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베어 7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베어 71은 파울 마우저가 개발하고 1871년 프로이센 정부가 채택한 11mm 구경의 단발식 볼트 액션 소총이다. 드라이제 소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독일 제국에 의해 보병 소총 모델 1871로 정식 채택되었다. 1884년에는 8발들이 관형 탄창을 추가하여 게베어 71/84로 개량되었다. 이 소총은 독일군 외에도 대한제국, 청나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에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우저 화기 - Kar98k
    Kar98k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주력 소총으로, 마우저 M98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높은 명중률과 신뢰성을 갖지만 반자동 소총에 비해 사격 속도가 느리고, 전쟁 이후에도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거나 대중문화 콘텐츠에 등장하기도 한다.
  • 볼트액션 소총 - 30년식 보병총
    30년식 보병총은 무라타 소총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아리스카 소총 계열의 첫 번째 소총으로, 6.5×50mm 아리스카 탄약을 사용하는 볼트액션 소총이며,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일본 제국 육군의 주력 소총으로 사용되었고, 다양한 전쟁에서 활용되었으며, 신뢰성 문제로 38년식 소총으로 대체되었으나, 수출 및 파생형 모델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고, 일본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관련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볼트액션 소총 - M24 SWS
    M24 SWS는 미군이 개발한 볼트 액션 방식의 저격 소총으로, 7.62 × 51 mm NATO탄을 사용하며 M21 SWS를 대체하고,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대한민국 육상자위대에서도 사용된다.
게베어 71
기본 정보
모젤 M1871
모젤 M1871
종류볼트 액션 소총
원산지독일 제국
설계자마우저
설계 시기1867년–1871년
제조사마우저
슈타이어
생산 시기1871년–1890년
생산량3,000,000정
사용 국가독일
참전 전쟁아르헨티나 내전
제1차 보어 전쟁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
제2차 프랑코-다호메이 전쟁
청일 전쟁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그리스-터키 전쟁 (1897년)
우루과이 혁명 (1897년)
제2차 보어 전쟁
의화단 운동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부활절 봉기
1918–1919년 독일 혁명
제2차 세계 대전 (제한적 사용)
제원
중량4.5 kg (9.92 lbs)
전장1,350 mm (53.15 in)
총열 길이855 mm (33.66 in)
탄약11.15×60mmR
10.15×63mmR
11.15×37mmR
9.5×60mmR
11×59mmR 그라스
7×57mm
7.65×53mm
6.5×53.5mmR
구경.43
작동 방식볼트 액션
총구 속도440 m/s (1,430 ft/s) (11×60mmR)
최대 사거리1,600 m (조준기 최대 설정)
급탄 방식단발식
M71/84: 8발 튜브탄창
M80/07: 5발 클립 삽탄, 내부 탄창
조준 장치200~1,600미터로 조정된 가늠쇠
파생형
파생형
카빈
M1878/80 (세르비아)
G.A.G. M1879 (국경 수비대)
M71/84
M1887 (터키)
M80/07C (세르비아)
기타
복무 기간1872–1888 (독일 표준 제식 소총)
1881–1945 (제한적 및 해외 사용)

2. 역사

파울 마우저는 1867년부터 볼트액션 소총 개발을 시작했다. 1870년부터 1871년까지 바이에른 왕국의 "베르더 M1869 소총"과 경쟁하며 시험을 거쳤고, 1871년 말 임시 채택되었다. 이후 안전 장치가 추가 개발되었다. 이 총은 바이에른을 제외한 독일 제후국에 의해 채택되었다. 보불 전쟁에서 주력 소총으로 사용되었던 드라이제 소총을 기반으로 하지 않은 새로운 설계였다.[4]

게베어 71에는 마우저가 처음 개발한 날개형 안전 레버가 적용되었다. 이 소총은 구경 11mm의 흑색 화약 금속 탄피 탄약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외형의 볼트 액션 소총이었으며, 초기에는 단발식이었다.

2. 1. 개발 배경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사용된 드라이제 소총은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신형 소총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파울 마우저는 1867년부터 볼트액션 소총 개발을 시작했다. 1870년부터 1871년까지 바이에른의 "베르더 M1869 소총"과 경쟁하며 시험을 거쳤고, 1871년 말 임시 채택된 후 안전 장치를 추가하여 1872년 2월 14일 독일 제국에 의해 '''보병 소총 모델 1871'''(게베어 71)로 정식 채택되었다.[4] 이 소총은 드라이제 소총을 기반으로 하지 않은 새로운 설계였으며, 파울 마우저가 개발한 날개형 안전 레버가 처음으로 적용되었다.

