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익은 사회 구성원 전체의 이익을 의미하며,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가치를 넘어선 보편적인 이익을 추구하는 개념이다. 공익은 사회 전체의 필요를 판단하고 이를 이루기 위한 사업으로, 정부나 개인에 의해 추진될 수 있다. 각국은 공익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며, 대한민국은 공익법인 제도를 통해 공익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공익, 편의, 필요성'의 개념이 통신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준이 되었으며, 인도 헌법은 공익을 위한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일본은 공익법인 제도를 운영했으나, 2008년 제도 개혁을 통해 변화를 겪었다. 공학, 정부, 역사, 저널리즘, 법, 과학,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익을 위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윤리학에 관한 사고 실험 - 기게스의 반지
    기게스의 반지는 리디아의 목동 기게스가 발견한 투명해지는 반지를 통해 권력과 부도덕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고대 그리스 이야기로, 플라톤의 『국가』에 등장하며 정의와 불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낸다.
  • 윤리학에 관한 사고 실험 - 그레이 구
    그레이 구는 분자 나노기술의 자기 복제 기계가 통제 불능 상태로 증식하여 지구를 파괴할 수 있다는 가설이며, 기술 윤리, 특히 나노기술의 잠재적 위험성을 논의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활용된다.
  • 정치 용어 - 킹메이커
    킹메이커는 직접 권력을 행사하지 않고 배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여 정치 지도자를 등극시키는 인물이나 집단을 의미하며, 게임 이론에서는 다른 플레이어의 승패를 결정하고, 현대 정치에서는 정부 수반의 인사권을 통해 권력을 행사한다.
  • 정치 용어 - 단일쟁점정치
    단일쟁점정치는 낙태, 세금, 환경, 총기 등 다양한 이슈를 중심으로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으려는 시도로, 선거 제도의 영향과 사회적 환경에 따라 성공 여부가 달라진다.
공익
지도 정보
정의
정의공공의 이익 또는 복지
설명일반 대중의 이익 또는 복지에 대한 관심; 이익 또는 복지; 일반 대중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고안된 조치 또는 기구
사회적 의미
일반적인 의미사회 전체의 이익과 관련됨
정치적 의미정부 정책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기본적인 가치
개념공공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
법률 및 정책
공익과 관련된 법률다양한 법률 및 규정에서 공익을 고려하도록 요구
정부 정책정부 정책은 공익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함
규제공익을 보호하기 위한 규제 기관
윤리적 측면
공익의 윤리적 고려공익에 대한 논의는 윤리적 고려와 불가분하게 연결됨
공익을 위한 행동공익을 위해 행동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요구될 수 있음
영향
사회 전반에 대한 영향공익은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개인 생활에 대한 영향공익을 고려하는 것은 개인 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기타
관련 개념공공선
공공 서비스
사회 복지

2. 공익의 개념과 정의

공익은 사회 전체의 이익, 더 나아가 그러한 형태의 이익이 발생하는 성질을 가리킨다. 이러한 이익에는 사회 구성원(개인대중)에게 이익이 되는 것, 사회 전체의 기능 향상, 또는 사회 규모 확대에 기여하는 것이 있다.

공익 사업은 사회 전체를 조망하여 무엇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이를 실현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정부 등 지역 정치에 속하는 단체가 추진한다. 하지만 사회 구성원이 자발적으로 필요성을 발견하고 행동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사람들을 '''애국자'''(→자선 참조)라고 부른다.

사회는 가족부터 커뮤니티, 기업, 국가, 세계와 같이 다양한 구성 단위를 가진다. 어느 정도 규모의 사회 조직에 이익이 발생해야 공익이라고 할 수 있는지 경계를 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공익은 사상이나 신조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이익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가치관에 얽매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2. 1. 다양한 관점

호락상(Lok Sang Ho) 경제학자는 그의 저서 『공공정책과 공공의 이익』에서 공공의 이익을 "사전(ex ante) 대표 개인의 후생"으로 정의한다고 주장한다.[2][3] 이는 존 롤스의 무지의 베일 개념과 유사하다.[4] 존 스튜어트 밀조지 그로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일반적인 규칙에 따르는 것이 인간의 행복을 증진시킨다고 설명했다.[5]

