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왕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 왕실은 개성 지역 호족에서 기원하여 고려 건국 이후 34명의 왕을 배출하며 474년간 존속했다. 태조 왕건은 후삼국을 통일하고 왕권을 강화했으며, 광종 대에는 과거제 시행으로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했다. 무신정변 이후 왕권이 약화되었고, 몽골의 침입으로 원나라의 간섭을 받았다. 고려 말기,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왕조가 멸망하고, 왕씨들은 숙청당했다. 조선 건국 후에도 왕씨에 대한 박해가 이어졌으나, 태종 때 종식되었고,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개성 왕씨는 2만 명 이상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왕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국가 | [[File:Royal flag of Goryeo (Bong-gi).svg|25px]] 고려 |
| 칭호 | 고려 국왕 심왕 |
| 설립자 | 태조 |
| 마지막 통치자 | 공양왕 |
| 건립일 | 918년 7월 25일 |
| 폐위일 | 1392년 |
| 왕가 정보 | |
| 왕가명 | 왕씨 (王氏) |
| 민족 | 한민족 |
| 종교 | 불교 |
| 본가 | 해당 정보 없음 |
| 분가 | 해당 정보 없음 |
2. 건국 이전
고려 왕가는 개성 지역의 호족 출신으로, 왕건의 선조는 고구려 출신의 영향력 있는 해상 상인으로 여겨졌다.[1][2] 왕건의 할아버지인 작제건은 강화도까지 영향력을 미치는 등 개성의 경계를 넘어선 유력한 인물이었다. 역사학자 유진 박에 따르면, 왕건의 아버지 왕륭은 당나라와의 무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왕씨 성을 처음 사용한 인물로 보인다.[3] 다른 역사가들은 왕건이 고려의 왕위에 오른 후 처음으로 왕씨 성을 사용했다고 주장하며, 왕건이라는 그의 완전한 이름은 문자 그대로 "왕적인 창건자"를 의미한다고 주장한다.[4][5] 왕씨 성(왕을 의미)은 과거 고구려에서 왕족과의 연관성 때문에 고씨 왕족의 일부 구성원들이 사용했다.[6] 송나라 사신 서긍은 "왕씨의 선조는 고구려의 명문가"라고 기록했다.[7]
왕씨는 작제건의 부인이자 사후 원창왕후로 추존된 서해 용왕의 딸과 혼인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8]
2. 1. 국조 원덕대왕 (추존)
國祖 元德大王중국어는 고려 왕실의 시조로, 정확한 생몰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왕건의 증조부로, 사후 원덕대왕으로 추존되었다. 배우자는 정화왕후 강씨(진의)이다.정화왕후는 강씨 족보에서 신라 성골장군 강호경의 손녀이자 오찬 이사금의 54세손인 강보육의 딸로 기록되어 있다.[20]
고려 왕가는 개성 지역의 호족에서 기원했다. 왕건의 선조는 고구려 출신의 영향력 있는 해상 상인으로 여겨졌다.[1][2] 왕건의 할아버지인 작제건은 강화도까지 영향력을 미치는 등 개성의 경계를 넘어선 유력한 인물이었다.
왕씨는 작제건의 부인이자 사후 원창왕후로 추존된 서해의 전설적인 용왕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 김관의의 《편년통록》에 따르면, 작제건은 용왕의 적대자인 늙은 여우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주어 서해 용왕의 딸과 결혼할 수 있었다. 이것은 아마도 "왕조 계보를 신성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야기일 것이다.[8]
2. 2. 의조 강경대왕 작제건 (추존)
고려 왕가는 개성 지역의 호족에서 기원했다. 왕건의 선조는 고구려 출신의 영향력 있는 해상 상인으로 여겨졌다.[1][2] 왕건의 할아버지인 작제건은 강화도까지 영향력을 미치는 등 개성의 경계를 넘어선 유력한 인물이었다.왕씨는 작제건의 부인이자 사후 원창왕후로 추존된 서해의 전설적인 용왕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 김관의의 《편년통록》에 따르면, 작제건은 용왕의 적대자인 늙은 여우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주어 서해 용왕의 딸과 결혼할 수 있었다. 이것은 아마도 "왕조 계보를 신성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야기일 것이다.[8]
3. 고려 왕조
경종은 전시과를 제정하여 토지 제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경종은 헌숙왕후 김씨(경순왕의 딸), 헌의왕후 유씨(문원대왕의 딸), 천추왕태후 황보씨(대종의 딸)를 왕비로 맞이했다.
