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그랜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아 그랜버드는 기아에서 생산하는 대형 버스 모델로, 1994년 아시아자동차에서 AM948/AM949 그랜버드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어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다. 1세대 모델은 1994년부터 2007년까지, 2세대는 2007년부터 202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2020년에는 3세대 모델이 출시되었다. 그랜버드는 다양한 모델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공항버스, 시내/광역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운용되고 있다. 경쟁 차종으로는 현대 유니버스와 자일대우 BX/FX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자동차의 차종 - 기아 타우너
기아 타우너는 다이하쓰 하이젯을 기반으로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 판매된 경상용차로, 트럭과 코치 모델이 있었으며 배기가스 규제 미달로 단종 후 재출시되어 현재는 전기차 모델 개발도 진행 중이다. - 아시아자동차의 차종 - 아시아 록스타
아시아 록스타는 1990년 아시아자동차공업에서 출시한 민수용 지프형 자동차이며, K111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높은 등판 능력과 험로 주파 능력을 갖췄지만, 좁은 실내 공간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 1994년 도입된 자동차 - 토요타 RAV4
토요타 RAV4는 1994년 첫 출시 이후 다섯 세대에 걸쳐 생산되고 있는 콤팩트 SUV로, 전륜구동과 사륜구동 모델을 제공하며 가솔린, 디젤,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과 여러 차명으로 판매되고 일부는 테슬라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전기차 모델로도 출시되었다. - 1994년 도입된 자동차 - 아우디 A8
아우디 A8은 1994년부터 생산된 아우디의 플래그십 세단으로, 알루미늄 차체 기술인 아우디 스페이스 프레임(ASF)을 적용하여 경량화와 높은 강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며 메르세데스-벤츠 S 클래스, BMW 7 시리즈 등과 경쟁한다. - 버스 차종 - 쌍용 트랜스타
쌍용 트랜스타는 쌍용자동차가 메르세데스-벤츠 O-404 버스를 개량하여 1994년에 출시한 대형 버스로, 혁신적인 특징과 해외 시장에서의 품질 인정에도 불구하고 1998년 경영난으로 단종되었다. - 버스 차종 - 토요타 코스터
토요타 코스터는 토요타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미니버스로, 1969년 다이나 플랫폼 기반으로 출시되어 현재 4세대까지 다양한 좌석 구성과 엔진 옵션을 제공하며 대중교통, 스쿨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기아 그랜버드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기아 그랜버드 |
영어 | KIA Granbird |
다른 이름 | 기아 그랜버드 로얄 기아 슈퍼 그랜버드 기아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
제조사 | 기아 |
생산 기간 | 1994년–현재 |
차종 | 상용차 |
차체 스타일 | 고상 버스 |
문 개수 | 1 |
승차 방식 | 스텝 엔트런스 |
조립 공장 | 화남 공장, 광주, 대한민국 |
관련 차종 | 현대 유니버스 |
레이아웃 및 크기 | |
구동 방식 | 후방 엔진, 후륜 구동 |
휠베이스 | 5800 mm 6150 mm 6640 mm |
전장 | 11650 mm 12000 mm 12490 mm |
전폭 | 2495 mm |
전고 | 3435 mm 3555 mm |
파워트레인 | |
엔진 | D6AB, D6AC, D6HA, D6CA, D6CB, D6CC, D6CD, D6CG |
변속기 | 5/6단 수동 변속기(ZF) 6단 자동 변속기(ZF) |
역사 | |
이전 모델 | 기아 AM938AT 기아 AM939EF |
출시 | 1994년 8월 |
2. 역사
1994년, 기아는 현대 에어로 및 대우 BH 시리즈와 경쟁하기 위해 그랜버드를 출시했다. 이 세대는 직분사 디젤 엔진만 탑재하여 판매되었다.[5][6]
