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양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양시의 시내버스는 안양시 면허의 보영운수와 삼영운수 외에도 서울, 광명, 수원 등 인접 지역 면허의 버스들이 운행하며,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 안양시 면허의 버스는 삼영운수와 보영운수가 운행하며, 다양한 노선이 안양시와 인근 지역을 연결한다. 요금은 버스 종류와 연령에 따라 다르며, 수도권 전철 등 다른 교통 수단으로 환승 시 할인이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양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안양시의 교통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안양시의 시내버스
개요
지역경기도 안양시
구분시내버스
관리 기관안양시청 대중교통과
서비스 지역경기도 안양시
기타 지역서울특별시
경기도 군포시
경기도 광명시
경기도 과천시
경기도 의왕시
경기도 시흥시
노선수38
인가대수622
요금 및 지불
지불 수단현금, 교통카드
선불 카드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기타
웹사이트안양시 U-통합상황실 버스정보
안양시내버스 11-1번
안양시내버스 11-1번 (2019년 7월 1일 폐선)

2. 운수업체

2. 1. 안양시 면허

보영운수삼영운수는 안양시 면허 시내버스 노선을 운행한다.[1] 2021년 1월 기준으로, 보영운수는 12개 노선(일반좌석 1개, 시내일반 11개)에 217대(일반좌석 14대, 시내일반 203대)를 운행하고 있다. 삼영운수는 24개 노선(광역급행 1개, 시내일반 23개)에 393대(광역급행 8대, 시내일반 385대)를 운행한다. 이들 회사는 주로 안양시 내 বিভিন্ন 지역과 인근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2. 2. 타 지역 면허

안양시는 서울특별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의정부시, 양주시, 용인시, 화성시 등 다양한 지역의 면허를 가진 버스들이 경유하는 지역이다. 이들 버스는 안양시와 해당 지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3. 요금

안양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같이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표 (2019년 9월 28일 기준)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조조요금 (원)
일반시내
(DRT)
어른 (만 19세 이상)1,5001,4501,2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1001,010870
어린이 (만 6세 ~ 11세)800730630
일반좌석어른 (만 19세 이상)2,5002,4502,0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9001,8201,520
어린이 (만 6세 ~ 11세)1,7001,6401,370
직행좌석
(간선급행)
어른 (만 19세 이상)2,9002,8002,4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0001,9601,680
어린이 (만 6세 ~ 11세)2,0001,9601,680
경기순환어른 (만 19세 이상)3,1003,0502,6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2002,1401,820
어린이 (만 6세 ~ 11세)2,2002,1401,820
광역급행(M버스)어른 (만 18세 이상)2,9002,8002,300
청소년 (만 12세 ~ 17세)2,1002,0001,600
어린이 (만 6세 ~ 11세)1,6001,6001,300


3. 1. 요금 체계

안양시의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며, 버스 종류와 연령에 따라 요금이 다르다.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표 (2019년 9월 28일 기준)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조조요금 (원)
일반시내
(DRT)
어른 (만 19세 이상)1,5001,4501,2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1001,010870
어린이 (만 6세 ~ 11세)800730630
일반좌석어른 (만 19세 이상)2,5002,4502,0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9001,8201,520
어린이 (만 6세 ~ 11세)1,7001,6401,370
직행좌석
(간선급행)
어른 (만 19세 이상)2,9002,8002,4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0001,9601,680
어린이 (만 6세 ~ 11세)2,0001,9601,680
경기순환어른 (만 19세 이상)3,1003,0502,6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2002,1401,820
어린이 (만 6세 ~ 11세)2,2002,1401,820
광역급행(M버스)어른 (만 18세 이상)2,9002,8002,300
청소년 (만 12세 ~ 17세)2,1002,0001,600
어린이 (만 6세 ~ 11세)1,6001,6001,300


