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트 사무라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스트 사무라이'는 1876년 미국 남북 전쟁 참전 용사 네이던 올그런 대위가 일본 정부의 의뢰를 받아 신식 군대를 훈련시키면서, 사무라이들의 삶에 매료되어 그들과 함께 싸우게 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톰 크루즈가 올그런 대위, 와타나베 켄이 사무라이 가쓰모토 역을 맡았으며, 일본의 메이지 유신 시대를 배경으로 사무라이들의 저항과 몰락을 그렸다. 이 영화는 백인 구원자 서사, 역사 왜곡 등의 비판과 함께 일본 내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흥행에도 성공하여 전 세계적으로 4억 5천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7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샌 안토니오 (영화)
1945년에 개봉한 데이비드 버틀러 감독의 미국 서부 영화 샌 안토니오는 에롤 플린과 알렉시스 스미스가 주연을 맡아 텍사스 샌 안토니오를 배경으로 가축 절도범을 쫓는 클레이 하딘의 이야기를 그리며, 워너 브라더스에서 제작되어 에롤 플린의 액션 연기로 1940년대 중반 그의 영화 중 가장 인기 있는 작품 중 하나가 되었다. - 1877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무정한 로맨스
19세기 후반 러시아 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 《무정한 로맨스》는 알렉산드르 오스트로프스키의 희곡을 원작으로, 가난 때문에 진정한 사랑을 얻지 못하고 부유한 남자들의 유혹과 배신 속에서 파멸하는 라리사 오구달로바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통해 사랑, 욕망, 계급, 사회적 불평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세이난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 - 나는 듯이
《나는 듯이》는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정치 상황을 배경으로 사이고 다카모리와 오쿠보 도시미치를 중심으로 주요 인물들의 삶과 갈등, 그리고 정치적·사회적 변혁을 묘사한 미야기타니 마사미츠의 장편 소설이다. - 세이난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 - 발도대 (군가)
발도대는 세이난 전쟁의 발도대 활약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일본 군가로, 일본 최초의 서양식 군가로 발표된 후 행진곡풍으로 편곡되어 일본 육군, 자위대, 경찰에서 사용된다. - 메이지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바람의 검심 (영화)
와츠키 노부히로의 만화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담-》을 원작으로 오오토모 케이시 감독이 연출하고 사토 타케루가 주연한 일본 영화 시리즈 《바람의 검심》은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총 5편이 제작 및 개봉되었으며, 켄신이 과거를 청산하고 새로운 삶을 살아가면서 겪는 갈등과 모험을 그린 액션과 감동적인 스토리로 인기를 얻었다. - 메이지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수라설희
1973년 후지타 도시야 감독이 연출하고 카지 메이코가 주연을 맡은 일본 영화 수라설희는 복수를 위해 태어난 여인 카시마 유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이후 여러 작품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영화 킬 빌에 영감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라스트 사무라이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원제 | The Last Samurai |
한국어 제목 | 라스트 사무라이 |
감독 | 에드워드 즈윅 |
각본 | 존 로건 에드워드 즈윅 마셜 허스코비츠 |
원안 | 존 로건 |
제작 | 톰 크루즈 톰 엔젤먼 스코트 크루프 폴라 와그너 에드워드 즈윅 마셜 허스코비츠 |
제작 총지휘 | 테드 필드 찰스 말베힐 리처드 솔로몬 빈센트 워드 |
출연 | 톰 크루즈 와타나베 켄 사나다 히로유키 코유키 오야마다 신 티모시 스폴 빌리 코놀리 하라다 마사토 토니 골드윈 |
음악 | 한스 짐머 |
촬영 | 존 톨 |
편집 | 스티븐 로젠블럼 빅터 드 보이스 |
제작사 |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크루즈/와그너 프로덕션스 베드포드 폴스 컴퍼니 레이더 픽처스 Samurai Pictures, LLC |
배급사 |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
개봉일 | 2003년 12월 3일 2003년 12월 6일 |
상영 시간 | 154분 |
언어 | 영어 일본어 |
제작비 | 1억 4000만 달러 |
흥행 수입 | $456,758,981 $111,127,263 137억 엔 |
추가 정보 | |
![]() | |
![]() | |
영화 관련 정보 | 미국은 서구화 추진의 주요 세력으로 묘사되지만, 역사적으로는 주로 유럽 국가들이 이 과정에 영향을 주었음. 프랑스 체조와 군사 프랑스 복싱이 현대 가라테 창시 (1867-1914)에 영향 |
2. 역사적 배경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는 미국 독립 100주년을 맞는 1876년 전후의 일본을 배경으로 한다. 이 시기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일본 천황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적 근대 국가로 나아가고 있었다. 서구 열강의 압력 속에서 부국강병을 목표로 급격한 서양화와 근대화가 추진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서구식 군사 제도 도입과 전통적인 사무라이 계급의 해체를 둘러싼 개혁파와 보수파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27][28] 영화는 이러한 전통과 근대화, 동양과 서양의 가치가 충돌하는 격동의 시대를 배경으로, 변화에 직면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2. 1. 시대적 상황
19세기 후반, 일본은 에도 막부의 쇄국 정책이 막을 내리고 메이지 유신을 통해 일본 천황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적 근대 국가로 나아가던 격변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서구 열강의 군사적, 경제적 압력 속에서 일본 정부는 부국강병을 목표로 급속한 서양화와 근대화를 추진했다.이 과정에서 천황을 중심으로 한 개혁파와 전통적인 사무라이 계급을 중심으로 한 보수파 사이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개혁파는 서양식 군사 제도를 도입하고 사무라이 제도를 폐지하는 등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했으며, 이는 기존 질서의 핵심이었던 사무라이 계급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폐도령과 같이 사무라이의 상징과 특권을 박탈하는 조치는 이들의 불만을 더욱 증폭시켰다.

역사학자 캐시 슐츠(Cathy Schultz)에 따르면, 많은 사무라이들이 메이지 유신의 근대화 정책에 반대한 것은 단순히 전통 수호를 위한 이타적인 이유 때문만은 아니었다. 오히려 자신들의 특권적인 전사 계급으로서의 지위가 메이지 정부가 내세운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급진적인 사상에 의해 도전받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슐츠는 영화가 근대화 정책을 이끈 핵심 인물 중 상당수가 일본의 부국강병을 위해 기꺼이 자신의 특권을 포기한 전직 사무라이 출신이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한다.[27]
영화 속 등장인물인 가츠모토의 실제 모델로 여겨지는 역사적 인물 사이고 다카모리는 메이지 유신의 주요 공신 중 한 명이었으나, 이후 신정부의 급진적인 서구화 정책과 사무라이 계급의 해체에 반발하여 사쓰마의 난을 주도한 복합적인 인물이다. 그는 동시대 정치인들의 부패와 사치를 비판하며 전통적인 가치를 옹호했고, 일본 사회의 지나치게 빠른 변화, 특히 무사 계급의 몰락에 깊은 우려를 표했다. 또한 그는 정한론을 주장하며 대외 팽창론적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 사이고는 서구의 압력에 맞서기 위한 군사력 강화의 필요성은 인정했지만, 전통적인 사무라이 중심의 사회 구조가 해체되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반란을 서구화된 물질주의에 대한 도덕적 저항으로 내세웠으나, 결국 사쓰마의 난은 실패로 끝나고 만다.[28]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전통과 근대화, 동양과 서양의 가치가 충돌하며 일본 사회는 큰 혼란과 변화를 겪고 있었다.