2007년에는 2세대 그랜버드가 파크웨이 모델로 출시되었다. 그랜버드와 현대 유니버스는 상용차 전용 섀시를 공유했다. 2011년에 1차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실크로드는 2015년 서울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2020년 5월 14일 공개된 3세대 기아 그랜버드는 현대자동차의 페이스리프트된 현대 유니버스와 공유하는 현대 상용차 전용 섀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슈퍼 프리미엄 선샤인 및 슈퍼 프리미엄 파크웨이 트림으로 제공된다. 대형 풀 컬러 계기판과 대형 터치스크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실내에는 새로운 평면 TV가 장착되었다. 슈퍼 프리미엄 선샤인 및 슈퍼 프리미엄 파크웨이 버전에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기본으로 장착된다. 실내 높이가 80mm 증가했으며, 실내 상단 좌우 폭이 120mm 확장되었다.[18]
동급 최초로 전방 하부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경고음을 울리는 전방 주차 보조 장치, 안전 사양 작동 시 진동을 통해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는 스티어링 햅틱, 문이 닫힐 때 사람이나 물체가 끼이는 경우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문을 열어주는 기능이 적용되었다. 또한, 주 출입구 터치 센서, 공기역학적 성능 향상을 위해 차량 속도에 따라 차량 높이를 조절하는 속도 감응형 차고 조절 장치 등이 적용되었다.[18]
3세대 코치의 파워트레인은 파워텍 12.7리터 현대 D6CG(유로 6)(440ps) 디젤 엔진과 수동 및 자동 변속기가 결합되었다.
2. 1. 1세대 (1994년 8월 ~ 2007년 11월)
1994년 8월, 아시아자동차는 AM948/AM949 그랜버드를 출시했다. 히노 세레가 1세대 FD/FS 플랫폼을 기반으로 했지만, 엔진과 플랫폼을 제외하고는 독자적인 디자인을 채택하여 1995년 대한민국 상용차 최초로 굿 디자인(Good Design)상 및 SD(Successful Design) 상을 받았다.[5] 초기에는 히노의 V형 8기통 EF750[5], F17E[6] 엔진을 사용했으나, 기아가 현대자동차그룹에 인수된 이후에는 현대자동차의 Q엔진이나 파워텍 엔진으로 변경되었다.1997년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전륜과 앞문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고 유선형 대시보드가 적용되었다. 2002년 월드컵에서 사용되었다.
2004년에는 일부 모델에 "슈퍼"라는 이름이 붙어 슈퍼 그린필드, 슈퍼 파크웨이, 슈퍼 프리미엄 선샤인이 되었다.
2. 1. 1. 그랜버드 미니
1995년 서울 모터쇼에서 '뉴 코스모스'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이후 2002년 서울 모터쇼에서 '그랜버드 미니'라는 이름으로 다시 출품되었으나, 제조사 사정으로 인해 실제 출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모델은 전장 9m의 미디엄급 버스로, BH090 로얄스타와 같은 크기였다.[2]2. 1. 2. 그랜버드 살룬
1995년 서울 모터쇼에서 슈퍼 하이데커 사양 컨셉트카로 출품되었으나, 국내 실정에 맞지 않아 판매되지 않았다.2. 1. 3. 그랜버드 시티
1997년 직행좌석버스용으로 시험 생산된 11.5m 모델이다. 그랜버드 그린필드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1996년 당시 에어로 스페이스 LS와 BH115H 로얄 익스프레스의 경쟁 모델로, 에어 서스펜션, 하부 개폐창, 스윙도어가 기본 적용되었으며 통유리 옵션은 선택할 수 없었다.[8] AV 시스템, 화물 적재함, 선반은 없었고, 리클라이닝[9]이 불가능한 시트,[10] 요금통 및 하차벨을 설치한 저가형 모델이었다. 일본 히노자동차 V8 EF750 엔진을 사용하여 타사 동급 모델 대비 연비가 낮아 시내버스 회사에서는 거의 도입하지 않았다. 대한민국에서는 한남운수에서만 50번, 51번, 129번, 129-1번 등 일부 노선에 10여 대를 도입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단종되었다. 후속 차종은 그랜버드 블루스카이를 기반으로 한 뉴그랜버드 멀티다.2. 1. 4. 모델 라인업 (SD1, SD2, HD)