2. 2. 초기 개발 및 채택

파울 마우저와 그의 형 빌헬름 마우저는 아버지의 작업장에서 새로운 소총 개발을 이어갔다. 1871년 12월 2일, 프로이센 정부는 11mm 구경의 단발식 볼트액션 소총인 게베어 71을 채택했다.[4] 초기에는 안전 장치가 없었으나, 프로이센 정부의 요구로 안전 장치가 추가된 후 1872년 2월 14일부터 실전 배치되었다.[4] 가늠쇠는 최대 1,600m까지 조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 3. 생산 및 개량

파울 마우저와 빌헬름 마우저 형제는 1871년 12월 2일 프로이센 정부가 채택한 11mm 구경 단발 장전 볼트액션 소총인 게베어 71을 개발했다.[4] 마우저 형제는 3천 정의 게베어 71 소총 가늠쇠를 주문받았고, 1872년 5월 1일부터 생산을 시작했다. 이후 암베르크의 바바리안 소총 공장으로부터 10만 정 가늠쇠 추가 주문을 받은 후, 뷔템베르크 국영 아모리를 매수하여 대형 총기 제조사가 되었다.

1884년에는 알프레트 폰 크로파체크가 설계한 8발들이 관형 탄창을 추가하여 개량한 '''게베어 71/84'''(Gew71/84)가 등장했다. 관형 탄창은 앞받침대 안에 수납되어 총열과 평행하게 배치되었으며, 볼트를 조작하여 탄약을 장전했다. 기관부 후방 왼쪽에 설치된 전환 레버를 통해 단발 사격과 연발 사격을 선택할 수 있었다.

2. 4. 퇴역 및 이후

게베어 88이 1888년에 무연 화약을 사용하도록 도입되면서, 게베어 71은 대체되기 시작했다.[4] 1888년부터 1890년까지는 탄창식 게베어 88로 대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병력이 부족하여 병기고에 보관되어 있던 Gew71도 국민돌격대에 지급되었다.

3. 설계

게베어 71은 1870~71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사용되었던 드라이제 소총의 단점을 보완하여 새롭게 설계되었다.[1] 마우저의 "날개"형 안전 레버가 이 총을 위해 개발되었다.[4] 볼트 선단 부분은 본체와 분리되어 있으며, 측면에 하나의 폐쇄용 돌기(로킹 래그)를 가지고 있어, 후기 "마우저 록"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3. 1. 작동 방식

드라이제 소총을 기반으로 하지 않은 새로운 설계였다.[1] 현재 잘 알려진 마우저 "날개" 형 안전 레버는 게베어 71을 위해 개발되었다.[4] 게베어 71은 볼트 액션 소총으로, 리시버 브릿지 앞쪽에 잠기는 단일 잠금 러그인 볼트 가이드 리브만 포함했다. 원래 디자인은 단발식이었다.

1884년에는 알프레드 폰 크로파체크가 설계한 8발들이 관형 탄창을 추가하여 개량되었다. 이 모델은 '''게베어 71/84'''로 명명되었다. 관형 탄창은 앞받침대 안에 수납되어 총신과 평행하게 배치되었다. 볼트를 조작하여 후퇴시키면 급탄 트레이가 연동되어 탄창 안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보내진 탄약 1발을 들어올린다. 이후 볼트를 전진시키면 탄약이 약실로 밀려 들어간다. 기관부(리시버) 후방 왼쪽의 전환 레버를 통해, 레버를 뒤로 당기면 연발, 앞으로 밀면 급탄 트레이가 상승된 채로 고정되어 단발 사격이 가능했다.

3. 2. 탄약

게베어 71은 11mm 흑색 화약 탄약을 사용하는 볼트 액션 소총이었다.[1] 초기에는 단발식이었으나, 1884년에 알프레드 폰 크로파체크가 설계한 8발들이 관형 탄창을 도입하여 '''게베어 71/84'''로 개량되었다.[2]

오스만 제국은 1887년에 게베어 71/84의 개량형을 채택했는데, 파울 마우저가 가장 효율적인 흑색 화약 탄약이라고 선전한 9.5×60mmR 탄약을 사용했다. 20세기 초에는 일부가 앙카라의 병기창에서 7.65×53mm 무연 화약 탄약으로 개조되었다.