2. 2. 사쓰마 번과 사이고 다카모리
영화 속 사무라이 지도자 가쓰모토 모리쓰구는 실제 역사 인물인 사이고 다카모리(西郷 隆盛)에 바탕을 두고 있다.[28] 사이고 다카모리는 에도 시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에 활동한 사쓰마 번 출신의 유력한 사무라이이자 정치가로, 메이지 유신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이었다.사이고는 일본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중앙 정부 수립에 크게 기여했으나, 이후 정부의 급진적인 서구화 정책과 사무라이 계급의 특권 폐지에 강하게 반발했다. 번역가이자 역사가인 아이반 모리스는 사이고가 신정부의 이상이 변질되고 있다고 생각했으며, 지나치게 빠른 사회 변화와 특히 무사 계급에 대한 불리한 처우에 깊은 우려를 표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폐도령(칼 착용 금지)이나 단발령(상투 금지)과 같은 조치를 무의미한 도발로 간주했다.[28]
사이고는 서구 열강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강력한 군대가 필요하다는 점은 인정했지만, 징병제 도입 등 군사 개혁이 가져올 사회적 변화, 특히 사무라이 계급의 전통적인 지위와 역할을 약화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그의 출신지인 사쓰마 번을 비롯하여 사무라이 계층의 불만을 품은 세력으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28]
결국 사이고는 1877년 사쓰마의 난(西南戦争)을 일으켜 메이지 정부에 정면으로 맞섰다. 이 반란은 사무라이 계급의 마지막 대규모 저항으로 평가받는다. 아이반 모리스에 따르면, 사이고는 물질적인 혁명이 아닌 도덕적 혁명을 추구했으며, 서구화된 물질주의가 가져온 도덕적 해이에 대한 저항으로서 반란을 정당화하려 했다.[28] 그러나 반란은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사이고는 전투 중 사망했다.
한편, 사이고 다카모리는 1873년 정한론(征韓論) 논쟁 당시 조선 침략을 강력하게 주장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이는 사무라이 계급의 불만을 외부로 돌리고 일본의 국력 신장을 꾀하려는 의도였으나, 당시 정부 내 다른 세력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했다. 이러한 측면은 그를 단순히 전통 수호자로만 보기 어렵게 만드는 복합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사이고를 포함한 많은 사무라이들이 메이지 유신의 근대화 정책에 반대한 주된 이유가 사무라이라는 특권 계급으로서 누리던 지위와 이익을 지키기 위함이었다고 비판적으로 보기도 한다.[27]
사쓰마 번은 에도 시대 말기부터 메이지 유신 시기까지 일본 정치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막부 타도와 신정부 수립 과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사이고 다카모리는 이러한 사쓰마 번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여겨진다.
2. 3. 조선과의 관계 (한국의 관점)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의 주요 등장인물인 가츠모토는 일본의 실존 인물인 사이고 다카모리를 모델로 하고 있다. 사이고 다카모리는 메이지 유신 초기 신정부 수립에 공헌했으나, 급격한 서구화와 사무라이 계급의 해체에 반발하여 사쓰마 번을 중심으로 불만 세력을 규합하고 사쓰마의 난(1877년)을 일으킨 인물이다.[28][40]
특히 사이고 다카모리는 정한론(征韓論)을 강력하게 주장한 대표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다. 정한론은 무력을 사용해서라도 조선을 정벌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당시 일본 내에서 조선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대변했다. 이는 메이지 유신 이후 변화된 국내외 정세 속에서 일본의 대외 팽창 의도를 드러내는 것이었으며, 조선 침략의 명분을 만들려는 시도였다. 한국의 입장에서는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 주장이 이후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 정책의 사상적 배경 중 하나로 작용했다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평가된다.
3. 등장인물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 및 상세 설명은 하위 문서를 참조한다.
가쓰모토 역할의 캐스팅 과정에서는 와타나베 켄 외에도 야쿠쇼 코지가 유력한 후보였다. 가쓰모토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다는 설정이 중요했는데, 오디션 당시 와타나베 켄은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못했다. 그는 오디션 합격 후 영어 회화를 집중적으로 연습하여, 이후 통역 없이 의사소통이 가능할 정도의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 이는 이후 출연한 『사유리』,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 『인셉션』 등의 작품에서도 이어졌다. 반면, 사나다 히로유키는 촬영 시작 당시 이미 영어가 가능하여, 일본인의 시각에서 어색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며 사실상 감독 보조 역할도 수행했다. 하라다 마사토 감독 또한 제작에 협력했다. 최종 결전 장면에서 JAC 출신인 사나다 히로유키의 액션 연기가 뛰어나 주인공인 톰 크루즈보다 더 눈에 띄자, 그의 출연 장면이 일부 편집되기도 했다.
노부타다 역의 코야마다 신은 당시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던 유학생 신분으로 오디션에 참여했다. 영어를 너무 유창하게 구사하여 오히려 일본식 영어처럼 발음하라는 주문을 받았으며, 미국에서 전미 무술 대회 우승 경험이 있었던 점도 캐스팅에 영향을 미쳤다.
마을의 무사들과 정부군 병사 역할을 맡은 엑스트라는 모두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일본인들이었다. 초기에는 징병제 경험이 있는 한국인이나 총기 사용 경험이 있을 수 있는 일계 미국인 등을 고려했으나, 톰 크루즈 등의 반대로 일본에서 약 500명의 젊은이들이 뉴질랜드로 건너가 군대식 훈련을 받으며 촬영에 임했다.[43]
3. 1. 주요 등장인물
미국 남북 전쟁과 미국 인디언 전쟁에 참전한 미국 육군 대위 출신 참전 용사. 뛰어난 군인이지만 샌드 크릭 학살이나 워시타 강 전투 등에서 저지른 잔혹 행위에 대한 기억으로 정신적 외상을 입고 알코올 의존증에 시달린다. 미국 육군에서 사실상 해고된 후, 윈체스터 사의 광고 모델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하다 전 상관인 배글리 대령의 권유와 거액의 보수에 이끌려 메이지 정부의 신식 군대 훈련 교관으로 일본으로 건너간다. 그러나 첫 전투에서 사무라이 군대에게 패배하고 포로가 되어 사무라이 지도자 가쓰모토의 마을에서 생활하게 된다. 처음에는 적대적이었으나 점차 사무라이들의 무사도 정신과 전통적인 삶의 방식에 매료되고, 가쓰모토와 깊은 유대를 맺으며 검술을 배우고 일본어와 일본 문화를 익힌다. 알코올 중독과 과거의 죄책감을 극복하고 내면의 평화를 찾아가며, 결국 사무라이들의 대의에 공감하여 그들과 함께 싸우기로 결심한다. 그의 일기는 영화 속에서 일본 문화에 대한 그의 인상과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장치로 사용된다. 프랑스 군사 고문단으로 일본에 와 보신 전쟁에 참전한 쥘 브뤼네를 모델로 한 인물이다.

- 와타나베 켄(Ken Watanabe) - 가쓰모토 모리츠구 勝元 盛次일본어
메이지 천황의 스승이었던 전직 다이묘. 메이지 유신 이후 급격한 서구화와 사무라이 계급의 몰락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킨 사무라이들의 지도자이다. 전통적인 가치와 무사도 정신을 지키려 하며, 일본 사회에서 사무라이의 역할이 사라지는 것을 막고자 한다. 오무라를 비롯한 서구 개혁가들이 천황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우려하며, 정부와의 충돌을 통해 자신들의 신념을 지키려 한다. 전투 중 포로로 잡은 올그런의 용맹함과 고뇌를 알아보고 그를 살려두며, 점차 그와 깊은 정신적 교감을 나눈다. 사쓰마의 난을 이끈 실존 인물 사이고 다카모리를 모델로 하고 있으며, 영화 속에서 '마지막 사무라이'로 상징되는 인물이다.[28] 와타나베 켄은 이 역할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과 골든 글로브상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 하라다 마사토(Masato Harada) - 오무라 마쓰에 大村 松江일본어
메이지 정부의 대신이자 부유한 사업가. 일본의 근대화와 서구화를 강력하게 추진하며, 이를 위해 철도 건설 등 이권 사업에도 적극적이다. 상인 가문 출신으로, 과거 사무라이 계급에게 억압받았던 경험 때문에 사무라이에 대한 깊은 반감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영향력을 완전히 제거하려 한다. 젊고 경험이 부족한 메이지 천황을 등에 업고 사실상 국정을 주도하며, 가쓰모토와 그의 세력을 반란군으로 몰아 제거하기 위해 서구식 군대를 조직하고 미국인 교관들을 고용한다. 메이지 유신의 주요 개혁가였던 오쿠보 도시미치를 연상시키는 인물로 묘사된다.
