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척선은 동해역과 삼척역을 잇는 총 12.9km의 한국철도공사 철도 노선이다. 1939년 북평역(현 동해역) ~ 삼척역 구간 착공을 시작으로 1944년 개통되었으며, 1956년 삼척발전소선이 부설되었다. 1991년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으나, 1999년 추암역 신설, 2007년 바다열차 운행 개시를 통해 여객 수송이 재개되었다. 2023년 바다열차 운행 종료로 전 구간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으며, 2025년 전철화와 함께 ITX-마음과 누리로가 운행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척선 - 삼척역
삼척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정상동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동해선 철도역으로, 1944년 영업을 개시하여 여객 취급 중단 후 바다열차 운행으로 재개되었으며 현재 ITX-마음, 누리로가 정차하고 2025년 동해선 전철 개통으로 전철역으로 전환될 예정인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삼척선 - 삼척해변역
삼척해변역은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한 삼척선의 철도역으로, 과거 후진역으로 개업 후 폐지되었다가 재개업하여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바다열차 시종착역 기능 수행 후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으나 재개될 예정이고 현재 단선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 194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미전선
미전선은 경부선 부산 방면 열차가 경전선으로 진입하도록 경상남도 밀양시에 건설된 삼각선 형태의 철도 노선으로, 과거 평면교차 문제와 열차 충돌 사고를 겪었으나 입체교차 개량 및 복선화, 전철화를 거쳐 현재는 모든 열차가 통과한다. - 194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가야선
가야선은 부산 사상역과 범일역을 잇는 8.3km의 철도 노선으로, 과거 군수물자 수송에 이용되었으나 현재는 KTX 개통에 맞춰 복선 전철화되었고 사상역, 가야역, 범일역 3개의 역이 운영 중이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철도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철도 - 태백선
태백선은 제천에서 백산까지 104.1km를 잇는 한국철도공사 운영 노선으로, 복선 전철과 단선 전철 구간으로 나뉘며, 무궁화호 열차 등이 운행되고, 과거 석탄 수송에서 현재 시멘트 수송과 여객 수송을 담당한다.
삼척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삼척선 |
종류 | 지선철도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동해역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
종점 | 삼척역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
역수 | 4 |
노선 번호 | 31301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개통일 | 1944년 2월 11일 |
영업 거리 | 12.9km |
궤간 | 1,435mm(표준궤) |
선로 | 1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Hz |
신호 | ATS |
노선도 | |
![]() |
2. 역사
삼척선은 일제강점기 당시 동해선 건설 과정에서 추진되었던 노선이다. 동해남부선과 동해북부선 건설 구간 사이에 삼척철도주식회사에 의한 철암선(현 영동선 철암~동해 간 및 묵호항선) 건설이 이루어지자, 여기에 편승하여 일부 구간 공사와 함께 오노다(小野田) 시멘트 삼척 공장의 인입선 등을 국철 구간으로서 1939년에 착공, 1944년에 완공하였는데, 이 구간이 현재의 삼척선이 되었다.[3]
2. 1.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당시 동해선 건설 과정에서 영동선의 지선으로 건설이 추진되었다. 1937년 3월 25일, 석탄의 반출을 주 목적으로 사철인 삼척철도 주식회사가 철암선(현재의 영동선 철암 - 동해 간, 및 묵호항선 동해 - 묵호항 간)의 부설 면허를 취득했다. 그 건설 장소가 동해남부선과 동해북부선의 건설 구간 사이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철암선의 공사와 발맞춰 오노다 시멘트 삼척 공장의 인입선 등을 선철 구간으로 건설하게 되었다. 이 구간이 현재의 삼척선이다. 1939년 11월 1일에 착공, 1944년 2월 11일에 준공되었다. 국유 철도였지만, 그 운영은 삼척철도에 위탁되었다.[1]2. 2. 해방 이후
한국 독립 후, 삼척선은 연선의 시멘트 공장과 발전소로의 화물 운송 노선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구가 많지 않은 지역을 지나가기 때문에 1991년 8월 20일을 기점으로 여객 운송 취급을 중단했다.[2] 이후 정기 여객 열차는 운행되지 않지만, 2007년 7월 24일부터 관광 열차인 바다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했다.[2]1956년 3월 1일에는 삼척발전소선 후진~발전소 구간이 착공되었고, 1956년 5월 1일에는 1.8km 구간이 완공되었다. 1992년 6월 22일에는 후진역이 폐역되었다가, 2001년 7월 1일에 무배치간이역으로 다시 설치되었다. 2003년 1월 1일에는 역명이 후진역에서 삼척해변역으로 변경되었다. 1999년 5월 1일에는 무배치간이역 추암역이 신설되었다(동해기점 6.4km).[4]
2019년부터 삼척역에서 동해선과의 연결 공사가 시작되어 2025년 1월 1일에 개통되었다. 2019년 4월 17일에는 철도 노선번호가 '''31301'''로 변경되었다.[4] 2019년 6월 3일 동해선 공사로 인해 삼척역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2023년 12월 26일, 바다열차의 내구연한 만료로 운행이 종료됨에 따라 전 구간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2025년 1월 1일에는 전철화가 개통되고, ITX마음, 누리로 영업이 개시될 예정이다.