잉글랜드 및 웨일즈 공인회계사협회는 공공의 이익 결정을 평가할 때 의사 결정 과정의 투명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https://www.icaew.com/publicinterest Acting in the Public Interest)

2. 2. 공익과 사익의 충돌

흔히 공익은 "어떤 일을 하면 사회 전체에 이익이 될까"라는 면에서 확실한 방법론을 찾기 어렵고, 이른바 공공 사업에서도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 잘못하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세금 등의 형태로 모아서 준비된 재산을 사유화한 측이 사익을 추구하는 것도 그렇게 드문 일이 아니다. 그러나 그러한 공익을 위한 재산을 사유화하는 행위는 신뢰를 배신하는 것이기도 하기 때문에, 공익을 해치고 사익을 추구하는 행위는 배임비판을 받게 된다.

3. 각국의 공익 관련 제도

대한민국에서는 공익법인 제도를 통해 공익 활동을 지원한다. 2008년 공익법인 제도 개혁으로 중간법인법이 폐지되고, 중간법인은 일반사단법인에 통합되었다.[1] 특정비영리활동촉진법에 따라 설립되는 특정비영리활동법인(NPO 법인)은 특정한 공익적·비영리 활동을 목적으로 한다.[1]

미국에서 공익은 "민주적 정부 이론"의 핵심으로 여겨지며, "편의"와 "필요성"이라는 두 가지 개념과 함께 논의된다.[6] 이 개념들은 1920년 교통법(Transportation Act of 1920)과 1927년 라디오법(Radio Act of 1927)에 처음 등장했으며, 통신 정책 수립 및 분쟁 해결의 기준이 되었다. 전자정부(e-Government)는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국민에게 정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9]

인도 헌법은 여러 조항에서 "공익"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기본권 제22조(6), 31A(b) 및 31A(c), 263조, 302조 등에서 "공익"을 언급한다.[7] 282조는 연방 또는 주의 수입이 공공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고 규정한다.[7]

일본 민법에서는 2008년까지 공익법인 제도를 운영했으며, 이후 공익법인 제도 개혁을 통해 일반사단법인 및 일반재단법인을 등록으로 설립하고, 공익사단법인 및 공익재단법인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 법인세법에서는 공익법인 등에 대한 과세 대상을 수익사업 등으로 제한한다.[1]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공익법인 제도를 통해 공익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2008년 공익법인 제도 개혁으로 중간법인법이 폐지되고, 중간법인은 일반사단법인에 통합되었다.[1] 특정비영리활동촉진법에 따라 설립되는 특정비영리활동법인(NPO 법인)은 특정한 공익적·비영리 활동을 목적으로 한다.[1] 법인세법에서는 공익법인 등에 대한 과세 대상을 수익사업 등으로 제한하여 영리법인보다 납세 의무를 경감한다.[1]

3. 2. 미국

미국에서 공익은 "민주적 정부 이론"의 핵심으로 여겨져 왔으며, 종종 "편의"와 "필요성"이라는 두 가지 개념과 함께 논의되어 왔다.[6] 공익, 편의, 필요성 개념은 1920년 교통법(Transportation Act of 1920)에 처음 등장했으며, 1927년 라디오법(Radio Act of 1927)에도 나타났다. 이 세 가지 개념은 이후 통신 정책 수립 및 관련 분쟁 해결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전자정부(e-Government)는 (디지털 정부 또는 열린 정부라고도 함)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국민과 지역사회에 중요한 정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9] 미국 연방 정부는 공공의 이익과 정부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기술을 사용하는 여러 계획을 가지고 있다.[10] 미국 디지털 서비스는 연방 정부 기관에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미국 디지털 군단은 지역, 주, 국가 및 세계적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을 사용하는 데 능숙한 연방 정부 인력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 인턴십을 제공한다.[11] TechCongress는 기술 전문 지식과 배경을 가진 개인을 의회 의원의 기술 정책 고문으로 배치한다. 2018년에 통과된 21세기 통합 디지털 경험 법(21st Century Integrated Digital Experience Act)은 대중이 연방 정부 웹사이트의 정보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2] 연방 정부의 인사관리처(OPM) 감찰총장실에서 열린 정부 자료[13]를 이용할 수 있다.

