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ゑ는 일본어의 가나 문자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는 '웨'([we])로 발음되었으나 현대에는 '에'([e])와 같은 발음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발음의 변화와 함께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고유 명사나 속어, 특정 방언 표기 등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히라가나 ゑ는 한 획으로, 가타카나 ヱ는 세 획으로 쓰이며, 컴퓨터 인코딩 및 점자, 모스 부호 등에서도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ゑ | |
---|---|
가나 | |
히라가나 | ゑ |
가타카나 | ヱ |
로마자 표기 | e, we |
히라가나 만요가나 | 恵 |
가타카나 만요가나 | 恵 |
기타 만요가나 | 廻, 恵, 面, 咲 |
철자 | かぎのあるヱ (카기노 아루 "e", 열쇠가 있는 "e") |
![]() | |
유니코드 | U+3091, U+30F1 |
음성 정보 | |
IPA (국제 음성 기호) | '[e]' |
가나 정보 | |
히라가나 자원 | 惠의 초서체 |
유니코드 히라가나 | 3091 |
JIS 히라가나 | 1-4-81 |
가타카나 자원 | 衛의 약자 |
유니코드 가타카나 | 30F1 |
JIS 가타카나 | 1-5-81 |
헤본식 로마자 | E(WE) |
훈령식 로마자 | E |
JISX4063 | wye |
아이누어 | WE |
IPA (국제 음성 기호) | e̞, 옛날에는 β̞e̞ |
음 | 청음 |
기타 관련 정보 | |
관련 문자 | わ, え, や, い, う, し, ひ |
관련 단어 | 에비스 (えびす/ゑびす), 京都ゑびす神社 |
관련 작품 | ヱヴァンゲリヲン新劇場版 |
덧붙임 기호 (다쿠텐) | ヹ (베) |
관련 외래어 | ヴェ (베), ヱホバ (에호바), ヱフタ (예프타) |
고대 가나 발음 (ゐ/ヰ) | /wi/ 로 발음 |
2. 역사
- ‘ゑ일본어’는 ‘ウェ일본어’로 발음되었다고 추정된다. ‘え일본어’와 ‘ゑ일본어’는 가마쿠라 시대에 ‘イェ일본어’로 발음됐다가 현대에 이르러 ‘エ일본어’로 변화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え일본어’와 ‘ゑ일본어’의 구별이 다이쇼 시대까지 남아 있었다는 설도 있다. 현대에도 ‘う일본어’단의 음에 뒤따르는 ‘え일본어’는 ‘ウェ일본어’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어, 화자에 따라 다양하게 들릴 수 있다.
- 발음이 ‘え일본어’와 같기 때문에 일본에서 자동차 번호판 등 표준적・공식적인 측면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 히라가나의 갸루 문자에서는 ゐ일본어와 함께 ‘る일본어’의 대용자로 사용된다.
- ‘衞(衛)’의 중국 간체자 ‘’는 ‘衛’의 역사적 가나 표기법(자음 가나 표기법) ‘ヱイ일본어’가 중화인민공화국에 전해져 이 ‘ヱ일본어’가 변화된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16].


- 현대 표준어의 음운: 현대 일본어에서는 에와 같다.
- 50음도: 제46위. 야행 이단과 에단의 이와 에 및 와행 우단의 우를 더하면 49위.
- 이로하 순: 제43위. ‘시’의 다음, ‘히’의 앞.
- 히라가나 ‘ゑ’의 자형: ‘惠’의 초서
- 가타카나 ‘ヱ’의 자형은 ‘衛’의 약자체(중국어 간체자:卫), 혹은 ‘惠’의 초서의 마지막 부분(『고지엔』 제6판에서)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 로마자: '''e''' 또는 '''we'''. 컴퓨터의 로마자 입력에서는 '''wye''' 또는 '''우에(we)''' 또는 "e"(에)를 변환하여 기재한다.
- 점자: --
- 통화표: ‘갈고리가 있는 에’
- 모스 부호: ・--・・
- 수기 신호: 9→3→1
- 역사적 가나 표기에 따른 50음 순으로 나타낸다. 아래에 나타낸 단어의 "ゑ"는 현대 가나 표기에서는 모두 "え"로 바꾼다. 발음은 표준어와 도쿄 방언에서는 어두, 어중, 어미에 관계없이 모두 이다. 또한 한자음에 있어서 "ク", "グ"는 에도 시대 이후의 자음 가나 표기, 및 현대 가나 표기에서는 각각 "ケ", "ゲ"로 바꾸며, 발음은 /ke/, /ɡe/이다.