'''SD1 "그린필드"'''1997년 8월에 출시된 11.5m 스탠더드 데크 최하급 모델이다. 주로 시외버스 업체들이 많이 도입했으며, 2004년에 SD1 슈퍼 그린필드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총 299대가 생산되었다.[5]
'''SD2 "파크웨이"'''
1997년 마이너 체인지 때 처음으로 등장한 12m 스탠더드 데크 모델이다. 경쟁 차종[11]보다 많은 수가 생산되었다. 파워텍 엔진을 필수로 장착하였으며, 대부분의 시외버스나 관광버스 회사들이 도입하였다. 2002년에 SD2 슈퍼 파크웨이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HD "마일드브리즈/블루스카이/선샤인"'''
12m 하이데크급 모델이다. 삼화고속, 동부익스프레스를 제외한 모든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 고속버스 회사들이 운용하였다. 신형 슈퍼 프리미엄 선샤인 모델도 많이 도입되었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 시외버스에도 일부 있었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 시외버스에 해당 모델을 보유했던 회사는 강원고속, 경원여객, 천일여객, 진흥고속, 한양고속, 충남고속, 광신고속, KD운송그룹(경기고속)[12]등이 있다. 관광버스 업체에도 인기가 많았다. 뉴 그랜버드 선샤인으로 풀체인지된 후 단종되었으나, 13년 만에 3세대 그랜버드부터는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이라는 명칭을 붙이게 되어, 3세대 그랜버드 선샤인에도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선샤인'이라고 다시 명칭이 붙게 되었다.
2. 2. 2세대 (2007년 11월 ~ 2020년)
2007년 11월 뉴 그랜버드가 출시되었다. 기존 410마력 Q 엔진 대신 H 엔진(425마력)을 탑재했다. 변속기는 현대다이모스 5단/ZF 6단 수동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으며, 2015년 유로6 모델 출시와 함께 자동변속기 옵션이 추가되었다. 차량 시트는 현대자동차에서 사용하는 한일내장 시트와 자일대우버스에서 사용하는 명보기업 시트 중 선택 가능하며, 기본은 명보기업 시트이다.2010년 부분 변경 모델인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이 공개되었고, 9월 20일 정식 출시되었다. HD급은 외장이, SD급과 HD급은 내장이 변경되었다. 2012년 7월부터 CD 오디오, 프런트 가니시 및 메인도어 시스템 개선, 전 좌석 승용형 ELR 시트벨트 및 출입문 부저음이 추가된 2013년형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이 출시되었다.
2014년 12월과 2015년 유로 6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하여 엔진을 H430, 파워텍 440PS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를 추가했다. 또한, 사이드 마커램프, LED 포그램프 및 LED DRL 적용, 내관 변경, 후진 경고음이 추가된 2015년형이 출시되었다.
2017년 긴급제동 시스템(AEBS)과 차선이탈방지 시스템(LDWS)이 추가되었다. 2019년부터 우등시트에 3점식 안전벨트가 적용되었고, H엔진 한정으로 ZF 아스트로닉 12단 AMT 대신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가 옵션으로 추가되었다. ZF 6단 자동변속기는 기어박스에 달리는 버튼식이며, 엔진 종류와 관계없이 선택 가능하다. 2020년 7월 풀체인지 모델인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이 출시되어 단종되었다.
2. 2. 1. 모델 라인업
- 뉴 그랜버드 "그린필드": 11.6m 스탠더드 데크급 최하위 모델이다. 2007년 11월 뉴 그랜버드로 변경되면서 슈퍼 그린필드를 뉴 그랜버드 그린필드로 업그레이드했다.[13] 2010년 운전석 등에 약간의 변경이 있었고, 2012년 7월 크롬 가니쉬가 부착되었다. 2013년 12월부터 주문 제작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2014년 12월과 2015년 유로 6 배기가스 규제 강화에 대비하여 엔진을 H430, 파워텍 440PS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를 추가했으며, 사이드 마커램프 적용 및 차량 외관과 내관을 대폭 변경한 2015년형이 출시되었다.