예거를 위해 개발된 M1871 예거뷔셰와 독일 기병을 위한 카라비너 1871은 M71을 단축하고 경량화한 버전이었다. M1879 그렌츠아프제허게베어는 국경 경비대에게 지급되었으며, 11.15×37.5mmR 탄약을 사용했다.

세르비아 왕국은 1881년에 자체 개발한 10.15×63R 구경의 M1878/80(마우저-코카)을 채택했다. 1907년부터는 약 절반이 7×57mm를 사용하는 5발들이 박스 탄창으로 개조되었다.[3]

1894년에 우루과이는 M71 소총을 무연 6.5×53.5mm SR (Daudeteau 시스템)으로 개조했다.[4][5]

3. 3. 파생형



게베어 71은 초기에는 단발식 소총이었으나, 1884년에 알프레드 폰 크로파체크가 설계한 8발들이 관형 탄창을 추가하여 개량되었다. 이 개량형은 '''게베어 1871/84'''로 명명되었으며, 100만 정 이상 생산되었다.[2]

  • '''M1871 예거뷔셰'''(Jägerbüchse|예거뷔셰de, 경보병용): 예거 또는 경보병을 위해 개발된 짧은 버전이다. M71을 단축하고 경량화한 모델이다.[1]
  • '''카라비너 1871'''(Karabiner 1871|카라비너 1871de, 기병용): 독일 기병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1876년까지 본격적인 생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2]
  • '''M1879 그렌츠아프제허게베어'''(Grenzaufsehergewehr|그렌츠아프제허게베어de, 국경 경비대용): 국경 경비대에 지급된 모델로, M1871의 짧은 버전이다. 일반 군용 탄약보다 약한 독특한 11.15×37.5mmR 탄약을 사용했다.[1]


오스만 제국은 게베어 1871/84의 개량형을 채택하여 '''M1887'''로 명명하였다. 이 소총은 측면에 장착된 청소용 막대, 볼트 뒤쪽에 있는 두 번째 잠금 러그, 그리고 9.5×60mmR 탄약을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었다. 20세기 초, 일부 M1887은 앙카라의 병기창에서 7.65×53mm 무연 화약 탄약을 사용하도록 개조되었다.

세르비아 왕국은 1881년에 '''M1878/80''' 소총을 채택했는데, 이는 자체적인 10.15×63R 구경을 사용한 단발식 소총이었다. 이 소총은 "'''마우저-코카'''" 또는 "마우저-밀로바노비치"로도 알려져 있으며, 코스타 "코카" 밀로바노비치 소령이 개발한 "점진적 강선"이 특징이다. 마우저-코카는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에서 처음 실전에 투입되었으며, 약 110,000정이 세르비아 병기창에 보관되었다. 1907년, 이 중 약 절반이 7×57mm 탄약을 사용하는 5발들이 박스 탄창을 사용하도록 개조되었으며, 개조된 소총은 "'''M80/07'''" 또는 "Đurić Mausers"로 불렸다. 구형 및 신형 소총 모두 발칸 전쟁제1차 세계 대전에서 사용되었다.[3]

1894년, 우루과이는 M71 소총을 6.5×53.5mm SR(Daudeteau 시스템) 무연 화약 탄약을 사용하도록 개조했다.[4][5] 그러나 초기 탄약 배치가 잘못되어 소총에서 사용할 수 없었다.[6]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국민돌격대에 지급하기 위해 병기고에 보관되어 있던 Gew71이 다시 사용되기도 했다.