3. 3. 인도

인도 헌법은 여러 조항에서 "공익"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인도 헌법은 국민의 기본권 제22조(6), 31A(b) 및 31A(c), 263조, 302조, 연합 목록의 52, 54 및 56항, 그리고 동시 목록의 33항 등 9곳에서 "공익"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7] 282조는 연방 또는 주의 수입은 공공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고 규정한다.[7] 주가 아닌 연방이 공익을 위해 계획이나 프로젝트를 추진할 경우, 그러한 계획은 해당 계획 시행 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이해관계자들의 반대 없이 전국민의 폭넓은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7] 그렇지 않으면, 사회의 대다수에게 이익이 되지만 일부는 피해를 보는 공공 목적 사업이 된다.[7] 인도 법원에서 "공익"이라는 용어에 대한 해석(허용 및 금지 사항)이 부재한 상황에서, 이러한 조항들은 연방 입법자들이 "공익"의 의미와는 상반되게 주 정부의 헌법상 권한과 국민의 권리를 침해하기 위해 악용되고 있다.[7] 법적으로 공익 또는 국가이익을 위해 계획이나 프로젝트를 수립하려면, 249조에 따라 라자야 사바에서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해당 제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7]

3. 4. 일본

일본 민법에서는 2008년까지 공익법인 제도를 운영했으며, 이후 공익법인 제도 개혁을 통해 일반사단법인 및 일반재단법인을 등록으로 설립하고, 공익사단법인 및 공익재단법인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 법인세법에서는 공익법인 등에 대한 과세 대상을 수익사업 등으로 제한한다.[1]

2008년 11월까지 일본 민법 제34조에 따라 공익법인(구체적으로는 사단법인 또는 재단법인)이 존재했다.[1] 공익법인은 “학술, 기예, 자선, 제사, 종교 그 밖의 공익”에 관한 것으로 규정되었으며, 설립에는 주무관청의 허가가 필요했다.[1]

2008년 12월부터 시행된 약칭 “公益法人認定법” 및 약칭 “일반사단·재단법인법”은 주무관청 제도를 폐지하고 민법상의 공익법인을 없앴다.[1] 일반사단법인 및 일반재단법인을 등록으로 설립하게 하고, 공익사단법인 및 공익재단법인을 인정하는 것이다.[1]

법인세법에서는 제2조에서 공익법인 등이라는 구분을 두어 과세 대상을 수익사업 등으로 제한함으로써 영리법인보다 납세 의무가 경감된다.[1] 이 구분에 해당하는 것은 개정 전 민법에서의 공익법인, 신법에서의 비영리법인에 해당하는 일반사단법인 및 일반재단법인 외에도 종교법인, 사회복지법인, 학교법인 등이 있다.[1]

4. 다양한 분야에서의 공익 활동

여러 학문 분야에서 공공의 이익을 목표로 하고 이를 지원하는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활동에는 공학, 정부, 역사, 저널리즘, , 과학, 기술 등 다양한 분야가 포함된다.

4. 1. 공학

공공 이익 디자인은 제품, 구조물 및 시스템 설계에 공공의 이익을 통합하기 위한 협력적 노력에 중점을 둔다. 미국 전문 기술자 협회(National Society of Professional Engineers)의 기술자 윤리 강령에는 "기술자는 항상 공공의 이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8]

4. 2. 정부

전자정부는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여 국민과 지역사회에 중요한 정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9] 미국 연방 정부는 공공의 이익과 정부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기술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계획을 가지고 있다.[10] 미국 디지털 서비스는 연방 정부 기관에 기술 지원을 제공하며, 미국 디지털 군단은 지역, 주, 국가 및 세계적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을 사용하는 데 능숙한 연방 정부 인력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 인턴십을 제공한다.[11] TechCongress는 기술 전문 지식과 배경을 가진 개인을 의회 의원의 기술 정책 고문으로 배치한다. 2018년에 통과된 21세기 통합 디지털 경험 법(21st Century Integrated Digital Experience Act)은 대중이 연방 정부 웹사이트의 정보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2] 연방 정부의 인사관리처(OPM) 감찰총장실에서 열린 정부 자료[13]를 이용할 수 있다.