3. 2. 환승 할인

안양시의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기 때문에, 다른 지역 버스나 지하철로 환승할 때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2019년 9월 28일부터 요금이 조정되어, 일반시내버스의 경우 어른은 카드 기준으로 1,450원, 청소년은 1,010원, 어린이는 730원을 지불해야 한다. 현금으로 지불할 경우 이보다 약간 더 비싸다.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표 (2019년 9월 28일 기준)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조조요금 (원)
일반시내
(DRT)
어른 (만 19세 이상)1,5001,4501,2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1001,010870
어린이 (만 6세 ~ 11세)800730630
일반좌석어른 (만 19세 이상)2,5002,4502,0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9001,8201,520
어린이 (만 6세 ~ 11세)1,7001,6401,370
직행좌석
(간선급행)
어른 (만 19세 이상)2,9002,8002,4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0001,9601,680
어린이 (만 6세 ~ 11세)2,0001,9601,680
경기순환어른 (만 19세 이상)3,1003,0502,6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2002,1401,820
어린이 (만 6세 ~ 11세)2,2002,1401,820
광역급행(M버스)어른 (만 18세 이상)2,9002,8002,300
청소년 (만 12세 ~ 17세)2,1002,0001,600
어린이 (만 6세 ~ 11세)1,6001,6001,300


4. 운행 노선 목록

안양시 면허의 시내버스는 삼영운수보영운수에서 운행한다.

삼영운수는 포일숲속마을과 구로디지털단지역을 잇는 1번 버스(배차 간격 12~20분)를 운행하며, 인덕원역, 평촌역, 범계역, 명학역, 관악역, 석수역 등을 경유한다. 월암공영차고지와 사당역을 잇는 1-1번 버스(배차 간격 8~10분)는 의왕역, 갈뫼지구,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를 경유한다. 석수동공영차고지와 부곡중을 잇는 1-2번 버스(배차 간격 6~8분)는 안양1번가, 명학역, 의왕역을 경유하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1-5번 버스(배차 간격 18~25분)는 월암공영차고지에서 청계동(원터마을)까지 운행하며 의왕역, 갈뫼지구, 인덕원역을 거친다.

3번 버스(배차 간격 5~6분)는 평촌스마트스퀘어와 철산역을 연결하며 안양농수산물시장, 범계역, 광명역, 하안동을 지나고, 저상버스로 운행되며,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5번 버스(배차 간격 9~13분)는 월암공영차고지에서 영등포역까지 운행하며 의왕역, 명학역, 관악역,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을 경유한다. 5-2번 버스(배차 간격 10~15분)는 월암공영차고지에서 석수역(연현마을)까지 운행하며 의왕역, 평촌학원가, 범계역, 대림대학교를 지난다.

6번 버스(배차 간격 15~20분)는 충훈부에서 벌말초등학교까지 운행하며 안양역, 성결대학교, 범계역, 평촌역을 지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8번 버스(배차 간격 5~10분)는 석수공영차고지에서 고천까지 운행하며 안양1번가, 인덕원역, 군포역을 경유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8-1번 버스(배차 간격 6분)는 석수공영차고지에서 포일단지까지 운행하며 연성대학교, 안양1번가, 인덕원역을 경유한다. 8-2번 버스(배차 간격 15분)는 석수공영차고지에서 고천까지 운행하며 광명역, 명학역, 금정역, 한세대학교를 지난다.

9번 버스(배차 간격 8분)는 충훈부에서 출발해 시계반대방향으로 순환하며 서울대입구역, 신림역, 석수역을 경유한다. 9-3번 버스(배차 간격 9분)는 충훈부에서 출발해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며 관악역, 신림역, 사당역을 지나고, 전기버스로 운행한다. 20번 버스(배차간격 12~15분)는 송정지구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을 연결하며, 대야미역, 군포역, 금정역, 명학역, 관악역, 경인교육대학교후문을 지난다. 33번 버스(배차간격 25~30분)는 포일숲속마을과 롯데아울렛의왕점을 연결하며, 인덕원역, 평촌역, 범계역, 계원예술대학교를 지난다.

