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崔)는 고구려, 신라 등 다양한 기원을 가진 한국의 성씨이다. 신라 계통은 소벌도리를 비조로 하며, 평양 대동강 유역의 최씨낙랑국이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발견되었다. 최치원을 시조로 하는 경주 최씨가 가장 인구가 많으며, 전주 최씨, 해주 최씨, 동주 최씨, 낭주 최씨, 우봉 최씨 등 160여 개의 본관이 존재한다.

2. 기원

최(崔)씨는 고구려 계통과 신라 계통 등 다양한 계통이 존재한다.

신라 계통 최씨의 비조는 사로국 6촌 중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의 촌장이었던 '''소벌도리'''(蘇伐都利)이다.

한반도 역사에서 가장 먼저 발견되는 최(崔)씨는 1세기 평양 대동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었던 최씨낙랑국이다. 고구려 기록에 낙랑최리(崔理)가 옥저에서 고구려 대무신왕의 아들 호동(好童)을 사위로 삼았다고 한다. 또한 삼국사기에 의하면 서진의 평주 자사 최비(崔毖)가 319년고구려에 귀순했다고 한다.

쌍계사 진감선사비에 따르면 진감선사의 속성이 최씨이고, 선조에 대해선 수나라고구려를 침공했다가 포로가 되어 고구려에 살다가 고구려가 멸망한 뒤 금마(金馬, 현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로 내려와 살았다고 기록하고 있다.[4]

삼국사기에 따르면 경주 최씨는 신라를 건국하기 위해 연합한 6촌 중 하나인 고허촌의 촌장 소벌도리(蘇伐都利)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경주 최씨는 통일 신라 시대(668–935) 후기의 저명한 한국의 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시인이었던 최치원(857–10세기)을 시조로 한다.

한 기원설에 따르면 해주 최씨의 시조 최충(984–1068)은 고려의 목종(고려) 재위 기간에 최(崔)씨 성을 하사받았다.

충주 최씨의 시조는 신라의 최승(崔陞), 다른 이름으로는 최우(崔偶) 장군이다. (당나라에서는 Cui Sheng으로 알려짐)

낭주 최씨의 시조는 전라남도 영암 (낭주) 출신인 신라의 최흔(崔昕)이다.

낙랑국의 지도자로 알려진 최리(崔理)가 있다.

3. 본관

최(崔)씨는 160여 개의 본관이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은 매우 작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최(崔)씨는 한국에서 4번째로 흔한 성씨이다.

최(崔)씨는 신라 계통과 고구려 계통으로 나뉜다. 신라 계통 최씨는 사로국 6촌 중 돌산 고허촌의 촌장인 소벌도리를 시조로 한다.

한반도 역사에서 가장 먼저 발견되는 최(崔)씨는 1세기 평양 대동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었던 최씨낙랑국이다. 고구려 기록에 낙랑최리옥저에서 고구려 대무신왕의 아들 호동을 사위로 삼았다고 한다.

주요 본관과 2015년 기준 인구수는 다음과 같다.

본관시조2015년 인구(명)
경주 최씨최치원945,005
전주 최씨최순작, 최균, 최군옥, 최아458,191
해주 최씨최온201,625
강릉 최씨최필달, 최흔봉, 최문한145,335
탐진 최씨최사전89,943
삭녕 최씨최천로51,525
화순 최씨최세기38,604
수성 최씨최영규61,231
강화 최씨최익후13,372
수원 최씨최정, 최상저14,687
흥해 최씨최호14,792
충주 최씨최승15,705
철원 최씨(동주 최씨)최준옹15,050
낭주 최씨최상흔17,205
통천 최씨최경현11,178
우봉 최씨최원호120
영흥 최씨최지미328


3. 1. 경주 최씨

경주 최씨는 최(崔)씨 중 인구가 가장 많은 본관이다. 시조 최치원(崔致遠, 857년생)은 소벌도리의 24세손으로, 신라 6두품 출신으로 최고의 관등인 아찬(阿飡)에 올랐다.

경주 최씨 시조 최치원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를 42명 배출하였으나, 가문이 퇴조하여 상신이나 대제학은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하였다.[5] 2015년 인구는 945,005명이다.