- 티모시 스폴(Timothy Spall) - 사이먼 그레이엄 Simon Graham영어
영국 출신의 통역가, 사진작가, 학자. 올그런 대위와 일본 병사들 사이의 통역을 위해 고용되었다. 처음에는 중립적인 관찰자이자 실용적인 조력자로 등장하지만, 점차 사무라이들의 문화와 가치에 공감하게 되며 올그런이 가쓰모토를 구출하는 것을 돕는다. 일본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올그런에게 일본의 상황과 문화를 설명해주는 역할을 한다. 사쓰마의 난 당시 사이고 다카모리와 교류했던 실존 인물인 영국 일본학자 어니스트 메이슨 새토를 모델로 하고 있다.
- 코야마다 신(Shin Koyamada) - 노부타다 信忠일본어
가쓰모토의 외아들이자 사무라이 마을의 젊은 지도자. 아버지의 명으로 올그런에게 일본 문화와 일본어를 가르치면서 그와 깊은 우정을 쌓는다. 전통적인 사무라이로서의 긍지를 지니고 있으며, 아버지 가쓰모토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다. 도쿄에서 아버지가 감금되었을 때, 올그런과 함께 구출 작전에 참여하며, 아버지를 포함한 동료들이 탈출할 수 있도록 스스로 희생하여 일본 제국 육군 병사들의 주의를 끄는 과정에서 사망한다.
- 코유키(Koyuki) - 타카 たか일본어
가쓰모토의 여동생. 사무라이였던 남편(히로타로)이 첫 전투에서 올그런에게 살해당했다. 포로가 된 올그런을 간호하는 역할을 맡게 되면서 복잡한 감정을 느낀다. 처음에는 올그런에게 적대감을 보이지만, 그가 일본 문화에 적응하고 내면의 고통을 극복해나가는 모습을 지켜보며 점차 마음을 열게 된다. 서로 말하지 않은 애정을 느끼게 되며, 마지막 전투를 앞둔 올그런에게 죽은 남편의 갑옷을 입혀준다.
- 사나다 히로유키(Hiroyuki Sanada) - 우지오 氏尾일본어
가쓰모토의 가장 충성스럽고 신뢰받는 부하이자 뛰어난 검객. 처음에는 서양인인 올그런을 매우 경계하고 적대시하지만, 올그런이 검술 훈련에 진지하게 임하고 사무라이 정신을 이해하려는 모습을 보이자 점차 그를 인정하고 존중하게 된다. 올그런에게 직접 검술을 가르쳐주기도 한다. 마지막 전투에서 가쓰모토와 함께 용맹하게 싸우다 전사한다.
- 토니 골드윈(Tony Goldwyn) - 배글리 중령 Colonel Bagley영어
미국 육군 제7기병대 출신으로, 올그런의 전 상관. 인디언 전쟁 당시 잔혹한 행위를 지시했으며, 이로 인해 올그런은 그를 증오한다. 일본 제국 육군의 훈련 교관으로 고용되어 올그런을 끌어들인다. 오만하고 냉혹한 성격으로 사무라이들을 "활과 화살을 든 야만인"이라 부르며 경멸한다. 마지막 전투에서 가쓰모토를 쏘려다가 올그런이 던진 칼에 맞아 사망한다.
- 나카무라 시치노스케 2세(Nakamura Shichinosuke II) - 메이지 천황 明治天皇일본어
일본의 근대화를 이끌고 있는 젊은 천황. 서구의 문물과 제도를 받아들여 일본을 강력한 국가로 만들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경험 부족으로 인해 오무라와 같은 야심 많은 측근들의 영향력 아래 놓여 있으며, 전통과 개혁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을 보인다. 영화 후반부, 올그런을 통해 가쓰모토의 진심과 사무라이 정신의 가치를 깨닫고 오무라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일본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결단을 내린다.
- 빌리 코놀리(Billy Connolly) - 제브 갠트 상사 Sergeant Zebulon Gant영어
아일랜드계 미국인으로, 남북 전쟁 시절부터 올그런과 함께한 충직한 부하이자 친구. 올그런을 따라 일본으로 와서 일본 제국 육군 훈련을 돕는다. 첫 전투에서 사무라이들의 공격으로 부상을 입고 히로타로(타카의 남편)에게 살해당한다.
- 후쿠모토 세이조(Seizo Fukumoto) - 과묵한 사무라이 (밥) Silent Samurai "Bob"영어
가쓰모토의 명으로 올그런을 감시하는 임무를 맡은 나이 든 사무라이. 항상 올그런의 곁을 지키며 말없이 그를 관찰한다. 마지막 전투에서 올그런을 향해 날아오는 총알을 대신 맞고 목숨을 구하며, 이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알그렌 씨!"라고 외친다.
- 스가타 준(Shun Sugata) - 나카오 中尾일본어
나기나타를 주 무기로 사용하며 유술에도 능한 사무라이. 가쓰모토 구출 작전에 참여하고 마지막 전투에서 다른 사무라이들과 함께 전사한다.
- 이가와 토고(Togo Igawa) - 하세가와 장군 長谷川일본어
일본 제국 육군의 장군으로, 전직 사무라이 출신이다. 첫 전투에서 자신이 이끌던 부대가 사무라이들에게 패배하자 할복으로 생을 마감한다.
3. 2. 조연 및 기타 등장인물
- 빌리 코널리 - 제불론 간트 상사: 네이선 올그런 대위와 함께 복무했으며 그에게 충성하는 아일랜드계 미국인 미국 남북 전쟁 참전 용사이다. 올그런에게 일본행을 설득하고 황실 군대 훈련을 함께한다. 첫 전투에서 사무라이의 창에 부상을 입고 히로타로(타카의 남편)에게 살해당한다.
- 후쿠모토 세이조 - 과묵한 사무라이 "밥": 가쓰모토의 명으로 올그런을 감시하는 임무를 맡은 나이 든 사무라이이다. 항상 올그런의 곁을 지키며 말이 거의 없다. 마지막 전투에서 올그런을 향해 날아오는 총알을 몸으로 막아 그의 목숨을 구하며, 이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알그렌 씨!"라고 외친다.
- 이가와 토고 - 하세가와 장군: 일본 제국 육군에서 복무하는 전직 사무라이 출신 장군이다. 사무라이 반란군과의 첫 전투에서 패배한 후 할복으로 생을 마감한다.
- 토니 골드윈 - 배글리 중령: 올그런의 제7기병대 시절 상관이었던 인물. 미국 인디언 전쟁 당시 워시타 강 전투에서의 잔혹한 역할 때문에 올그런이 증오하는 대상이다. 황실 군대의 훈련 교관으로 초빙되어 오만한 태도로 사무라이를 "활과 화살을 든 야만인"이라 부르며 경멸한다. 마지막 전투에서 가쓰모토를 쏘려다가 올그런이 던진 칼에 가슴을 맞고 사망한다.
- 티모시 스폴 - 사이먼 그레이엄: 올그런 대위와 영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그의 병사들을 위한 통역관으로 고용된 영국인 사진가이자 학자이다. 처음에는 실용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점차 사무라이의 대의에 공감하게 되고, 올그런이 가쓰모토를 구출하는 것을 돕는다. 그의 캐릭터는 사쓰마 반란 당시 사이고 다카모리와 교류했던 실존 인물인 영국 일본학자 어니스트 메이슨 새토를 바탕으로 한다.
- 하라다 마사토 - 오무라 마쓰에: 부유한 산업가이자 친서구화 개혁을 추진하는 정치가이다. 일본 철도 사업을 통해 막대한 부를 쌓았으며, 쇼군 시대에 억압받았던 상인 가문 출신이라는 배경 때문에 사무라이 계급에 대한 깊은 경멸감을 가지고 있다. 메이지 천황의 경험 부족을 이용하여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고, 서구식 군대를 창설하여 가쓰모토와 그의 사무라이 반군을 제거하려 한다. 그의 외형은 메이지 유신의 핵심 인물이었던 오쿠보 도시미치를 연상시키도록 디자인되었다. 하라다는 영화 제작 중 험프리 보가트가 연기했던 사운드 스테이지 19에 메이지 천황의 회의실 세트가 건설되는 것을 보고 영화 참여에 큰 관심을 보였다고 언급했다.