2. 1. 나라 시대 (710년~794년)
나라 시대에는 ゑ(/we/)는 ア행의 え(/e/)와 구별되는 발음이었다. 또한 ヤ행의 え(/je/)도 구별되었다. 만요가나에서는 ゑ를 나타내기 위해 "咲"(피어날/咲), "面"(얼굴/면), "廻"(돌/회), "恵"(은혜/혜) 등이 사용되었다.[16]2. 2. 헤이안 시대 (794년~1185년)
헤이안 시대에 들어서면서 아행의 에와 야행의 에가 합류했지만, ゑ는 여전히 그것들과 구별되었다.[16] 11세기 중기부터 후기 쯤에 성립된 것으로 여겨지는 이로하 노래에는 다음과 같이 에와 ゑ(ヱ)가 구별되어 있다.:이로하니호헤토 치리누루오 와카요타레소 츠네나람 우이노오쿠야마 쿄코에테 아사키유메미시 에히모세스
:(색은 향기로우나 흩날리니 우리 세상에 누구가 항상 있으랴 유위의 깊은 산 오늘 넘어 얕은 꿈을 꾸지 취하지도 않네)
간치에 의한 『싯담요집기』(쇼호 2년 성립)에는 다음과 같이 야행의 에, 와행의 ヲ가 생략되어 있다.
> 아카사타나하마야라와 일운
>이키시치니히미리이 일운
>우쿠스츠누후무유루 일운
>오코소토노호모요로 일운
>에케세테네헤메레ヱ 일운
이를 통해 당시의 음운 상태는 아행의 에와 야행의 에, 아행의 오와 와행의 ヲ는 구별을 잃고 동음이 된 반면, 아행·야행의 에와 와행의 ゑ는 여전히 구별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행의 에와 야행의 에는 10세기 후반 이후 동음이 된 것으로 보인다. 합류한 아행과 야행의 에에 대해서는, 아행의 에의 발음이 /je/로 변화하여, 원래 /je/였던 야행의 에에 합류했다고 여겨진다. 야행의 에를 나타내는 가나는 사용되지 않게 되고, 에에 통합되었다.
『와묘루이주쇼』(931년 - 938년경 성립, 아행과 야행의 에의 구별이 없음)에는, "机 와명 츠쿠에"라고 되어 있어, 원래는 야행의 에를 포함하고 있던 "츠쿠에"를 "츠쿠ゑ"라고 오기한 예가 있다. 이처럼, 아행·야행의 에(/je/)와 와행의 ゑ(/we/)를 혼동하는 예도 나오기 시작했지만, 헤이안 시대에는 그다지 혼동이 많지 않았다.
어중의 하행음이 와행으로 발음되는 현상(하행전호)이 나라 시대부터 산발적으로 나타나 11세기 초두에는 일반화되었다. 이 현상에 의해, 어중·어미의 "헤"의 발음이 /ɸe/에서 /we/로 변화하여, ゑ와 동음이 되었다. 이로 인해 어중의 "헤"와 "ゑ"의 사용에 혼동이 나타나게 되었다. 12세기 말에는, 『산교시기주』(나카야마 홋케사 소장, 인세이 시대 말기의 가점)에 "취하게 하다"(ゑ하스)를 "에하스"로 하는 예가 있는 등, ゑ와 에의 구별을 잃는 것도 산견되게 된다.