3. 1. 1. 월성 최씨

최진립은 조선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하여 오위도총부부총관을 지냈다.[1] 2015년 인구는 82,843명이다.[1]

3. 2. 전주 최씨

'''전주 최씨'''(全州 崔氏)는 시조가 다른 네 계통이 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09명을 배출하여 최씨 중 가장 많은 수를 기록했고, 최명길, 최석정, 최석항 등 3명의 상신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458,191명이다. 전주최씨 인물사에 의하면 문열공계 문성공계는 합보(合譜)했다고 전한다.

  • '''문열공파(文烈公派)''' 시조 '''최순작'''(崔純爵)은 고려 때 검교신호위상장군(檢校神虎衛上將軍)으로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졌다고 하며, 완산 최씨의 시조이다.
  • 사도공파(司徒公派) 시조 '''최균'''(崔均)은 고려 인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역임하였다.[12]
  • 문충공파(文忠公派) 시조 '''최군옥'''(崔群玉)은 고려시대 문하시중평장사를 지내고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 문성공파(文成公派) 시조 '''최아'''(崔阿)는 문열공파 '''최순작'''의 후손이지만 정확한 계보를 실전했다.

3. 2. 1. 완산 최씨

완산 최씨(完山 崔氏) 시조 '''최순작'''(崔純爵)은 전주 최씨 문열공파의 시조이다. 전주 최씨 대종회에서 발행한 전주 최씨 인물사(全州崔氏 人物史)에 의하면 완산 최씨전주 최씨에서 분파(分派)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 2015년 인구는 3,563명이다.[1]

3. 3. 해주 최씨

해주 최씨 시조 최온(崔溫)의 아들 '''최충'''(崔沖)은 고려 시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고, 문헌공도(文憲公徒)를 창시하였다.[8]

해주 최씨 2세 최충


3세 최유선(崔惟善)과 4세 최사추(崔思諏)도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고, 6세 최윤의(崔允儀)는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인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을 편찬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8명을 배출하였는데, 세종 때의 집현전부제학 최만리(崔萬理),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에서 순절한 최경회(崔慶會), 영조영의정을 지낸 최규서(崔奎瑞) 등이 있다. 2015년 인구는 201,625명이다.

청송·부안·아산·용궁 최씨가 해주 최씨로부터 분파하였다.

3. 4. 동주 최씨 (철원 최씨)

'''철원 최씨'''(鐵原 崔氏)는 '''동주 최씨'''(東州 崔氏)라고도 한다. 시조 '''최준옹'''(崔俊邕)은 고려 태조를 도와 삼한공신(三韓功臣) 삼중대광 태사(三重大匡 太師)가 되었다. 최준옹의 현손 최석(崔奭, 1026년 ~ 1121년)은 1051년(문종 5)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수태보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예부사(守太保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禮部事)에 이르렀으며, 그의 아들 최유청(崔惟淸)은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이르렀다.[6] 최유청의 5세손 최영(崔瑩)은 철원부원군(鐵原府院君)에 봉해지고, 우왕 때 문화시중을 역임하였다.[7] 2015년 인구는 15,050명이다.

3. 5. 낭주 최씨

낭주 최씨의 시조 최상흔(崔相昕)은 전라남도 영암군에 대대로 세거해온 토착인이다. 최상흔의 아들 최지몽은 고려 태조에게 이름을 하사받았으며, 벼슬이 좌집정(左執政) 수내사령(守內史令) 상주국(上柱國)에 이르렀다.[9] 최지몽 이후의 세계는 실전되어 고려 말기의 최희소(崔希沼)를 기세조로 한다. 2015년 인구는 17,205명이다.

3. 6. 우봉 최씨

우봉 최씨 시조 '''최원호'''(崔元浩)는 고려 명종 때 영열우성공신(英烈佑聖功臣)으로 삼중대광문하시중상장군(三重大匡門下侍中上將軍)에 올랐다. 그의 아들 '''최충헌'''(崔忠獻)은 문하시중(門下侍中), 진강군개국후(晉康郡開國侯)에 봉해졌으며,[10] 그의 손자 최우(崔瑀)는 강화천도의 공으로 진양후(晉陽侯)에 봉해졌다.[11] 최충헌의 증손 최의가 숙청된 후 우봉 최씨 무신정권 세습 체제는 종결되었다. 2015년 인구는 120명이다.