보영운수가 운행하는 10번 버스(배차 간격 6분)는 창박골과 고천을 연결하며 안양1번가, 범계역을 지나고 저상버스로 운행되며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11-2번 버스(배차 간격 8분)는 군포공영차고지에서 갯마을앞까지 운행하며 수리산역, 금정역, 인덕원역, 사당역, 이수역을 경유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11-3번 버스(배차 간격 6~10분)는 창박골에서 종합운동장역까지 운행하며 안양1번가, 인덕원역, 선바위역, 양재역, 삼성역을 지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11-5번 버스(배차 간격 6~15분)는 군포공영차고지에서 갯마을앞까지 운행하며 수리산역, 금정역, 범계역, 인덕원역, 사당역을 경유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15번 버스(배차 간격 6~10분)는 창박골에서 산본8단지까지 운행하며 안양1번가, 명학역, 금정역을 지난다. 15-1번 버스(배차 간격 10~15분)는 효성아파트(안양9동)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하며 새마을, 삼덕공원을 경유한다. 15-2번 버스(배차 간격 10~15분)는 창박골에서 롯데첨단소재까지 운행하며 안양1번가, 명학역, 금정역, 산본역을 지난다.

22번 버스(배차간격 8~10분)는 송정지구에서 청계지구를 연결하며 부곡지구, 한세대학교, 평촌역, 인덕원역을 지난다. 52번 버스(배차간격 10~15분)는 창박골에서 의왕보건소를 연결하며, 안양역, 평촌역을 지난다. 55번 버스(배차간격 20~25분)는 송정지구에서 범계역을 연결하며, 군포역, 금정역을 지난다.

삼영운수의 51번 버스(배차 간격 7분)는 갈뫼지구 대원아파트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까지 운행하며 계원예술대학교, 인덕원역, 대림대학교, 관악역, 석수역을 경유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52-1번 버스(배차간격 13~20분)는 송정지구에서 부안중학교를 연결하며, 의왕역, 평촌역을 지난다. 60번 버스(배차 간격 8~12분)는 군포공영차고지에서 동편마을까지 운행하며 군포역, 범계역을 지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60-1번 버스(배차 간격 12~17분)는 월암공영차고지에서 동편마을까지 운행하며 인덕원역을 경유한다.

80번 버스(배차 간격 10~15분)는 석수역(연현마을)에서 포일숲속마을까지 운행하며 관악역, 안양1번가, 인덕원역을 지난다. 81번 버스(배차 간격 10~15분)는 목감지구(시흥시)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한다. 83번 버스(배차 간격 25~30분)는 석수역(연현마을)에서 포일숲속마을까지 운행하며 관악역, 안양역, 평촌역, 인덕원역을 경유한다. 87번 버스(배차 간격 8~11분)는 백운사입구에서 금정역까지 운행하며 한세대학교, 산본역을 지나지만 안양시 구간은 운행하지 않는다. 88번 버스(배차 간격 5분)는 충훈부에서 산본4단지까지 운행하며 명학역, 금정역, 수리산역을 경유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보영운수의 917번 버스(배차 간격 15분)는 군포공영차고지에서 신사역까지 운행하며 수리산역, 금정역, 범계역, 인덕원역, 양재역, 강남역, 신논현역, 논현역을 지나고,전기버스를 운행한다.

삼영운수 M5333번 광역급행버스(배차 간격 12~25분)는 범계역에서 잠실역까지 운행하며 석수역, 수서역, 가락시장역, 송파역을 지나고 강남순환로양재대로를 경유한다. 화영운수 M5556번 광역급행버스(배차 간격 20~40분)는 석수3동행정복지센터에서 사당역까지 운행하며 석수역을 지나고 강남순환로를 경유한다.

4. 1. 안양시 면허 노선

안양시 면허 시내버스는 삼영운수보영운수에서 운행한다.

삼영운수는 포일숲속마을과 구로디지털단지역을 잇는 1번 버스(배차 간격 12~20분)를 운행하며, 인덕원역, 평촌역, 범계역, 명학역, 관악역, 석수역 등을 경유한다. 월암공영차고지와 사당역을 잇는 1-1번 버스(배차 간격 8~10분)는 의왕역, 갈뫼지구,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를 경유한다. 석수동공영차고지와 부곡중을 잇는 1-2번 버스(배차 간격 6~8분)는 안양1번가, 명학역, 의왕역을 경유하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1-5번 버스(배차 간격 18~25분)는 월암공영차고지에서 청계동(원터마을)까지 운행하며 의왕역, 갈뫼지구, 인덕원역을 거친다.