- 뉴 그랜버드 "파크웨이": 12m 스탠더드 데크급 모델이다. 2007년 뉴 그랜버드로 변경되면서 슈퍼 파크웨이를 뉴 그랜버드 파크웨이로 업그레이드했다.[14] 대부분의 관광버스와 시외버스 회사가 뉴 그랜버드 파크웨이를 주로 도입하며, 2010년 운전석 등에 약간의 변경이 있었고, 2012년 7월 크롬 가니쉬가 부착되었다. 2014년 12월과 2015년 유로 6 배기가스 규제 강화에 대비하여 엔진을 H430, 파워텍 440PS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를 추가했으며, 사이드 마커램프 적용 및 차량 외관과 내관을 대폭 변경한 2015년형이 출시되었다.
- 뉴 그랜버드 "블루스카이": 12.5m 스탠더드 데크급 모델이다. 2009년 출시되었으며, 페이스리프트 이전의 "블루스카이" 모델은 12m 하이데크급 41/45석 일반고속 모델이었다. 2010년 운전석 등에 약간의 변경이 있었고, 2012년 7월 크롬 가니쉬가 부착되었다.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첫 1호차를 도입했으며, 공항리무진, 금아리무진 등 일부 시외버스, 공항버스 업체에서 이 차량을 도입하였다. 2014년 12월과 2015년 유로 6 배기가스 규제 강화에 대비하여 엔진을 H430, 파워텍 440PS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를 추가했으며, 사이드 마커램프 적용 및 차량 외관과 내관을 대폭 변경한 2015년형이 출시되었다. 2015년 11월 광역버스용 모델인 멀티가 출시되었으며,[15] 인천 신강교통이 전국 광역버스 업체 중 유일하게 출고하였다.
- 뉴 그랜버드 "선샤인": 12m 하이데크급 모델이다. 2007년 11월 뉴 그랜버드로 변경되면서 슈퍼 프리미엄을 선샤인으로 변경하였으며, 2010년 차량 전면 램프 디자인 변경, 리어 유리창 밑에 블랙 쉐도우 장착 등 약간의 변경을 거쳤다.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 회사([대원고속]], 코리아와이드 경북 제외)에서 볼 수 있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 고속버스인 시외버스에도 일부 있다. KAL 리무진, 대한여객 등이 있고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 업체는 실크로드 대신 선샤인이 인기가 많다. 2014년 12월과 2015년 유로 6 배기가스 규제 강화에 대비하여 엔진을 H430, 파워텍 440PS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를 추가했으며, 사이드 마커램프 적용 및 차량 외관과 내관을 대폭 변경한 2015년형이 출시되었다. 2019년 1월 프리미엄 사양이 추가되었다.[16] 2019년 말 동양고속이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를 적용한 선샤인을 첫 도입했다.
- 뉴 그랜버드 "실크로드": 2007년 11월 그랜버드 풀 모델 체인지와 함께 등장한 대한민국 최초의 12.49m 장축형 하이데크급 모델이다. 홈페이지에는 12.5m로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 길이는 12.49m이다. 2010년 차량 전면 램프 디자인 변경, 리어 유리창 밑에 블랙 쉐도우 장착 등 약간의 변경을 거쳤다. 주로 관광버스, 회사 통근 차량으로 많이 이용된다. 2013년 5월 동양고속에서 일반고속으로 처음 도입하였고, 2013년 10월 중앙고속에서 대한민국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 두 번째 업체로 우등고속버스를 출고하였다. 2014년 12월과 2015년 유로 6 배기가스 규제 강화에 대비하여 엔진을 H430, 파워텍 440PS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를 추가했으며, 사이드 마커램프 적용 및 차량 외관과 내관을 대폭 변경한 2015년형이 출시되었다. 2017년 실크로드를 기반으로 하는 프리미엄 고속버스 모델이 출시되었다. 프리미엄 골드 익스프레스라고 불리지만 실제로는 실크로드로만 모델명이 나온다. 2016년 11월 프리미엄 고속버스 운행을 앞두고 전력 관련 과부하 결함이 발견되어 2017년 2월로 출시가 연기되었으며, 2017년 2월 23일 전세버스 업체에 인도된 것을 시작으로 실크로드 프리미엄형 정식 판매를 시작했다.