4. 3. 역사

대중역사는 전문 및 비전문 연구자들이 사람들과 지역사회에 역사 정보를 제공하려는 역사 분야의 한 영역이다. 기술은 대중역사가들에게 연구를 수행하고 공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매사추세츠 주 프랭클린에 있는 딘 칼리지(Dean College)에 있는 온라인 출판물인 뉴잉글랜드 역사 저널[14]에는 뒤뜰에서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역사를 기록하는 지역 사회 구성원들의 작품을 출판하기 위해 고안된 전체 섹션이 있다.[14]

4. 4. 저널리즘

공익 저널리즘은 사람들과 공동체의 관심사 및 관련성이 있는 문제에 대한 조사와 보도를 포함한다.[15] 자선 저널리즘 프로젝트에 따르면, "대중의 이익에 봉사하는 저널리즘"이다.[16] 호주 멜버른에 설립된 공익 저널리즘 이니셔티브(Public Interest Journalism Initiative)는 멜버른 대학교와 파트너십을 맺은 뉴스 및 공공 정책 기관이다.[17]

2023년, 몽클레어 주립 대학교의 협동 미디어 센터(The Center for Cooperative Media)는 리타 앨런 재단(Rita Allen Foundation)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시민 과학 문제와 잠재적인 해결책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분야 간 시민 과학 저널리즘 협업을 지원할 계획을 발표했다.[18]

공익 저널리즘은 모든 사회에서 개념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용어가 사용되는 사회 간에도 정의는 다양하다.[19]

4. 5. 법

공익법은 법조계 구성원들이 사회 구성원 모두, 특히 법적·사법 시스템에서 스스로를 변호할 재정적 자원이 부족한 사람들을 위해 옹호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약속에 뿌리를 두고 있다.[20] 미국에서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법률 대리인을 선임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무료 법률 지원이 잘 알려진 공익법의 한 형태이다. 공익법이 생기기 전에는, 불리하거나 취약한 계층의 법률적 욕구와 옹호는 미국시민자유연맹(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ACLU))이나 유색인종지위향상협회(NAACP)의 법적 방어 및 교육 기금(LDF)과 같은 법률 지원 단체를 통해서만 충족될 수 있었다. 포드재단과 같은 자선 단체의 노력은 분야 구축 출판물 개발, 공익법 단체 설립, 교육 및 전문 개발 기회 지원을 가능하게 했다.[20] 이러한 노력의 영향으로, 잔 샤른(Jeanne Charn) 교수가 이끄는 하버드 대학교의 법률 지원 클리닉 프로그램과 제프리 셀빈(Jeffrey Selbin) 교수가 이끄는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법학대학원의 법률 클리닉, 그리고 전문적 책임을 위한 법률 교육 위원회(Council on Legal Education for Professional Responsibility) 설립으로 이어졌다.[21][22][23]

4. 6. 과학

시민 과학은 일반인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과학 정보 개발에 기여하고 지원하는 활동을 말한다. NASA이 지원하는 시민 과학 프로젝트인 '일식 사운드스케이프(Eclipse Soundscapes)'는 일반인들이 일식이 사람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참여하도록 설계되었다.[24] 1998년에 시작된 '그레이트 백야드 버드 카운트(Great Backyard Bird Count)'는 시민들이 지역 사회에서 새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eBird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프로그램으로, 2023년에 25주년을 맞았다. 2022년 4일간 진행된 이 프로그램에는 192개국에서 약 38만 5천 명이 참여했으며, 연구자들은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조류 종을 추적하고 보존 노력을 이끌어낸다.[25]

