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는 2000년 9개 지역 국립대학교 총장 협의회로 시작하여, 2020년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로 확대되었고, 202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 협의회는 국립대 및 공립대학교 간의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며, 교수 및 학생 교류, 공동 연구 등을 수행한다. 현재 19개 대학이 소속되어 있으며, 각 대학 총장은 장관급 예우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교육 단체 - 프로젝트 위기
프로젝트 위기는 백진우가 2014년에 설립한 교육 운동 단체로, 획일적인 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자신을 위한 공부'를 강조하며 교육 개혁을 위해 콘퍼런스 개최, 다큐멘터리 제작, 교육 미디어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 대한민국의 교육 단체 -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는 대한민국 10개 주요 국립대학교 총장들의 협의체로, 각 지역을 대표하는 국립대학교 간의 상호 협력 및 발전을 도모하며 교환 학생 프로그램 운영, 공동 연구 시설 설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 -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는 1947년 설립되어 전북특별자치도에 여러 캠퍼스를 둔 거점국립대학교로, 다양한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QS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우수한 순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 - 서울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는 1946년 경기공립사범학교로 설립되어 199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초등교육 교사 양성을 목표로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4년제 국립대학교이다. - 대학 단체 - 세계 대학 네트워크
세계 대학 네트워크는 6개 대륙 25개 주요 연구 중심 대학들의 협력 네트워크로, 회원 대학들의 연회비와 파트너십 위원회를 통해 운영되며 교환 프로그램, 온라인 교육 과정 개발 등 다양한 활동으로 대학 간 협력을 증진한다. - 대학 단체 - 유럽 대학 협회
유럽 대학 협회(EUA)는 유럽의 대학들로 구성된 단체이며, 2022년 기준 800개 이상의 회원 기관을 보유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지한 러시아 회원 기관의 자격을 정지했다.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 |
---|---|
개요 | |
이름 |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
약칭 | 국중협 |
유형 | 임의 단체 |
형태 | 협의회 |
활동 지역 | 대한민국 |
설립 및 구성 | |
결성 | 2000년 |
회원 | 19개 대학 총장 |
회원 목록 | 국립부경대학교 총장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총장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총장 국립공주대학교 총장 국립군산대학교 총장 국립목포대학교 총장 국립순천대학교 총장 국립안동대학교 총장 국립창원대학교 총장 한국체육대학교 총장 한국교원대학교 총장 국립목포해양대학교 총장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총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총장 국립한밭대학교 총장 한경국립대학교 총장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총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 서울시립대학교 총장 |
조직 및 운영 | |
회장 | 장영수(국립부경대학교) |
활동 인원 | 18 |
기타 | |
목적 | 미상 |
본부 | 미상 |
위치 | 미상 |
표어 | 미상 |
설립자 | 미상 |
초대 수장 | 미상 |
주요 기관 | 미상 |
모기관 | 미상 |
제휴 기관 | 미상 |
이사회 임원 | 미상 |
예산 | 미상 |
웹사이트 | 미상 |
2. 역사
대한민국에서 "국가중심 국립대학·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에 가입된 전국 18개 국립대학 및 공립대학교를 통칭하는 말로, 약칭은 '''지중국'''이다.
2000년 6월경,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에 소속되지 않은 강릉대학교, 공주대학교, 군산대학교, 목포대학교, 부경대학교,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등이 '''9개지역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를 설립하였다.
이후 회원 대학 범위를 확대하고 명칭을 변경하여, 국립대뿐만 아니라 공립대도 포함하는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로 발전하였다.[11][12]
2021년에는 현재 명칭인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로 다시 한번 명칭을 변경했다.[11][12]
2. 1. 9개지역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2000년~2020년)
대한민국 「고등교육법」 제10조[2]에 의거하여 2000년 6월경,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에 소속되지 않은 강릉대학교, 공주대학교, 군산대학교, 목포대학교, 부경대학교,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등이 새로운 국립 종합 대학 협의체 구성 필요성에 합의하여 '''9개지역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를 설립하였다.9개 지역 국립대학교 총장협의회는 모두 1990년대에 '대학교'로 승격한 국립 종합대학들이다.
