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기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겨기름은 현미를 찧을 때 생기는 쌀겨를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식물성 기름이다. 주로 식용유로 사용되며, 튀김 요리에 적합한 높은 발연점과 산화 안정성을 가진다. 쌀겨기름은 γ-오리자놀,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피토스테롤 등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쌀겨 왁스는 공업용으로, γ-오리자놀은 의약품 및 건강 보조 식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쌀겨기름은 쌀 소비량 감소와 원료 확보의 어려움, 정제 과정의 복잡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과 한국에서 생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아시아 요리 - 팥죽
팥죽은 팥을 주재료로 하여 붉은색이 악귀를 물리친다는 믿음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동지에 먹는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 - 동아시아 요리 - 비빔국수
비빔국수는 국수를 삶아 양념에 비벼 먹는 요리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한국에서는 막국수, 비빔냉면, 잡채, 짜장면, 쫄면 등으로 발전했다. - 인도네시아의 조미료 - 땅콩 소스
땅콩 소스는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요리에서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사용되며 딥, 소스, 드레싱 등으로 활용되는 소스이다. - 인도네시아의 조미료 - 어장 (음식)
어장은 생선이나 어패류를 발효시켜 만든 젓갈의 일종으로, 고대 지중해에서 유래하여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 널리 사용되는 조미료이며, 멸치나 새우 등 다양한 어종으로 만들어진다. - 남아시아 요리 - 차트니
차트니는 인도에서 유래한 소스 또는 페이스트로, 신선한 재료로 만든 것과 숙성시킨 것이 있으며, 다양한 채소, 과일, 향신료를 사용하여 맛과 향이 다르고, 인도 요리의 필수 부재료이자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요리와 조화를 이루는 음식이다. - 남아시아 요리 - 기 (음식)
기는 버터를 가열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얻은 정제버터로, 인도 아대륙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요리에 사용되며 힌두교 의식에도 쓰이지만 높은 포화지방 함량으로 섭취량 제한이 권장된다.
겨기름 | |
---|---|
기본 정보 | |
![]() | |
에너지 (100g 당) | 3700 kJ () |
지방 조성 | |
포화 지방 | 25% |
미리스틴산 | 0.6% |
팔미트산 | 21.5% |
스테아르산 | 2.9% |
불포화 지방 | 75% |
단일 불포화 지방 | 38% |
올레산 | 38% |
다중 불포화 지방 | 37% |
오메가-3 지방산 | 알파-리놀렌산: 2.2% |
오메가-6 지방산 | 리놀레산: 34.4% |
성질 | |
비누화 값 | 180-190 |
산가 | 1.2 |
불검화물 | 3-5 |
요오드 값 | 99-108 |
영양 정보 (100g 당) | |
수분 | 0 g |
에너지 | 3699 kJ |
단백질 | 0 g |
지방 | 100 g |
탄수화물 | 0 g |
섬유질 | 0 g |
당류 | 0 g |
칼슘 | 0 mg |
철분 | 0.07 mg |
마그네슘 | 0 mg |
인 | 0 mg |
칼륨 | 0 mg |
나트륨 | 0 mg |
아연 | 0 mg |
셀레늄 | 0 μg |
비타민 C | 0 mg |
티아민 (비타민 B1) | 0 mg |
리보플라빈 (비타민 B2) | 0 mg |
니아신 (비타민 B3) | 0 mg |
판토텐산 (비타민 B5) | 0 mg |
비타민 B6 | 0 mg |
엽산 | 0 ug |
비타민 B12 | 0 ug |
비타민 A | 0 ug |
베타카로틴 | 0 ug |
루테인 | 0 ug |
비타민 E | 32.3 mg |
비타민 K | 24.7 ug |
포화 지방산 | 19.7 g |
단일 불포화 지방산 | 39.3 g |
다중 불포화 지방산 | 35 g |
2. 생산 및 제조
쌀겨기름은 현미를 도정할 때 생기는 부산물인 쌀겨를 원료로 한다.[8] 일본에서는 쌀을 주 원료로 사용하므로, 원료 대부분을 국산으로 조달할 수 있는 유일한 식물성 기름이다. 쌀겨기름 제조 공장은 홋카이도부터 오키나와현까지 일본 전국에 분포하며, 추출 공정만 담당하는 공장도 있다. 동남아시아와 미국에서도 쌀겨기름을 수입하지만, 그 양은 매우 적다.