3번 버스(배차 간격 5~6분)는 평촌스마트스퀘어와 철산역을 연결하며 안양농수산물시장, 범계역, 광명역, 하안동을 지나고, 저상버스로 운행되며,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5번 버스(배차 간격 9~13분)는 월암공영차고지에서 영등포역까지 운행하며 의왕역, 명학역, 관악역,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을 경유한다. 5-2번 버스(배차 간격 10~15분)는 월암공영차고지에서 석수역(연현마을)까지 운행하며 의왕역, 평촌학원가, 범계역, 대림대학교를 지난다.

6번 버스(배차 간격 15~20분)는 충훈부에서 벌말초등학교까지 운행하며 안양역, 성결대학교, 범계역, 평촌역을 지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8번 버스(배차 간격 5~10분)는 석수공영차고지에서 고천까지 운행하며 안양1번가, 인덕원역, 군포역을 경유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8-1번 버스(배차 간격 6분)는 석수공영차고지에서 포일단지까지 운행하며 연성대학교, 안양1번가, 인덕원역을 경유한다. 8-2번 버스(배차 간격 15분)는 석수공영차고지에서 고천까지 운행하며 광명역, 명학역, 금정역, 한세대학교를 지난다.

9번 버스(배차 간격 8분)는 충훈부에서 출발해 시계반대방향으로 순환하며 서울대입구역, 신림역, 석수역을 경유한다. 9-3번 버스(배차 간격 9분)는 충훈부에서 출발해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며 관악역, 신림역, 사당역을 지나고, 전기버스로 운행한다. 20번 버스(배차간격 12~15분)는 송정지구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을 연결하며, 대야미역, 군포역, 금정역, 명학역, 관악역, 경인교육대학교후문을 지난다. 33번 버스(배차간격 25~30분)는 포일숲속마을과 롯데아울렛의왕점을 연결하며, 인덕원역, 평촌역, 범계역, 계원예술대학교를 지난다.

보영운수가 운행하는 10번 버스(배차 간격 6분)는 창박골과 고천을 연결하며 안양1번가, 범계역을 지나고 저상버스로 운행되며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이다. 11-2번 버스(배차 간격 8분)는 군포공영차고지에서 갯마을앞까지 운행하며 수리산역, 금정역, 인덕원역, 사당역, 이수역을 경유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11-3번 버스(배차 간격 6~10분)는 창박골에서 종합운동장역까지 운행하며 안양1번가, 인덕원역, 선바위역, 양재역, 삼성역을 지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11-5번 버스(배차 간격 6~15분)는 군포공영차고지에서 갯마을앞까지 운행하며 수리산역, 금정역, 범계역, 인덕원역, 사당역을 경유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15번 버스(배차 간격 6~10분)는 창박골에서 산본8단지까지 운행하며 안양1번가, 명학역, 금정역을 지난다. 15-1번 버스(배차 간격 10~15분)는 효성아파트(안양9동)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하며 새마을, 삼덕공원을 경유한다. 15-2번 버스(배차 간격 10~15분)는 창박골에서 롯데첨단소재까지 운행하며 안양1번가, 명학역, 금정역, 산본역을 지난다.

22번 버스(배차간격 8~10분)는 송정지구에서 청계지구를 연결하며 부곡지구, 한세대학교, 평촌역, 인덕원역을 지난다. 52번 버스(배차간격 10~15분)는 창박골에서 의왕보건소를 연결하며, 안양역, 평촌역을 지난다. 55번 버스(배차간격 20~25분)는 송정지구에서 범계역을 연결하며, 군포역, 금정역을 지난다.

삼영운수의 51번 버스(배차 간격 7분)는 갈뫼지구 대원아파트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까지 운행하며 계원예술대학교, 인덕원역, 대림대학교, 관악역, 석수역을 경유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52-1번 버스(배차간격 13~20분)는 송정지구에서 부안중학교를 연결하며, 의왕역, 평촌역을 지난다. 60번 버스(배차 간격 8~12분)는 군포공영차고지에서 동편마을까지 운행하며 군포역, 범계역을 지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60-1번 버스(배차 간격 12~17분)는 월암공영차고지에서 동편마을까지 운행하며 인덕원역을 경유한다.