학교 | 설립 | 국립 이관 | 종합대학 승격 |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 1946년 도립강릉사범학교 | 1950년 국립강릉사범학교 | 1991년 강릉대학교 |
국립공주대학교 | 1948년 도립공주사범대학 | 1950년 국립공주사범대학 | 1991년 공주대학교 |
국립군산대학교 | 1947년 도립군산사범학교 | 1950년 국립군산사범학교 | 1991년 군산대학교 |
국립목포대학교 | 1946년 도립목포사범학교 | 1950년 국립목포사범학교 | 1991년 목포대학교 |
국립부경대학교 | 1941년 관립부산고등수산학교 | (설립 당초부터) | 1990년 부산수산대학교 |
국립순천대학교 | 1935년 순천도립농업학교 | 1972년 국립순천농림고등전문학교 | 1991년 순천대학교 |
국립안동대학교 | 1947년 도립안동사범학교 | 1950년 국립안동사범학교 | 1991년 안동대학교 |
국립창원대학교 | 1969년 국립마산교육대학 | (설립 당초부터) | 1991년 창원대학교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 1919년 관립진해고등해원양성소 | (설립 당초부터) | 1991년 한국해양대학교 |
2. 2.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2020년~2021년)
협의회는 회원 대학 범위를 확대하고 명칭을 변경하여, 국립대뿐만 아니라 공립대도 포함하는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로 발전했다.[11][12] 약칭은 '''지중국'''이다. 다음은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이후 합류한 학교 목록이다. 이 중 2007년에 가입한 경남과학기술대학교는 경상국립대학교로 통합·폐교되어 회원교에서 제적되었다.2. 3.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2021년~)
2021년, 협의회는 현재 명칭인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로 다시 한번 명칭을 변경했다. 다음은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이후 합류한 학교의 목록이다.[11][12]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소속 대학은 다음과 같다.[4]
이 중 2007년에 가입한 경남과학기술대학교는 경상국립대학교로 통합·폐교되어 회원교에서 제적되었다.
3. 소속 대학
학교 약어 설립 위치 가입 표어 비고 국립부경대학교 PKNU 1941 관립부산고등수산학교 부산 2000 미래를 우리 손으로 [5] 국립한국해양대학교 KMOU 1945 진해고등상선학교 부산 2000 세계 최고 수준의 글로벌 해양특성화 종합대학 [5] 국립강릉원주대학교 GWNU 1946 도립강릉사범학교 강릉 2000 꿈을 향한 동행, 미래를 여는 대학 [8] 국립공주대학교 KNU 1948 도립공주사범대학 공주 2000 미래의 꿈 · 세계를 향한 도전 [6] 국립군산대학교 KSNU 1947 도립군산사범학교 군산 2000 진리탐구 · 문화창조 · 사회봉사 [8] 국립목포대학교 MNU 1946 도립목포사범학교 무안 2000 지역과 더불어 세계로, 미래로 [9] 국립순천대학교 SCNU 1935 도립순천농업학교 순천 2000 지역과 함께 미래를 개척하는 전남대표 국립대학 [6] 국립안동대학교 ANU 1947 도립안동사범학교 안동 2000 학생 역량강화 중점 대학 [7] 국립창원대학교 CWNU 1969 국립마산교육대학 창원 2000 경남의 중심에서 아시아로 세계로 [7] 한국체육대학교 KNSU 1976 국립한국체육대학 서울 2007 진리 · 봉사 · 창조 [8] 한국교원대학교 KNUE 1984 국립한국교원대학교 청주 2007 Teacher of Teacher [8] 국립목포해양대학교 MMU 1950 목포수산산성고등학교 목포 2007 푸른바다 푸른 꿈, 바다를 경영하는 꿈이 있는 대학 [8] 국립금오공과대학교 KIT 1979 금오공과대학 구미 2007 세계와 함께 미래 공학을 선도하는 대학 [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SEOULTECH 1910 공립어의동실업보습학교 서울 2017 과학과 인간의 꿈을 실현하는 세계속의 대학 [9] 국립한밭대학교 HBNU 1927 공립홍성공업전수학교 대전 2017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산학일체 혁신대학 [10] 한경국립대학교 HKNU 1939 공립안성농업학교 안성 2017 길을 만드는 대학, 경기 대표 국립 대학 [6] 국립한국교통대학교 KNUT 1965 국립충주공업초급대학 청주 2017 Connect the world [5] 한국방송통신대학교 KNOU 1972 서울대학교부설방송통신대학 서울 2022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성공 플랫폼 서울시립대학교 UOS 1918 공립경성농업학교 서울 2012 시대정신과 미래가치를 선도하는 대학 [10]
3. 1. 수도권
3. 2. 강원권
3. 3. 충청권
3. 4. 호남권
3. 5. 영남권
4. 특징
- 대부분의 해당 대학 총장은 장관급의 예우를 받는다.[13][14]
- 수도권, 호서권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의 학교 명칭은 대부분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행정구역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 수도권의 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서울시립대학교 등 2개교만 해당 지역의 광역자치단체 명칭을 사용중이다. 한경국립대학교의 경우 경기대학교가 교명을 선점하여 사용하지 못했다.
- 본래 국립 대학의 협의체였지만, 일반대학일 경우 공립대학도 가입할 수 있도록 2012년에 회칙을 변경하면서 당해 3월, 유일한 공립 일반대학인 서울시립대학교가 합류하였다.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국립한밭대학교를 제외한 모든 학교에는 예술 교육 과정이 편제되어 있다.
- 정부의 지속적인 국립대학 통합정책에 따라 다음과 같은 대학들이 통합되었다.