일본에서는 국산 원료를 사용하므로 학교 급식 관계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대두유 등에 비해 가격이 비싸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쌀겨에는 다른 식물성 기름 원료와 달리 유지 분해 효소인 리파아제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원유의 유리 지방산 함량이 많고 산가가 매우 높다.[9] 또한 원유에 왁스 성분이 많아 다른 식물성 기름보다 강력한 탈랍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버블 경제 붕괴 이후 식용 식물성 기름 회사들이 재편되는 과정에서도 쌀겨기름 제조 회사들은 독자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2. 1. 한국의 쌀겨기름 생산
한국에서는 쌀을 주식으로 하기 때문에 쌀겨기름 원료를 거의 국산으로 조달할 수 있다. 추출 공장뿐만 아니라 쌀겨기름 제조 공장은 전국에 걸쳐 분포해 있다. 쌀 소비량 감소 추세에 따라 쌀겨기름 제조 회사는 원료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90년대에는 팽이버섯 배양에 쌀겨가 사용되면서 제유업계와 팽이버섯 재배업자 사이에 원료 쟁탈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팽이버섯 쪽이 수익성이 좋아 재배업자가 쌀겨를 비싸게 사들였기 때문에 한때 쌀겨기름 업계는 심각한 사태에 빠졌으나, 이후 팽이버섯 배양상이 쌀겨에서 옥수수 속대(콘 코브)로 이행했기 때문에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8]2. 2. 쌀겨기름 정제 과정
쌀겨에는 유지 분해 효소인 리파아제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원유에는 유리 지방산 함량이 높고 산가(AV)가 높다.[9] 유채씨 기름 원유나 옥수수 원유의 산가가 한 자릿수인 데 반해, 쌀 원유는 20 이상이 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원유는 다량의 왁스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식물성 기름보다 강력한 탈랍 장치가 필요하다. 이처럼 쌀겨기름의 정제 공정은 유채씨 기름이나 대두유의 정제에 비해 수고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기술과 장치가 필요하다.2. 3. 부산물 활용
정제 과정에서 제거되는 지방산이나 왁스분, 추출 찌꺼기인 탈지 쌀겨 등은 비누, 수지, 왁스 원료, 비료 등으로 사용된다.3. 성분 및 특성
쌀겨기름은 단일 불포화 지방 38%, 다중 불포화 지방 37%, 포화 지방산 25%로 구성되어 땅콩 기름과 유사한 조성을 갖는다. 주 성분은 조유의 약 2%를 차지하는 γ-오리자놀인데, 스테롤과 다른 트리테르펜의 에스터인 페룰산의 혼합물이다. 그 외에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두 종류의 비타민 E), 피토스테롤도 존재한다.
;정제 전과 정제된 쌀겨 기름의 물리적 특성[1][2]
특성 | 정제 전 | 정제 후 |
---|---|---|
수분 | 0.5–1.0% | 0.1–0.15% |
밀도 (15 °C) | 0.913–0.920 | 0.913–0.920 |
굴절률 | 1.4672 | 1.4672 |
요오드값 | 85–100 | 95–104 |
검화값 | 187 | 187 |
비검화물 | 4.5–5.5 | 1.8–2.5 |
유리 지방산 | 5–15% | 0.15–0.2% |
오리자놀 | 2.0 | 1.5–1.8 |
토코페롤 | 0.15 | 0.05 |
색상 (틴토미터) | 20Y+2.8R | 10Y+1.0R |
AOM법(active oxygen method)으로 식물성 유지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쌀겨기름, 면실유, 유채씨 기름, 옥수수유 순으로 안정성이 높았다. 쌀겨기름의 높은 안정성은 α-토코페롤뿐만 아니라 토코트리에놀이나 γ-오리자놀 등의 성분도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10]
쌀겨기름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식물성 기름 중 가장 높으며[10], 홍화유와 혼합하면 그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3. 1. 지방산 조성
쌀겨기름은 올레산(오메가-9 지방산) 함량이 높고, 리놀레산(오메가-6 지방산), 알파-리놀렌산(오메가-3 지방산) 등을 포함한다. 쌀겨기름의 지방산 조성은 다음과 같다.지방산 | 지질 번호 | 비율 |
---|---|---|
미리스트산 | C14:0 | 0.6% |
팔미트산 | C16:0 | 21.5% |
스테아르산 | C18:0 | 2.9% |
올레산 (오메가-9 지방산) | C18:1 | 38.4% |
리놀레산 (LA, 오메가-6 지방산) | C18:2 | 34.4% |
알파-리놀렌산 (ALA, 오메가-3 지방산) | C18:3 | 2.2% |
올레산 비율이 높고, α-토코페롤 외에 γ-오리자놀, 페룰산, 토코트리에놀 등의 항산화 작용을 갖는 성분을 많이 함유하여 가열에 의한 산화가 일어나기 어려운 점이 특징이다.[10] 특히 산화되기 어려운 점은 쌀겨유가 제과 업계에서 환영받는 이유가 되었으며, 현재 일본에서 제조되는 감자칩의 거의 전량이 쌀겨유 또는 쌀겨유를 배합한 기름으로 튀겨지고 있다.