- 나카무라 시치노스케 - 메이지 천황: 일본의 근대화를 위해 메이지 유신을 추진한 천황. 서구의 사상과 기술을 받아들여 일본을 강력한 국가로 만들고자 하지만, 경험 부족으로 인해 오무라와 같은 야심 있는 인물들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된다. 영화 속 모습은 그의 권위가 아직 완전히 확립되지 않았던 1860년대의 젊은 천황과 유사하게 묘사되며, 다소 소심한 성격으로 그려진다.
- 사나다 히로유키 - 우지오: 뛰어난 검술 실력을 가진 사무라이로, 가쓰모토의 가장 신뢰받는 부하 중 한 명이다. 처음에는 포로로 잡혀 온 올그런에게 적대감을 보이지만, 그에게 검술을 가르치면서 점차 그를 인정하고 동등한 존재로 존중하게 된다. 마지막 전투에서 가쓰모토를 보호하며 용감히 싸우다 전사한다. 사나다 히로유키는 촬영 당시 이미 영어가 유창하여, 일본 문화에 대한 자문 역할과 함께 사실상 감독 보조 역할까지 수행했다. 그의 뛰어난 액션 연기 때문에 일부 장면이 편집되기도 했다.
- 코유키 - 타카: 가쓰모토의 여동생이자, 첫 전투에서 올그런에게 살해당한 사무라이 히로타로의 미망인이다. 포로가 된 올그런을 간호하게 되면서 점차 그와 미묘한 감정을 나누게 되고, 마지막 전투를 앞둔 올그런에게 남편의 갑옷을 입혀준다.
- 코야마다 신 - 노부타다: 가쓰모토의 외아들이자 사무라이 마을의 젊은 지도자이다. 아버지의 명으로 올그런에게 일본 문화와 일본어를 가르치면서 그와 우정을 쌓는다. 오무라 군대에 의해 아버지가 감금되자, 아버지를 구출하기 위한 작전 중 스스로 희생하여 적의 시선을 끄는 역할을 한다. 코야마다 신은 당시 로스앤젤레스에서 유학 중이었으며, 오디션에서 너무 유창한 영어를 구사하여 오히려 일본식 억양의 영어를 하도록 요청받았다. 미국에서의 무술 대회 우승 경력이 캐스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스가타 준 - 나카오: 나기나타와 유술에 능한 장신의 사무라이이다. 올그런의 가쓰모토 구출 작전에 참여하며, 마지막 전투에서 다른 사무라이들과 함께 전사한다.
- 스콧 윌슨 - 스완벡 대사: 일본 주재 미국 대사.
- 이케마쓰 소료 - 토비겐: 타카의 아들. 아버지를 죽인 올그런에게 처음에는 적대감을 보이지만 점차 마음을 열고 그를 따른다.
- 미나토 아오이 - 손지로: 타카의 아들로 언급되기도 한다.
- 니카이도 사토시 - 정부군 지휘관
- 마츠자키 유키 - 정부군 병졸
- 존 코야마 - 오무라의 측근
- 윌리엄 아서턴, 채드 린드버그 - 윈체스터 라이플 홍보원
- 오자키 에이지로, 타카라 타카시, 셰인 코스기, 타니가와 토무 - 사무라이
영화에 등장하는 사무라이 마을 주민들과 정부군 병사 역할을 맡은 엑스트라들은 모두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일본인들이었다. 약 500명의 일본 젊은이들이 촬영지인 뉴질랜드에 모여 군대식 훈련을 받으며 촬영에 임했다.[43]
3. 3. 더빙판 성우진 (SBS, 2006년)
wikitext배역 | 원 배우 | 한국어 성우 (SBS) |
---|---|---|
네이든 알그렌 | 톰 크루즈 | 안지환 |
카츠모토 | 와타나베 켄 | 신성호 |
사이먼 그레이엄 | 티모시 스폴 | 이종구 |
배글리 중령 | 토니 골드윈 | 김준 |
오무라 | 하라다 마사토 | 황윤걸 |
일본군 장교 | 이가와 토고 | 이근욱 |
미국 대사 | 스콧 윌슨 | 김용식 |
그랜트 상사 | 빌리 코널리 | 김익태 |
마구지로 | 아오이 미나토 | 이선호 |
메이지 천황 | 나카무라 시치노스케 | 윤복성 |
노부타다 | 코야마다 신 | 변영희 |
미국인 | 해당 없음 | 최옥희 |
미국인 | 해당 없음 | 기경옥 |
4. 줄거리
1876년, 미국 남북전쟁과 인디언 토벌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나 전쟁 중 겪은 잔혹 행위로 정신적 외상을 입고 알코올 의존증에 시달리는 전 미국 육군 대위 네이선 올그런(톰 크루즈)은 샌프란시스코 박람회에서 윈체스터 라이플 홍보를 위해 총쏘기 시범을 보이며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의 전 상관인 배글리(토니 골드윈) 대령은 일본의 부유한 사업가이자 대신인 오무라(하라다 마사토)의 제안을 가지고 그를 찾아온다. 오무라는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화를 추진하며 사무라이 계급을 폐지하려는 신정부에 맞서 반란을 일으킨 사무라이들을 진압하기 위해, 새로 창설된 제국 육군을 훈련시킬 교관으로 올그런을 고용하려 한다. 배글리를 증오하지만 경제적으로 궁핍했던 올그런은 거액의 보수를 받고 제안을 수락하고, 오랜 친구인 제블런 간트(빌리 코놀리) 중사와 함께 일본으로 향한다.
일본에 도착한 올그런은 일본어에 능통한 영국인 통역사 사이먼 그레이엄(티모시 스폴)을 만나고, 메이지 천황(나카무라 시치노스케)을 알현한다. 그는 제국군 병사들이 전투 경험이 부족하고 훈련이 제대로 되지 않은 농민 징집병임을 알게 된다. 올그런은 충분한 훈련 시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오무라는 가쓰모토(와타나베 켄)가 이끄는 사무라이들이 자신의 철도를 공격했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출정을 명령한다. 예상대로 전투에서 제국군은 사무라이들의 기세에 눌려 순식간에 패주하고, 간트 중사는 전사한다. 올그런은 홀로 남아 분투하다 사무라이들에게 포위되지만, 그의 용맹함에 감탄한 사무라이 지도자 가쓰모토는 그를 죽이지 않고 포로로 삼는다.
올그런은 가쓰모토의 아들 노부타다(코야마다 신)의 마을로 끌려가, 가쓰모토의 여동생이자 자신이 전투 중 죽인 사무라이 히로타로의 미망인인 타카(코유키)의 간호를 받게 된다. 처음에는 냉대와 경계 속에서 지내지만, 점차 마을 사람들과 교류하며 그들의 생활 방식과 사무라이 정신에 매료된다. 그는 타카의 도움으로 알코올 중독과 과거의 죄책감을 극복하고, 일본어와 일본 문화, 그리고 검술(겐주쓰)을 배운다. 올그런은 서구화와 근대 기술이 일본의 전통과 정신을 훼손한다고 믿는 가쓰모토와 사무라이들에게 깊은 공감을 느끼며 가까워지고, 타카와도 말없는 애정을 키워간다. 그는 사무라이 우지오(사나다 히로유키)와의 검술 대련을 통해 실력을 키우고 점차 사무라이들의 인정을 받는다.