2. 3. 가마쿠라 시대 ~ 무로마치 시대 (1185년~1573년)
가마쿠라 시대에 ヱ와 え의 혼동이 뚜렷해졌고, 13세기에 들어서면서 ヱ와 え는 /je/로 통합되었다. ヱ가 /we/에서 /je/로 변화하면서 え와 합류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한자음의 "쿠ヱ", "구ヱ"도 각각 , 로 발음되면서 "케", "게"로 합류했다.[16]하행 전호와 몇몇 음절의 통합으로 인해 같은 발음이 되는 가나가 다수 생겨나 가나 표기법에 동요가 나타났다. 후지와라노 사다이에(1162년 - 1241년)는 『하관집』의 "혐문자사"에서 60개 정도의 어례에 대해 "을・오", "에・헤・ヱ", "히・위・이"의 가나 표기법 기준을 제시했다. 사다이에의 가나 표기법은 11세기 후반부터 12세기에 걸쳐 서사된 가나 문학 작품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보이지만, 후지와라노 사다이에가 기준으로 삼은 것에는 이미 하행 전호가 발생하여 표기가 동요된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 원래는 "헤"인 "행방"(유쿠헤)이 "ヱ"로, 원래는 "ヱ"인 "그림"(ゑ)이 "에"로, "고"(유에), "심다"(우에), "취하다"(에후)가 "헤"로 표기되는 등, 원래의 발음과는 다른 표기가 채용된 것도 있었다.[16]
남북조 시대가 되자 교아가 『가나 문자遣』(1363년 이후 성립)을 저술하여 대상 어수를 1000어 이상으로 대폭 늘렸다. 이후 『가나 문자遣』의 가나 표기법이 "사다이에 가나 표기법"으로 일반에 널리 받아들여졌다. 사다이에 가나 표기법은 특히 와카나 렌가 등 가도의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지만, 그 외의 분야에서는 "ヱ", "에" 및 어중・어미의 "헤"의 구분이 혼동된 것이 종종 보인다.[16] 16세기(무로마치 시대 후기)의 키리시탄 자료에서의 로마자 표기에서는, 원래의 ヱ, 아행의 에, 야행의 에 모두 어두・어중・어미에 관계없이 "'''ye'''"로 표기되어, 발음이 모두 /je/였음을 알 수 있다.[16]
2. 4. 에도 시대 (1603년~1868년)
게이추](契沖)](2. 5. 메이지 시대 (1868년~1912년) 이후
메이지 6년(1873년)에 게이추의 가나 사용법을 기초로 하여, 고문헌을 기준으로 한 역사적 가나 표기법이 '소학 교과서'에 채택되었으며, 이후 학교 교육을 통해 보급되어 일반에 널리 사용되었다.[16] 자음 가나 표기법은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것을 기본으로 한 것이 사용되었다.쇼와 21년(1946년)에 표음식을 기본으로 한 '현대 가나 표기법'이 공포되어, 현대의 발음을 반영한 가나 표기가 채택되었다. 이로 인해, 역사적 가나 표기에서 'ゑ'는 모두 'え'로 고쳐 쓰이게 되었고, 'ゑ'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16]
3. 현대의 용법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의 "ゑ"를 모두 "え"로 표기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ゑ"가 사용되는 일은 없다. 하지만 인명 등 고유 명사에서는 드물게 볼 수 있으며[12], 현재 호적에서 작명이나 개명 시 "ゑ"와 "ヱ"의 사용이 인정되고 있다.
- 현대 표준어의 음운: 현대 일본어에서는 에와 같다.
- 50음도: 제46위. 야행 이단과 에단의 이와 에 및 와행 우단의 우를 더하면 49위.
- 이로하 순: 제43위. 「시」의 다음, 「히」의 앞.
- 히라가나「ゑ」의 자형: 「惠」의 초서
- 가타카나「ヱ」의 자형은 「衛」의 약자체(중국어 간체자:卫), 혹은 「惠」의 초서의 마지막 부분(『고지엔』 제6판에서)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 로마자: '''e''' 또는 '''we'''. 컴퓨터의 로마자 입력에서는 '''wye''' 또는 '''우에(we)''' 또는 "e"(에)를 변환하여 기재한다.
- 점자:
- : --
- 통화표: 「갈고리가 있는 에」
- 모스 부호: ・--・・
- 수기 신호:
자동차용 번호판에서는 발음이 "え"와 같고, 글자 모양이 "る"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ゑ"는 사용되지 않는다.
오키나와 방언을 표기할 때 "ゑ"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오키나와 방언의 표기 체계), 아이누어를 가나 표기할 때에도 "ヱ"가 사용된다(아이누어 가나).
