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양이 면역결핍바이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FIV)는 고양이의 면역계를 손상시키는 렌티바이러스로, CD4+ T 세포 등을 감염시켜 면역 결핍을 유발한다. 감염된 고양이의 침을 통한 깊은 상처를 통해 주로 전파되며, 초기에는 경미한 증상을 보이다가 무증상기를 거쳐 고양이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FAIDS)으로 진행될 수 있다. 진단은 혈액 검사로 이루어지며, 완치법은 없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FIV는 HIV와 유사하게 구조를 가지며, 유전자 치료를 위한 바이러스 벡터로 활용되기도 한다. FIV는 아프리카에서 기원하여 전 세계 고양이과 동물로 확산되었으며, 집 고양이의 FIV는 야생 고양이과 동물에 비해 유전적 다양성이 낮고 진화 속도가 빠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트로바이러스과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는 레트로바이러스과의 렌티바이러스속에 속하며, CD4 양성 T 세포와 같은 면역 세포에 감염되어 면역 체계를 약화시켜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을 유발하는 원인 바이러스로, 성 접촉, 혈액, 모자 감염 등을 통해 전파되며 HIV-1과 HIV-2의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되고,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ART)를 통해 AIDS로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 레트로바이러스과 -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는 고양이에게 발생하는 레트로바이러스과 RNA 바이러스로, 식욕 부진, 발열, 백혈병, 림프종 등을 유발하며 주로 침을 통해 전파되고 ELISA 검사로 진단 가능하며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다.
  • 고양이 질병 - 골육종
    골육종은 뼈, 특히 장골의 골간단 부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밤에 심해지는 통증, 부종, 병적 골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치료하며, 예후는 병기 및 치료 반응에 따라 달라진다.
  • 고양이 질병 - 크립토스포리디움증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크립토스포리디움 속 원생동물에 의해 발생하며,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고 오염된 물, 음식 등을 통해 감염되며, 위생 관리와 대증요법을 통해 관리한다.
  • 동물 바이러스성 질병 - 구제역
    구제역은 전염력이 매우 강한 가축 질병으로, 구제역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고열, 입과 발굽의 수포, 과다한 타액 분비 등의 증상을 보이고, 다양한 혈청형이 존재하며 여러 경로로 전파되어 진단 시 RT-PCR, ELISA 검사가 필요하고 살처분 등의 강력한 방역 조치가 시행된다.
  • 동물 바이러스성 질병 - 감기
    감기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도 감염으로, 기침, 콧물, 재채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특별한 치료법은 없고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요법을 사용한다.
고양이 면역결핍바이러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펠린 면역결핍 바이러스
펠린 면역결핍 바이러스
분류
상위 분류렌티바이러스
펠린 면역결핍 바이러스
동의어없음

2. 병리학

FIV는 면역계를 손상시키는데, 이는 CD4+ 및 CD8+ T 림프구, B 림프구, 대식세포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세포를 감염시키기 때문이다.[10] FIV는 렌티바이러스의 일종으로, 바이러스 외피 당단백질과 숙주 세포 표면 수용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숙주 세포에 침투한다.[8] 먼저 SU 당단백질이 숙주 세포의 수용체인 CD134에 결합하고, 이 초기 결합으로 SU 단백질의 형태가 변화하여 SU와 케모카인 수용체 CXCR4 간의 상호 작용이 촉진된다.[8] 이로 인해 바이러스 외피세포막이 융합되어 바이러스 RNA세포질로 들어가 역전사 및 비상동 재조합을 통해 세포 유전체에 통합된다.[23][9]

CD134는 주로 활성화된 T 세포에서 발견되며, OX40 리간드와 결합하여 T 세포 자극, 증식, 활성화 및 세포 자멸사를 유발한다.[10] 이는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를 감소시킨다. CD4+ 세포 및 기타 면역 세포의 감소는 고양이가 기회 감염에 취약하게 만들며, 이는 고양이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FAIDS)으로 진행될 수 있다.[10]

3. 전파 경로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FIV)의 주된 전파 경로는 감염된 고양이의 침이 다른 고양이의 조직으로 들어가는 깊은 물린 상처를 통해서이다.[11][10] FIV는 임신한 암컷에서 자궁 내 새끼에게 전염될 수 있지만, 수직 감염은 비교적 드물다.[11][10]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와 달리, FIV는 사회적 그루밍이나 음식 그릇 공유와 같은 비공격적인 접촉으로는 전파되지 않는다.