목종은 효숙왕태후 황보씨(대종의 딸)를 왕비로, 대명궁부인 유씨(원장태자의 딸)를 후궁으로 두었다.
3. 1. 건국 초기 (왕권 강화)
고려 왕가는 개성 지역의 호족 출신으로, 왕건의 선조는 고구려 출신의 영향력 있는 해상 상인이었다.[1][2] 왕건의 할아버지 작제건은 강화도까지 세력을 뻗쳤으며, 아버지 왕륭은 당나라와의 무역을 통해 성장했다.[3] 왕건은 918년 고려를 건국하고 후삼국 시대를 통일했다.태조는 왕권 강화와 국가 기틀을 다지기 위해 호족 통합, 북진 정책 등을 추진했다. 광종은 958년 과거 제도를 실시하고, 노비안검법을 시행하여 호족 세력을 약화시키는 등 왕권 강화에 힘썼으며, 개혁에 반대하는 세력을 숙청했다.[12]
3. 1. 1. 1대 태조
왕건은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유력한 호족, 해상 상인, 멸망한 신라 왕족 등 다양한 세력 출신의 29명의 여성과 결혼했다.[11]3. 1. 2. 2대 혜종
혜종은 왕권 도전에 직면하였다. 태조는 고려 건국 후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여러 세력과 혼인 관계를 맺었는데, 이로 인해 왕실은 강력한 지역 가문들 사이에서 수장(primus inter pares)과 같은 위치에 있었다.[11] 태조의 아들인 광종은 왕권 강화를 통해 중앙 집권 사회를 만들고자 하였고, 과거 제도를 시행하고 반대 세력을 숙청하는 등 개혁을 추진하였다.[12]3. 1. 3. 3대 정종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정종(3대)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습니다. 요약에 언급된 "서경 천도 추진 및 실패"에 대한 정보도 찾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3. 1. 4. 4대 광종
광종은 왕권 강화를 통해 고려를 중앙 집권 사회로 만들었다. 광종은 강력한 지역 가문의 귀족 세력을 억누르기 위해 노력했다. 958년에는 중국 학자 쌍기의 도움을 받아 과거 제도를 시행했다. 그는 자신의 중앙 집권 개혁에 반대하는 세력을 가차 없이 숙청했으며, 심지어 아버지 태조의 옛 동료들까지 제거했다.[12]3. 1. 5. 5대 경종
경종은 전시과를 제정하여 토지 제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3. 1. 6. 7대 목종
정간왕의 딸 정의왕후 왕씨, 김양검의 딸 선의왕후 김씨, 이호의 딸 장경궁주 이씨가 있다.3. 1. 7. 8대 현종
현종에게는 자녀가 없었다.[1]| 이름 | 비고 |
|---|---|
| 수안택주 | 공주 |
| 정신현비 이씨 | 이예의 딸, 왕자 2명 출산 |
| 경화왕후 | 예종과 혼인 |
| 원신궁주 이씨 | 이정의 딸, 한산후 출산 |
3. 1. 8. 9대 덕종
덕종은 혼인하지 않았다.3. 1. 9. 10대 정종
정종의 가족관계는 위 표와 같다.