80번 버스(배차 간격 10~15분)는 석수역(연현마을)에서 포일숲속마을까지 운행하며 관악역, 안양1번가, 인덕원역을 지난다. 81번 버스(배차 간격 10~15분)는 목감지구(시흥시)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한다. 83번 버스(배차 간격 25~30분)는 석수역(연현마을)에서 포일숲속마을까지 운행하며 관악역, 안양역, 평촌역, 인덕원역을 경유한다. 87번 버스(배차 간격 8~11분)는 백운사입구에서 금정역까지 운행하며 한세대학교, 산본역을 지나지만 안양시 구간은 운행하지 않는다. 88번 버스(배차 간격 5분)는 충훈부에서 산본4단지까지 운행하며 명학역, 금정역, 수리산역을 경유하고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보영운수의 917번 버스(배차 간격 15분)는 군포공영차고지에서 신사역까지 운행하며 수리산역, 금정역, 범계역, 인덕원역, 양재역, 강남역, 신논현역, 논현역을 지나고,전기버스를 운행한다.

삼영운수 M5333번 광역급행버스(배차 간격 12~25분)는 범계역에서 잠실역까지 운행하며 석수역, 수서역, 가락시장역, 송파역을 지나고 강남순환로양재대로를 경유한다. 화영운수 M5556번 광역급행버스(배차 간격 20~40분)는 석수3동행정복지센터에서 사당역까지 운행하며 석수역을 지나고 강남순환로를 경유한다.

4. 2. 군포시 면허 노선

보영운수 3030번(직행좌석버스)은 군포공영차고지에서 신사역까지 운행하며, 수리산역, 군포시청, 군포문예회관, 금정역, 명학초교, 범계역, 샛별단지,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선바위역, 양재역, 강남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0분이다.

경기고속 6501번(직행좌석버스)은 부곡공영차고지에서 강남역까지 운행하며, 부곡지구, 용호고교, 산본역, 군포문예회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선바위역, 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분이다.

4. 3. 서울특별시 면허 노선

안양시를 경유하는 서울특별시 면허 시내버스는 다음과 같다.

}

| 동아운수

| 화계사경인교육대학교 안양캠퍼스

| 삼양동, 성신여대입구역, 성북구청, 동묘앞역, 동대문역, 을지로4가역, 을지로입구역, 서울역, 신용산역, 노들역, 노량진역, 신대방3, 신림역, 미림고개

| 3~8

| 저상버스 운행

|-

|

| 우신버스

| 월암공영차고지 ↔ 신사역

| 고천동, 호계4,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선바위역, 양재역, 강남역, 신논현역, 논현역

| 4~15

| 저상버스 운행

|-

|

| 우신버스

| 월암공영차고지 ↔ 한국은행

| 고천동, 호계4,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사당역, 이수역, 이촌역, 용산역, 삼각지역, 서울역, 시청역

| 6~15

| 상행 서빙고역 경유, 저상버스 운행

|-

|

| 우신버스

| 군포공영차고지 ↔ 서울성모병원

| 수리산역, 산본주공3·2·1단지, 군포경찰서, 호계4,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사당역, 구반포역, 고속터미널역

| 4~15

| 저상버스 운행

|-

|

| 우신버스

| 군포공영차고지 ↔ 강남역

| 수리산역, 군포문예회관, 금정역, 비산4,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선바위역, 우면지구, 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

| 12~20

| 저상버스 운행

|-

|

| 우신버스

| 군포공영차고지 ↔ 사당역

| 수리산역, 산본주공3·2·1단지, 군포시청, 산본시장, 금정역, 명학역, 안양1번가, 안양예술공원, 관악역, 석수역, 신림역, 서울대입구역

| 4~14

| 저상버스 운행

|-

|

| 군포교통

| 군포공영차고지 ↔ 노들역

| 군포역, 금정역, 명학역, 안양1번가, 관악역,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 보라매역, 공군호텔, 노량진역

| 4~10

| 저상버스 운행

|-

|

| 군포교통

| 군포공영차고지 ↔ 여의도환승센터

| 당동주공A, 산본공고, 군포문예회관, 산본시장, 금정역, 명학역, 안양1번가, 관악역,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 보라매역, 공군호텔, 여의도역

