되고 있다.

4. 1. 예우 내용

wikitext

법률로써 보장하는 독립유공자와 '''독립유공자 후손'''에 대한 예우로는 의전 상의 예우와 보상금, 연금, 사망일시금, 생활조정수당, 교육보호, 취업보호, 의료보호, 대부, 양로보호, 양육보호, 고궁 등의 이용보호, 주택의 우선분양, 국립묘지에의 안장, 정착금 지원 등이 있다.

한편, 현행 법률에 따르면 해방 전에 서거한 유공자는 3대까지, 해방 후 서거한 유공자의 후손은 2대까지만 국가에서 보상하고 있기에 이들의 3대손에 대한 혜택을 위한 개정도 요구되고 있다.

4. 2. 독립유공자 후손 3대 후원

문재인 정부는 생활고를 겪는 독립유공자 후손, 특히 3대들에 대한 생활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6]

5. 역사

5. 1. 2010년대

독립운동가 수는 300만 명으로 추산되지만, 서훈을 받은 사람은 15,000여 명에 불과하다.[7] 김영삼 정부는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이동휘에게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포상하며 사회통합을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7]

이명박 정부 당시, 김일성의 삼촌 김형권과 외삼촌 강진석이 독립유공자로 서훈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었다. 당시 보훈처장이었던 박승춘은 수훈 사실을 부인하다가 명단에서 제외하겠다고 밝히는 등 논란을 빚었다.[8][9]

문재인 정부는 독립유공자 포상 범위를 확대하고, 3개월 미만 옥고, 사회주의 활동 경력자도 포상 대상에 포함하는 등 포용적인 역사관을 보여주었다.[10][11] 2018년 8월 15일 제73주년 광복절에는 수형기간 완화 규정에 따라 104명이 포상되었고, 광복 이후 사회주의 활동 이력이 있는 손용우 등 12명도 포함되었다.[12]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ncms.go.k[...]
[2] 법률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 http://likms.assembl[...]
[3] 기록 공훈록에 따라 신익희를 추가함 국가보훈처 2017-01-05
[4] 기록 공훈록에 따라 강기동(姜基東,의병) 강기동(姜基東,의열단) 민긍호(閔肯鎬) 여운형(呂運亨) 이상설(李相卨)康烈)을 추가하고, 이정(李桢)을 삭제함 국가보훈처 2017-01-05
[5] 기록 공훈록에 따라 780명을 806명으로 고침 국가보훈처 2017-01-05
[6] 뉴스 文대통령 "독립유공자 후손 생활지원에 500억원 투입… 보훈 개선, 예산 다툴 일 아냐" http://news.chosun.c[...] 2017-08-14
[7] 뉴스 300만 독립운동가 중 1만5000명만 서훈… 여성은 2.4% 그쳐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9-01-01
[8] 뉴스 보훈처 "北 김일성 외삼촌 건국훈장 수훈 대상 맞다"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6-06-27
[9] 뉴스 ‘김일성 주석 친인척 서훈’ 독해법 https://web.archive.[...] 서울의 소리 2016-07-04
[10] 뉴스 손혜원 의원 부친 독립유공자 선정, 심사기준 따라 정상 진행 http://m.korea.kr/ne[...]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19-01-18
[11] 뉴스 역사속 학생·여성 독립유공자 깨운다…포상 범위 확대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8-06-08
[12] 뉴스 손혜원 父 포함 사회주의 활동 12명 포상…"보훈 정책 기조"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9-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