3. 1. 10. 11대 문종
숙종은 문종의 아들로, '견성적소수좌'라는 시호를 받았다.3. 2. 문벌 귀족기 (왕권 약화)
예종 때 이자겸의 딸인 문경왕태후 이씨가 왕비가 되었다. 인종 때에는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 등 내란이 발생하였다.[17] 이처럼 왕실의 권위가 약화되고, 왕권이 흔들리는 상황이 나타났다.3. 2. 1. 12대 순종
원본 소스에 12대 순종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3. 2. 2. 14대 헌종
헌종은 자녀가 없었다.3. 2. 3. 15대 숙종
숙종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비고 |
|---|---|---|
| 아버지 | 양헌왕 | |
| 어머니 | 광정태후 김씨 | 강릉공의 딸 |
| 왕비 | ||
| 후궁 | 궁인 ○씨 | ○○○의 딸 |
| 아들 | 강종 영 | |
| 딸 | 연희궁주 | 왕진과 혼인 |
| 딸 | 수안궁주 | 왕우와 혼인 |
| 아들 | 왕선사 | |
| 아들 | 왕홍기 | |
| 아들 | 왕홍추 | |
| 아들 | 왕홍규 | |
| 아들 | 왕홍균 | |
| 아들 | 왕홍각 | |
| 아들 | 왕홍이 |
3. 2. 4. 16대 예종
(요약에 예종에 대한 내용이 있지만,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음)3. 2. 5. 17대 인종
인종 대에는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 등 내란이 발생하였다.[17]3. 3. 무신 정권기 (왕권 몰락)
무신정변으로 무신 정권이 들어서면서 고려 왕권은 사실상 몰락하였다. 최충헌, 최우 등 최씨 정권이 장기간 집권하였다.[1]3. 3. 1. 18대 의종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고려 18대 왕 의종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의종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3. 3. 2. 20대 신종
神宗중국어(1144년~1204년, 재위: 1197년~1204년)은 고려 제20대 국왕이다. 휘는 탁(晫), 초명은 민(旼), 자는 지화(至華), 묘호는 신종(神宗), 시호는 정효(靖孝), 능호는 양릉(陽陵)이다. 희종과 함께 몽골의 침입을 받아 강화도로 피난을 간 왕이다.3. 3. 3. 21대 희종
희종은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었다.[1]3. 3. 4. 22대 강종
(강종과 관련된 내용은 원본 소스에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3. 3. 5. 23대 고종
고종 대에는 몽골의 침입으로 강화도로 천도하였다.3. 4. 원 간섭기 (왕실 격하)
충혜왕은 희비 윤씨에게서 충정왕 저를, 화비 홍씨에게서 왕석기를 얻었다. 충혜왕은 그 외에도 후궁이 98명 있었다.3. 4. 1. 24대 원종
원종은 원나라에 복속하고 개경으로 환도하였다.3. 4. 2. 25대 충렬왕
충렬왕은 원나라 공주와 혼인하여 부마국이 되었다.3. 5. 멸망기 (왕조 쇠퇴)
공민왕은 반원 자주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실패하고, 우왕, 창왕, 공양왕 대에 이르러 왕조는 쇠퇴하였다.3. 5. 1. 31대 공민왕
공민왕은 이제현의 딸 혜비 이씨를 비롯하여 여러 왕비를 두었다. 원나라 베이르테무르의 딸 노국대장공주와 결혼하였고, 익비 한씨, 신비 염씨, 정비 안씨, 궁인순정왕후 한씨, 그리고 반야 등 여러 후궁을 두었다. 반야와의 사이에서 아들 우왕을 낳았다.[1]
3. 5. 2. 32대 우왕
1388년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는 고려를 장악하게 되었다. 이성계는 우왕을 폐위시켰다.[13]3. 5. 3. 33대 창왕