감염 위험 요소로는 수컷, 성묘, 실외 활동 등이 있다. 상파울루에서 수행된 한 사례 연구에 따르면 FIV에 감염된 고양이의 75%가 수컷이었다.[9] 수컷이 암컷보다 감염률이 높은 이유는 영역 다툼으로 인해 물리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9]

자연계에서 교미를 통한 감염 보고는 없으며, 출산 시 모자 감염은 확인된다. 길고양이의 FIV 보유율은 일반적인 고양이보다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4. 질병 단계

FIV는 HIV와 유사하게 여러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마지막 단계는 고양이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FAIDS) 단계로, 이 단계에서 고양이는 이차 질환에 매우 취약해져 사망에 이르게 된다.[9]

고양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의 진행 단계는 다음과 같다.


  • 급성기 (1개월 - 1년): 감염 후 약 4~8주 후에 미열이나 림프절 부종이 나타나며, 이 시기에 발견하면 항생제 등으로 치료할 수 있다.
  • 무증상 캐리어기 (2년 - 4년, 또는 그 이상): 외관상 건강한 상태가 지속된다.
  • PGL(지속성 전신 림프절증)기 (1개월 - 2개월): 전신의 림프절이 붓지만, 외관상 구별하기 어렵다.
  • AIDS 관련 증후군 (1년, 또는 그 이상): 만성 구내염, 감기 증상, 피부병, 설사, 발열, 경미한 체중 감소가 나타난다.
  • AIDS (수 개월): 심한 쇠약, 빈혈, 백혈구 감소증, 면역 부전으로 인한 악성 종양(), 기회 감염 등이 일어나 사망에 이른다.

4. 1. 급성기

FIV는 HIV와 유사한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초기 단계 또는 급성기에는 무기력증, 식욕 부진, 발열, 림프절병증(림프절 부종)과 같은 가벼운 증상이 동반된다.[10] 이 초기 단계는 비교적 짧으며 무증상 단계가 이어지는데, 이 단계에서 고양이는 가변적인 시간 동안 눈에 띄는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일부 고양이는 이 잠복기에 몇 달 동안만 머물지만, 어떤 고양이의 경우 수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무증상 단계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염 바이러스 및 FIV 아형(A~E)의 병원성, 고양이의 나이, 다른 병원체에 대한 노출 등이 있다.

FIV 감염 후 약 4~8주 후에는 미열이나 림프절 부종이 나타난다. 이 시기에 발견하면 항생제 등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4. 2. 무증상 캐리어기

외관상 건강한 상태가 수년(2~4년, 또는 그 이상)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고양이는 가변적인 시간 동안 눈에 띄는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일부 고양이는 이 잠복기에 몇 달 동안만 머물지만, 어떤 고양이의 경우 수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무증상 단계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염 바이러스 및 FIV 아형(A~E)의 병원성, 고양이의 나이, 다른 병원체에 대한 노출 등이 있다.[9]

4. 3. PGL(지속성 전신 림프절증)기

전신의 림프절이 1~2개월 동안 붓는 증상이 나타나지만, 외관상으로는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9]

4. 4. AIDS 관련 증후군(ARC)

림프절 부종 외에 만성 구내염, 감기 증상, 피부병, 설사, 발열, 경미한 체중 감소가 나타난다. 중증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이 된 상태를 AIDS로 판정한다.[9]

4. 5. AIDS(고양이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FAIDS)