4. 7. 기술

공공 이익 기술(Public Interest Technology, PIT)은 과학기술사회(STS) 분야와 기원을 공유하는데, 스탠퍼드 대학교에 따르면 STS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시작되어 1980년대에 공식화되었으며,[26] 역사, 인류학, 사회학, 경제학, 윤리학 및 기타 접근 방식을 결합하여 사회적 맥락과 과학 및 공학의 실천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다. STS와 마찬가지로 공공 이익 기술은 학제 간 틀을 사용하여 공공 이익을 위해 설계된 기술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며 공동 설계 및 지역 사회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STS가 공공 이익 기술로 발전한 것은 부분적으로 STS 시대의 여전히 불충분한 공공 참여(예: 윤리 강령에서 알 수 있듯이)[27] 때문이었다. PIT는 "기술 중심 세계의 과제에 대한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해결책의 개발과 실현"을 촉진한다.[28] 이는 사람 중심의 문제 해결로 특징지어진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public interest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023-05-20
[2] 서적 undefined Routledge 2012
[3] 웹사이트 Public Policy and the Public Interest: 1st Edition (Hardback) - Routledge https://www.routledg[...] 2019-06-19
[4] 서적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
[5] 서적 The Collected Works of John Stuart Mill, Volume XIV - The Later Letters of John Stuart Mill 1849-1873 Part I University of Toronto Press,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1972
[6] 서적 Foundations of Communications Policy. Principles and Process in the Regulation of Electronic Media Hampton Press 2001
[7] 웹사이트 Who defines the public interest https://sur.conectas[...] 2022-08-19
[8] 웹사이트 Code of Ethics National Society of Professional Engineers https://www.nspe.org[...] 2023-05-20
[9] 웹사이트 Open Government: Concept, Definitions and Implementation https://www.oecd-ili[...] 2023-03-07
[10] 웹사이트 Government IT Initiatives https://www.gsa.gov/[...] 2023-03-13
[11] 웹사이트 U.S. Digital Corps https://digitalcorps[...] 2023-03-13
[12]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https://www.congress[...] 2023-03-13
[13] 웹사이트 Open Government https://www.opm.gov/[...] 2023-03-07
[14] 웹사이트 THE NEW ENGLAND JOURNAL OF HISTORY https://www.nejh.org[...] 2023-05-20
[15] 웹사이트 Explainer: what is public interest journalism? http://theconversati[...] 2023-03-13
[16] 웹사이트 What is Public Interest Journalism? https://cjproject.or[...] 2023-05-20
[17] 웹사이트 PIJI - Public Interest Journalism Initiative https://piji.com.au/ 2023-03-13
[18] 웹사이트 Center for Cooperative Media Montclair State University https://centerforcoo[...] 2023-03-13
[19] 웹사이트 undefined https://publicintere[...] 2024-08
[20] 웹사이트 Here to There: Lessons Learned from Public Interest Law https://www.fordfoun[...] 2023-02-28
[21] 웹사이트 Putting compassion into action https://hls.harvard.[...] 2023-02-28
[22] 웹사이트 Social Justice and Public Interest https://www.law.berk[...] 2023-02-28
[23] 웹사이트 Jeffrey Selbin https://www.law.berk[...] 2023-02-28
[24] 웹사이트 Eclipse Soundscapes https://science.nasa[...] 2023-02-21
[25] 웹사이트 At 25, Backyard Bird Count shows power of citizen science https://apnews.com/a[...] 2023-03-02
[26]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Field Program in Science, Technology & Society https://sts.stanford[...] 2023-03-09
[27] 논문 Whose side are ethics codes on?: Power, responsibility and the social good https://dl.acm.org/d[...] 2023-04-19
[28] 웹사이트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Announces New Certificate in Public Interest Technology – Public Interest Technology Initiative https://groups.cs.um[...] 2023-05-20
[29] 웹사이트 公益とは https://kotobank.jp/[...] 2021-07-28
[30] 웹사이트 undefined http://dictionary.re[...]
[31] 서적 Public Policy and the Public Interest http://www.routledge[...] Routledge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