어느 날 밤, 마을 축제 중에 오무라가 보낸 닌자 암살자들이 가쓰모토를 습격한다. 올그런은 가쓰모토와 함께 싸워 암살자들을 물리치고 마을을 지켜내며 사무라이들의 완전한 신뢰를 얻는다. 이후 가쓰모토는 메이지 천황과의 면담을 위해 도쿄로 향하고, 올그런도 동행하여 석방된다. 도쿄에서 올그런은 배글리 대령의 지휘 아래 훨씬 잘 훈련되고 현대식 무기로 무장한 제국군의 모습을 목격한다. 가쓰모토는 젊은 천황이 오무라의 영향력 아래 꼭두각시처럼 행동하는 것에 실망한다. 정부 회의에서 오무라는 폐도령을 어기고 칼을 차고 온 가쓰모토를 체포하고 할복(셋푸쿠)을 명한다. 한편, 오무라는 올그런에게 다시 군 지휘를 제안하지만 올그런은 거절한다. 오무라가 보낸 암살자들을 물리친 올그런은 그레이엄과 가쓰모토의 부하 사무라이들과 힘을 합쳐 감금된 가쓰모토를 구출한다. 이 과정에서 가쓰모토의 아들 노부타다가 치명상을 입고 다른 이들의 탈출을 위해 자신을 희생한다.
슬픔에 잠긴 가쓰모토는 할복을 생각하지만, 올그런은 그를 설득하여 함께 싸울 것을 결의한다. 그들은 마을로 돌아와 최후의 전투를 준비한다. 타카는 올그런에게 죽은 남편 히로타로의 갑옷을 입혀주고, 가쓰모토는 "옛 방식과 새로운 방식이 하나 된 전사"라는 글귀가 새겨진 카타나를 선물한다. 압도적인 수의 제국군이 진군해오자, 사무라이들은 지형을 이용한 함정과 용맹함으로 첫 전투에서 승리하며 제국군에게 큰 피해를 입힌다. 그러나 곧 제국군 증원군이 도착하고 패색이 짙어지자, 가쓰모토는 마지막 기마 돌격을 명령한다. 사무라이들은 포격을 뚫고 배글리의 방어선까지 돌파하고, 올그런은 배글리를 죽인다. 하지만 결국 제국군의 기관총 세례 앞에 우지오를 비롯한 사무라이들은 전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는다. 이전에 올그런에게 훈련받았던 제국군 대장은 죽어가는 사무라이들의 모습에 경악하며 사격을 중지시킨다. 치명상을 입은 가쓰모토는 올그런의 도움을 받아 할복으로 생을 마감하고, 이를 지켜본 제국군 병사들은 경의를 표하며 무릎을 꿇는다.
싸움이 끝난 후, 부상당한 올그런은 미국과의 무역 협상이 진행 중인 천황 앞에 나타나 가쓰모토의 칼을 바치며, 그와 사무라이들이 지키고자 했던 일본의 전통과 정신을 잊지 말아 달라고 간청한다. 올그런의 말에 감명받은 천황은 일본이 근대화되어야 하지만 고유한 문화와 역사를 잃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깨닫고 미국과의 불평등한 조약을 거부한다. 오무라가 이에 항의하자 천황은 그의 탐욕을 질책하고 재산을 몰수하겠다고 선언하며 그의 영향력을 꺾는다. 천황이 올그런에게 가쓰모토가 어떻게 죽었는지 묻자, 올그런은 대신 그가 어떻게 살았는지 이야기하겠다고 답한다. 이후 올그런의 행방에 대해서는 여러 소문이 돌지만, 그레이엄은 그가 타카와 함께하기 위해 사무라이 마을로 돌아갔을 것이라고 추측하며 영화는 막을 내린다.
5. 제작 과정
영화 제작은 1992년 레이더 픽처스의 전신인 인터스코프 커뮤니케이션스가 참여하면서 시작되었다. 영화의 원작을 집필했다고 주장한 마이클 앨런 에디는 2004년 WGA와 워너 브라더스를 상대로 크레딧 미표기에 대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7]
촬영은 주로 뉴질랜드 타라나키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8], 일부 장면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뱅크의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 세트장과 일본의 교토, 히메지 등지에서 촬영되었다. 총 13곳의 촬영지가 사용되었으며, 주연 배우 톰 크루즈는 영화 속 스턴트 연기를 직접 소화했다. 촬영 감독 존 톨은 개리 카포를 제2촬영 감독으로 초빙하여 전투 장면 촬영 등을 맡겼다.[9]
5. 1. 기획 및 각본
이 영화는 작가이자 감독인 빈센트 워드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되었다. 워드는 영화의 총괄 프로듀서로서 약 4년 동안 개발에 참여했으며,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와 피터 위어 등 여러 감독에게 연출을 제안했으나 성사되지 않다가 에드워드 즈윅이 관심을 보이면서 제작이 본격화되었다. 영화의 각본은 존 로건이 쓴 오리지널 시나리오 ''라스트 사무라이''를 바탕으로 한다.한편, 영화 제작에는 1992년부터 레이더 픽처스의 전신인 인터스코프 커뮤니케이션스가 참여했으며, 마이클 앨런 에디가 원작을 집필했다고 주장하며 2004년 WGA와 워너 브라더스를 상대로 크레딧 미표기에 대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7]
영화의 이야기는 보신 전쟁 당시 에노모토 다케아키와 함께 싸웠던 프랑스 제국 근위대 장교 외젠 콜라셰와 쥘 브뤼네의 실화에서 영감을 얻었다. 또한 미국 남북 전쟁과 오레곤의 로그 강 전쟁에서 활약했던 미국 육군 장교 필립 키어니의 삶도 참고되었다. 영화는 일본의 서구화 과정에서 여러 유럽 국가들이 관여했던 역사적 사실 대신 미국의 역할을 주로 부각하지만, 유럽의 참여 자체는 언급하고 있다. 이야기의 핵심 모델이 된 실제 역사적 사건은 사이고 다카모리 등이 메이지 유신 이후 신정부에 반기를 든 사쓰마 반란(1877년)으로 여겨진다.
에드워드 즈윅 감독은 아이반 모리스의 저서 『고귀한 패배』[40] 중 「제9장 사이고 다카모리 전」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메이지 유신 실현에 초기에 공헌했지만 결국 신정부에 반기를 든 사이고 다카모리의 아름답고도 비극적인 삶이 우리 허구 이야기의 출발점이 되었다”고 말했다.[41] 극 중 신정부 측 인물로 등장하는 "오무라"는 일본 육군 강화를 위해 서구화를 추진하는데, 이는 메이지 시대 초기 병제 근대화를 이끈 오무라 마스지로와 이미지가 겹친다. 그러나 실제 오무라 마스지로는 사쓰마 반란이 일어나기 훨씬 전인 메이지 2년(1869년)에 암살당했기 때문에, 영화의 설정은 역사적 사실과 차이가 있다.
영화에는 시대 고증에 맞지 않는 만화적인 닌자 군단이 등장하는데, 이는 일본인 스태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틀린 줄 알지만 닌자를 꼭 넣고 싶다"는 미국인 스태프, 특히 감독의 강력한 요청 때문이었다. 또한 사무라이들의 상투가 당시 일본식과 다른 중국 쿨리 스타일로 묘사된 것은, 머리 손질을 담당한 스태프가 중국계 미국인이었기 때문이다.[42]
주요 촬영은 뉴질랜드, 특히 타라나키 지역에서 이루어졌는데, 이는 에그몬트/타라나키 산이 후지산과 닮았고, 숲과 농지가 많아 일본의 시대극 배경에 적합했기 때문이다.[8] 미국 로케이션 매니저 찰리 해링턴이 이 지역을 추천했다. 일부 마을 장면은 캘리포니아 버뱅크의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 세트장에서, 다른 일부 장면은 일본 교토와 히메지의 쇼샤산 엔교지 등에서 촬영되었다. 서두에는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의 구주쿠시마 원경도 잠시 사용되었다. 총 13곳의 촬영지가 활용되었으며, 톰 크루즈는 영화 속 스턴트를 직접 소화했다. 촬영 감독 존 톨은 개리 카포를 제2촬영 감독으로 초빙하여 격렬한 전투 장면 촬영을 맡겼다.[9]

카츠모토 역의 캐스팅 과정에서는 와타나베 켄 외에 야쿠쇼 코지도 유력 후보였다. 카츠모토는 영어를 구사하는 설정이 중요했는데, 오디션 당시 와타나베 켄은 영어가 유창하지 못했다. 그는 합격 후 집중적인 영어 회화 연습을 통해 실력을 향상시켰고, 이후 할리우드 영화에서 영어 대사를 소화하게 되었다. 반면, 우지오 역의 사나다 히로유키는 촬영 시작 전부터 영어가 가능했으며, 일본인의 시각에서 어색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며 사실상 감독 보조 역할까지 수행했다. 영어가 가능한 하라다 마토 감독도 제작에 협력했다. 사나다 히로유키는 JAC 출신답게 뛰어난 액션 연기를 선보였으나, 주인공인 톰 크루즈보다 더 돋보인다는 이유로 최종 결전 장면 등 일부 분량이 편집되었다.