FIV는 HIV와 유사한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초기 단계 또는 급성기에는 무기력증, 식욕 부진, 발열, 림프절병증(림프절 부종)과 같은 가벼운 증상이 동반된다.[10] 이 초기 단계는 비교적 짧으며 무증상 단계가 이어지는데, 이 단계에서 고양이는 가변적인 시간 동안 눈에 띄는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일부 고양이는 이 잠복기에 몇 달 동안만 머물지만, 어떤 고양이의 경우 수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무증상 단계의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염 바이러스 및 FIV 아형(A~E)의 병원성, 고양이의 나이, 다른 병원체에 대한 노출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고양이는 최종 단계(고양이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FAIDS) 단계)로 진행되며, 이 단계에서 고양이는 필연적으로 사망 원인이 되는 이차 질환에 매우 취약해진다.[9]

AIDS(고양이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FAIDS) 단계에서는 심한 쇠약, 빈혈, 백혈구 감소증, 면역 부전으로 인한 악성 종양(), 기회 감염 등이 일어나 수개월 내에 사망에 이를 수 있다.

5. 검사

수의사는 고양이의 병력을 확인하고, 임상 증상을 살피며, FIV 항체에 대한 혈액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이 검사는 FIV 항체를 가지고 있는 고양이를 식별하지만 실제 바이러스를 검출하지는 않는다.

고양이가 항체를 가지고 있지만 (무해함)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위양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가장 자주 발생하는 경우는 어미의 젖에서 항체를 섭취한 후 새끼 고양이를 검사할 때(수동 면역)와 FIV에 대해 이전에 예방 접종을 받은 고양이를 검사할 때(능동 면역)이다. 이러한 이유로 생후 8주 미만의 새끼 고양이와 이전에 예방 접종을 받은 고양이는 검사하지 않는다. 수동 면역을 통해 FIV 항체 양성 반응을 보인 새끼 고양이와 어린 고양이는 FIV에 감염된 적이 없고 FIV 백신으로 면역된 적이 없다면, 혈청 반전으로 인해 나중에 음성 반응을 보인다.

예방 접종을 받은 고양이는 감염되지 않았더라도 혈청 전환으로 인해 평생 동안 FIV 항체 양성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유기묘나 입양된 고양이의 검사는 과거에 예방 접종을 받았는지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결정적이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FIV 항체 양성 검사 결과만으로는 절대 안락사의 기준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12]

검사는 수의사의 진료실에서 몇 분 안에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빠른 상담이 가능하며, 간이 검사 키트를 통해 동물병원 등에서 쉽게 검사가 가능하다. 이 검사 키트에서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검출한다. 항체가 양전되기까지 약 1개월이 걸리므로, 양전되기 전까지는 설령 감염되었더라도 음성으로 판정된다. 감염 가능성이 강하게 시사되는 경우에는 1개월 후 이후 (가능하면 2개월 후 이후)에 재검사할 필요가 있다.

6. 치료

미국 농무부는 2006년에 림프구 T세포 면역조절제(LTCI)라는 새로운 치료 보조제에 대한 조건부 허가를 발급했다.[13] 림프구 T세포 면역조절제는 T-Cyte Therapeutics, Inc.에서 독점적으로 제조 및 유통한다.[14]

림프구 T세포 면역조절제는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 및/또는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FIV)에 감염된 고양이와 관련된 빈혈, 기회 감염, 림프구감소증, 과립구감소증, 또는 혈소판 감소증의 증상 치료에 사용되는 보조제이다. 여러 동물 종에서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는 점은 이 제품의 독성 프로파일이 매우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림프구 T세포 면역조절제는 CD-4 림프구 생성 및 기능의 강력한 조절제이다.[15] 동물에서 림프구 수와 인터류킨 2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6] 이것은 단일 사슬 폴리펩타이드이며 강력한 양이온성 당단백질이며, 이온 교환 수지로 정제된다. 정제 유래 기질 세포 상청액에서 단백질을 정제하여 이물질이 없는 실질적으로 균질한 인자를 생성한다. 소 단백질은 다른 포유류 종과 상동성이 있으며, 등전점이 6.5인 균질한 50 kDa 당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은 동결 건조된 1 마이크로그램 용량으로 제조된다. 멸균 희석제로 재구성하면 피하 주사 용액이 생성된다.