| 4~10

| 저상버스 운행

|-

|

| 서울매일버스

| 비산동 ↔ 영등포역

| 안양종합운동장, 비산4, 대림대학교, 안양예술공원, 관악역,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 신풍역, 신길역

| 7~12

| 저상버스 운행

|-

|

| 서울매일버스

| 비산동 ↔ 온수동

| 안양종합운동장, 비산4, 안양1번가, 안양예술공원, 관악역, 석수역, 독산고개, 남구로역, 구로구청, 구로역, 동양미래대학교, 개봉4, 오류동역, 온수역

| 6~15

| 저상버스 운행

|-

|

| 서울매일버스

| 비산동 ↔ 신촌기차역

| 안양종합운동장, 비산4, 대림대학교, 안양예술공원, 관악역,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 신풍역, 영등포공원, 여의나루역, 광흥창역, 신촌역(지하)

| 5~14

| 저상버스 운행

|-

|

| 관악교통

| 양천공영차고지 ↔ 경인교육대학교 안양캠퍼스

| 서부트럭터미널, 고척시장, 구일역, 구로역, 신도림역, 영등포역, 신길역, 대방역, 동작구청, 신대방3, 신림역, 서울대입구역, 서울대학교, 대학동고시촌

| 4~8

| 저상버스 운행

|}

4. 4. 수원시 면허 노선

수원시 면허 노선 중 안양시를 경유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운행 업체운행 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
{{llang|ko|152|}
노선 번호운행 업체운행 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
64수원여객동탄공영차고지 ↔ 안양역명학역15~19
300
일반좌석
삼경운수하북리(진위) ↔ 범계역고천동, 호계48
301성우운수하북리(진위) ↔ 범계역고천동, 호계47
777용남고속수원역사당역고천동, 호계4, 안양농수산물시장, 인덕원역5~7
900성우운수경희대학교 ↔ 보라매공원고천동, 호계4, 범계4, 비산4, 대림대학교, 안양예술공원, 관악역10
2007
직행좌석
삼경운수수원역단대오거리역의왕요금소, 청계요금소10
3000
직행좌석
경진여객수원여자대학교강남역의왕요금소11
3003
직행좌석
용남고속수원여자대학교강남역의왕요금소20
7000
직행좌석
용남고속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 사당역의왕요금소14
7001
직행좌석
용남고속수원터미널사당역의왕요금소20
7002
직행좌석
용남고속수원남부공영차고지(곡반정동) ↔ 인덕원역청계동60
7770
직행좌석
경진여객수원역사당역의왕요금소3~7평일 24시간 운행 (평일 기준 새벽 시간대 10분, 심야 시간대는 20~30분 간격)
7780
직행좌석
경진여객수원여자대학교사당역의왕요금소13
7800
직행좌석
경진여객수원여자대학교사당역의왕요금소25


4. 5. 성남시 면허 노선

대원버스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성남시 면허 노선 중 일부는 안양시를 경유한다. 103번 버스는 도촌동에서 출발하여 사당역까지 운행하며, 야탑역, 판교동, 청계동, 인덕원역을 경유한다. 333번 직행좌석버스는 사기막골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하며, 단대오거리역, 모란역, 청계요금소, 범계역을 거친다. 3330번 직행좌석버스는 도촌동에서 안양역 사이를 운행하며, 야탑역, 판교역, 청계요금소, 범계역을 경유한다. 3500번 직행좌석버스는 오리역에서 경기외국어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서현역, 판교역, 청계요금소, 산본역을 지난다. 8106번 경기순환버스는 오리역송내역 사이를 운행하며, 정자역, 서현역, 판교역, 청계요금소, 시흥요금소를 경유한다.

4. 6. 부천시 면허 노선

소신여객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 G8808번은 부천터미널 소풍에서 안양 (범계역)까지 운행한다. 주요 경유지는 복사골문화센터, 반달마을, 송내역, 시흥요금소, 광명역, 대동문고, 남부시장, 비산사거리이다. 배차 간격은 30~40분이다.