카츠모토의 아들 노부타다 역을 맡은 코야마다 마코토는 당시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던 유학생으로 현지 오디션을 통해 발탁되었다. 영어가 너무 유창하여 오히려 일본식 억양으로 연기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며, 미국에서의 무술 대회 우승 경력도 캐스팅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이 영화를 통해 할리우드에 데뷔했다. 마을 무사나 정부군 병사 등 엑스트라는 모두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일본인들이었다. 초기에는 징병제 경험이 있는 한국인이나 총기 사용이 비교적 자유로운 일계 미국인을 엑스트라로 고려했으나, 톰 크루즈 등의 반대로 무산되고 일본에서 약 500명의 젊은이들을 선발하여 뉴질랜드에서 군대식 훈련을 시켰다.[43]
에드워드 즈윅 감독은 1989년 남북전쟁 영화 『글로리』를 제작한 경험을 살려, 메이지 유신부터 세이난 전쟁 무렵까지(1868년~1877년)의 일본을 배경으로 한 이 작품에서도 대일본제국 육군의 군장비와 프롭 건 고증에 신경을 썼다. 다만 복제품[44]이나 현존하는 실제 총기의 제약으로 인해 일부 역사적 사실과는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장식 미니에 총(머스켓총)에서 후장식 소총을 거쳐 일본 고유의 볼트액션 소총인 무라타총으로 변화하는 과정과, 구식 장비[45]를 갖춘 무사 군대가 신식 장비를 갖춘 국민군에게 패배하는 육전의 모습은 비교적 정확하게 묘사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46]
영화에 등장하는 주요 총기는 다음과 같다.
- 회전권총: 올그렌을 비롯한 장교와 부사관들은 콜트 M1871/1872 오픈탑, 콜트 M1873 싱글 액션 아미, S&W M3 스코필드, 레밍턴 M1858 뉴 아미 등 흑색화약과 림파이어탄을 사용하는 권총을 사용한다. 웹리 리볼버나 26년식 권총 같은 센터파이어탄 방식의 중절식 회전권총은 이 시대보다 약 10년 후에 등장한다.
- 기병총: 외국인 기병들은 윈체스터 M1873을 사용한다. 실제 막말 일본에 수입된 레버액션 기병총은 헨리총, 샤프스총, 스펜서총, 마르티니-헨리총 등이었으나, 윈체스터 M1873은 서부극 영화 등에서 대용품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 일반 병사 소총: 창설기 제국 육군 병사들은 스프링필드 M1861이나 엔필드 M1853 같은 미니에 총을 사용한다. 이 총들은 실제 세이난 전쟁에서도 사용되었지만, 당시 제국 육군이 주로 사용했던 후장식 개조 스나이더 총은 복제품이 없어 영화에 등장하지 않는다.
- 후반부 제국 육군 소총: 후반부 전투 장면에서 제국 육군 병사들은 마우저 M1871이나 그 개량형인 마우저 M1871/84[47]를 사용한다. 실제로는 드라이제총[48]이나 샤스포총 등이 수입되었고, 이후 메이지 13년식 무라타 단발총과 메이지 22년식 무라타 연발총이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들 무라타총은 복제품 제작이 어렵고 실총 확보도 힘들어, 외형과 작동 방식이 유사한 마우저 소총이 대신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 중화포: 제국 육군은 M1841 산포와 개틀링포를 사용한다. 개틀링포는 실제로 수입되었으나, 메이지 초기 산포는 프랑스제 사근산포가 주로 사용되었다.
5. 2. 촬영
영화의 주요 촬영은 뉴질랜드 타라나키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이곳의 에그몬트/타라나키 산은 후지산과 유사하여 영화 속 배경으로 활용되었다. 타라나키 지역의 숲과 농지도 촬영에 이용되었다.[8] 미국 로케이션 매니저 찰리 해링턴이 여행 책에서 이 산을 발견하고 제작진에게 답사를 제안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일본의 교토와 히메지에서도 일부 장면이 촬영되었으며, 특히 히메지시의 고찰 쇼샤산 엔교지가 주요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서두에 약 10초간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의 구주쿠시마 원경도 등장한다. 일부 마을 장면은 캘리포니아주 버뱅크의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 세트장에서 촬영되었다. 총 13곳의 촬영지가 활용되었다.촬영 감독은 존 톨이 맡았으며, 개리 카포가 제2촬영 감독으로 참여하여 주로 일본군과 사무라이 간의 격렬한 전투 장면 촬영을 담당했다.[9] 주연 배우 톰 크루즈는 영화 속 스턴트를 직접 소화했다.
카츠모토 역에는 와타나베 켄 외에 야쿠쇼 코지도 유력한 후보였다. 와타나베 켄은 오디션 당시 영어가 유창하지 않았으나, 합격 후 집중적인 영어 회화 학습을 통해 이후 할리우드 작품에서도 영어 실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반면, 우지오 역의 사나다 히로유키는 촬영 시작 전부터 영어가 가능하여, 일본인의 시각에서 어색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며 사실상 감독 보조 역할까지 수행했다. 그의 뛰어난 액션 연기 때문에 주인공인 톰 크루즈보다 더 돋보인다는 이유로 일부 장면이 편집되기도 했다. 카츠모토의 아들 노부타다 역의 코야마다 마코토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오디션을 보았으며, 유창한 영어를 오히려 일본식 영어처럼 구사하라는 주문을 받았다. 그의 미국 내 무술 대회 우승 경력도 캐스팅에 영향을 주었다.
마을 사람이나 병사 역할을 맡은 엑스트라는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일본인들이었다. 약 500명의 일본 젊은이들이 뉴질랜드에 모여 군대식 훈련을 받았다. 초기에는 징병제 경험이 있는 한국인이나 총기 사용이 비교적 자유로운 환경의 일계 미국인을 엑스트라로 고려했으나, 주연 배우 등의 반대로 무산되었다고 전해진다.[43]
영화의 시대 고증에 대해서는 여러 지적이 있다. 극 중 등장하는 닌자는 만화적인 묘사로 그려졌는데, 일본인 스태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감독을 비롯한 미국 스태프들이 "틀린 줄 알지만 닌자를 꼭 넣고 싶다"고 주장하여 그대로 반영되었다. 또한 사무라이들의 상투는 당시 일본식과는 다른 중국 쿨리 스타일인데, 이는 머리 손질을 중국계 미국인 스태프가 담당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42]
무기 고증의 경우, 에드워드 즈윅 감독이 남북전쟁 영화 《글로리》(1989)를 제작한 경험을 살려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복제품이나 실제 총기 수급의 한계로 일부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전장식 미니에 총에서 후장식 소총(무라타총)으로 변화하는 과정이나, 구식 무기를 든 사무라이 군대가 신식 무기로 무장한 국민군에게 패배하는 모습 등은 비교적 정확하게 묘사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46]
- 권총: 올그렌 대위 등 장교들이 사용하는 권총은 코트 M1871/1872 오픈탑(Colt Model 1871-72 Open Top), 콜트 M1873 싱글 액션 아미, S&W M3 스코필드, 레밍턴 M1858 뉴 아미 등 당시 사용된 흑색화약 림파이어탄 모델들이 등장한다.[44]
- 기병총: 외국인 기병들은 윈체스터 M1873을 사용하지만, 실제 막말 일본에 수입된 레버액션(Lever action) 기병총은 헨리총, 샤프스총, 스펜서총, 마르티니-헨리총 등이었다. 윈체스터 M1873은 미국 서부극 영화에서 자주 대용품으로 사용되었다.