3. 2. 주요 성분
쌀겨 기름은 땅콩 기름과 유사하게 38%의 단일 불포화 지방, 37%의 다중 불포화 지방, 25%의 포화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다.쌀겨 기름의 주요 성분은 다음과 같다:
- '''γ-오리자놀''': 조유의 약 2%를 차지하며, 스테롤과 다른 트리테르펜의 에스터인 페룰산의 혼합물이다.
-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 (두 종류의 비타민 E): 항산화 작용을 한다.
- '''피토스테롤'''
;지방산 조성
지방산 | 지질 번호 | 비율 |
---|---|---|
미리스트산 | C14:0 | 0.6% |
팔미트산 | C16:0 | 21.5% |
스테아르산 | C18:0 | 2.9% |
올레산 (오메가-9 지방산) | C18:1 | 38.4% |
리놀레산 (LA, 오메가-6 지방산) | C18:2 | 34.4% |
알파-리놀렌산 (ALA, 오메가-3 지방산) | C18:3 | 2.2% |
;정제 전과 정제된 쌀겨 기름의 물리적 특성[1][2]
특성 | 정제 전 쌀겨 기름 | 정제된 기름 |
---|---|---|
수분 | 0.5–1.0% | 0.1–0.15% |
밀도 (15 °C) | 0.913–0.920 | 0.913–0.920 |
굴절률 | 1.4672 | 1.4672 |
요오드값 | 85–100 | 95–104 |
검화값 | 187 | 187 |
비검화물 | 4.5–5.5 | 1.8–2.5 |
유리 지방산 | 5–15% | 0.15–0.2% |
오리자놀 | 2.0 | 1.5–1.8 |
토코페롤 | 0.15 | 0.05 |
색상 (틴토미터) | 20Y+2.8R | 10Y+1.0R |
올레산 비율이 높고, α-토코페롤 외에 γ-오리자놀, 페룰산, 토코트리에놀 등 항산화 작용을 하는 성분을 많이 함유하여 가열에 의한 산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10]
AOM법(active oxygen method)으로 식물성 유지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쌀겨유, 면실유, 유채씨 기름, 옥수수유 순으로 안정성이 높았다. 쌀겨유의 높은 안정성은 α-토코페롤뿐만 아니라 토코트리에놀이나 γ-오리자놀 등의 성분도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10]
쌀겨유는 산화가 잘 되지 않아 제과 업계에서 선호되며, 현재 일본에서 제조되는 감자칩의 대부분은 쌀겨유 또는 쌀겨유를 배합한 기름으로 튀겨진다.