4. 7. 안산시 면허 노선

경원여객이 운행하는 안산시 면허 노선 중에는 안양시를 경유하는 노선이 있다. 31-7번 버스는 호계동과 부천역차고지를 오가며 금정역, 명학역, 안양1번가를 경유한다. 350번 버스는 호계동과 오이도해양단지를 연결하며 명학역, 안양1번가를 지난다. 8407번 경기순환버스는 호계동차고지에서 출발하여 킨텍스까지 운행하며, 범계역, 비산4, 안양1번가를 경유한다.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는 3100번, 3101번, 5609번 버스가 있다. 3100번과 3101번 버스는 신안산대학교에서 출발하여 강남역까지 운행하며, 각각 의왕요금소와 군포역, 산본역을 경유하여 안양시를 지나간다. 5609번 버스는 그랑시티자이A에서 출발하여 여의도환승센터까지 운행하며, 석수역을 경유한다.

이 외에도 50번 버스가 그랑시티자이A와 광명역 사이를 운행하며 범고개를 경유한다.

4. 8. 광명시 면허 노선

화영운수자경마을버스에서 운행하는 광명시 면허 노선 중 일부는 안양시를 경유한다.

노선
번호
운행업체운행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1-1
마을버스
자경마을버스광명역 ↔ 관악역환경사업소, 석수시장30마을버스
2화영운수은계지구 ↔ 안양역옥길지구, 천왕동, 광명사거리역, 광명시청, 철산역, 하안동, 소하동, 박달동8광명 면허
11화영운수광명돔경륜장 ↔ 안양역개봉역, 광명사거리역, 노온사동, 가학동, 박달동15광명 면허
12화영운수중앙하이츠A ↔ 안양역광명사거리역, 광명시청, 철산역, 하안동, 소하동, 광명역, 박달동8광명 면허
101화영운수광명7동차고지 ↔ 석수역광명사거리역, 철산2동, 광명시청, 철산역, 광명경찰서, 철산초교, 하안주공2·9단지, 소하동, 기아대교6~8광명 면허
3001
직행좌석
화영운수광명역 ↔ 송도유원지소하동, 석수역, 제2경인고속도로, 쌍용A, 신기시장, 인하대학교15~25광명 면허
3002
직행좌석
화영운수광명역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소하동, 석수역, 제2경인고속도로, 연수병원, 인천여고, 효정A, 송도환승센터, 인천대입구역20~30광명 면허
G9633
직행좌석
보영운수석수공영차고지 ↔ 양재역광명역, 서초구청, 양재시민의숲역15~20광명 면허


4. 9. 김포시 면허 노선

선진상운에서 운행하는 388번 버스는 한강신도시에서 석수역까지 운행한다. 이 노선은 하늘빛마을, 김포제일고교, 전원마을, 걸포동, 풍년마을, 고촌, 개화역, 송정역, 마곡역, 서부트럭터미널, 개봉역, 시흥대로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5분이며, 김포 면허 노선이다.

4. 10. 시흥시 면허 노선

시흥교통에서 운행하는 32번, 5601번, 5602번 버스가 안양시를 경유한다. 32번 버스는 호계동에서 월곶까지 운행하며 명학역, 안양1번가, 박달동, 범고개, 목감동, 목감지구, 물왕저수지, 연성동, 시흥시청역, 능곡지구, 시흥능곡역, 장현지구, 장곡동을 경유하고, 배차 간격은 30~40분이다. 5601번 버스는 능곡동에서 금천구청역까지 운행하며 시흥능곡역, 장현지구, 장곡동, 시흥시청역, 물왕저수지, 목감지구, 목감동, 석수역을 경유하고, 배차 간격은 15~40분이다. 5602번 버스는 이마트 시화점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까지 운행하며 경기스마트고, 시흥푸르지오6차A, 거모동, 군자동, 능곡지구, 시흥시청역, 연성동, 물왕저수지, 목감동, 석수역을 경유하고, 배차 간격은 15~35분이다.