- 제국 육군 소총: 초기 제국 육군 병사들은 스프링필드 M1861이나 엔필드 M1853 같은 미니에 총을 사용한다. 이는 실제 역사와 부합하지만, 당시 사용된 후장식 개조 스나이더 총은 영화에 등장하지 않는다. 후반부 전투 장면에서는 마우저 M1871이나 동총의 팔연발식 개량형 마우저 M1871/84[47]를 장비하고 있다. 실제로는 막말 일본에는 드라이제총[48]이나 샤스포총이 수입되었고, 세이난 전쟁 3년 후에 그라스총이나 보몽총을 참고로 무라타 케이요시가 개발한 메이지 13년식 무라타 단발총이 등장하여, 후에 연발식 메이지 22년식 무라타 연발총으로 발전하지만, 제작 당시에는 이러한 볼트액션 소총의 복제품을 제작하는 총기 제조업체가 없었고, 특히 메이지 시대 제국 육군의 상징적인 장비이기도 했던 무라타 단발총이나 무라타 연발총은 오늘날 일본은 물론 아리스카총의 유지 보존 활동이 활발한 미국 내에서조차 실총 입수나 실사가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비교적 단발·연발 양쪽 무라타총과 외관 및 작동 방식이 비슷하고, 단발총과 구경이 거의 같은 마우저 M1871이나 M1871/84가 프롭 건으로 선정된 것으로 보인다.
- 중화기: 제국 육군은 M1841 산포(M1841 mountain howitzer)와 개틀링포를 사용한다. 개틀링포는 실제로 제국 육군이 수입했지만, 메이지 초기의 산포는 실제로 프랑스제 사근산포(四斤山砲)이다.
6. 평가 및 논란
라스트 사무라이는 개봉 이후 다양한 평가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일본 문화 묘사의 진일보[12], 와타나베 켄을 비롯한 일본 배우들의 열연과 이를 통한 국제적 주목[13] 등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4] 그러나 사무라이를 지나치게 이상화하고 미화했다는 비판[13], 역사적 사실 왜곡 지적[27], 그리고 백인 구원자 서사라는 비판[29][30] 역시 제기되며 논쟁이 이어졌다. 이러한 엇갈린 시각은 영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6. 1. 긍정적 평가
일본의 비평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12] 마이니치 신문의 가쓰타 도모미는 이 영화가 "일본을 묘사하려는 이전의 미국 영화들보다 훨씬 향상되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에드워드 즈윅 감독이 일본 역사를 연구하고, 유명 일본 배우들을 캐스팅했으며, 대화 코치와 상담하여 일본어의 비격식체와 격식체 사용에 주의를 기울였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언급했다. 다만, 가쓰타는 영화가 사무라이를 지나치게 이상화하여 "동화 같은" 모습으로 그린 점은 비판하며, "우리가 생각하는 사무라이는 훨씬 부패했었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고결한 사무라이 지도자 가쓰모토(Katsumoto) 캐릭터가 "내 신경을 거슬렸다"고 덧붙였다.[13]미국에서는 리뷰 집계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에서 221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66%의 비평가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6.4점을 기록했다. 사이트의 총평은 "높은 제작 가치와 스릴 넘치는 전투 장면을 통해 '라스트 사무라이'는 만족스러운 대작이다"라고 요약된다.[14] 또 다른 리뷰 집계 사이트인 메타크리틱에서는 43명의 주요 비평가 리뷰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평균 55점을 부여했는데, 이는 "엇갈리거나 평균적인 리뷰"를 의미한다.[15]
시카고 선 타임스의 로저 에버트는 별 넷 중 세 개 반을 주며 "아름답게 디자인되고, 지적으로 쓰여졌으며, 확신을 가지고 연기된 이 영화는 드물게 사려 깊은 대작이다"라고 호평했다.[16]
일부 온라인 분석가들은 이 영화를 케빈 코스트너 주연의 영화 늑대와 춤을과 비교하기도 했다. 두 영화의 주인공 모두 기술적으로 뒤처진 문화를 가진 사람들을 만나 그들과 함께 싸우게 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두 주인공(톰 크루즈가 연기한 네이선 알그렌과 코스트너가 연기한 존 던바)은 모두 외상적인 전투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결국 자신의 경험을 활용해 새로운 친구들을 돕는다. 또한, 각자 새롭게 받아들인 문화를 존중하게 되며, 자신이 속했던 기존 사회의 방식에 맞서 새로운 공동체와 함께 싸우는 모습을 보인다.[17]
미국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을 배경으로 일본인과 사무라이도를 비교적 편견 없이 그리려 노력한 점, 그리고 많은 일본 배우가 출연한 점도 주목받았다. 특히 '가쓰모토' 역을 연기한 와타나베 켄은 이 영화로 골든 글로브상 남우조연상과 제76회 아카데미상 남우조연상 후보에 오르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와타나베 켄, 코유키, 사나다 히로유키 등 일본 배우들이 해외로 진출하는 계기를 마련한 작품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6. 2. 비판적 시각과 논쟁
일본 내 비평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12], 마이니치 신문의 가쓰타 도모미(Tomomi Katsuta)는 영화가 사무라이를 이상적이고 "동화 같은" 모습으로 묘사한 점을 비판하며, 실제 사무라이는 "훨씬 부패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결한 지도자 가쓰모토(Katsumoto) 묘사가 "신경을 거슬렸다"고 평했다.[13]
미국에서는 리뷰 집계 사이트 로튼 토마토(Rotten Tomatoes)에서 221개 리뷰 기준 비평가 66%의 긍정 평가(평균 6.4/10점)를 받았으며[14], 메타크리틱(Metacritic)에서는 43명의 비평가 리뷰 기준 평균 55점으로 "엇갈리거나 평균적인 평가"를 받았다.[15] 뉴욕 타임스의 모토코 리치(Motoko Rich)는 이 영화가 특히 아시아계 미국인과 일본인들 사이에서 "인종차별적인지, 순진한지, 선의인지, 정확한지, 아니면 그 모든 것인지"에 대한 논쟁을 촉발했다고 보도했다.[13]
버라이어티의 영화 평론가 토드 매카시(Todd McCarthy)는 영화가 "조사하는 문화에 매료되었으면서도 외부인의 낭만적 이상화에 머물러 있다"고 비판하며, 고대 문화의 고귀함, 서구의 약탈, 자유주의적 역사 죄책감, 자본가의 탐욕, 할리우드 영화 배우의 우월성 등 익숙한 태도를 재활용한다고 지적했다.[26]
역사학자 캐시 슐츠(Cathy Schultz)는 많은 사무라이가 메이지 근대화에 반대한 것은 특권적 전사 계급으로서의 지위를 지키기 위함이었지 이타적인 이유가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메이지 개혁가들은 모든 사람이 본질적으로 평등하다는 급진적인 생각을 제시했다. 또한 영화가 메이지 정책 자문관 중 다수가 일본을 강하게 만들기 위해 기꺼이 전통적인 특권을 포기한 전직 사무라이였다는 역사적 사실을 간과했다고 비판했다.[27]
영화 속 가쓰모토는 사이고 다카모리와 유사하지만, 역사적 사실과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역사학자 아이반 모리스에 따르면, 사이고 다카모리는 일본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무사 계급의 처우에 우려를 표하며, 서구화된 물질주의에 맞선 도덕적 혁명을 추구했다.[28] 영화는 이러한 복잡한 동기를 단순화하여 사무라이를 이상적으로 묘사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 영화는 백인 구원자 서사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29][30] 데일리 비스트의 켈리 고프(Keli Goff)와 살롱의 데이비드 시로타(David Sirota) 등은 백인 주인공이 유색인종 공동체를 구원하는 서사 구조를 지적했다. 시로타는 특히 영화 포스터가 "백인 남성을 고대 일본 문화의 마지막 위대한 지도자로 잘못 인식하게 만드는 미묘하지 않은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비판했다.[31]
반면, 가쓰모토 역을 맡은 와타나베 켄은 2022년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이 영화를 백인 구원자 서사로 보지 않으며, 오히려 할리우드에서 아시아인 재현의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라스트 사무라이' 이전에는 안경을 쓴, 덧니가 있는, 카메라를 든 아시아인에 대한 고정관념이 있었다"며, 영화 이후 할리우드가 아시아 이야기에 더 진정성 있게 접근하려 노력하게 되었다고 덧붙였다.[32]
7. 흥행 성적
이 영화는 제작비 1.4억달러 대비 전 세계적으로 4.5680000000000005억달러의 수익을 올렸다.[22] 이 중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111127263USD, 그 외 다른 국가에서는 345631718USD의 수익을 기록했다.[22]
특히 일본에서 큰 성공을 거두어, 미국보다 더 높은 박스오피스 수입을 기록했다.[18] 일본에서의 흥행 수입은 137억엔 (당시 환율로 약 1.32억달러)[23][24][34]이었으며, 관객 동원 수는 1,410만 명으로 2004년도 일본 개봉 영화 흥행 1위를 차지했다.[35] 이는 당시 일본에서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 영화 중 최고 흥행 기록으로, ''매트릭스 리로디드''를 넘어선 성과였다.[21] 또한 일본 역대 최고 흥행 영화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23][24]
미국에서는 2003년 12월 5일 2908개관에서 개봉하여 첫 주말 800만달러의 수입을 기록했으며[19],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33] 이후 최대 2938개관까지 상영관이 늘어났으며, 7주간 박스오피스 톱 10에 머물렀다. 전체 흥행에서는 ''니모를 찾아서''에 이어 박스오피스 2위를 기록했고[20], 총 흥행 수입은 1억달러를 돌파하여[33] 2003년 개봉작 중 흥행 20위를 차지했다.