7. 백신

HIV와 마찬가지로, 고양이 면역결핍바이러스(FIV)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 개발은 바이러스 변종의 수가 많고, 변이 간의 차이로 인해 어렵다. "단일 변종" 백신, 즉 단일 바이러스 변이체에 대해서만 보호하는 백신은 이미 상동성 FIV 변종에 대해 좋은 효능을 보였다. 2002년에 출시된 FIV용 이중 아형 백신인 Fel-O-Vax는 더 많은 FIV 변종에 대해 고양이를 면역할 수 있게 했다. 이 백신은 5가지 FIV 아형(또는 계통군) 중 2가지(A Petaluma 및 D Shizuoka)의 불활성화된 분리주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17] 백신은 A형 FIV에 대해 어느 정도의 보호 효과(고양이의 82%가 보호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18] 이후 연구에서는 A형에 대한 보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9] 2가지 다른 B형 FIV 변종에 대해서는 100%의 효과를 보였다.[20][21] 백신 접종은 고양이의 FIV 검사 결과에 양성 반응을 일으켜 진단을 더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이유로 백신은 "비필수"로 간주되며, 백신 접종 결정은 수의사와 상의한 후 위험과 효과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22]

8. 구조

FIV는 영장류 및 유제류 렌티바이러스와 유사한 구조를 보인다. 바이러스 입자는 직경 80~100 나노미터의 다형성 입자이며, 바이러스 외피는 표면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23]

FIV 바이러스 게놈은 이배체이며, 두 개의 동일한 단일 가닥 RNA로 구성된다. 이는 약 9400개의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되며, 플러스 가닥 방향으로 존재한다. 레트로바이러스의 전형적인 게놈 구조를 가지며, LTR, ''vif'', ''pol'', ''gag'', ''orfA'', ''env'' 및 ''rev'' 유전자를 포함한다.[31][24][25] Gag 폴리단백질은 매트릭스(MA), 캡시드(CA) 및 뉴클레오캡시드(NC) 단백질로 절단된다. Pol 폴리단백질은 리보솜 프레임 이동에 의해 번역되며, 이는 HIV와 공유되는 특징이다. Pol의 절단은 프로테아제(PR), 역전사 효소(RT), 데옥시우리딘 삼인산 분해 효소(dUTPase 또는 DU) 및 인테그라제(IN)를 방출한다. Env 폴리단백질은 리더 펩타이드(L), 표면(SU) 및 막관통(TM) 당단백질로 구성된다. FIV 게놈은 Vif 및 Rev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추가적인 짧은 오픈 리딩 프레임(ORF)을 가지며, ''env'' 유전자 앞에 ''orfA''(또는 ''orf2''라고도 함)라는 추가 짧은 ORF가 있다.

''Pol''은 ''gag''와 함께 FIV 균주 전체에서 가장 보존되어 있는 유전자이다. 반대로, ''env'', ''vif'', ''orfa'' 및 ''rev''는 가장 덜 보존되어 있으며 FIV 균주 간에 가장 많은 유전자 다양성을 나타낸다.[26]

폴리단백질 Gag에서 파생된 캡시드 단백질은 바이러스 코어 (바이러스의 단백질 껍질)로 조립되고, Gag에서 파생된 매트릭스 단백질은 지질 이중층 바로 내부에 껍질을 형성한다. Env 폴리단백질은 표면 당단백질(SU)과 막관통 당단백질(TM)을 암호화한다. SU 및 TM 당단백질은 모두 심하게 당화되어 있다.[23]

9. 렌티바이러스 벡터

HIV-1과 마찬가지로, FIV는 유전자 치료를 위한 바이러스 벡터로 조작되었다.[27] 다른 렌티바이러스 벡터와 마찬가지로, FIV 벡터는 숙주 세포의 염색체에 통합되어 장기간 안정적인 트랜스 유전자 발현을 생성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벡터는 분열하는 세포와 분열하지 않는 세포 모두에 사용할 수 있다.[27][28] FIV 벡터는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 질환을 치료하는 데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미 RNAi 전달에 사용되어 암 유전자 치료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29]