노선 번호운행 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32호계동 ↔ 월곶명학역, 안양1번가, 박달동, 범고개, 목감동, 목감지구, 물왕저수지, 연성동, 시흥시청역, 능곡지구, 시흥능곡역, 장현지구, 장곡동30~40분
5601능곡동 ↔ 금천구청역시흥능곡역, 장현지구, 장곡동, 시흥시청역, 물왕저수지, 목감지구, 목감동, 석수역15~40분
5602이마트 시화점 ↔ 구로디지털단지역경기스마트고, 시흥푸르지오6차A, 거모동, 군자동, 능곡지구, 시흥시청역, 연성동, 물왕저수지, 목감동, 석수역15~35분


4. 11. 화성시 면허 노선

화성시 면허 노선 중 안양시를 경유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운행 업체운행 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
330제부여객제부도입구 ↔ 금정역송산면, 남양읍, 비봉면, 반월역, 대야미, 군포역15화성 면허
340-1제부여객향남택지지구 ↔ 금정역팔탄면, 대야미, 군포역30화성 면허, 국도 제39호선(서해로) 직통
340-2제부여객향남택지지구 ↔ 금정역팔탄면, 대야미, 군포역30화성 면허, 국도 제39호선(서해로) 직통
1002
직행좌석
제부여객제부도입구 ↔ 사당역서신, 사강, 남양 우림아파트, 의왕요금소60~90화성 면허
1006
직행좌석
경진여객수원대학교강남역봉담휴먼빌, 동화초중교, 봉담2LH단지, 의왕요금소, 선바위역, 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40~80화성 면허
1008
직행좌석
제부여객현대기아연구소 ↔ 사당역화성시청, 비봉면, 매송면, 의왕요금소60화성 면허
1009
직행좌석
대원고속수원대학교잠실역권선구청, 화서역, 노송마을, 의왕요금소, 청계요금소, 성남요금소, 장지역, 송파역25화성 면허
3102
직행좌석
경원여객송산그린시티 ↔ 강남역그랑시티자이A, 사동푸르지오A, 한양대학교(안산), 상록수역, 의왕요금소, 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30화성 면허
7200
직행좌석
경진여객동탄2신도시인덕원역동탄역, 예당고교, 삼성전자중앙문, 광교중앙역20~40화성 면허
7790
직행좌석
경진여객협성대학교사당역봉담읍, 수원대학교, 수영리, 의왕요금소, 관문430화성 면허
8000
직행좌석
경진여객협성대학교금정역봉담읍, 수원대학교, 호매실, LG빌리지,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성균관대역, 고천동, 한세대학교, 군포역50~60화성 면허


4. 12. 광주시 면허 노선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65번 버스는 광교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안양역까지 운행한다. 흥덕지구, 아주대입구, 성빈센트병원, 팔달문, 장안문, 만석공원, 이목동, 동원고교, 고천동, 안양국제유통단지, 명학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10분이다. 이 노선은 경기광주 면허로 운행된다.

4. 13. 의정부시 면허 노선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8401번과 8409번 경기순환버스는 의정부시 면허로, 안양시를 경유한다. 8401번 버스는 경기도청북부청사와 수원역 사이를 운행하며, 의정부역, 장암역,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불암산, 구리, 성남, 청계요금소,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의 의왕요금소를 경유한다. 평일에는 6회, 주말에는 2회 운행한다. 8409번 버스는 경기도청북부청사와 수원역 사이를 운행하며, 의정부역, 장암역,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불암산요금소, 구리역,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구리, 성남, 청계요금소,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의 의왕요금소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60분이다.

4. 14. 용인시 면허 노선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1303번 직행좌석 버스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에서 출발하여 안양역까지 운행하며, 단국대학교(죽전), 정자역, 판교신도시, 청계동, 인덕원역, 범계역, 명학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분이다.

평택버스에서 운행하는 7007-1번 직행좌석 버스는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에서 출발하여 여의도까지 운행하며, 죽전역, 오리역, 서현역, 판교역, 청계요금소, 정부과천청사, 사당역, 이수역, 63빌딩, 여의도역, 국회의사당역을 거쳐 여의도공원, 여의나루역까지 운행한다. 배차 간격은 30~60분이다.

4. 15. 구리시 면허 노선

경기여객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 노선인 1650번은 구리수택차고지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한다. 강변북로, 강변역, 잠실역, 장지역,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성남요금소와 청계요금소를 경유하며, 범계사거리와 비산사거리를 지난다. 배차 간격은 8~15분이다. 이 노선은 구리시 면허로 운행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