1388년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는 고려를 장악했다. 초기에 이성계는 정통성이 부족하여 우왕과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왕위에 앉혔다.[13]3. 5. 4. 34대 공양왕
1388년, 위화도 회군의 여파로 고려의 장군 이성계는 고려를 장악하였다. 처음에는 정통성이 부족했기에 이성계는 우왕과 창왕을 폐위시킨 후 꼭두각시 왕인 공양왕을 왕위에 앉혔다.[13]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에 의해 고려의 충신 정몽주가 암살된 후, 이성계에게 더 이상 중대한 반대 세력은 없었다. 1392년 8월 5일, 이성계는 스스로 왕이 될 충분한 지지를 얻어 왕씨 왕조의 474년 통치를 끝냈다.사흘 뒤인 8월 8일, 새로운 왕실은 이성계의 사돈인 왕우, 그의 두 아들 왕초와 왕관, 문관 왕승과 그의 아들 왕강을 제외한 모든 왕씨들을 개성에서 추방하라고 명령했다. 추방된 왕씨들은 강화도와 거제도로 보내졌다. 왕우는 멸망한 고려 왕국의 제사 상속자로 인정받아, 고려 전 왕들을 위한 제사를 지내기 위해 귀의군으로 봉해졌다.[14] 1394년 2월 16일, 두 명의 조선 관리, 동래 부사 김가행(金可行|김가행중국어)과 박중질(朴仲質|박중질중국어)이 맹인 점쟁이를 이용하여 이씨 왕조와 왕씨 왕조의 미래 운명을 알아내려다 발각되었다. 이 사건으로 왕씨들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다. 3월 28일, 공양왕과 그의 아들들은 삼척시로 유배지를 옮겨졌다. 본토에 있던 왕씨 왕조의 나머지 왕족들은 거제도로 옮겨졌다. 5월 14일, 조선 태조는 사돈인 왕우의 가족을 제외한 왕씨 왕조 구성원들을 처형하라는 왕실의 요구를 수용했다.[15]
5월 15일, 강화도에 있던 왕씨들은 살해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그들은 바다에 던져졌다. 하지만 구전되는 이야기에서는 왕씨들이 새로운 유배지로 데려다 줄 배에 타도록 속았다고 한다. 그러나 그 배는 잠수부들이 배에 구멍을 뚫어 의도적으로 침몰되었다고 한다. 5월 17일, 관리들이 삼척으로 보내져 공양왕과 그의 두 아들을 살해했다. 그들은 교살당했다. 5월 20일, 왕실은 왕씨 성을 가진 사람은 누구든지 체포하여 살해하는 숙청 작전을 선포했다. 거제도에 남아 있던 왕씨들은 살해되었으며, 최소 111명의 전 왕족이 살해되었다. 살아남기 위해, 남은 왕씨들은 숨거나 어머니의 성을 사용했다.[16] 이 숙청 기간 동안 여러 왕씨들이 체포되었다. 1397년 12월, 왕씨 왕조 구성원들의 여러 사생아들이 체포되어 처형되었다.[17]
4. 추존왕 및 비정통 왕
고려 왕조는 태조의 선대, 왕족 등을 추존하거나, 정통성이 부족한 왕을 별도로 기록하였다. 덕흥군은 고려 왕족이었으며, 부인은 ○씨였다.
4. 1. 대종 (추존)
戴宗중국어 대종은 태조의 아들이자 성종의 아버지로, 사후 왕으로 추존되었다. 왕비는 태조와 신정왕태후의 딸인 선의왕후이다.
4. 2. 안종 (추존)
대종의 딸이자 경종의 왕비였던 효숙왕태후와 혼인하여 현종과 성목장공주를 낳았다.[10]4. 3. 영종 (비정통)
영종은 고려 왕실의 왕족으로, 안경공 왕창의 아들 왕현, 왕현의 아들 왕광, 왕광의 아들 왕청, 왕청의 아들 왕길이 있었다.4. 4. 승화후 (비정통)
승화후는 고려 현종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왕경이다. 슬하에 왕환, 왕서, 왕준, 왕정 등의 아들을 두었다.[1]| 이름 | 가계 |
|---|---|
| 승화후 | 현종의 8대손, 왕경의 아들 |
| 왕환 | 승화후의 아들 |
| 왕서 | 승화후의 아들 |
| 왕준 | 승화후의 아들 |
| 왕정 | 승화후의 아들 |
5. 제후왕
고려는 복속한 국가의 지배자들을 제후왕으로 봉하였다. 탐라의 지배층에게는 탐라성주 작위를 주었고, 신라 경순왕은 낙랑왕으로 봉해졌다. 실직군왕은 문종의 아들인 양헌왕의 아들이다.