2. 3. 3세대 (2020년 ~ 현재)
2020년 5월 14일, 기아는 2세대 그랜버드 출시 이후 13년 만에 3세대 모델인 뉴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을 공개했다. 실내 공간은 높이가 80mm, 상단 좌우 폭이 120mm 확대되었다. 전방 주차 보조 장치, 스티어링 햅틱, 주출입문 터치 센서, 속도 감응형 차고 조절 장치 등 다양한 안전 및 편의 사양이 새롭게 적용되었다. 또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운전자 주의 경고(DAW), 연료 탱크 보호 차체 구조, 화재 소화 장치, 비상문 및 비상 탈출구 등도 적용되어 안전성이 향상되었다.[18]실내 디자인의 경우 10.25인치 내비게이션, 핸들 리모컨, 아날로그 시계 등이 적용되었다. ZF 6단 자동변속기는 현대 유니버스와 마찬가지로 컬럼식 로터리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8]
2020년 말에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좌석 간 항균 커튼 등 비대면 사양을 갖춘 '그랜버드 프라이버시 31'이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독립 우등시트를 적용하여 탑승객의 독립 공간을 넓혔다. 2021년식부터는 새로운 기아 엠블럼이 적용되었으며, 2022년에는 유니버스 프라임 EX급인 그랜버드 실크로드 캄 모델이 추가되었다. 2023년 6월식부터는 측면 사이드램프와 방향지시등 및 깜빡이등이 연동되어 함께 점등된다.

2. 3. 1. 모델 라인업
모델명 | 길이 | 등급 | 비고 |
---|---|---|---|
뉴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그린필드" | 11.6m | 스탠더드 데크급 | 최하위 모델.[13] 2013년 12월부터 주문제작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
뉴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파크웨이" | 12m | 스탠더드 데크급 | 대부분의 관광버스와 시외버스 회사에서 주로 반입.[14] |
뉴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블루스카이" | 12.5m | 스탠더드 데크급 | 공항리무진, 금아리무진 등 일부 시외버스, 공항버스 업체에서 반입. 2015년 11월 광역버스용 모델인 멀티 출시.[15] |
뉴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선샤인" | 12m | 하이데크급 |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 회사 및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 소속 고속버스, 시외버스, 공항버스 회사에서 운용. 2019년 1월 프리미엄 사양 추가.[16] |
뉴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실크로드 캄" | 12.5m | 하이데커급 | 보급형 모델. |
뉴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실크로드" | 12.5m | 하이데커급 |
기아 그랜버드는 대한민국 내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운용 현황
K리그, KBO 리그, KBL, WKBL, V리그, LCK 등 다수의 프로 스포츠 구단에서 선수단 이동 버스로 기아 그랜버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구단 목록은 다음과 같다.종목 구단명 비고 K리그 K리그1: 광주 FC, 대전 하나 시티즌, 강원 FC K리그2: 서울 이랜드, 성남 FC, 경남 FC, 전남 드래곤즈, 수원 삼성 블루윙즈, 인천 유나이티드 KBO 리그 NC 다이노스[25], KT 위즈[26], 롯데 자이언츠[27](이상 2021년), LG 트윈스[28], 키움 히어로즈[29], 삼성 라이온즈[30](이상 2022년), KIA 타이거즈 (2023년)[31] KBL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2023년)[32],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2023년), 서울 SK 나이츠 (2024년) WKBL: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2018년)[33], 부천 하나은행 (2021년), 부산 BNK 썸 (2022년)[34], 청주 KB 스타즈 (2022년)[35] 한국 프로 배구 V-리그 (남):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2019년)[36],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2023년)[37],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2023년)[38],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2024년)[39] V-리그 (여):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2015년)[40],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18년)[41],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2020년)[42],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2021년) LCK 한화생명 e스포츠 (2018년) 기타 삼성생명 배드민턴단[43], 삼성생명 레슬링단
기아 그랜버드는 해외에서도 운용되는 모습이 확인되는데, 구체적인 운용 국가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지만, 필리핀, 러시아 등에서 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1. 대한민국
1994년, 기아는 현대 에어로 및 대우 BH 시리즈와 경쟁하기 위해 그랜버드를 출시했다. 이 세대는 직분사 디젤 엔진만 탑재하여 판매되었다.