8. 수상 내역
wikitext
수상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아카데미상[25] | 남우조연상 | 켄 와타나베 | 후보 |
미술상 | 릴리 킬버트 및 그레첸 라우 | 후보 | |
의상상 | 닐라 딕슨 | 후보 | |
음향믹싱상 | 앤디 넬슨, 애나 베흘머 및 제프 웨클러 | 후보 | |
골든 글로브상 | 영화 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 | 톰 크루즈 | 후보 |
영화 부문 남우조연상 | 켄 와타나베 | 후보 | |
음악상 | 한스 짐머 | 후보 | |
전미 비평가 위원회상 | 톱 텐 영화 | 2위 | |
감독상 | 에드워드 즈윅 | 수상 | |
새틀라이트상 | 작품상 | 후보 | |
영화 부문 남우주연상 | 톰 크루즈 | 후보 | |
영화 부문 남우조연상 | 켄 와타나베 | 후보 | |
음악상 | 한스 짐머 | 수상 | |
촬영상 | 존 톨 | 수상 | |
미술상 | 릴리 킬버트 및 그레첸 라우 | 후보 | |
의상상 | 닐라 딕슨 | 수상 | |
편집상 | 빅터 듀 부아 및 스티븐 로젠블룸 | 수상 | |
음향상 | 앤디 넬슨, 애나 베흘머 및 제프 웨클러 | 후보 | |
시각 효과상 | 후보 | ||
시각효과협회상 | 장편 영화 부문 뛰어난 보조 시각 효과상 | 제프리 A. 오쿤, 토마스 볼랜드, 빌 메사, 레이 맥인타이어 주니어 | 수상 |
일본 아카데미상 | 외국어 영화상 | 수상 | |
타우러스 월드 스턴트 어워드 | 최고의 화재 스턴트 | 수상 |
참조
[1]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https://www.nzfilm.c[...]
2024-02-28
[2]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 AFI Catalog
https://catalog.afi.[...]
2024-02-28
[3]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https://bbfc.co.uk/r[...]
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2016-04-01
[4]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https://catalog.afi.[...]
2024-05-29
[5]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2003)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2-09-17
[6]
논문
The influence of French gymnastics and military French boxing on the creation of modern karate (1867-1914)
2017
[7]
웹사이트
Last Samurai’ Writer Sues Producers
https://www.billboar[...]
2024-10-17
[8]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Filming Locations New Zealand
https://www.newzeala[...]
2022-08-11
[9]
웹사이트
American Cinematographer: T3 - Heavy Metal. - page 3
https://theasc.com/m[...]
2024-11-24
[10]
음반노트
The Last Samurai: Original Motion Picture Score
Warner Sunset Records
[11]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https://www.allmusic[...]
2012-09-17
[12]
웹사이트
Sampling Japanese comment
https://web.archive.[...]
2012-09-17
[13]
뉴스
Land Of the Rising Cliché
https://www.nytimes.[...]
2012-06-25
[14]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1-11-02
[15]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2-09-17
[16]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https://web.archive.[...]
2010-08-08
[17]
기타
History Buffs: The Last Samurai
[18]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2003) – News
https://web.archive.[...]
2012-09-17
[19]
웹사이트
Japan swept up by Last Samurai
https://www.screenda[...]
[20]
웹사이트
Nemo finds $45.9m in stunning weekend for BVI
https://www.screenda[...]
[21]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smashes through $250m barrier
https://www.screenda[...]
[22]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2003) - Box Office Mojo
https://www.boxoffic[...]
2016-01-28
[23]
뉴스
Aiming to get its name in lights, Japan pitches movie locations
https://asia.nikkei.[...]
2019-01-25
[24]
뉴스
Japan's B.O. tops record
https://variety.com/[...]
2005-02-01
[25]
웹사이트
The 76th Academy Awards (2004)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11-11-20
[26]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https://web.archive.[...]
2012-09-17
[27]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offers a Japanese History Lesson
https://web.archive.[...]
2023-07-02
[28]
서적
The Nobility of Failure: Tragic Heroes in the History of japanese
Farrar, Straus and Giroux
[29]
뉴스
Can 'Belle' End Hollywood's Obsession with the White Savior?
https://www.thedaily[...]
2014-05-14
[30]
서적
The White Savior Film: Content, Critics, and Consumption
Temple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Oscar loves a white savior
https://www.salon.co[...]
2013-02-22
[32]
뉴스
'Each little thing in my life is precious': Ken Watanabe on cancer, childhood and Hollywood cliches
https://www.theguard[...]
2022-10-02
[33]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2003)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0-06-30
[34]
웹사이트
日本映画産業統計 過去興行収入上位作品 (興収10億円以上番組) 2004年(1月~12月)
https://www.eiren.or[...]
社団法人日本映画製作者連盟
2010-06-30
[35]
기타
[36]
웹사이트
『ラスト・サムライ』トム・クルーズ製作記者発表
https://www.cinemato[...]
シネマトゥデイ
2020-07-23
[37]
웹사이트
トム・クルーズ主演で描く近代日本の誕生と武士道精神!『ラスト・サムライ』製作発表記者会見開催!
http://topics.cinema[...]
CINEMATOPICS
2020-07-23
[38]
텍스트
[39]
웹사이트
浅野 雅博
https://www.bungakuz[...]
文学座
2016-08-23
[40]
서적
高貴なる敗北 日本史の悲劇の英雄たち
中央公論社
2023
[41]
서적
豊饒の海
[42]
간행물
戦国時代劇メディアの見方・つくり方
勉誠社
2021-10-01
[43]
서적
おちおち死んでられまへん
集英社
[44]
텍스트
[45]
텍스트
[46]
웹사이트
The Last Samurai
http://www.imfdb.org[...]
[47]
텍스트
[48]
텍스트
[49]
웹사이트
特集 目指せ、追い越せ、ハリウッド★スター LAに行った日本人俳優たちの現在(いま)!
https://dramanavi.ne[...]
[50]
웹사이트
竹内豊に聞く「パシフィック・ウォー」撮影裏話
https://www.nikkans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