또한, 쌀겨유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식물성 기름 중 가장 높으며[10], 홍화유와 혼합하면 그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3. 3. 물리적 특성
쌀겨기름은 단일 불포화 지방 38%, 다중 불포화 지방 37%, 포화 지방산 25%로 구성되어 땅콩 기름과 유사한 조성을 갖는다. 쌀겨기름의 성분 중 하나는 조유의 약 2%를 차지하는 γ-오리자놀인데, 처음에는 단일 화합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스테롤과 다른 트리테르펜의 에스터인 페룰산의 혼합물로 알려져 있다.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두 종류의 비타민 E), 피토스테롤도 존재한다.;지방산 조성
지방산 | 지질 번호 | 비율 |
---|---|---|
미리스트산 | C14:0 | 0.6% |
팔미트산 | C16:0 | 21.5% |
스테아르산 | C18:0 | 2.9% |
올레산 (오메가-9 지방산) | C18:1 | 38.4% |
리놀레산 (LA, 오메가-6 지방산) | C18:2 | 34.4% |
알파-리놀렌산 (ALA, 오메가-3 지방산) | C18:3 | 2.2% |
;정제 전과 정제된 쌀겨 기름의 물리적 특성[1][2]
정제 전 쌀겨기름과 정제된 쌀겨기름은 밀도, 굴절률, 요오드값, 검화값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성 | 정제 전 쌀겨 기름 | 정제된 기름 |
---|---|---|
수분 | 0.5–1.0% | 0.1–0.15% |
밀도 (15 °C) | 0.913–0.920 | 0.913–0.920 |
굴절률 | 1.4672 | 1.4672 |
요오드값 | 85–100 | 95–104 |
검화값 | 187 | 187 |
비검화물 | 4.5–5.5 | 1.8–2.5 |
유리 지방산 | 5–15% | 0.15–0.2% |
오리자놀 | 2.0 | 1.5–1.8 |
토코페롤 | 0.15 | 0.05 |
색상 (틴토미터) | 20Y+2.8R | 10Y+1.0R |
4. 효능 및 연구
쌀겨기름 섭취는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치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3] 올레산 비율이 높고, α-토코페롤 외에 γ-오리자놀, 페룰산, 토코트리에놀 등의 항산화 작용을 갖는 성분을 많이 함유하여 가열에 의한 산화가 일어나기 어렵다.
토코페롤 함량 변화에 주목하여 식물성 유지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쌀겨유, 면실유, 유채씨 기름, 옥수수유 순으로 안정성이 높았다. 쌀겨유의 높은 안정성은 α-토코페롤뿐만 아니라 토코트리에놀이나 γ-오리자놀 등도 함유하여 안정성에 기여하기 때문이다.[10]
쌀겨유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식물성 기름 중 가장 높으며,[10] 홍화유와 혼합하면 그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유지류를 가열할 때 발생하는 아크롤레인이라는 물질은 튀김 요리를 하는 사람이 기분이 나빠지는 "기름 멀미" 현상을 유발한다. 미강유는 이러한 기름 멀미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 기름으로 알려져 있다.[11] 또한, 튀김 작업이 끝난 후 기름을 냄비에서 다른 용기로 옮길 때 등의 기름 끊김이 좋다고도 한다. 이러한 현상들은 미강유가 가열에 의한 산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지만, 두 현상 모두 아직 과학적으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5. 용도
5. 1. 식용
쌀겨 기름은 다양한 형태의 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식용유이다. 또한 일부 식물성 기(ghee)의 기본 재료이기도 하다. 지방산 조성에서 올레산의 비율이 높고, α-토코페롤 외에 γ-오리자놀, 페룰산, 토코트리에놀 등의 항산화 작용을 갖는 성분을 많이 함유하여 가열에 의한 산화가 일어나기 어려운 점이 특징이다.[13]토코페롤 함량 변화를 기준으로 AOM법(active oxygen method)으로 식물성 유지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쌀겨유, 면실유, 유채씨 기름, 옥수수유 순으로 안정성이 높았다. 쌀겨유의 높은 안정성은 α-토코페롤뿐만 아니라 토코트리에놀이나 γ-오리자놀 등도 함유하여 안정성에 기여하기 때문이다.[10]
특히 산화되기 어려운 점은 쌀겨유가 제과 업계에서 환영받는 이유가 되었으며, 현재 일본에서 제조되는 감자칩의 거의 전량이 쌀겨유 또는 쌀겨유를 배합한 기름으로 튀겨지고 있다.
또한, 쌀겨유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식물성 기름 중 가장 높으며,[10] 홍화유와 혼합하면 그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5. 2. 공업용
쌀겨 왁스는 화장품, 과자, 구두약, 연마제 등에서 카르나우바 왁스의 대체재로 사용된다.[13]5. 3. 의약품 및 건강 보조 식품
쌀겨 기름에서 추출한 γ-오리자놀은 중국에서 일반 의약품으로,[4] 다른 국가에서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다.[5][6]6. 기타
튀김 요리를 하는 사람이 기분이 나빠지는 현상을 "기름 멀미"라고 부른다. 이는 유지류를 가열할 때 발생하는 아크롤레인이라는 물질의 작용이라고 여겨진다.
미강유는 이러한 기름 멀미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 기름으로 알려져 있다.[11] 또한, 튀김 작업이 끝난 후에 기름을 냄비에서 다른 용기로 옮길 때 등의 기름 끊김이 좋다고도 한다.