3. 1. 고유 명사
일본 신화의 신인 "ゑ비스"의 표기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교토에는 "교토 에비스 신사"라는 이름의 신사가 있다[13]. 고유 명사에서의 용례로는, 패키지에 에비스 신이 그려진 "ヱ비스 맥주"가 유명하다. 에비스 맥주는 로마자 표기로는 "YEBISU"로 쓰는데, 이는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초기에 "エ"와 "ヱ"가 모두 '''ye'''로 쓰이던 잔재이다. 이 외에도, 에비스 신의 이름을 딴 고유 명사에 "ゑ"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기업명으로는, 대형 식품 메이커인 "ヱ스비 식품"이 1994년에 대외적인 명칭을 "에스비 식품"으로 변경하기 전까지 이 표기를 사용했다(등기상으로는 '''ヱ'''스비 식품 그대로).
3. 2. 기타 용법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의 "ゑ"를 모두 "え"로 표기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ゑ"가 사용되는 일은 없다. 하지만 인명 등 고유 명사에서는 드물게 볼 수 있으며[12], 현재 호적에서 작명이나 개명 시 "ゑ"와 "ヱ"의 사용이 인정되고 있다.현대의 용법으로는, 일본 신화의 신인 "ゑ비스"의 표기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교토에는 "교토 에비스 신사"라는 이름의 신사가 존재한다[13]. 고유 명사에서의 용례로는, 패키지에 에비스 신이 그려진 "ヱ비스 맥주"가 유명하다. 에비스 맥주는 로마자 표기로는 "YEBISU"로 쓰는데, 이는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초기에 "エ"와 "ヱ"가 모두 '''ye'''로 쓰이던 잔재이다. 이 외에도, 에비스 신의 이름을 딴 고유 명사에 "ゑ"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기업명으로는, 대형 식품 메이커인 "ヱ스비 식품"이 1994년에 대외적인 명칭을 "에스비 식품"으로 변경하기 전까지 이 표기를 사용했다(등기상으로는 ヱ스비 식품 그대로).
또한 속어적인 용법으로, 재미 삼아 "え"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 "ゑ"가 아닌 것도 "ゑ"로 대체될 수 있다. 『ヱ반게리온 신극장판[14]』 등이 예시로 꼽힌다.
자동차용 번호판에서는 발음이 "え"와 같고, 글자 모양이 "る"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ゑ"는 사용되지 않는다. 외국에서 선물 등의 일본어 표기에서는, 원래 "る"이어야 할 부분에 "ゑ"가 자주 오용된다.
"衞"(衛)의 간체자 "卫중국어"는 衛의 역사적 가나 표기법(자음 가나 표기법) "ヱ이"가 중국에 전해져, 이 "ヱ"가 변화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15].
오키나와 방언을 표기할 때 "ゑ"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오키나와 방언의 표기 체계). 또한 아이누어를 가나 표기할 때에도 "ヱ"가 사용된다(아이누어 가나).
4. 획순
애니메이션 | 도표 |
---|---|
![]() | |
![]() |
히라가나일본어 ゑ일본어는 한 번의 획으로 만들어지며, 가타카나일본어 ヱ일본어는 세 획으로 만들어진다.
4. 1. ゑ (히라가나)
히라가나 ゑ|일본어는 한 번의 획으로 만들어진다. る와 유사하며, 아래에 두 개의 굴곡이 있는 ん 모양이 이어진다.
애니메이션 | 도표 | |||||||||||||||||||||||||||||||||||||||||||||||||||||||||||||||||||||||||||||||||||||||||||||||||||||||||||||||||||||||||||||||||||
---|---|---|---|---|---|---|---|---|---|---|---|---|---|---|---|---|---|---|---|---|---|---|---|---|---|---|---|---|---|---|---|---|---|---|---|---|---|---|---|---|---|---|---|---|---|---|---|---|---|---|---|---|---|---|---|---|---|---|---|---|---|---|---|---|---|---|---|---|---|---|---|---|---|---|---|---|---|---|---|---|---|---|---|---|---|---|---|---|---|---|---|---|---|---|---|---|---|---|---|---|---|---|---|---|---|---|---|---|---|---|---|---|---|---|---|---|---|---|---|---|---|---|---|---|---|---|---|---|---|---|---|---|
| |- | | |} 4. 2. ヱ (가타카나)![]()
5. 컴퓨터 부문
ゑ는 다양한 문자 인코딩 방식으로 표현된다.
6. 기타 표현
:
참조
[1]
웹사이트
京都ゑびす神社
http://www.kyoto-eb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