10. 기원 및 확산

FIV(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가 고양이과 동물에서 정확히 언제, 어떻게 나타났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바이러스 계통학, 고양이과 동물의 종 분화, 그리고 FIV 발생에 대한 연구는 아프리카 기원설을 유력하게 시사한다. 바이러스 계통학 분석에 따르면 급격한 진화를 통해 최근에 출현한 바이러스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별 모양의 계통 발생 패턴을 보인다.[30] 그러나 위상학, 가지 길이, 높은 유전적 분기점의 차이는 고양이과 종에서 더 오래된 기원을 시사한다. 화석 기록에 따르면 현존하는 고양이과 동물은 약 1,080만 년 전 아시아에서 공통 조상으로부터 기원했으며, 그 이후 8개의 뚜렷한 진화 계통에서 38종의 고양이과 동물이 퍼져나가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 성공적으로 서식하게 되었다.[31]

고양이과 동물의 기원이 아시아임에도 불구하고, FIV는 몽골의 팔라스 고양이를 제외하고는 아시아 고양이과 동물에게서 발견되지 않는다. 반면, 아프리카에서는 FIV가 매우 토착적으로 존재하여 5종의 고양이과 동물 중 4종에서 혈청 양성 PCR 결과가 나타났다.[32] 아프리카에서 FIV 균주의 광범위한 발생과 종간 분기점을 고려할 때, FIV는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여 전 세계로 확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프리카 고양이과 동물 종에서 FIV 균주 간의 높은 유전적 다양성과 분기점, 그리고 하이에나 FIV-Ccr의 존재는 오랜 시간 동안 서식하면서 종 간 전염 기회가 증가했음을 시사한다. 게다가 렌티바이러스는 고양이과 동물뿐만 아니라 영장류, 유제류 종에게도 감염되어 아프리카에서 매우 토착적으로 존재한다. 이는 모든 렌티바이러스의 기원을 시사하며, FIV가 아프리카에서 기원했음을 뒷받침하지만,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33][34]

FIV가 아프리카에서 확산된 것은 고양이과 동물의 이주 시기 두 번에 걸쳐 발생했을 수 있다. 가장 초기의 베링 해협을 통한 북아메리카 이주는 해수면이 낮았던 시기인 약 450만 년 전에 일어났다.[35] 북아메리카의 초기 고양이과 동물은 오셀롯 계통의 7종, 퓨마 계통의 2종, 그리고 4종의 현대 스라소니 종으로 분화되었다.[36] 아시아 사자와 재규어가 유라시아를 거쳐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로 이주한 가장 최근의 시기는 플라이오세/초기 플라이스토세 동안이었다.[35] 이러한 이주 사건은 고양이과 동물 사이에서 FIV 전염 기회를 증가시켰고, 고양이과 동물 종에 대한 감염을 전 세계적으로 확립했다.

11. 진화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FIV)의 아형은 빠르게 진화한다. 퓨마에게서 발견되는 FIV-Pco는 A형과 B형 두 가지로 나뉘는데, 이들은 긴 분지 길이와 낮은 지리적 유사성을 보여, 두 아형이 별도로 유입되어 오랫동안 남아있었음을 의미한다.[37] 아프리카 사자의 FIV-Ple는 A형에서 F형까지 여섯 가지 아형으로 나뉘며, 지리적 고유성을 나타낸다.[40]

FIV는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에 널리 퍼져 있지만, 오세아니아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42]

11. 1. 야생 고양이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FIV) 아형은 빠른 진화를 보인다. 퓨마에게서 발견되는 FIV-Pco는 A형과 B형 두 가지로 나뉘는데, 이들은 긴 분지 길이와 낮은 지리적 유사성을 보여, 두 아형이 별도로 유입되어 오랫동안 남아있었음을 의미한다.[37] 아프리카 사자의 FIV-Ple는 A형에서 F형까지 여섯 가지 아형으로 나뉘며, 지리적 고유성을 나타낸다.[40]