3. 7. 그 외 본관

강릉 최씨는 시조가 다른 세 계통이 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1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45,335명이다.[13][14][15]

삭녕 최씨 시조 '''최천로'''는 고려 때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냈다. 중시조 최유가는 고려 명종 때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냈다. 그러나 최유가 이후의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때 친어모군낭장을 지낸 최선보와 함경전부사를 지낸 최연을 각각 기세조로 하는 두 계통이 전한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3명을 배출하였다. 최선보의 현손인 최항이 세조 때 영의정에 올랐고, 최항의 증손자인 최흥원도 선조 때 영의정에 오르고 영평부원군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51,525명이다.

탐진 최씨의 원조는 고려 때 상약원직장을 역임한 '''최철'''이며, 시조는 고려 때 장작감을 역임한 최정의 아들 '''최사전'''이다. 그러나 최사전의 아들 최변과 최열 이후의 기록이 전란에 실전되어 각 파 중시조들의 세거지를 따서 그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시조인 최사전은 의술로 조정에 진출하였으나 고려 인종 때 이자겸을 제거한 공을 인정받아 공신에 책록되었고, 병부상서를 지낸 후 삼한후벽상공신으로 수태위, 문하시랑평장사에 올랐다. 최철의 선조는 탐진현(현 전라남도 강진군) 사람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7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89,943명이다.

화순 최씨의 시조 '''최세기'''는 고려시대에 평장사를 지냈다. 그가 전라남도 화순군의 옛 이름인 오산군에 봉해짐으로써 화순을 관향으로 삼게 되었다. 최세기와 같이 몽골군의 침입 때 공을 세우고 문하시중을 지낸 최부를 함께 시조로 삼기도 한다. 그러나 상계가 실전되어 서북면도감판관을 지낸 최언을 기세조로 세계를 이어오고 있는데,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낸 최윤의를 기세조로 삼는 계통도 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1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38,604명이다.

강화 최씨 시조 최익후는 고려 중엽 상서좌복야를 지냈고 정당문학에 올라 강화에서 터를 잡고 살았다고 한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3,372명이다.

수성 최씨 시조 '''최영규'''는 원래 김씨였다. 그는 1261년(고려 원종 2년) 문과에 급제하고 형조전서겸 보문각 대경을 지냈다. 1302년(충렬왕 28년) 충렬왕이 그에게 최씨 성을 내리고 수성백에 봉했다. 시조의 묘는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어천리에 있다. 수성 최씨는 고려 때 부정을 지낸 최거경을 1세조로 하는 또 다른 두 계통이 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61,231명이다.

수원 최씨는 시조를 다른 두 계통이 있다. 하나는 고려시대 산원동정을 지낸 최정을 시조로 하며, 또 다른 계통은 고려 예종 때 수주의 호장 최상저를 시조로 한다. 최사위가 기록된 인물로 있다. 수원(水原)의 옛 이름이 수성(隋城)이라 와 수성 최씨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수원 최씨는 원최(原崔)라 하고 수성 최씨는 내최(來崔)라고 부른다. 2015년 인구는 14,687명이다.

충주 최씨 시조 최승은 846년(신라 문성왕 8) 병마사가 되어 도적을 토평하였고, 889년(진성여왕3) 원종·애노의 반란을 평정하여 은청광록대부에 올랐다고 한다. 하지만 선계를 고증할 수 없어 호장 최공의를 기세조로 한다. 최공의의 증손자 최우청이 충주의 향리로서 고려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명종 때 수사공·상서좌복야에 이르렀다.[16] 2015년 인구는 15,705명이다.

흥해 최씨 시조 '''최호'''는 고려 공민왕 때 삼중대광문하시중, 신호위상장군을 역임하였으며 삼한벽상공신에 책훈되고 곡강부원군에 봉해졌다고 한다. 2015년 인구는 14,792명이다.

통천 최씨의 시조 '''최경현'''은 고려 정종 때 정의대부판밀직사사, 중서좌상시, 감찰어사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 인물로는 조선 초기의 장군인 최운해, 세종 때 4군을 개척하고 세종묘에 배향된 최윤덕, 선조 때의 명문장가인 최립이 있다. 2015년 인구는 11,178명이다.