4. 대한제국에서의 사용

M71은 대한제국 군대, 특히 근위대 부대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러시아제 베르단 소총을 대체했다.[14] 대한제국은 M71용 탄약을 자체적으로 제조했는데, 이는 상당한 수의 M71이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

4. 1. 도입 배경

대한제국군은 러시아제 베르단 소총을 대체하기 위해 M71을 도입하였다. 특히 근위대 부대에서 주로 사용되었다.[14] 대한제국이 M71용 탄약을 제조했다는 사실은 상당한 수의 M71이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1914년 하우스 총기 밀수 사건을 통해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은 민족주의 민병대인 아일랜드 의용군을 위해 약 1,500정의 단발식 1871 마우저를 수입했다. 이 소총들은 1916년 부활절 봉기에서 사용되었으며, 아일랜드 독립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1871 마우저는 아일랜드에서 "하우스 마우저"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7]

4. 2. 영향

게베어 71은 대한제국 군대, 특히 근위대 부대에서 베르단 소총을 대체하여 사용되었다.[14] 대한제국이 게베어 71용 탄약을 제조했다는 사실은 상당한 수의 소총이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 비록 정확한 소총의 수는 불확실하지만, 이는 대한제국 군대의 근대화 과정에 게베어 71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게베어 71의 도입은 대한제국군의 훈련, 전술, 무기 체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최신 소총이었던 게베어 71은 이전의 구식 소총에 비해 사거리, 정확도, 연사 속도 등에서 우위를 보였을 것이며, 이는 대한제국군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했을 것이다.

5. 다른 국가에서의 사용

게베어 71은 독일 제국 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거나 개량되었다. 청나라는 1876년부터 M71 소총과 카빈총을 슈타이어 등지에서 구입했다.[11] 오스만 제국은 M71/84의 개량형인 M1887을 채택했는데, 9.5×60mmR 탄약을 사용하고 측면에 청소용 막대가 장착된 점이 특징이었다. 일부는 20세기 초에 7.65×53mm 무연 화약으로 개조되었다.

세르비아 왕국은 1881년에 M1878/80, 일명 '마우저-코카'를 채택했다. 이 소총은 10.15×63R 구경에 점진적 강선이 적용되었고,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에서 처음 사용되었다.[3] 1907년에는 일부가 7×57mm 탄약을 사용하도록 개조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M71 소총을 제1차 보어 전쟁, 제임슨 습격, 제2차 보어 전쟁 등에서 사용했다.[11] 에티오피아 제국도 M71을 밀수하여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사용했다.[14]

일본 제국은 M71을 시험용으로 수입하여 무라타 소총 개발에 참고했다.[11]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은 1914년 하우스 총기 밀수 사건을 통해 M71을 들여와 부활절 봉기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사용했다.[7] 대한제국 군대도 M71을 사용했으며, 특히 근위대 부대에서 러시아 베르단 소총을 대체했다.

우루과이는 프랑스에서 6.5×53.5mm SR 탄약으로 개조된 M71을 사용했고,[4][5] 태국, 온두라스 등도 1880년대부터 M71을 사용했다.

5. 1. 주요 사용 국가

국가도입 모델사용 기간 및 주요 사건
청나라M71[11]1876년부터 도입,[11] 청일 전쟁, 신해혁명, 의화단 운동 등에 사용.[11]
오스만 제국M1887[11]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등에 사용.[11]
세르비아 왕국M1878/80 (마우저-코카)[11]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 발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등에 사용.[3]
남아프리카 공화국M71[11]제1차 보어 전쟁,[11] 제임슨 습격,[11] 제2차 보어 전쟁 등에 사용.[11]
에티오피아M71[14]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 사용.[14]
일본 제국M71[11]무라타 소총 개발에 영향.[11]
아일랜드M71 ("하우스 마우저")[11]1914년 하우스 총기 밀수 사건, 부활절 봉기, 아일랜드 독립 전쟁 등에 사용.[7]
대한제국M71(주로 근위대 부대에서 사용)
독일 제국M71, M79, M71/84[11]제1차 세계 대전 아프리카 전선
나치 독일M71/84[11]1918-1919년 독일 혁명, Volkssturm
캐나다M71/84퀘벡 홈 가드 사용
아르헨티나M71[9]
콜롬비아M71[10]
variant=File:Royal banner of Béhanzin of Dahomey.svgM71[12]
도미니카 공화국M71[13]
에콰도르M71/84[11]
온두라스M71[11]
1855M71,[11] M71/84[15]
우루과이M71[11]
베네수엘라M71/84[11]


5. 2. 기타 사용 국가

국가사용 모델
아르헨티나모델 71[9]
콜롬비아모델 71[10]
도미니카 공화국모델 71[13]
에콰도르모델 71/84
온두라스모델 71
우루과이모델 71
베네수엘라모델 71/84
태국모델 71, 모델 71/84[15]