5. 1. 탐라성주
| 대수 | 이름 |
|---|---|
| 1 | 고후 |
| 12 | 고복령 |
| 16 | 고인조 |
| 말대 | 고봉례 |
5. 2. 낙랑왕 (김부, 前 경순왕)
5. 3. 실직군왕 (김위옹)
실직군왕(失職郡王)은 고려 문종의 아들인 양헌왕의 아들이다. 작위는 검교태사(檢校太師)였다.[1] 광평공(廣平公)으로도 불렸다.[1] 아들은 안평공이다.[1]6. 역대 권지국사
필영대왕의 부인에 대한 기록은 없다.
7. 심왕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심왕'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심왕' 섹션은 작성할 수 없다.
7. 1. 1대 이지르부카왕 (충선왕)
이지르부카(충선왕)는 주어진 고려 왕실 가계 정보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제공된 정보는 고려와 조선의 왕위 계승 목록이며, 충선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7. 2. 3대 토크토아부카왕
원본 소스에 3대 토크토아부카왕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8. 고려 왕조 멸망 이후
1392년 조선 건국 직후, 이성계 세력은 왕씨 일족을 대대적으로 숙청하였다.[14][15][16] 강화도와 거제도 등에서 왕씨들이 집단 학살당했으며,[14][16] 살아남은 왕씨들은 성을 바꾸거나 숨어 살아야 했다.[16]
태종 대인 1413년에 왕씨 가문에 대한 박해가 종식되었다.[3] 이후 왕씨 가문의 후손들은 고려 왕실의 제사를 받들었다. 그러나 조선 초기의 탄압으로 인해 왕씨의 수는 줄어들었지만,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에는 22,452명의 개성 왕씨가 있다. 실제 수는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왕씨들이 성씨를 변경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8. 1. 왕씨 몰살
1392년 조선 건국 직후, 이성계 세력은 왕씨 일족을 대대적으로 숙청하였다.[14][15][16] 강화도와 거제도 등에서 왕씨들이 집단 학살당했으며,[14][16] 살아남은 왕씨들은 성을 바꾸거나 숨어 살아야 했다.[16]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강화도에 있던 왕씨들은 바다에 던져져 살해되었다.[16] 구전되는 이야기에 따르면, 왕씨들은 새로운 유배지로 데려다 줄 배에 타도록 속았으나, 그 배는 잠수부들이 배에 구멍을 뚫어 의도적으로 침몰되었다고 한다.[16] 1394년 5월 17일, 관리들이 삼척시로 보내져 공양왕과 그의 두 아들을 교살했다.[16] 5월 20일, 왕실은 왕씨 성을 가진 사람은 누구든지 체포하여 살해하는 숙청 작전을 선포했다.[16] 거제도에 남아 있던 왕씨들도 살해되었으며, 최소 111명의 전 왕족이 살해되었다.[16] 1397년 12월, 왕씨 왕조 구성원들의 여러 사생아들이 체포되어 처형되었다.[17]
8. 2. 왕씨 후손
조선 태종 대인 1413년에 왕씨 가문에 대한 박해가 종식되었다.[3] 박해로 인해 총 135명의 고려 왕족이 살해되었는데, 이들은 모두 왕족의 직계 혈족에 가까운 남성이었고, 여성과 방계 혈족은 살아남았다.[3] 이씨 왕조와 혼인 관계로 연결되어 있고 조선 건국에 참여한 왕우와 왕승 같은 직계 혈족의 특정 구성원들은 예외였다. 고려 현종의 후손인 왕거을오미(王巨乙吾未|왕거을오미중국어)는 1413년 12월 8일 공주에서 체포되었으나, 태종은 왕족 후손 처형을 요청하는 관리들의 청을 거부하고 12월 19일 숙청 생존자들의 안전을 보장하는 칙령을 발표했다.[18] 이후 왕거을오미의 아들 왕술례는 1452년 3월 25일 조선 문종에 의해 왕씨 가문의 제사를 지낼 후계자로 임명되었다.[19]이후 왕씨 가문의 후손들은 다음과 같이 고려 왕실의 제사를 받들었다.