FIV는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에 널리 퍼져 있지만, 오세아니아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42] 사자, 퓨마, 표범, 재규어, 밥캣, 호랑이 등 대부분의 고양이과 동물 종에 영향을 미친다.[43] 특히, 스라소니, 밥캣, 치타, 퓨마와 같은 ''판테라'' 속이 아닌 고양이들이 FIV에 더 취약한데, 이는 APOBEC3 계열 A3Z3 단백질 수치가 높아 바이러스 복제가 억제되기 때문이다.[42] 반면, 사자, 표범, 재규어, 호랑이와 같은 ''판테라'' 속 동물들은 보호 단백질 발현 수준이 높아 감염 정도가 덜 심각할 수 있다.[42]

FIV에 감염된 고양이는 면역 기능이 손상되어 다른 질병에 취약해지고,[46] 사냥 능력 감소, 사회적 상호 작용 장애와 같은 행동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43]

FIV는 야생 고양이에게 위협이 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개체군 전체 사망률을 크게 높인다는 증거는 부족하다.[43][46]

11. 2. 집 고양이

집 고양이의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FIV-Fca)는 병원성이 있으며, 고양이 에이즈 증상 및 그에 따른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르면 FIV는 세 가지 아형 A, B, C로 분화되는 단일 계통 분지이다.[26] 집 고양이는 약 10,000년 전 동아시아에 서식했던 야생 고양이 ''펠리스 실베스트리스''의 아종에서 유래되었으며, 다른 고양이과 종보다 더 최근에 등장했다. 유전자 분석에 따르면 FIV-Ple 및 FIV-Pco와 비교하여 집 고양이에서 FIV의 유전적 다양성이 낮고, 진화 속도가 빠르며, 사망률이 더 높다.[47] 이는 새롭게 출현한 바이러스가 바이러스와 새로운 숙주 종 간의 공생 적응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더 높은 진화 속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집 고양이에서 FIV의 출현이 최근이었음을 시사한다.[26] 또한 혈청 유병률 연구에 따르면 반려동물 고양이의 발생률은 4~12%인 반면, 길고양이는 8~19%의 유병률을 보이는데, 이는 야생 고양이과 종에 비해 훨씬 낮으며, 이 종에서 FIV의 최근 출현 가설을 뒷받침한다.[48][49]

12.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와의 비교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FIV)와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는 같은 레트로바이러스 아과(orthoretrovirinae)에 속하지만, 서로 다른 속에 분류된다. FeLV는 감마 레트로바이러스이고 FIV는 HIV-1과 같은 렌티바이러스이다. FeLV는 둥근 모양인 반면, FIV는 길쭉한 모양으로 형태도 다르다. 두 바이러스는 유전적으로도 상당히 다르며, 단백질 외피의 크기와 구성도 다르다.[1] FeLV와 FIV가 유발하는 질병은 유사한 부분이 많지만, 질병이 발생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다르다.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는 감염된 고양이에게 증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FIV에 감염된 고양이는 평생 동안 완전히 무증상으로 남아 있을 수 있다.[1]