2007년, 2세대 그랜버드가 파크웨이 모델로 출시되었다. 그랜버드와 현대 유니버스는 상용차 전용 섀시를 공유했다. 2011년에 1차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2015년에는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실크로드 모델이 서울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2020년 5월 14일, 3세대 기아 그랜버드가 공개되었다. 현대자동차의 페이스리프트된 현대 유니버스와 공유하는 현대 상용차 전용 섀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슈퍼 프리미엄 선샤인 및 슈퍼 프리미엄 파크웨이 트림으로 제공된다. 대형 풀 컬러 계기판과 대형 터치스크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실내에는 새로운 평면 TV가 설치되었다. 슈퍼 프리미엄 선샤인 및 슈퍼 프리미엄 파크웨이 버전에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기본으로 장착된다. 실내 높이는 80mm, 실내 상단 좌우 폭은 120mm 확장되었다.
동급 최초로 전방 주차 보조 장치, 스티어링 햅틱, 주 출입구 터치 센서, 속도 감응형 차고 조절 장치 등이 적용되었다. 전방 주차 보조 장치는 전방 하부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경고음을 울리고, 스티어링 햅틱은 안전 사양 작동 시 진동을 통해 운전자에게 주의를 준다. 주 출입구 터치 센서는 문이 닫힐 때 사람이나 물체가 끼이는 경우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문을 열어주는 기능이다. 속도 감응형 차고 조절 장치는 공기역학적 성능 향상을 위해 차량 속도에 따라 차량 높이를 조절한다.
페이스리프트된 코치의 파워트레인은 파워텍 12.7리터 현대 D6CG(유로 6)(440ps) 디젤 엔진과 수동 및 자동 변속기가 결합되었다.
K리그, KBO 리그, KBL, WKBL, V리그, LCK 등 다수 프로 스포츠 구단에서 선수단 이동용 버스로 기아 그랜버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구단 목록은 다음과 같다.
종목 | 구단명 | 비고 |
---|---|---|
K리그 | K리그1: 광주 FC, 대전 하나 시티즌, 강원 FC | |
K리그2: 서울 이랜드, 성남 FC, 경남 FC, 전남 드래곤즈, 수원 삼성 블루윙즈, 인천 유나이티드 | ||
KBO 리그 | NC 다이노스[25], KT 위즈[26], 롯데 자이언츠[27](이상 2021년), LG 트윈스[28], 키움 히어로즈[29], 삼성 라이온즈[30](이상 2022년), KIA 타이거즈 (2023년)[31] | |
KBL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2023년)[32],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2023년), 서울 SK 나이츠 (2024년) | |
WKBL: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2018년)[33], 부천 하나은행 (2021년), 부산 BNK 썸 (2022년)[34], 청주 KB 스타즈 (2022년)[35] | ||
한국 프로 배구 | V-리그 (남):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2019년)[36],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2023년)[37],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2023년)[38],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2024년)[39] | |
V-리그 (여):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2015년)[40],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18년)[41],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2020년)[42],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2021년) | ||
LCK | 한화생명 e스포츠 (2018년) | |
기타 | 삼성생명 배드민턴단[43], 삼성생명 레슬링단 |
3. 1. 1. 고속버스
2020년 7월 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으로 변경되면서 뉴그랜버드 파크웨이를 뉴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파크웨이로 업그레이드했다.[1] 현재 전 회사가 운용하고 있으나 대원고속은 뉴그랜버드 파크웨이 차종만 몇 대 보유하고 있고, 경북고속은 뉴그랜버드 슈퍼 프리미엄 실크로드 캄 차종만 몇 대 보유한다.[5]3. 1. 2. 시외버스