| 봉사손 | 1대 | 2대 | 3대 | 4대 | 5대 | 6대 | ?대 | ?대 | ?대 | ?대 | ?대 | ?대 | ?대 | ?대 | ?대 | ?대 | ?대 | ?대 | |
|---|---|---|---|---|---|---|---|---|---|---|---|---|---|---|---|---|---|---|---|
| 귀의군 | 정원부원군[21] | 왕우 | 왕조 | ||||||||||||||||
| 숭의전 | 왕순례 | 왕천계 | 왕적 | 왕희 | 왕훈 | 왕곤 | 왕성원 | 왕세빈 | 왕경효 | 왕윤동 | 왕재기 | 왕사희 | 왕익수 | 왕재준 | 왕재소 | 왕응종 | 왕재하 | 왕회종 | 왕재형 |
8. 2. 1. 성씨를 바꾼 후손 가문
조선 초기의 탄압으로 인해 왕씨의 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었지만,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에는 여전히 22,452명의 개성 왕씨가 존재한다. 실제 수는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왕씨들이 성씨를 변경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의령 옥씨는 중국 이민자의 후손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입증되지 않았다. 한편, 왕가는 고려 태조 재위 기간 동안 광범위한 혼인 정책으로 인해 많은 수의 영향력 있는 한국 씨족들에게 흔적을 남겼다.[3]8. 3. 고려 왕가 출신 유명인
참조
[1]
간행물
The First Succession Struggle of Koryŏ, in 945: A Reinterpretation
https://www.cambridg[...]
1977-05
[2]
간행물
Representations of Koguryo Heritage in the Mythical Legends from Koryosa Sege
2013
[3]
서적
A Genealogy of Dissent: The Progeny of Fallen Royals in Chosŏn Kore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4]
서적
A History of Korea
New York: Free Press
1971
[5]
간행물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Personalities in the Founding of the Koryo Dynasty.
https://china.usc.ed[...]
1981-06
[6]
서적
Korea’s Ancient Koguryŏ Kingdom: A Socio-Political History
Global Oriental
2014
[7]
서적
A Chinese traveler in medieval Korea: Xu Jing's illustrated account of the Xuanhe embassy to Koryo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16
[8]
간행물
P'yŏnnyŏn T'ongnok: The Foundation Legend of the Koryŏ State
https://muse.jhu.edu[...]
1982
[9]
서적
The power of the Buddhas: the politics of Buddhism during the Koryo dynasty 918-1392
Harvard university press
2008
[10]
학위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ruling class from late Silla to early Koryo
https://www.proquest[...]
University of Washington
1964
[11]
간행물
Forging the truth
https://www.academia[...]
2008-06
[12]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1988
[13]
서적
Boundless Winds of Empire: Rhetoric and Ritual in Early Chosŏn Diplomacy with Ming Chin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07-11
[14]
서적
A Genealogy of Dissent: The Progeny of Fallen Royals in Chosŏn Kore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15]
서적
A Genealogy of Dissent: The Progeny of Fallen Royals in Chosŏn Kore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16]
서적
A Genealogy of Dissent: The Progeny of Fallen Royals in Chosŏn Kore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17]
서적
A Genealogy of Dissent: The Progeny of Fallen Royals in Chosŏn Kore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18]
서적
A Genealogy of Dissent: The Progeny of Fallen Royals in Chosŏn Kore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19]
서적
A Genealogy of Dissent: The Progeny of Fallen Royals in Chosŏn Kore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20]
문서
후손들이 개성 왕씨의 90% 차지한다.
[21]
문서
공양왕의 아버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