참조

[1] 논문 Occurrence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in cats
[2] 논문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vaccine: Implications for diagnostic testing and disease management
[3] 논문 Isolation of a T-lymphotropic virus from domestic cats with an immunodeficiency-like syndrome
[4] 논문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vaccine: A rational paradigm for clinical decision-making
[5] 논문 FIV diversity: FIV Ple subtype composition may influence disease outcome in African lions. 2011-10-15
[6] 논문 New World feline APOBEC3 potently controls inter-genus lentiviral transmission. 2018-04-10
[7] 논문 2020 AAFP Feline Retrovirus Testing and Management Guidelines 2020-01-09
[8] 논문 Mapping of Receptor Binding Interactions with the Fiv Surface Glycoprotein (SU); Implications Regarding Immune survelliance and cellular Targets of Infection 2012
[9] 논문 Clinical aspects of feline immunodeficiency and feline leukemia virus infection
[10] 논문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model for designing HIV/AIDS vaccines
[11] 간행물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http://www.vet.corne[...] Cornell Universit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2008-11-12
[12] 논문 Feline immunodeficiency. ABCD guidelines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13] 웹사이트 LTCI Product Information http://tcyte.com/ltc[...] T-Cyte Therapeutics, Inc. 2012-07-28
[14] 웹사이트 T-Cyte Therapeutics, Inc. http://www.tcyte.com T-Cyte Therapeutics, Inc. 2012-07-28
[15] 문서 Beardsley, et al. "Induction of T-Cell Maturation by a Cloned Line of Thymic Epithelium (TEPI) Immunology 80: pp. 6005-6009, (Oct. 1983).
[16] 특허 Method to enhance hematopoiesis
[17] 논문 2008 American Association of Feline Practitioners' feline retrovirus management guidelines
[18]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a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vaccine
[19] 논문 Limited efficacy of an inactivated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vaccine
[20] 논문 Dual-subtype vaccine (Fel-O-Vax FIV) protects cats against contact challenge with heterologous subtype B FIV infected cats
[21] 논문 Dual-subtype FIV vaccine (Fel-O-Vax FIV) protection against a heterologous subtype B FIV isolate
[22] 논문 2008 American Association of Feline Practitioners' feline retrovirus management guidelines
[23] 논문 Vaccination against the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The road not taken http://www.elsevier.[...] 2011-11-15
[24] 논문 Genomic organization, sequence divergence, and recombination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from lions in the wild 2008
[25] 논문 Nucleotide sequence and genomic organization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1989-08-01
[26] 논문 Phylogeographic Patterns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Genetic Diversity in the Domestic Cat 1998-11
[27] 논문 Efficient transduction of nondividing cells by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lentiviral vectors
[28] 논문 Optimization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Vectors for RNA Interference 2006-10
[29] 논문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non-HIV-based lentiviral vectors in neurological disorders 2008-12
[30] 논문 Genetic and phylogenetic divergence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in the puma (Puma concolor). 1996
[31] 논문 Patterns of Y and X chromosome DNA sequence divergence during the Felidae radiation. 1998-03
[32] 논문 Prevalence of antibodies to feline parvovirus, calicivirus, herpesvirus, coronavirus, and immunodeficiency virus and of feline leukemia virus antigen an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se viral infections in free-ranging lions in east Africa. 1996-09
[33] 논문 Characteristics of a novel lentivirus derived from South African sheep with pulmonary adenocarcinoma (jaagsiekte) https://linkinghub.e[...] 1987-05
[34] 논문 Phylogeny and natural history of the primate lentiviruses, SIV and HIV https://linkinghub.e[...] 1995-12
[35]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www.science.[...] 2006-01-06
[36] 논문 Phylogeography, population history and conservation genetics of jaguars (Panthera onca, Mammalia, Felidae) http://doi.wiley.com[...] 2001-01
[37] 논문 Genetic and phylogenetic divergence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in the puma (Puma concolor) 1996-10
[38] 논문 The Evolutionary Dynamics of the Lion Panthera leo Revealed by Host and Viral Population Genomics 2008-11-07
[39] 논문 Proviral Organization and Sequence Analysis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Isolated from a Pallas' Cat 1997-02
[40] 논문 A lion lentivirus related to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epidemiologic and phylogenetic aspects. 1994
[41] 논문 Retrovirus infections in non-domestic felids: serological studies and attempts to isolate a lentivirus https://linkinghub.e[...] 1992-12
[42] 논문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n the Interplay between Feline APOBEC3Z3 Proteins and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Vif Proteins 2021-06-10
[43] 논문 Equal contributions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and coinfections to morbidity in African lions 2021
[44] 논문 Pathological manifestations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FIV) infection in wild African lions 2009
[45] 논문 Hunting alters viral transmission and evolution in a large carnivore 2022
[46] 논문 Pathological manifestations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FIV) infection in wild African lions 2009
[47] 논문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genome organization and relationship to other lentiviruses. 1989-10-01
[48] 논문 Prevalence and pathogenicity of retroviruses in wildcats in France https://bvajournals.[...] 2000
[49] 논문 Seroprevalence and Genomic Divergence of Circulating Strains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among Felidae and Hyaenidae Species 2005-07-01
[50] 논문 Occurrence of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in cats
[51] 논문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vaccine: Implications for diagnostic testing and disease management
[52] 논문 Isolation of a T-lymphotropic virus from domestic cats with an immunodeficiency-like syndrome
[53] 논문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vaccine: A rational paradigm for clinical decision-mak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