이러한 현상들은 미강유가 가열에 의한 산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지만, 두 현상 모두 아직 과학적으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일본 농림 규격(JAS)에는 "정제 쌀겨유"와 "쌀 샐러드유"가 있다.[12] 이전에는 "쌀겨유"라는 것도 존재했지만, 유통 실체가 없어 폐지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Rice Bran Oil
http://www.riceactiv[...]
A. P. Refinery
[2]
서적
SEA HandBook
The Solvent Extractors' Association of India
2009
[3]
논문
The impact of rice bran oil consumption on the serum lipid profile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https://www.tandfonl[...]
2021
[4]
웹사이트
National Drug Standard for 谷维素片 / Oryzanol Tablets (DRAFT)
http://www.chp.org.c[...]
国家食品药品监督管理总局
2018-07-29
[5]
웹사이트
Gamma Oryzinol
http://www.wincheste[...]
Winchester Hospital
[6]
논문
Dietary Supplements and Sports Performance: Herbals
2006
[7]
URL
https://data.nal.usd[...]
[8]
웹사이트
こめ油のはなし|米油から健康的に【三和油脂株式会社】
https://sanwa-yushi.[...]
2020-03-19
[9]
논문
コメ油について
https://doi.org/10.1[...]
大阪生活衛生協会
1969
[10]
간행물
米糠含有成分の機能性とその向上
https://doi.org/10.3[...]
2012
[11]
웹사이트
こめ油のヒミツ – 築野食品工業株式会社 {{!}} 商品情報サイト
https://www.tsuno.jp[...]
2020-03-19
[12]
웹사이트
JAS規格/JASについて
http://www.oil-kensa[...]
2020-03-19
[13]
웹인용
겨기름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7-12-04
[14]
웹인용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https://fdc.nal.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6-05
[15]
웹인용
Fats and fatty acids contents per 100 g (click for "more details"). Example: Avocado oil (user can search for other oils).
http://nutritiondata[...]
Nutritiondata.com, Conde Nast for the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Standard Release 21
2014
[16]
웹인용
USDA Specifications for Vegetable Oil Margarine Effective August 28, 1996
https://www.ams.usda[...]
[17]
웹인용
Avocado oil,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09-06
[18]
웹인용
Changes in dry matter, oil content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avocado during harvesting time and post-harvesting ripening period
http://www.bashaar.o[...]
Elsevier
2020-01-15
[19]
웹인용
What is unrefined, extra virgin cold-pressed avocado oil?
https://www.aocs.org[...]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2019-12-26
[20]
웹인용
Brazil nut oil, fat composition, 100 g
https://fdc.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09-06
[21]
웹인용
Canola oil,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09-06
[22]
저널 인용
Emissions of volatile aldehydes from heated cooking oils
https://www.research[...]
[23]
웹인용
Coconut oil,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09-06
[24]
웹인용
Corn oil, industrial and retail, all purpose salad or cooking,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09-06
[25]
뉴스
Where There's Smoke, There's a Fryer
https://www.washingt[...]
2011-03-05
[26]
웹인용
Cottonseed oil, salad or cooking,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09-06
[27]
웹인용
Linseed/Flaxseed oil, cold pressed,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09-06
[28]
저널 인용
Grape Seed Oil Compounds: Biological and Chemical Actions for Health
[29]
저널 인용
Efficacy of dietary hempseed oil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2005-04
[30]
웹인용
Smoke points of oils
https://www.veghealt[...]
[31]
웹인용
Olive oil, salad or cooking,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09-06
[32]
웹인용
Palm oil,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09-06
[33]
웹인용
Safflower oil, salad or cooking, high oleic, primary commerce,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09-06
[34]
웹인용
Soybean oil
https://ndb.nal.usda[...]
[35]
웹인용
Soybean oil, salad or cooking, (partially hydrogenated),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7-09-06
[36]
웹인용
Soybean oil, salad or cooking,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6-05
[37]
웹인용
Sunflower oil, 65% linoleic,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6-05
[38]
웹인용
Sunflower oil, less than 60% of total fats as linoleic acid,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6-05
[39]
웹인용
Sunflower oil, high oleic - 70% or more as oleic acid,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6-05
[40]
웹인용
Smoke Point of Oils
http://jonbarron.org[...]
Jonbarron.org
2012-04-17
[41]
웹인용
Cottonseed oil, industrial, fully hydrogenated,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6-05
[42]
웹인용
Palm oil, industrial, fully hydrogenated, filling fat, fat composition, 100 g
https://ndb.nal.usda[...]
US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28,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