6. 제1차 세계 대전에서의 사용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게베어 71은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대한제국 군대는 근위대를 중심으로 러시아제 베르단 소총을 대체하여 M71을 사용했으며, 상당한 수량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14] 1876년부터 청나라는 마우저, 슈타이어, 스팡겐베르크 & 자우어로부터 M71 소총과 카빈총을 구입했고,[14] 독일군이 게베어 1888을 채택한 후에는 100만 정 이상의 M71 및 M71/84가 중국군에 배치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M71 소총을 제1차 보어 전쟁, 제임슨 습격, 제2차 보어 전쟁에서 사용했으며, 일부는 에티오피아 제국으로 밀수되어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사용되었다.[14] 의화단 운동 당시 중국군과 독일군은 각각 구형 M71과 M71/84를 사용했으며, 청일 전쟁신해혁명에서도 M71이 사용되었다.

세르비아터키발칸 전쟁제1차 세계 대전에서 M71 기반의 마우저 소총을 사용했다. 아일랜드에서는 1914년 하우스 총기 밀수 사건을 통해 약 1,500정의 M71이 수입되어 아일랜드 의용군부활절 봉기에서 사용했다.[7] 일본은 M71을 시험용으로 수입하여 무라타 소총 개발에 참고했다. 이외에도 우루과이, 시암, 온두라스,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등에서 M71 또는 M71/84를 사용했다.

6. 1. 독일군

제1차 세계 대전의 아프리카 전선에서 Schutztruppe|슈츠트루페de (식민지 주둔군)의 표준 소총으로 사용되었다.[14] 소이탄을 장착한 게베어 71은 관측 기구를 격추하는 데 사용되었고,[4] 독일 향토 방위군 부대는 M71/84 소총으로 무장했다. 이 소총 중 일부는 1918-1919년 독일 혁명 동안 사용되었고, 남은 소총은 1945년 Volkssturm|국민돌격대de 부대에 배포되었다.

6. 2. 기타 국가

제1차 세계 대전의 아프리카 전선에서 M71 예거|Jägerde 소총은 독일 제국 보호군(Schutztruppe)의 표준 소총이었다.[14]

7. 대중문화 속 게베어 71

커트 보네거트의 소설 ''타이탄의 세이렌''과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에 게베어 71 소총이 등장한다. 소설에서는 ''11mm 마우저''라는 이름으로 화성(Martian) 군대의 제식 소총으로 등장하며,[16] 영화에서는 일본 제국군이 사용하는 독일제 볼트 액션 마우저 M1871/84 소총으로 나타난다. 영화에서는 시대적 배경에 맞게 1884년형 모델이 아닌 1871년형 모델처럼 보이도록 외형이 변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국민돌격대에 지급되기도 했다.

7. 1. 등장 작품

커트 보네거트의 소설 ''타이탄의 세이렌''에서 화성(Martian) 군대의 제식 소총으로 ''11mm 마우저''가 등장한다.[16] 하지만, 소설에서는 이 총이 미국-스페인 전쟁 잉여 물품으로 구입했다고 언급되는데, 실제로는 1893년형 마우저(Model 1893) 7×57mm 마우저일 가능성이 있다.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에서는 일본 제국군이 독일제 볼트 액션 마우저 M1871/84 소총을 사용한다. 영화 제작진은 1884년형 모델을 1871년형 모델처럼 보이도록 외형을 변경했다.

8. 현대 소총과의 비교

게베어 71은 11mm 흑색 화약 금속 탄피를 사용하는 볼트 액션 소총으로, 초기에는 단발식이었다. 1870년부터 71년 사이에 실시된 시험에서 바이에른의 베르더 M1869 소총과 경쟁하였으며, 1871년 말 임시 채택된 후 바이에른을 제외한 독일 제후국에서 채택되었다. 작동 기구는 보불 전쟁 당시 주력 소총이었던 드라이제 소총을 기반으로 하지 않은 새로운 설계였다.[8]

볼트 선단 부분은 본체와 별도의 부품이었고, 측면에 폐쇄용 돌기(로킹 래그)가 1개 설치되어 후대의 "마우저 록"과는 다른 구조였다. 현재 높이 평가받는 마우저의 날개형 안전 레버는 게베어 71을 위해 처음 개발되었다.[8]