- * 1992년 군산수산전문대학이 군산대학교와 통합
- * 2008년 원주대학이 강릉대학교와 통합해 강릉원주대학교
- * 1992년 예산농업전문대학, 2001년 공주문화대학, 2005년 천안공업대학이 공주대학교와 통합
- * 1996년 부산수산대학교와 부산공업대학교가 통합하여 부경대학교
- * 2005년 충주대학교와 청주과학대학이 충주대학교로 통합한데 이어, 2011년 한국철도대학을 통합하여 한국교통대학교
- * 2023년 한국복지대학교와 한경대학교가 통합하여 한경국립대학교
- 지방 소멸 문제와 학령 인구 감소로 거점국립대학과 통합을 구상 중인 사례가 존재한다.[15][16][17][18][19] 다만, 소속교 중 대다수의 지방 소재 국립 대학이 이미 많은 통합을 과거에 진행했고, 그 나름의 학풍을 형성 중인 과정에서 시장 논리대로만 통합을 진행하는 것이 옳은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진행 중에 있다.[20]
4. 1. 의학교육기관
현재 치의학 분야에는 1개 기관, 약학 분야에는 2개 기관이 설치되어 있다.
4. 1. 1. 부속 병원
국립강릉원주대학교의 부속 병원인 국립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은 1997년에 설립되었다. 강릉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2차 의료급여기관이다.4. 2. 법학전문대학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은 2009년에 서울 동대문구에 설립되었다.4. 3. 산하 교육기관
현재 초등교육기관 1곳, 중등교육기관 4곳, 유아교육기관 3곳으로 총 8개 기관이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산하에 설립되어 있다.기관 | 학교 | 설립 | 위치 | 비고 |
---|---|---|---|---|
부설유치원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 1997년 | 강원 원주 | |
사범대학부설중학교 | 국립공주대학교 | 1953년 | 충남 공주 | |
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 1955년 | 충남 공주 | ||
사범대학부설유치원 | 1996년 | 충남 공주 | ||
부설월곡초등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 1941년 | 충북 청주 | |
부설미호중학교 | 1954년 | 충북 청주 | ||
부설고등학교 | 1990년 | 충북 청주 | ||
부설유치원 | 1981년 | 충북 청주 |
5. 교류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소속 19개 대학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교수·학생 교류, 공동 학술지 발간 및 학술 정보 교류, 연구 기자재 및 시설물 공동 이용, 공동 연구 과제 수행 및 학술 회의 개최, 행정 인력 및 행정 정보 교류 등을 이행하고 있으며, 각 대학별로 교류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창원대, ‘지역중심 국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 개최
http://m.unn.net/new[...]
한국 대학 신문
2018-01-28
[2]
법령
제10조(학교협의체) ① 대학·산업대학·교육대학·전문대학 및 원격대학 등은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각 학교의 대표자로 구성하는 협의체(協議體)를 운영할 수 있다.
[3]
뉴스
군산대, 국가중심 국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 개최
http://www.nspna.com[...]
2021-06-14
[4]
뉴스
순천대, '국가중심 국·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 개최
https://www.newsway.[...]
2022-12-03
[5]
자료
2022년 기준 자료임
[6]
자료
2021년 기준 자료임
[7]
자료
2020년 기준 자료임
[8]
자료
2018년 기준 자료임
[9]
자료
2019년 기준 자료임
[10]
자료
2023년 기준 자료임
[11]
뉴스
‘지역 중심 국공립대학 총장협의회’ 모임, 22일 진주 경남과학기술대
http://www.ohmynews.[...]
2012-03-21
[12]
뉴스
국립공주대, 국가중심 국·공립대학교 총장 협의회 개최
https://www.ccdailyn[...]
2022-10-16
[13]
정보
단,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한경국립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국립한밭대학교의 총장은 차관급 예우를 받는다.
[14]
정보
서울시립대학교 총장은 공립 대학중 유일하게 장관급 예우에 해당한다.
[15]
웹인용
전남대-여수대 통합 이후 불균형 심화, 여수시민 불만
https://www.fnnews.c[...]
2023-04-15
[16]
웹인용
전남대-여수대 통합 15년, 먹구름 드리운 여수캠퍼스 미래
https://www.newsis.c[...]
2023-04-15
[17]
웹인용
˝여수캠퍼스는 고사위기···교육부·전남대 약속 지켜야˝
http://www.mdilbo.co[...]
2023-04-15
[18]
웹인용
구)여수대, 전남대와 통합 이후 ‘불이익’ 반발
http://www.dbltv.com[...]
2023-04-15
[19]
웹인용
"[단독]강원대-삼척대 통합회고 '정책연구보고서' 입수…강원대-강릉원주대, 제2의 강원-삼척대 될라..."
http://www.usline.kr[...]
2023-04-15
[20]
웹인용
정부 시장주의 대학정책이 불붙인 경남 국립대 통합 논란
http://www.idomin.co[...]
2023-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