3. 노선 정보
4. 역 목록
삼척선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에 있는 동해역과 삼척시의 삼척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이다. 이 노선은 관광객과 지역 주민들에게 교통 편의를 제공한다.
삼척선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km) | 영업 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
동해 | Donghae | 東海 | 0.0 | 0.0 | 영동선, 묵호항선, 북평선 | 동해시 |
추암 | Ch'uam | 湫岩 | 6.4 | 6.4 | 삼척시 | |
삼척해변 | Samcheok Haebyeon | 三陟海邊 | 1.4 | 7.8 | ||
삼척 | Samcheok | 三陟 | 5.1 | 12.9 | 동해선 |
4. 1. 현재 역 목록
역명 | 한글 | 영어 | 역간 (km) | 누적 (km) | ITX-마음 | 누리로 | 접속 노선 | 소재지 |
---|---|---|---|---|---|---|---|---|
동해역 | 동해역 | Donghae | 0.0 | 0.0 | ● | ● | 한국철도공사: 영동선 (직통 운전), 북평선(화물선), 묵호항선 (화물선) | 동해시 |
추암역 | 추암역 | Chuam | 6.4 | 6.4 | ▲ | ▲ | 삼척시 | |
삼척해변역 | 삼척해변역 | Samcheok haebyeon | 1.4 | 7.8 | ▲ | ▲ | ||
삼척역 | 삼척역 | Samcheok | 5.1 | 12.9 | ● | ● | 한국철도공사: 동해선 (직통 운전) |
4. 2. 폐역 목록
1992년 6월 22일 : 후진역 폐역[3]5. 노선 특성
이 노선은 과거 통일호 등으로 운행되었으나 유지되지 못하고, 최근까지 화물 전용 노선으로 정기 여객열차 운행은 없었다. 그러나 2007년 7월 24일부터 삼척해변 - 강릉 간 관광열차인 바다열차가 1일 2~3회 운행하면서 여객열차 정기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외에는 주로 발전소, 시멘트 공장 등을 위한 인입철도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2025년 1월 1일 동해선 개통과 동시에 ITX마음 누리로가 운행 개시하였다.[1]
삼척선은 일제강점기 동해선 건설 과정에서 건설된 영동선의 지선이다. 1937년 3월 25일 석탄 반출을 목적으로 사철인 삼척철도 주식회사가 철암선(현재의 영동선 철암 - 동해 간, 묵호항선 동해 - 묵호항 간) 부설 면허를 취득했다. 건설 장소가 동해남부선과 동해북부선 건설 구간 사이에 있어, 철암선 공사와 함께 오노다 시멘트 삼척 공장 인입선 등을 선철 구간으로 건설했다. 이 구간이 현재의 삼척선이다. 1939년11월 1일 착공, 1944년2월 11일 준공되었다. 국유 철도였지만, 운영은 삼척철도에 위탁되었다.[1]
한국 독립 후, 연선 시멘트 공장과 발전소 화물 운송 노선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인구 희박 지역을 통과하여 1991년8월 20일 여객 운송이 중단되었다. 이후 정기 여객 열차는 운행되지 않지만, 2007년7월 24일부터 관광 열차 "바다열차"가 1일 2왕복(5월~8월은 3왕복) 운행되고 있다.[2] 2019년부터 삼척역에서 동해선 연결 공사가 시작되어 2025년1월 1일 개통했다.
6. 차량
과거 이 노선에서는 통일호 등이 운행되었으나, 오랫동안 정기 여객 열차 운행이 중단되고 화물 전용 노선으로만 이용되었다. 그러다 2007년 7월 24일부터 삼척해변 - 강릉 구간에 관광열차인 바다열차가 하루 2~3회 운행하면서 여객 열차 운행이 재개되었다. 이 외에는 주로 발전소, 시멘트 공장 등을 위한 인입철도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2025년 1월 1일 동해선 개통과 동시에 ITX마음, 누리로가 운행을 시작하였다.
과거에 운행했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7. 이용객 변동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5]
구분 | 이용 인원수 (명) | ||||||||||||||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비둘기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통일(통근) | 0 | 0 | 0 | 0 | 0 | 0 | 0 | 0 | 4,361 | 0 | 0 | 0 | 0 | 0 | 0 |
무궁화 | 3,144 | 11,520 | 2,333 | 3,689 | 612 | 0 | 0 | 416 | 459 | 8,024 | 359 | 1,102 | 423 | 0 | 416 |
새마을 | 0 | 0 | 0 | 0 | 12 | 0 | 0 | 999 | 33,064 | 0 | 1 | 0 | 0 | 0 | 11 |
건설 | 360 | 1,080 | 1,080 | 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 |||||||||||
정기권 | 0 | 0 | 0 | ||||||||||||
합계 | 3,504 | 12,600 | 3,413 | 3,689 | 624 | 0 | 0 | 1,415 | 37,884 | 8,024 | 360 | 1,102 | 423 | 0 | 427 |
8. 삼척발전소선
1956년에 FOA 원조 자금으로 건설된 삼척화력발전소의 가동을 위해 필요한 무연탄을 수송하고자 1956년 3월 1일에 착공하여 같은 해 5월 1일에 준공된 노선이다.[6]
참조
[1]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5103号
1944-02-09
[2]
웹사이트
http://www.seatrain.[...]
[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103호
1944-02-09
[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5]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6]
서적
철도건설사
교진사
196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