영흥 최씨 시조 '''최지미'''의 손자 최한기의 원래 성은 조씨이며, 그의 딸이 이자춘에게 시집 간 후 성을 최씨로 바꾸고 이름도 한기로 고쳤다. 최한기의 딸은 이성계를 낳았고, 후에 동북면 출신의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여 태조로 즉위하자 최한기가 영흥백에 봉해졌다. 묘소는 함경남도 영흥군 덕흥면 진동리에 있다. 이성계의 어머니는 의비로 봉하여졌고, 뒤에 태종이 의혜왕후로 추봉하였다. 2015년 인구는 328명이다.

4. 주요 인물

최(崔)씨는 한국의 성씨로, 역사적으로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경주 최씨 시조 최치원은 신라 6두품 출신으로 아찬에 올랐다. 해주 최씨 최충은 고려 시대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문헌공도를 창시했다.[8] 전주 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를 최씨 중 가장 많이 배출했으며, 최명길, 최석정, 최석항 등 3명의 상신을 배출했다. 강릉 최씨는 시조가 다른 세 계통 (경주계, 전주계, 강화계)이 있다. 삭녕 최씨 시조 최천로는 고려 때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냈다. 탐진 최씨 시조 최사전은 고려 때 의술로 이자겸을 제거하는데 공을 세워 병부상서, 문하시랑평장사에 올랐다. 화순 최씨 시조 최세기는 고려시대에 평장사를 지냈다. 강화 최씨 시조 최익후는 고려 중엽 상서좌복야를 지냈다. 수성 최씨 시조 최영규충렬왕에게 최씨 성을 받았다. 수원 최씨는 고려시대 산원동정을 지낸 최정을 시조로 하는 계통과 고려 예종 때 수주의 호장 최상저를 시조로 하는 계통이 있다. 충주 최씨 시조 최승은 신라 때 병마사가 되어 도적을 토벌했다. 흥해 최씨 시조 최호는 고려 공민왕 때 삼중대광문하시중을 역임했다. 통천 최씨 시조 최경현은 고려 정종 때 정의대부판밀직사사 등을 역임했다. 영흥 최씨 시조 최지미의 손자 최한기는 이성계의 외조부이다.

4. 1. 역사 속 인물

이름출생사망본관시조/중시조/기타비고
최치원857년?경주 최씨시조소벌도리 24세손, 6두품, 아찬
최충984년1068년해주 최씨2세문헌공도 창시, 과거 장원, 문하시중[8]
최유선??해주 최씨3세문하시중
최사추??해주 최씨4세문하시중
최윤의??해주 최씨6세《상정고금예문》 편찬 (세계 최초 금속활자본)
최만리?1445년해주 최씨집현전 부제학
최경회??해주 최씨임진왜란진주성 순절
최규서??해주 최씨영조영의정
최순작??전주 최씨 (문열공파)시조완산 최씨 시조, 고려 검교신호위상장군, 완산군
최균??전주 최씨 (사도공파)시조고려 인종 때 과거 급제, 예부시랑[12]
최군옥??전주 최씨 (문충공파)시조고려 문하시중평장사, 완산부원군
최아??전주 최씨 (문성공파)시조최순작 후손 (정확한 계보 실전)
최필달??강릉 최씨 (경주계)시조고려 개국공신, 경흥부원군[13]
최흔봉??강릉 최씨 (전주계)시조고려 태조 부마, 완원위[14]
최문한??강릉 최씨 (강화계)시조고려 충숙왕 부마[15]
최천로??삭녕 최씨시조고려 문하시랑평장사
최유가??삭녕 최씨중시조고려 명종 때 문하시랑평장사
최항1409년?삭녕 최씨세조 때 영의정, 최선보 현손
최흥원??삭녕 최씨선조 때 영의정, 영평부원군, 최항 증손
최사전??탐진 최씨시조고려 의술, 이자겸 제거 공, 병부상서, 문하시랑평장사
최세기??화순 최씨시조고려 평장사, 오산군
최부??화순 최씨시조몽골군 격퇴 공, 문하시중
최익후??강화 최씨시조고려 상서좌복야, 정당문학
최영규??수성 최씨시조1261년 문과, 형조전서겸 보문각 대경, 1302년 충렬왕에게 최씨 성 받음, 수성백
최사위961년1041년수원 최씨고려사 열전 기록
최승??충주 최씨시조846년 병마사, 889년 반란 평정, 은청광록대부
최우청??충주 최씨고려 인종 때 문과, 명종 때 수사공·상서좌복야, 최공의 증손[16]
최호??흥해 최씨시조고려 공민왕 때 삼중대광문하시중, 신호위상장군, 삼한벽상공신, 곡강부원군
최경현??통천 최씨시조고려 정종 때 정의대부판밀직사사, 중서좌상시, 감찰어사
최운해??통천 최씨조선 초기 장군
최윤덕??통천 최씨세종 때 4군 개척, 세종묘 배향
최립??통천 최씨선조 때 명문장가
최지미??영흥 최씨시조
최한기??영흥 최씨최지미 손자, 이성계 외조부, 영흥백
최충헌1149년1219년고려 무신
최우1166년1249년고려 무신
최무선1330년1395년과학자, 발명가, 군사 지휘관
최영1316년1388년고려 무장
최한기1803년1877년유학자, 철학자
최제우1824년1864년동학 창시자
최세진1465년1542년언어학자
숙빈 최씨1670년1718년왕실 후궁
최영경1529년1590년학자, 관료