1884년에는 알프레트 폰 크로파체크가 설계한 8발들이 관형 탄창을 도입하여 '''게베어 71/84'''로 개량되었다. 이 탄창은 앞받침대 안에 총신과 평행하게 배치되었으며, 기관부 후방 왼쪽에 설치된 전환 레버를 통해 연발 및 단발 사격이 가능했다. 게베어 71은 1888년에 Gewehr88 소총으로 대체되었다.[8]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병기 부족으로 인해 국민돌격대에 지급되기도 했다.[8]

8. 1. 1880년대 소총 비교

1880년대 소총 비교[8]
구경방식국가총구 속도457m 속도914m 속도1372m 속도1829m 속도457m 탄도 고도914m 탄도 고도1372m 탄도 고도1829m 탄도 고도추진제 (propellant영어)탄두 (bullet영어)
약 1.10cm베르들-홀루프오스트리아-헝가리1439ft/s854ft/s620ft/s449ft/s328ft/s2.515m15.06m49.56m130m77gr370gr
약 1.14cm마티니-헨리영국1315ft/s869ft/s664ft/s508ft/s389ft/s2.924m14.6m44.84m109.07m85gr480gr
약 1.10cm그라스 Mle 1874프랑스1489ft/s878ft/s643ft/s471ft/s348ft/s2.368m14.2m46.27m118.8m80gr386gr
약 1.10cm마우저 1871독일1430ft/s859ft/s629ft/s459ft/s388ft/s2.514m14.84m48.52m125.3m75gr380gr
약 1.04cmM1870 이탈리아 베테를리이탈리아1430ft/s835ft/s595ft/s422ft/s304ft/s2.6m15.9m53.73m143.2m62gr310gr
약 1.01cm야르만 M1884노르웨이-스웨덴1536ft/s908ft/s675ft/s504ft/s377ft/s2.205m13.09m41.94m106.2m77gr337gr
약 1.07cm베르단 소총러시아1444ft/s873ft/s645ft/s476ft/s353ft/s2.437m14.33m46.24m118.5m77gr370gr
약 1.14cm스프링필드 모델 1884미국1301ft/s875ft/s676ft/s523ft/s404ft/s2.613m14.29m43.37m104.5m70gr500gr
약 1.02cm엔필드-마티니영국1570ft/s947ft/s719ft/s553ft/s424ft/s2.043m11.89m37.19m90.98m85gr384gr


참조

[1] 웹사이트 71 Mauser https://web.archive.[...] MilitaryRifles.com 2011-03-26
[2] 웹사이트 The Hunting Guns of the German Kaiser – German Hunting Guns https://www.germanhu[...]
[3] 간행물 1 of 110,000. The Serbian M78/80 is one of the Rarest of Mauser Rifles http://fmgpublicatio[...] Guns magazine 2012-05
[4] 잡지 Le Mauser 1871 ou l'après Dreyse http://fr.1001mags.c[...] 1992-10
[5] 잡지 Un mousqueton militaire Rival: Système Daudeteau de la Manufacture d'armes et cycles de Saint-Étienne http://fr.1001mags.c[...] 2010-05
[6] 잡지 Diario de sesiones de la Cámara de Representantes, Volume 18 https://books.google[...] 1895
[7] 웹사이트 The uneasy calm before the coming storm https://archive.toda[...] Irish Times 2011-03-26
[8] 뉴스 The New Martini-Enfield Rifle http://www.gracesgui[...] 2017-04-03
[9] 웹사이트 Military rifle cartridges of Argentina https://www.thefreel[...] 2023-01-19
[10] 웹사이트 The military rifle cartridges of Panama de conquistadores al Canal https://www.thefreel[...] 2022-12-28
[11] 서적 Imperial Chinese Armies 1840–1911 2016-04-21
[12] 저널 Firearms and Warfare on the Gold and Slave Coasts from the Six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ies https://www.jstor.or[...] 1971
[13] 문서 '"Armas de fuego usadas en las luchas civiles y por los cuerpos armados dominicanos (siglos XIX y XX)"'
[14]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The Italian Disaster in Ethiopia Osprey Publishing 2011-09-20
[15] 웹사이트 Siamese Thai: Military Rifle cartridges https://www.thefreel[...] 2022-12-26
[16] 서적 The Sirens of Titan https://books.google[...] Delacorte Press 195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