경기도의 경남여객, 경일여객, 대원고속, 진흥고속, 선진고속, 경기고속과 강원특별자치도의 강원고속, 강원여객, 강원흥업, 영암고속, 화성고속, 동해상사고속[19], 금강고속에서 운용한다. 충청남도의 금남고속, 삼흥고속, 중부고속, 충남고속, 한양고속과 충청북도의 경일여객(본사는 경기도에 있지만, 죽산면과 인접한 진천군의 진천터미널을 차고지로 사용하며, 진천터미널은 경일여객이 운영), 서울고속, 새서울고속, 충북리무진, 친선고속에서 운용한다. 경상북도 소재의 금아버스그룹, 아성고속, 코리아와이드진안, 천마고속, 경북고속과 경상남도 소재의 거창고속, 신흥여객, 경남고속뉴부산관광, 경원여객, 경전여객, 고려여객, 천일여객, 거제현대고속, 태영고속, 밀성여객, 대한여객, 해운대고속, 김해여객에서도 운용된다. 전라남도의 광신고속, 광우고속, 금호고속(직행부), 동광고속, 동방고속과 전라북도의 대한고속, 호남고속에서도 기아 그랜버드를 시외버스로 운용하고 있다.3. 1. 3. 공항버스
- 서울특별시: 공항리무진, 서울공항리무진, KAL 리무진, 한국도심공항
- 울산광역시: 태화관광
- 경기도: 경기공항리무진
- 경상남도: 세인공항, 경원여객, 천일여객
- 인천광역시: 신흥교통, 코레일네트웍스
3. 1. 4. 시내/광역버스 (과거)
경상북도 동춘여객(2011년 10월까지)[20], 천년미소, 서울특별시 한남운수[21], 인천광역시 신백승여행사[22], 신강교통[23], 충청북도 아성교통관광[24], 경기도 가평교통, 경진여객에서 과거에 그랜버드를 운용하였다.3. 1. 5. 프로 스포츠 구단 버스
K리그, KBO 리그, KBL, WKBL, V리그, LCK 등 다수 프로 스포츠 구단에서 선수단 이동용 버스로 기아 그랜버드를 운용하고 있다.종목 | 구단명 | 비고 |
---|---|---|
K리그 | K리그1: 광주 FC, 대전 하나 시티즌, 강원 FC | |
K리그2: 서울 이랜드, 성남 FC, 경남 FC, 전남 드래곤즈, 수원 삼성 블루윙즈, 인천 유나이티드 | ||
KBO 리그 | NC 다이노스[25], KT 위즈[26], 롯데 자이언츠[27](이상 2021년), LG 트윈스[28], 키움 히어로즈[29], 삼성 라이온즈[30](이상 2022년), KIA 타이거즈 (2023년)[31] | |
KBL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2023년)[32],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2023년), 서울 SK 나이츠 (2024년) | |
WKBL: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 (2018년)[33], 부천 하나은행 (2021년), 부산 BNK 썸 (2022년)[34], 청주 KB 스타즈 (2022년)[35] | ||
한국 프로 배구 | V-리그 (남): 서울 우리카드 우리WON (2019년)[36],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2023년)[37],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2023년)[38],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2024년)[39] | |
V-리그 (여):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2015년)[40], 대전 정관장 레드스파크스 (2018년)[41],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2020년)[42],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2021년) | ||
LCK | 한화생명 e스포츠 (2018년) | |
기타 | 삼성생명 배드민턴단[43], 삼성생명 레슬링단 |
3. 2. 해외
기아 그랜버드는 해외에서도 운용되는 모습이 확인되는데, 구체적인 운용 국가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지만, 필리핀, 러시아 등에서 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경쟁 차종
참조
[1]
웹사이트
KIA GRANBIRD BLUE SKY 3D MODEL
https://www.cgtrader[...]
2024-04-09
[2]
웹사이트
起亜自、高級大型バス新モデルを発売 - NNA ASIA・韓国・車両
https://www.nna.jp/n[...]
2024-03-28
[3]
웹사이트
起亜自 「コロナ時代」の高級バス発売
https://jp.yna.co.kr[...]
2020-12-09
[4]
웹사이트
「非対面」仕様の高級バス
https://jp.yna.co.kr[...]
2020-12-09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정보
[37]
정보
[38]
정보
[39]
정보
[40]
정보
[41]
정보
[42]
정보
[43]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