4. 2. 현대 인물


  • 댄 초이: 1981년 출생, 미국의 LGBT 권리 운동가이자 전 보병 장교이다.
  • 최지성: 1951년 출생,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 최하미드: 대한민국의 번역가이자 교수이다.
  • 최홍희: 대한민국의 장군이자 무술가이다.
  • 최현석: 1972년 출생, 대한민국의 요리사이자 방송인이다.
  • 제이 필 최: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 최준: 1884년 출생, 1970년 사망. 기업인이자 자선가이다.
  • 최남선: 1890년 출생, 1957년 사망. 한국의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이다.
  • 소피아 최: 1971년 출생, 미국의 뉴스 방송인이다.
  • 최태민: 1912년 출생, 1994년 사망. 대한민국의 사이비 종교 지도자이다.
  • 최태원: 1960년 출생,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 최원식: 대한민국의 광학 물리학자이다.
  • 최광: 1918년 출생, 1997년 사망. 북한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최경환: 1955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최규하: 1919년 출생, 2006년 사망.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스티븐 최(Steven Choi): 1944년 출생, 미국의 정치인이다.
  • 최룡해: 1950년 출생, 북한의 정치인이자 군인이다.
  • 세르게이 초이(Sergey Tsoy): 1957년 출생, 러시아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이다.
  • 데이비드 초이(1976년 출생): 미국의 예술가이다.
  • 최용건: 1900년 출생, 1976년 사망. 북한 관료 및 정치인이다.
  • 최한: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 최혜선: 1998년 출생, 대한민국의 모델이다.
  • 크리스티 초이: 한국계 미국 영화 제작자이다.
  • 최성우: 1954년 출생,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 샤론 최: 대한민국의 통역사이자 영화 감독이다.
  • 최수진: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 수잔 최: 1969년 출생, 미국의 소설가이다.
  • 최원형: 1968년 출생,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참조

[1] 웹사이트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보도자료 http://www.kostat.go[...]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05-28
[2] 웹사이트 최 崔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9-18
[3] 웹사이트 최세진 崔世珍 http://www.encyber.c[...]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09-18
[4]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32〉최씨의 유래"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2-06-28
[5] 웹사이트 부천족보전문도서관 http://www.jokbo.re.[...]
[6] 웹사이트 『고려사』 권99, 열전12 https://terms.naver.[...]
[7] 웹사이트 『고려사』 권113, 열전26 https://terms.naver.[...]
[8] 웹사이트 『高麗史』 卷 九十五, 列傳 八 https://terms.naver.[...]
[9] 웹사이트 『고려사』 권92, 열전5 https://terms.naver.[...]
[10] 웹사이트 『고려사』 권129, 열전42, 반역3 https://terms.naver.[...]
[11] 웹사이트 『고려사』 권129, 열전42, 반역3 https://terms.naver.[...]
[12] 웹사이트 『高麗史』 卷 九十九, 列傳 十二 https://terms.naver.[...]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웹사이트 『高麗史』 卷 一百一, 列傳 十四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